KR102338891B1 -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891B1
KR102338891B1 KR1020210048395A KR20210048395A KR102338891B1 KR 102338891 B1 KR102338891 B1 KR 102338891B1 KR 1020210048395 A KR1020210048395 A KR 1020210048395A KR 20210048395 A KR20210048395 A KR 20210048395A KR 102338891 B1 KR102338891 B1 KR 10233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time
fas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047A (ko
Inventor
김영록
김정하
임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96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4037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to KR102021004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8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복수의 차량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 소켓;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각각에 대해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할당하여 분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기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Electric car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자동차 시장 역시, 기존의 내연 기관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 시장으로 시장이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역시 함께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 충전 시장에서는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 사이의 충전 시간 차이가 크고,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 사이의 설치 비용 차이가 커서, 급속 충전기만을 이용하여 충전 시스템을 운영하기에는 경영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의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대부분 충전기 하나 차량 한 대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충전 방식이 유동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 주유소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소 역시, 복수의 충전기를 배치하고, 각 충전기에 한 대의 차량만을 충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구조는 비용 대비 전기 자동차 충전소를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복수의 차량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 소켓;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각각에 대해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할당하여 분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기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상기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 계산하여,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을 포함한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을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각 차량의 출차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 사이의 차이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 한 후,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충전 불가 표시를 출력하고, 충전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을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에 대해 양보 여부가 가능한지 판단하여, 상기 제1 차량을 포함한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시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을 선정하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해 양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양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은 이미 충전중인 전체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을 반영하여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에 대한 선정은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사전에 상기 제어 유닛에 사전 입력한 사용자의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와 출차 예정 시각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인 충전 시급성 정보를 조합하여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양보 요청에 대한 수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한 차량 전체에 대한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상기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4 차량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4 차량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충전 성향 정보와 충전 시급성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제1, 4 차량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4 차량 각각에 대한 충전 성향 정보는 사전에 미리 입력되되, 상기 제1, 4 차량 각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양보 성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시급성 정보는 상기 제1, 4 차량에 대한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4 차량 중 상기 충전 성향 정보와 상기 충전 시급성 정보의 조합값이 클수록 상기 급속 충전에 대한 우선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최소 충전량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차량이 원하는 목표 충전량을 충전하기에 충전시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최소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기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양보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에는 다른 부분의 전체 면(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가장 자리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유닛(100), 제어 유닛(300), 충전 소켓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110)와 복수의 완속 충전기(120-1 ~ 120-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110)와 복수의 완속 충전기(120-1 ~ 120-n) 각각은 외부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원을 제공받아, 제어 유닛(300)을 통하여 충전 소켓 유닛(20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110)는 급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급속 충전기(110)가 하나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급속 충전기(110)의 개수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
복수의 완속 충전기(120-1 ~ 120-n)는 완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
이와 같은 급속 충전기(110)가 공급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50kwh ~ 100kwh 사이일 수 있고, 완속 충전기(120)가 공급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10kwh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속 충전기(110)가 수행하는 급속 충전의 충전 시간은 완속 충전기(120)가 수행하는 완속 충전의 충전 시간보다 5배 ~ 10배 사이로 빠를 수 있다.
일례로, 급속 충전기(110)를 이용하여, 차량을 완충할 때까지 걸리는 충전 소요 시간은 30분 ~ 40분 사이일 수 있으며, 완속 충전기(120)를 이용하여, 차량을 완충할 때까지 걸리는 충전 소요 시간은 3 시간 ~ 4 시간 사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소켓 유닛(200)은 충전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량에 복수의 차량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소켓 유닛(200)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각각에는 전기 충전을 위한 차량 각각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전 케이블에 구비된 플러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은 충전 유닛(100)과 충전 소켓 유닛(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급속 충전기(110) 및 완속 충전기(12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각각에 할당 및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유닛(300)은 급속 충전기(110) 및 완속 충전기(12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각각에 할당 및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유닛(300)은 충전 제어기(310), 분전반(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저장부(350) 및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기(310)는 충전을 하고자 하는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과, 이미 충전을 하고 있는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 등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분전반(320)은 충전 제어기(310)의 제어에 따라, 급속 충전기(110)에서 공급되는 급속 충전 전력이나 완속 충전기(120)에서 공급되는 완속 충전 전력을 충전 소켓 유닛(200)에 포함된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각각에 할당 및 분배할 수 있다.
즉, 분전반(320)은 충전 제어기(310)의 제어에 따라, 급속 충전기(110)에서 공급되는 급속 충전 전력을 특정 충전 소켓에 공급하거나, 특정 충전 소켓에 공급되는 전력을 다른 충전 소켓에 공급함과 아울러, 특정 충전 소켓에는 완속 충전기(120)에서 공급되는 완속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이 전기 충전을 위해, 특정 충전 소켓에 차량의 플러그를 삽입한 이후, 해당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 예상 충전 소요 시간, 차량이 충전 중일 때에는 차량의 현재 배터리 충전량, 목표 충전량까지의 예상 충전 잔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키보드, 텃치 패드 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이 전기 충전을 위해 특정 충전 소켓에 차량의 플러그를 삽입한 이후, 제어 유닛(300)의 요청에 따라, 목표 충전량, 최소 충전량, 출차 예정 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입력부(330)를 통하여 입력된 차량의 목표 충전량, 최소 충전량, 출차 예정 시간 등을 저장하고, 차량의 사용자가 사전에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사전 가입하여 회원 정보 등을 입력한 경우, 해당 회원에 대한 이름, 성별,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충전 성향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하는 방법의 다양한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제어 유닛(300)이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다음의 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받고, 제1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 계산하여,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가능한 경우, 제어 유닛(300)이 제1 차량을 포함한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이미 복수의 차량이 충전을 수행 중인 상태에서, 제1 차량이 충전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충전 대기 단계(S10), 소켓 연결 단계(S20), 출차 예정 시간 입력 단계(S30), 예상 충전 시간 측정 단계(S40), 이미 충전중인 차량의 충전 잔여 시간 계산 단계(S50), 충전 가능 시간 계산 단계(S60), 충전 가능 여부 판단 단계(S70), 급속 충전 스케줄 재할당 단계(S80) 및 예상 충전 완료 시간 표시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수행 단계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행해질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가능한 경우,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순서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따른 순서대로 설명한다.
충전 대기 단계(S10)에서는 충전 소켓 유닛(200)에 포함된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충전을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충전 소켓이 충전 대기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소켓 연결 단계(S20)에서, 나머지 충전 소켓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전기 충전을 위해 제1 차량의 플러그가 충전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량이 충전 소켓에 연결된 후, 출력부(340)에서는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차량의 플러그가 삽입되었음을 표시하고,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과 목표 충전량을 입력할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차 예정 시간 입력 단계(S30)에서, 충전 제어기(3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330)를 통하여 입력된 제1 차량에 대한 출차 예정 시간과 목표 충전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예상 충전 시간 측정 단계(S40)에서, 충전 제어기(310)는 제1 차량의 목표 충전량까지 예상되는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 및 계산할 수 있다. 충전 제어기(310)가 계산하는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은 출차 예정 시간 범위 내에서 (1) 완속 충전기(120)만을 사용하는 경우, (2) 급속 충전기(110)만을 사용하는 경우 및 (3) 급속 충전기(110)와 완속 충전기(12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모두를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 충전중인 차량의 충전 잔여 시간 계산 단계(S50)에서, 충전 제어기(310)는 이미 충전 중인 복수의 차량 각각에 대해 충전 잔여 시간을 종합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충전 가능 시간 계산 단계(S60)에서는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을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각 차량의 출차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 사이의 차이값을 반영하여,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충전 가능 여부 판단 단계(S70)에서는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을 완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할 때,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소요 시간에 대한 (1) 내지 (3)의 경우 각각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소요 시간에 대한 (1) 내지 (3)의 경우 모두에 대해,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충전 제어기(310)는 출력부(340)를 통하여 충전 불가 표시를 표시(S100)하고, 충전 대시 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1 차량에 대한 출차 예정 시간과 목표 충전량을 다시 입력하여, 위의 단계들을 다시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소요 시간에 대한 (1) 내지 (3)의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대해 충전 완료가 가능한 경우, 급속 충전 스케줄 재할당 단계(S80)에서, 충전 제어기(310)는 제1 차량을 포함한 차량 전체에 대한 급속 충전 스케줄 재할당하고, 예상 충전 완료 시간 표시 단계(S90)에서 출력부(340)를 통하여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표시하고, 제1 차량에 대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제어 유닛(300)이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이미 다른 차량이 충전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차량이 오후 2시에 충전 소켓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하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 충전 중인 다른 일부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이 오후 6시, 충전 잔여 시간이 3시간이고, 3시 ~ 4시 사이에 급속 충전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이 오후 4시로 입력되고, 목표 충전량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이 2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충전 제어기(310)는 오후 3시 ~ 4시 사이에 급속 충전이 예정되어 있는 다른 일부 차량의 급속 충전 예정 시간을, 출차 예정 시간인 오후 6시 이내의 범위에 있는 오후 5시 ~ 6시 사이로 변경하여 재할당하고 충전 잔여 시간을 4시간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제1 차량에 급속 충전 우선권을 부여하여, 제1 차량의 급속 충전 시간을 오후 3시 ~ 4시 사이로 설정하여,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기(310)는 충전을 하고자 하는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과, 이미 충전을 하고 있는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 등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차량의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충전 대시 상대로 돌아가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은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차량의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이미 충전 중인 다른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를 허용하는 경우,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는 양보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충전 대기 단계(S10), 소켓 연결 단계(S20), 출차 예정 시간 입력 단계(S30), 예상 충전 시간 측정 단계(S40), 이미 충전중인 차량의 충전 잔여 시간 계산 단계(S50), 충전 가능 시간 계산 단계(S60), 충전 가능 여부 판단 단계(S70), 급속 충전 스케줄 재할당 단계(S80) 및 예상 충전 완료 시간 표시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와 양보 수락 차량인 제2 차량을 포함한 차량 전체에 대한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하는 단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300)은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에서,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을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에 대해 양보 여부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고, 양보가 가능한 경우, 제1 차량 및 양보 수락 차량인 제2 차량을 포함한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양보가 수락된 이후의 급속 충전 스케줄 재할당 단계(S120)에서는, 양보 수락 차량인 제2 차량에 대해, 요청된 양보대로 수락한 충전량 또는 충전 시간만큼 제2 차량에서 급속 충전에 대한 시간을 삭감하여 제1 차량의 충전에 먼저 할당한 후, 제1 차량의 나머지 예상 충전 시간에 대해서는 충전 중인 전체 차량에 대해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에서 이미 충전을 수행중인 다른 차량의 양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충전 불가를 표시(S100)하고, 충전 대기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충전 부족 시간 계산 단계(S111), 양보 대상인 제2 차량 선정 단계(S112),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3) 및 양보 요청 수락 단계(S114)를 포함하고, 이외에 차순위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5), 차순위 양보 요청 수락 단계(S11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부족 시간 계산 단계(S111)에서는 충전 제어기(310)가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과 출차 예정 시간의 차이값으로부터 부족한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양보 대상인 제2 차량 선정 단계(S112)에서는 충전 제어기(310)가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은 이미 충전중인 전체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을 반영하여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체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의 차이가 가장 큰 값을 갖는 차량을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양보 대상 차량 선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사항이 반영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3)에서는 선정된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의 사용자에게 양보 요청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제1 차량의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제1 차량의 사용자가 이를 허용하면, 제어 유닛(300)은 통신부(360)를 통하여 제2 차량의 사용자에게 양보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양요 요청 정보에는 제1 차량의 사용자가 원하는 급속 충전 시간과 보상의 정도가 표시될 수 있다.
양보 요청 수락 단계(S114)에서 만약,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를 수락하면, S1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를 수락하면, 제어 유닛(300)은 양보를 수락한 제2 차량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상은 제1 차량의 사용자가 제어 유닛(300)을 통하여 제2 차량의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 사용자의 양보 요청 정보 전송은 제어 유닛(30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300)과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의 사용자 단말기(도 5에서, 피양보 요청 사용자 단말기라 함)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의 양보 요청 정보 전송은 한번의 과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해 여러 번에 걸쳐 양보 요청 정보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도 5의 (a)에서와 같이, 피양보 요청 사용자가 양보를 거절하면, 양보 요청 정보에서, 제1 차량 사용자는 제어 유닛(300)을 통하여 양보의 보상 포인트를 다르게 변경하여 재전송하거나, 도 5의 (b)에서와 같이, 양보 요청 정보에서, 피양보 요청 사용자가 양보를 거절하면, 양보를 원하는 급속 충전의 시간 정보를 다르게 변경하여 재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양보 요청 수락 단계(S114)에서 만약,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를 지속적으로 거부하면, 제어 유닛(300)은 차순위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5)에서 충전중인 전체 차량 중에서 차순위로 선정된 제3 차량에 대해 양보 요청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표시하고, 제1 차량의 사용자가 이를 허용하면, 통신부(360)를 통하여 제3 차량의 사용자에게 양보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차순위 양보 요청 수락 단계(S116)에서 제3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를 수락하면, S1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보 요청 전송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양보를 허용하는 차량이 없거나, 제1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 요청 정보의 전송을 거부하면, 제어 유닛(300)은 출력부(340)를 통하여 충전 불가를 표시하고, 다시 충전 대기 상대가 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양보 여부 판단 단계(S110)가 차순위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5)까지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순위까지도 양보 수락이 안되는 경우, 후순위 양보 대상 차량 선정 단계(S112)와 양보 요청 전송 단계(S113)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양보 대상 차량 선정과 관련하여, 이미 충전중인 전체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을 고려하여, 양보 대상인 제2 차량을 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에 대한 선정은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사전에 제어 유닛(300)에 사전 입력한 사용자의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와 출차 예정 시각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인 충전 시급성 정보를 함께 조합하여 반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는 차량의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기 이전에 미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되어 있을 수 있다. 회원 가입시, 사용자 이름,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가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는 사용자의 양보 레벨에 대한 사전 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양보 성향이 반영된 충전 성향 정보는 레벨 1에서 5 사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양보 성향이 클수록 충전 성향 레벨이 1에 근접하게, 양보 성향이 작을수록 충전 성향 레벨이 5에 근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양보 성향에 관한 정보는 차량 사용자가 회원 가입시 본인의 양보 성향에 대한 레벨을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시급성 정보는 차량의 사용자가 충전시에 입력하는 예정 출차 시간이 반영된 값일 수 있다. 일례로, 충전 시급성 정보는 레벨 1에서 5 사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정 출차 시간이 급하거나 짧을수록 5에 근접하고, 예정 출차 시간이 길거나 여유로울수록 1에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제1 차량의 충전 성향 레벨이 2, 시급성 레벨이 4로, 합산 레벨이 6인 경우, 이미 충전 중인 복수의 차량 중 합산 레벨이 6 미만인 차량 중 어느 한 차량(일례로, 충전 성향 레벨이 4, 시급성 레벨이 1로, 합산 레벨이 5인 경우)을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으로 선정하여, 양보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일례는 다음과 같다.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이미 다른 차량이 충전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차량이 오후 2시에 충전 소켓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하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이 오후 4시로 입력되고, 목표 충전량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이 2시간으로 판단되나, 충전 가능 시간이 1시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양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 충전 중인 다른 일부 차량 중 양보 성향이 강한 제2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이 오후 5시, 충전 잔여 시간이 3시간이고, 3시 ~ 4시 사이에 급속 충전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차량의 사용자는 제어 유닛을 통하여 제2 차량의 사용자에게 양보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만약, 제2 차량의 사용자가 양보 요청 메시지를 수락한 경우, 충전 제어기(310)는 오후 3시 ~ 4시 사이에 급속 충전이 예정되어 있는 다른 일부 차량의 급속 충전 예정 시간을, 오후 5시 ~ 6시 사이로 변경하여 재할당하고 충전 잔여 시간을 5시간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제1 차량에 급속 충전 우선권을 부여하여, 제1 차량의 급속 충전 시간을 오후 3시 ~ 4시 사이로 설정하여,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기(310)는 충전을 하고자 하는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과, 이미 충전을 하고 있는 제2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 충전 잔여 시간 및 제2 차량 사용자의 양보 성향 등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4 차량이 연결된 경우, 제어 유닛(300)은 제1, 4 차량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충전 성향 정보와 충전 시급성 정보를 조합하여, 제1, 4 차량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300)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 각각에 대한 충전 성향을 포함한 회원 정보 사전 입력(S200)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성향에 대한 내용은 차량 사용자의 양보 성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양보 성향을 포함하는 충전 성향은 1 ~ 5의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양보 성향이 클수록 1, 작을수록 5에 근접할 수 있다.
이후, 제1 차량이 충전 소켓에 연결(S20)된 후, 제4 차량이 충전 소켓에 연결(S2100)되면, 제어 유닛(300)은 제1, 4 차량 각각의 목표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S220)받고, 제1, 4 차량 각각에 대한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 및 계산(S230)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300)은 제1, 4 차량 각각의 출차 예정 시간으로부터 제1, 4 차량 각각의 충전 시급성 계산을 계산(S240)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시급성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차량에 대한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충전 시급성은 1 ~ 5의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예정 출차 시간이 급하거나 짧을수록 5에 근접하고, 예정 출차 시간이 길거나 여유로울수록 1에 근접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300)은 제1, 4 차량의 충전 성향과 충전 시급성을 조합하여 충전 스케줄 설정(S250)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300)은 제1, 4 차량 중 충전 성향 정보와 충전 시급성 정보의 조합값이 클수록 급속 충전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차량의 충전 성향 레벨은 2, 충전 시급성 레벨은 4로, 종합 레벨이 6이고, 제4 차량의 충전 성향 레벨은 4, 충전 시급성 레벨은 1로, 종합 레벨이 5인 경우, 제어 유닛(300)은 제4 차량보다 제1 차량에 대해 급속 충전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성향과 충전 시급성 레벨이 반영된 종합 레벨이 동일한 경우, 충전 시급성 레벨이 더 큰 경우를 더 우선하여, 급속 충전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서는 제1 차량에 대한 최소 충전량을 입력받고, 제1 차량이 원하는 목표 충전량을 충전하기에 충전시간이 부족한 경우, 제어 유닛(300)이 최소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이 충전 소켓에 연결(S20)된 후, 제어 유닛(300)은 제1 차량의 목표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 입력(S30)받고, 제1 차량 사용자로부터 제1 차량에 대한 최소 충전량을 추가로 입력(S300)받을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300)은 제1 차량의 목표 충전량에 대한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및 표시(S40)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유닛(300)은 이미 충전중인 각 차량의 출차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을 계산한 후, 제1 차량에 대한 충전이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충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최소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 고려하여, 제1 차량을 포함한 전체 차량에 대한 충전 스케줄 재할당하여 급속 충전 스케줄을 설정(S310)할 수 있다.
이후, 최소 충전량에 대한 제1 차량의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표시하고, 충전을 시작(S90)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급속 충전기(110)가 복수의 충전 소켓(210, 220, 200k)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충전 유닛 110: 급속 충전기
120: 완속 충전기 200: 충전 소켓 유닛
210 ~ 200k: 충전 소켓
300: 제어 유닛 310: 충전 제어기
320: 분전반 330: 입력부

Claims (12)

  1.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복수의 차량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충전 소켓;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각각에 대해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상기 완속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할당하여 분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기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특정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상기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 계산하여,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을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에 대해 양보 여부가 가능한지 판단하여,
    상기 이미 충전중인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을 선정하되,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선정에는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의 양보 성향 및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출차 예정 시각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인 충전 시급성 정보를 반영하여 선정되고 - 상기 양보 성향은 복수의 레벨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시 직접 입력한 정보이고, 상기 제2 차량에 대한 선정은 상기 양보 성향을 제1 수치로 표시하고, 상기 충전 시급성 정보를 제2 수치로 표시한 후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2 차량을 선정하는 것임 -,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양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 단말기으로부터 양보 요청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차량에 할당된 급속 충전 시간을 삭감하여 상기 제1 차량의 충전에 할당한 후,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상기 제1 차량의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차량의 예상 충전 소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 계산하여,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차량을 포함한 전체 충전 차량에 대한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이미 충전중인 각 차량의 출차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 사이의 차이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가능 시간을 계산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 한 후,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예상 충전 완료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충전을 시작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차 예정 시간 내에 제1 차량에 대한 충전 완료가 불가능한 경우, 충전 불가 표시를 출력하고, 충전 대기 상태가 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은 이미 충전중인 전체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시간과 충전 잔여 시간을 반영하여 선정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보 대상 차량인 제2 차량에 대한 선정에는
    상기 제2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출차 예정 시각까지의 잔여 시간에 대한 정보인 충전 시급성 정보가 더 반영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양보 요청에 대한 수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한 차량 전체에 대한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재할당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상기 제1 차량이 연결된 이후, 상기 복수의 충전 소켓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충전 소켓에 제4 차량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4 차량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충전 성향 정보와 충전 시급성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제1, 4 차량에 대한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4 차량 각각에 대한 충전 성향 정보는 사전에 미리 입력되되,
    상기 제1, 4 차량 각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양보 성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시급성 정보는 상기 제1, 4 차량에 대한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계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4 차량 중 상기 충전 성향 정보와 상기 충전 시급성 정보의 조합값이 클수록 상기 급속 충전에 대한 우선권을 갖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최소 충전량을 입력받고, 상기 제1 차량이 원하는 목표 충전량을 충전하기에 충전시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최소 충전량과 출차 예정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급속 충전 스케줄을 설정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0210048395A 2019-10-18 2021-04-14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33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95A KR102338891B1 (ko) 2019-10-18 2021-04-14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73A KR102340372B1 (ko) 2019-10-18 2019-10-18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0210048395A KR102338891B1 (ko) 2019-10-18 2021-04-14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73A Division KR102340372B1 (ko) 2019-10-18 2019-10-18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047A KR20210049047A (ko) 2021-05-04
KR102338891B1 true KR102338891B1 (ko) 2021-12-15

Family

ID=7886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95A KR102338891B1 (ko) 2019-10-18 2021-04-14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287B1 (ko) 2021-11-26 2023-12-20 (주)코리아이브이 복수의 전기바이크 및 차량을 동시에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 및 충전 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전기바이크 충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448B1 (ko) * 2012-03-13 2012-12-21 한국전기연구원 충전기 간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설비와 그 충전 제어 방법
KR101439265B1 (ko) * 2014-02-10 2014-09-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JP2014176232A (ja) * 2013-03-11 2014-09-22 Denso Corp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2019087087A (ja) * 2017-11-08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予約サーバおよび充電予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448B1 (ko) * 2012-03-13 2012-12-21 한국전기연구원 충전기 간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설비와 그 충전 제어 방법
JP2014176232A (ja) * 2013-03-11 2014-09-22 Denso Corp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101439265B1 (ko) * 2014-02-10 2014-09-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JP2019087087A (ja) * 2017-11-08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予約サーバおよび充電予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047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9440B2 (ja) 電動車両の充電予約サーバおよび充電予約方法
US91870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ies of vehicles and returning charge from batteries to utility companies
JP2018518672A (ja) Idの割り当てのため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セル構成の認識システム
EP3016238A1 (en) Charging state management method, charging state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KR102338891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373345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20120092755A (ko) 대규모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의 자동차 충전을 위한 동적 우선순위 부여 방법
JP6798212B2 (ja) 充電予約システム
CN111861081A (zh) 一种订单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003297B2 (ja) 送受電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4037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JP7443155B2 (ja) 車両監視装置、車両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4904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1771221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CN109932655A (zh) 用于监测车辆电池劣化的控制方法和系统
CN114943352A (zh) 车辆管理装置、车辆管理方法、车辆管理系统、及车辆
US20200244081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216623B (zh) 基于无人机的信息显示方法和装置
CN112634605A (zh) 一种车辆使用的控制方法、共享平台及车辆共享系统
KR20200102115A (ko) 충전용 콘센트 장치
US20230068572A1 (en) Charging/discharging management system
US20240027983A1 (en) Server and power conditioning system
JP7438601B2 (ja) 通信id割当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提供するシステム
JP73962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400886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