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41B1 -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41B1
KR101561941B1 KR1020140052872A KR20140052872A KR101561941B1 KR 101561941 B1 KR101561941 B1 KR 101561941B1 KR 1020140052872 A KR1020140052872 A KR 1020140052872A KR 20140052872 A KR20140052872 A KR 20140052872A KR 101561941 B1 KR101561941 B1 KR 10156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electric vehicle
session key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환
류준우
김현웅
정욱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to KR102014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장치{RECHARGEABLE DEVICE}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 차량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EV : Electronic Vehicle)에는 EV 배터리가 설치되며, 배터리 제어 시스템으로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설치된다.
현재, 녹색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서 전기 차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전기 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 진행 단계에 불과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물론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합되는 충전 시스템이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에는 발전기 제어 신호와 발전기 상태 신호를 동일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충전 서비스를 달성하는 구체적인 실현 수단, 예를 들어 통신 방식의 호환성 해소 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의 통신 방식 또는 전원부의 통신 방식과 상관없이 전기 차량의 충전 요청을 전원부로 전달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다양한 전기 차량과 통신할 수 있는 제1 모듈 및 다양한 전원부와 통신할 수 있는 제2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종류에 상관없이 전기 차량과 전원부가 서로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대의 전원부로 복수의 전기 차량을 충전하거나, 복수의 전원부가 연합하여 고용량의 전력을 전기 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다른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에서 생성되는 세션 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충전 장치는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이 전원부(90)에 연결되면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과의 통신을 통해 제1 정보 ①을 획득하거나, 전기 차량(80)에 제1 정보 ①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정보 ①에는 전기 차량(80)이 충전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요청하는 요청 정보, 전기 차량(80)이 충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90)에 명령하는 명령 상태 정보, 제1 모듈(110)로부터 전기 차량(80)으로 제공되는 각종 오류 정보 또는 정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다양한 통신 라인을 이용해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모듈(110)은 유선 통신 또는 RFID, 블루투스, 와이파이, CDMA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차량(80)은 충전을 위해 전력이 제공되는 전력 라인을 통해 전원부(9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이때의 전력 라인을 이용해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점선은 전력 라인을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차량(80)에 연결된 전력 라인을 이용해 통신하기 위해 제1 모듈(110) 또는 제2 모듈(120)은 전력 라인 또는 전원부(9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전원부(90)에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이 설치된 경우가 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모듈(110)은 전력 라인을 통해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다. 해당 전력 라인을 통신 라인으로 이용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라인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력 라인이 전기 차량(80)에 연결된 상태를 바로 인지할 수 있다. 전력 라인이 전기 차량(80)에 연결된 상태는 곧 충전을 요구한 상태로 추정되므로, 제1 모듈(110)은 전력 라인이 전기 차량(80)에 연결된 신호로 전기 차량(80)의 충전 요청을 갈음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가 전력 라인 또는 전원부(90)에 마련되므로,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르면 유지 보수가 불편하고, 각종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등이 어려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다른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서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은 전원부(90) 및 전력 라인과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유지 보수와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위 관리실 등에 제1 모듈(110)과 제2 모듈(120)을 설치할 수 있다.
반면, 별도의 유선 통신 라인 또는 무선 통신 라인이 마련되어야 하고, 전기 차량(80)에서 전력 라인에 연결된 것을 인지하고, 제1 모듈(110)을 향해 충전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와 도 3의 실시예는 장점과 단점이 각각 존재하므로, 사업 정책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와 같이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이 전원부(90)에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전원부(90)는 상용 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거나, 상용 전력을 전기 차량에 맞게 조절하는 충전기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제2 모듈(120)은 전기 차량(80)을 충전시키는 전원부(90)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모듈(120)은 전원부(90)로 제3 정보 ③을 송신하거나, 전원부(90)로부터 제3 정보 ③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제3 정보 ③에는 전원부(90)로 하여금 전력을 공급하도록 명령하는 명령 상태 정보 또는 전원부(90)로부터 전기 차량(80)을 향해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기 차량(80)이 직접 전원부(90)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볼 수 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전기 차량(80)의 제작사마다 다양한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전원부(9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기 차량(80)에서 생성된 제1 정보 ①이 그대로 전원부(90)로 제공되면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해 전원부(90)는 제1 정보 ①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전원부(90)에서 생성된 제3 정보 ③이 그대로 전기 차량(80)으로 제공되면, 전기 차량(80)은 제3 정보 ③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전원부(90)에 다양한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복수의 전기 차량(80)이 함께 연결되거나, 고용량의 전력을 전기 차량(80)으로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복수의 전원부(90)가 함께 연결되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모듈(120)은 제2 정보를 전원부(90)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보는 전기 차량(80)이 갖는 제1 프로토콜의 다양성으로 인해 전원부(90)에서 알기 어려운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제3 정보는 전원부(90)가 갖는 제2 프로토콜의 다양성으로 인해 전기 차량(80)에서 알기 어려운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정보는 제1 모듈(110)과 제2 모듈(120)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으로부터 전송된 제1 정보 ①의 제1 프로토콜을 파악한 후 제2 정보 ②로 변환하고, 제2 정보 ②를 제2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듈(120)은 전원부(90)와 통신함으로써, 전원부(90)가 사용하는 제2 프로토콜을 파악한 후 제1 모듈(110)로부터 전달된 제2 정보 ②를 전원부(90)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 ③으로 변환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에 의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기 차량(80)과 전원부(90)가 별다른 무리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 제1 모듈(110)에는 복수의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프로토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특정 전기 차량과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제1 프로토콜 중에서 특정 전기 차량이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이렇게 파악된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특정 전기 차량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모듈(120)에는 복수이 전원부(90)와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프로토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듈(120)은 특정 전원부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제2 프로토콜 중에서 특정 전원부가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특정 전원부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듈(110)과 제2 모듈(120)은 전기 차량(80)과 전원부(90)의 사이에서 충전 순서를 결정하는 등의 교통 정리에 필요한 사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원부(90)에 복수의 전기 차량(80)이 연결되고, 일시점에서 모든 전기 차량(80)을 충전할 수 없는 경우 전원부(90)는 어떤 전기 차량(80)부터 충전해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전원부(90)의 결정은 무작위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이루어져 할 것이다.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제1 모듈(110)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과 통신이 개시되면,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와,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포함된 세션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세션 키는 제2 정보로서 제2 모듈(1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모듈(120)은 세션 키를 전원부(9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2 프로토콜로 변환시켜 전원부(9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90)는 세션 키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차량이 전원부(90)에 연결된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의 특정 차량의 식별 정보와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부(90)는 일예로 A 차량이 1 순위로 연결되고, B 차량이 2 순위로 연결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선착순 원칙이 마련된 경우라면, 전원부(90)는 1 순위로 연결된 A 차량에 전력을 먼저 제공하고, 그 다음 2 순위로 연결된 B 차량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듈(110)은 세션 키가 생성되면 전기 차량(80)과 전력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정상 메시지를 전기 차량(8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정상 메시지의 응답으로 전기 차량(80)으로부터 충전을 요청 또는 명령하는 명령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차량(80)은 정상 메시지가 수신되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준비 모드로 동작하며, 전력을 제공할 것으로 요청하는 명령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세션 키가 생성되지 않으면, 제1 모듈(110)은 구동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를 전기 차량(8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세션 키가 생성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는 전기 차량(80)과 전력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듈(110)에 세션 키의 생성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LED 등의 표시부가 마련되면, 해당 표시부(미도시)를 확인함으로써 전기 차량(80)과 전력 라인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차량(80)이 전원부(90)에 함께 연결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1 모듈(110)에는 특정 전기 차량의 세션 키가 다른 전기 차량(80)과 구별되어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세션 키가 제1 모듈(110)에서 생성되었다고 해서 바로 해당 전기 차량(8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몇가지 절차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때의 절차가 진행되는 중에 다른 전기 차량(80)이 연결되면 제1 모듈(110)은 새롭게 연결된 전기 차량(80)에 대한 세션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시점에서 제1 모듈(110)은 복수의 세션 키를 처리해야 한다.
이때, 처리 중인 세션 키가 삭제되는 등의 문제는 위 저장부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에 저장된 세션 키는 저장부의 용량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 특정 전기 차량과 제1 모듈(110)의 통신이 종료되면 소거될 수 있다. 전기 차량(80)과 제1 모듈(110)의 통신은 해당 전기 차량(80)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후에 종료된다. 결과적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세션 키는 특정 전기 차량에 대한 충전이 모두 완료되면 소거되는 셈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세션 키는 제2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에서 생성되는 세션 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세션 키에는 키 정보 ⓐ, 명령 상태 정보 ⓑ, 메시지 시각 ⓒ, 세션 정보 ⓓ 및 차징 정보 ⓔ가 포함될 수 있다.
키 정보 ⓐ는 제1 모듈(110)에서 생성된 고유값으로 특정 세션 키를 다른 세션 키와 구별하는데 이용하는 식별자일 수 있다. 키 정보 ⓐ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만, 해당 전기 차량(80)과 관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예로, 키 정보 ⓐ는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와, 전기 차량(80)과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합쳐진 데이터가 해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해쉬 처리된 데이터는 그 값이 대체로 원문보다 길고, 원문이 고유한 경우 해쉬 처리된 값 역시 고유하다. 따라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키 정보 ⓐ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다만, 해쉬 처리된 데이터는 원래대로 복구될 수 없으므로, 세션 키에는 식별 정보와 세션 키가 별도로 파싱되는 것이 좋다.
명령 상태 정보 ⓑ는 전기 차량(80)에서 요청한 명령 타입(type)일 수 있다. 전기 차량(80)은 세션 키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경우 제1 모듈(110)로부터 정상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전기 차량(80)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필요한 다양한 절차를 취할 수 있다. 이때의 각 절차가 진행되는 중이면, 명령 상태 정보에는 충전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위 절차가 모두 완료되면, 명령 상태 정보에는 충전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후자의 명령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전원부(90)는 전기 차량(80)을 향해 전력을 공급하게 될 것이다.
메시지 시각 ⓒ는 전기 차량(80)과 통신이 개시된 시각일 수 있다. 이때의 메시지 시각을 이용해서 전원부(90)는 충전 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
세션 정보 ⓓ는 앞에서 설명된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식별자)일 수 있다. 각 전기 차량(80)에는 다른 전기 차량(80)과 구별 가능한 식별자가 부여되는데 세션 정보에는 이러한 식별자가 파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각 전기 차량(80)에 마련된 충전 소켓의 세션 번호 또는 제품 번호가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로서 세션 정보 ⓓ에 파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션 정보 ⓓ에는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전기 차량의 세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차량 간 세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세션 정보 ⓓ에는 전원부(90)의 식별 정보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전원부의 세션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원부 간 세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 뿐만 아니라, 전원부(90)의 식별 정보도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차징 정보 ⓔ는 전기 차량(80)의 충전량일 수 있다. 차징 정보는 현재 전기 차량(80)에 충전된 충전량일 수 있다. 전원부(90)는 차징 정보를 통해 전기 차량(80)으로 제공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30%만큼 충전된 A 차량이 전원부(9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가득 채워달라고 요청한 경우를 가정하자. 배터리의 수명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만충 상태는 충전 가능한 총 용량의 80%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요청은 배터리를 80%만큼 채워달라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전원부(90)는 차징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A 차량의 충전량이 80%가 된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A 차량의 충전량이 80%가 되면 A 차량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2 정보 ②로 세션 키를 이용하는 충전 장치의 동작은 다음의 도 5와 같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부(90)에 마련된 전력 라인에 연결되면 전기 차량(80)은 충전을 요청한다. 이 시점의 충전 요청은 통신을 개시할 것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충전 요청은 제1 모듈(110)에서 수신되며, 제1 모듈(110)은 충전 요청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전기 차량(80)이 사용하는 제1 프로토콜을 파악할 수 있다.
그 다음, 전기 차량(80)과 통신이 개시된 제1 모듈(110)은 충전 요청에 포함된 전기 차량(80)의 식별 정보 및 별도로 마련된 시계 등으로부터 획득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세션 키에는 키 정보 ⓐ, 메시지 시각 ⓒ 및 세션 정보 ⓓ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복수의 전기 차량(80)과 통신할 것을 대비하여, 저장부에 해당 세션 키가 저장될 공간 또는 풀(pool)을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션 키의 생성과 저장 공간의 할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으로 정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정상 메시지는 세션 키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기 차량(80)이 전력 라인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정상 메시지를 수신한 전기 차량(80)에서는 정상 메시지의 응답으로 명령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으로부터 명령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위 세션 키에 명령 상태 정보 ⓑ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키 정보 ⓐ, 명령 상태 정보 ⓑ, 메시지 시각 ⓒ 및 세션 정보 ⓓ가 파싱된 세션 키를 저장부의 할당 공간에 저장하고, 제2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의 전달은 세션 키를 직접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세션 키가 저장되었음을 알리고 저장된 할당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모듈(120)은 저장부로부터 세션 키를 로딩할 수 있다.
세션 키를 획득한 제2 모듈(120)은 세션 키 전체 또는 세션 키에 포함된 명령 상태 정보 ⓑ를 전원부(9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전원부(9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원부(90)는 세션 키 또는 명령 상태 정보 ⓑ의 응답으로 전기 차량(8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전원부(90)의 응답 신호는 제2 모듈(120)로부터 제1 모듈(11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전기 차량(80)이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위 응답 신호를 변환하고, 전기 차량(8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전원부(90)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전기 차량(80)은 전력을 제공받을 준비를 완료한 후 충전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래디(ready) 신호를 제1 모듈(110), 제2 모듈(120)을 거쳐 전원부(9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래디 신호가 수신된 전원부(90)는 해당 전기 차량(80)이 연결된 전력 라인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의 공급이 시작되면, 전기 차량(80)은 제1 모듈(110)로 차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수신된 차징 정보 ⓔ를 세션 키에 파싱할 수 있다. 차징 정보 ⓔ는 설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션 키는 차징 정보 ⓔ에 변경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해당 세션 키는 제2 모듈(120)을 거쳐 전원부(90)로 제공되고, 전원부(90)는 세션 키에 포함된 차징 정보 ⓔ에 따라 충전 중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 후 차징 정보 ⓔ가 세션 키에 파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차징 정보 ⓔ는 차량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에 식별 정보와 함께 전기 차량으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전기 차량 90...전원부
110...제1 모듈 120...제2 모듈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전기 차량은 전력 라인을 통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력 라인 또는 상기 전원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력 라인을 통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전기 차량의 식별 정보와 상기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포함된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세션 키가 생성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상기 전력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정상 메시지를 상기 전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정상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충전을 요청하는 명령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 장치.
  4.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전기 차량의 식별 정보와 상기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포함된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정보로서 상기 세션 키를 상기 제2 모듈로 전송하는 충전 장치.
  5.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전기 차량의 식별 정보와 상기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포함된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듈에는 특정 전기 차량의 상기 세션 키가 다른 전기 차량과 구별되어 저장되는 저장부가 마련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특정 전기 차량과 상기 제1 모듈의 통신이 종료되면 소거되는 충전 장치.
  6.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제2 정보에 해당하는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세션 키에는 키 정보, 명령 상태 정보, 메시지 시각, 세션 정보 및 차징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키 정보는 상기 제1 모듈에서 생성된 고유값으로 상기 세션 키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 상태 정보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요청한 명령 타입(type)을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시각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된 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전기 차량의 세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원부의 세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차징 정보는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량인 충전 장치.
  7.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키 정보, 메시지 시각 및 세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세션 키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상기 전기 차량으로 정상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정상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명령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키에 상기 명령 상태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세션 키를 상기 제2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세션 키 또는 상기 세션 키에 포함된 상기 명령 상태 정보를 상기 전원부로 전송하며,
    상기 세션 키 또는 상기 명령 상태 정보의 응답으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기 차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
  8.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제2 정보에 해당하는 세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세션 키에는 상기 세션 키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키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키 정보는 상기 전기 차량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이 개시된 시각 정보가 합쳐진 데이터가 해쉬 처리된 것인 충전 장치.
  9. 전기 차량이 전원부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는 전원부와 통신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전원부에서 인식 가능한 제3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미지의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약속된 프로토콜로 작성된 것이며,
    상기 제1 모듈에는 복수의 상기 전기 차량과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프로토콜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모듈은 특정 전기 차량과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상기 제1 프로토콜 중에서 상기 특정 전기 차량이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파악하고, 파악된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전기 차량과 통신하며,
    상기 제2 모듈에는 복수의 상기 전원부와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프로토콜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모듈은 특정 전원부와의 통신이 개시되면, 복수의 상기 제2 프로토콜 중에서 상기 특정 전원부가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파악하고, 파악된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전원부와 통신하는 충전 장치.
KR1020140052872A 2014-04-30 2014-04-30 충전 장치 KR10156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72A KR101561941B1 (ko) 2014-04-30 2014-04-30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72A KR101561941B1 (ko) 2014-04-30 2014-04-30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941B1 true KR101561941B1 (ko) 2015-10-20

Family

ID=5440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72A KR101561941B1 (ko) 2014-04-30 2014-04-30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37B1 (ko) 2016-04-12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37B1 (ko) 2016-04-12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2915B (zh) 无线电池管理装置和包括该装置的电池组
JP6568955B2 (ja) Idの割り当てのため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セル構成の認識システム
KR102041839B1 (ko) 완속충전 기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102101909B1 (ko) 배터리의 id 할당 장치 및 방법
US10183586B1 (en) Mixed-level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and associated charging methods for multi-type electric vehicles and non-electric vehicle devices
US201403105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CN112565483B (zh) 一种电池管理系统及地址分配、掉线重连的方法
EP3691078A1 (en) A method for connecting a battery powered device to a server via a battery module powering the device and related device
KR20230088638A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WO2017118286A1 (zh) 运用云端架构以物联网为基础的电池能源分配管理系统
WO2019097115A1 (en)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currents
KR101795237B1 (ko) 전기차의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6344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lying power through grouping of charging module for electric vehicle
KR101561941B1 (ko) 충전 장치
TW201338338A (zh) 直流充電系統之多方通訊控制系統及其充電流程
EP3587171A1 (en) Method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electric carrier system
CN108960354B (zh) 电池箱位置确定方法、电池仓、电池箱及电池管理主系统
CN110970954B (zh) 充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JP2021087138A (ja) 車載中継装置、プログラム及び中継方法
KR20140058306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그리고 이를 제어하는 무선통신단말
CN105607515B (zh) 一种电动助力车智能升级方法
KR101471617B1 (ko)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방법, 충전 서버 및 충전 시스템
KR20180007457A (ko) 그리드형 전기차 충전기 및 그의 충전 방법
CN110970948A (zh) 充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KR20170072474A (ko) Id 할당을 위한 배터리 모듈 구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