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294B1 - 사고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사고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294B1
KR102338294B1 KR1020190159071A KR20190159071A KR102338294B1 KR 102338294 B1 KR102338294 B1 KR 102338294B1 KR 1020190159071 A KR1020190159071 A KR 1020190159071A KR 20190159071 A KR20190159071 A KR 20190159071A KR 102338294 B1 KR102338294 B1 KR 10233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accident
vibration
occurre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358A (ko
Inventor
안소영
Original Assignee
안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소영 filed Critical 안소영
Priority to KR102019015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2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되는 사고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수신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외부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진동 정보로부터 획득한 진동 특성에 기초하여 낙상에 의해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사고 방지 장치{ACCIDEN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사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낙상 사고를 방지하는 사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사고 방지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혼자 있는 상황에서 낙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에는 대처가 어려우며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그러한 사고의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혼자 있는 상황에서 낙상 외에도 질환이나 기타 신체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혼자 있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공개번호 제 10-2019-0119879호, 낙상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기저장된 생활 정보를 이용하여 낙상 등의 사고 발생을 결정하는 사고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사고 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수신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외부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진동 정보로부터 획득한 진동 특성에 기초하여 낙상에 의해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생활 정보 및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된 경우 동작을 시작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가 동작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경우 깜박이는 광을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저장된 생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시점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기간, 외출 기간 및 수면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활동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할 것을 스피커에 요청하고, 상기 외출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경찰서 측에 상기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수면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소방서 측에 상기 알림을 출력한다.
또한, 사고 방지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고 방지 장치는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출력 없이 상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생활 소음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활동 기간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현관문이 열리고 닫힐 때 발생하는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여 현재 상기 외출 기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수면 시 발생하는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여 현재 상기 수면 기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기간인지 불확실한 경우,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설정 시간 동안 상기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현재 외출 기간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는 상기 기저장된 생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면 시간 외의 시간대에 출력된다.
본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근본적인 개념들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에 대해서만 참조되었으나, 모든 본 발명의 측면들 내에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더 나아가 실시예들을 물론 또한 포괄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쉽게 명백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장치 및 시스템들은 사고 방지 장치에 대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부수하는 청구항들 내에서뿐만 아니라 하기 내에서 논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수신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외부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진동 정보로부터 획득한 진동 특성에 기초하여 낙상에 의해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된 경우 동작을 시작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가 동작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경우 깜박이는 광을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사고 방지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고 방지 장치는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출력 없이 상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사고 방지 장치는 기저장된 생활 정보를 이용하여 낙상 사고의 발생을 결정해서 낙상 사고 발생시에 알림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해서 낙상 사고에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사고 방지 장치의 서비스 개략도이다.
도 2는 사고 방지 장치의 시스템도이다.
도 3은 사고 방지 장치의 서비스도이다.
도 4는 가속도 및 소음 FFT 순서도이다.
도 5는 사고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고 방지 장치의 서비스 개략도이다.
사고 방지 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홀몸 노인의 낙상 사고를 추정하고, 낙상 사고 발생시 협력 업체에 낙상 사고 발생을 알려 협력 업체의 자체 인력이 현장에 방문한다. 사고 방지 장치는 일정 기간 내 생활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사고 방지 장치는 벽체에 설치되어 실내 진동을 감지하고, 특정 주파수 대의 낙상 사고로 추정되는 진동 주파수가 감지되는 경우 낙상 사고 발생을 협력 업체에 알린다. 협력 업체의 자체 인력이 낙상 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방문해서 홀몸 노인을 돌봄으로써 홀몸 노인이 겪을 수 있는 낙상 사고에 대체한다.
사고 방지 장치의 디바이스(10)는 협력 업체의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서 홀몸 노인의 낙상 사고를 알린다. 서버(20)가 디바이스(2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홀몸 노인의 낙상 사고를 인지하고, 협력 업체의 자체 인력이 낙상 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출동하도록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위치 정보가 디바이스(10)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디바이스(10)가 낙상 사고 발생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서버(20)로 전송한다.
도 2는 사고 방지 장치의 시스템도이다.
사고 방지 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낙상 사고의 발생 여부를 서버(20)로 알리는 디바이스(10)와 디바이스(10)로부터 낙상 사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여 낙상 사고에 대처하는 서버(2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진동 센서로부터 진동 정보를 획득하고, 진동 정보를 분석해서 낙상 사고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낙상 사고의 발생시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서(11)를 가진다. 프로세서(11)는 진동 정보에서 낙상 사고로 추정되는 진동 특성을 감지하면 낙상 사고 발생을 결정하고,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바이스(10)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전 사고 발생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디바이스(10)가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스피커(14)가 사고 발생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해서 홀몸 노인이 스피커(14)의 소리 신호를 듣고 이에 반응해서 낙상이 아님을 알린다. 디바이스(10)는 홀몸 노인의 반응에 따라 낙상이 아님을 결정하고 알림 메시지를 서버(20)로 전송하지 않는다. 낙상으로 추정될 때 낙상이 아님을 확인함으로써 추정된 낙상 사고 발생으로 인해 협력 업체의 자체 인력이 출동하지 않아도 된다.
서버(20)는 키보드를 통해 관리자 명령을 수신하고, 서버(20)의 프로세서는 관리자 명령을 처리하여 관리자 모드를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부는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디바이스(1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는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서버(20)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임베디드 장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기본 구성 요소로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용 OS를 구비하고, OS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서버(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장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동작 환경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통합 개발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통합 개발 환경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되는 컴퓨팅 환경에 따라 웹, 모바일 앱, 윈도우 앱으로 구분되고, 앱 종류에 맞게 웹 프로그래밍, 모바일 프로그래밍, 윈도우 프로그래밍으로 나누어진다.
서버(20)에 사용되는 웹 프로그래밍은 태그 정의로 이루어진 html과 문서 형식 정의 css가 결합되어 웹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웹 프레임워크에서 클라이언트단의 프런트 엔드와 서버 측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되는 백 엔드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거대한 웹 환경을 만든다. 웹 환경은 서버(20)가 동작하는 주요 무대이며, 서버는 모바일 앱, 콘솔 앱 및 윈도우 앱과 웹 환경에서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사고 방지 장치의 서비스도이다.
사고 방지 장치는 낙상 사고를 감지하는 디바이스(10), 낙상 사고에 대처하는 서버(20), 낙상 사고 현장에 출동하는 에이전트(3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기저장된 생활 정보에서 진동 발생 시점을 기초로 활동 기간, 외출 기간, 수면 기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서버(20)는 디바이스(1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에이전트(30)에 낙상 사고 현장에 출동할 것을 명령한다. 에이전트(30)는 서버(20)의 요청에 따라 낙상 사고 현장에 출동한다.
디바이스(10)는 활동 기간에서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면 사고 발생을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14)로 출력한다. 디바이스(10)가 활동 기간에서 낙상 사고로 추정되는 진동을 센싱하면 사고 발생을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14)로 출력해서 홀몸 노인의 반응을 대기하고, 홀몸 노인의 반응이 있으면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디바이스(10)는 외출 기간에서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센싱하면 경찰서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홀몸 노인의 외출 기간에는 실내에 진동이 감지되지 않아야 하는데 외출 기간에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면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디바이스(10)가 경찰서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디바이스(10)는 수면 기간에서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센싱하면 소방서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홀몸 노인의 수면 기간에는 실내에 진동이 감지되지 않아야 하는데 수면 기간에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면 홀몸 노인의 수면 기간 중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디바이스(10)가 소방서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디바이스(10)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임베디드 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기본 구성 요소로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용 OS를 구비하고, OS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디바이스(1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의 프로세서는 제어부로 동작하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는 표시부로 동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구조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장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동작 환경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통합 개발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 4는 가속도 및 소음 FFT 순서도이다.
가속도 및 소음 FFT 순서도는 디바이스(10)가 진동으로부터 진동 주파수를 계산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디바이스(10)는 가속도 및 소음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개수가 초과하면 가속도 및 소음 데이터 배열로 변환하고, X축 Y축 가속도 및 소음 데이터 FFT 처리를 수행하고, X축 Y축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주파수 변환 그래프를 출력한다.
도 5는 사고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사고 방지 장치는 낙상 사고 유무를 결정하는 프로세서(11); 버튼 눌림을 처리하는 버튼(12); 카메라(16) 동작을 알리는 발광 디바이스(13);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5);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1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가 낙상 사고로 결정하면 카메라(16)가 동작하고, 발광 디바이스(13)는 깜박이는 광으로 카메라(16)의 동작을 알린다.
프로세서(11)가 낙상 사고의 발생을 결정하고 알림 메시지를 서버(20)로 출력하기 전 사고 발생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14)로 출력한다. 스피커(14)가 소리 신호를 출력해서 홀몸 노인이 반응해서 버튼(12)을 누르면 프로세서(11)가 알림 메시지를 서버(20)로 출력하지 않는다.
스피커(14)가 소리 신호를 출력하면 버튼(12)이 활성화되어 홀몸 노인의 버튼 누름을 감지한다. 프로세서(11)는 버튼(12)이 눌리면 낙상 사고가 아님을 결정하고 알림 메시지를 서버(20)로 전송할 것을 중단한다.
스피커(14)가 소리 신호를 출력하고, 프로세서(11)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버튼(12) 눌림이 입력되면 알림 메시지의 출력 없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스피커(14)가 소리 신호를 출력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버튼(12)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1)는 외부의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1)가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전에 스피커(14)로 소리 신호를 출력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버튼(12) 입력이 인가되는지를 결정한다. 버튼(12) 입력이 인가되면 프로세서(11)는 서버(20)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1)는 생활 소음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활동 기간에서 생활 소음의 지속 여부를 결정한다. 활동 기간 중에 발생되는 생활 소음이 모니터링되어 활동 기간에서 외출 기간 또는 수면 기간으로 전환된다. 프로세서(11)는 외출 기간 또는 수면 기간에서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여 외출 기간 또는 수면 기간에서의 상세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가 외출 기간에서 현관문 개폐에 따라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해서 홀몸 노인이 외출한 것인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1)는 현관문이 열리고 닫힐 때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여 외출 기간인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1)는 현관문 개폐에 따라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해서 홀몸 노인이 외출한 것인지 결정한다.
프로세서(11)는 현관문 개폐에 따른 특수한 진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현관문 개폐에 따른 특수한 진동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11)는 현관문 개폐에 따른 특수한 진동이 모니터링된 이후 발생하는 진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외출 상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수면 중 특수한 진동(예: 코골이에 의한 진동, 뒤척임에 의한 진동, 수면 중 숨소리에 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여 수면 기간인지를 결정한다. 기저장된 생활 정보 중에서 수면 시간에 해당될 때 프로세서(11)가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해서 홀몸 노인이 수면 상태인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1)가 홀몸 노인이 수면 상태인지를 결정할 때 사용자가 수면 중 특수한 진동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수면 상태 결정에 이용한다.
프로세서(11)가 현재 어떤 기간인지 불확실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설정 기간 후에도 응답이 없으면 외출 기간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11)는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기저장된 생활 정보에 기초하여 수면 시간 외의 시간대에 출력한다. 프로세서(11)가 문의 메시지를 수면 시간 외의 시간대에 출력해서 홀몸 노인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다. 문의 메시지가 홀몸 노인이 수면 중에도 발생하면 홀몸 노인의 수면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1)는 문의 메시지를 홀몸 노인의 수면 기간에는 출력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1)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프로세서(11)는 1차적으로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1차적으로 출력된 광 신호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는 2차적으로 사고 발생을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2차적으로 출력된 소리 신호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이 없는 경우, 현재 시점이 어떤 기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서 소방서, 경찰서, 지인 중 어느 하나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는 현재 시점이 사용자의 활동 기간인 경우에는 지인의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공공 기관에 직접 연락하지 않고도 현재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현재 시점이 사용자의 외출 기간인 경우에는 예상하지 못한 외부인에 의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므로 경찰서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현재 시점이 사용자의 수면 기간인 경우에는 신체적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므로 소방서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현재 시점이 수면 기간과 외출 기간이 겹치는 기간인 경우, 경찰서와 소방서로 모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여 모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바이스
11: 프로세서
12: 버튼
13: 발광 디바이스
14: 스피커
15: 가속도 센서
16: 카메라
20: 서버
30: 에이전트

Claims (6)

  1. 진동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수신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외부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진동 정보로부터 획득한 진동 특성에 기초하여 낙상에 의해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에서 소리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의 출력 없이 상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소리 신호가 출력된 후 기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기간에 기초하여 지인의 단말, 경찰서 측 또는 경찰서 측 및 소방서 측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고,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기간은 활동 기간, 외출 기간 및 수면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생활 정보 및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저장된 생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시점에 따른 사용자의 상기 활동 기간, 상기 외출 기간 및 상기 수면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활동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문의하는 소리 신호를 출력할 것을 스피커에 요청하고,
    상기 외출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경찰서 측에 상기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수면 기간 동안 기설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센싱되는 경우, 소방서 측에 상기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저장된 생활 정보 및 특수 진동에 기초하여 각 시점 및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기간을 상기 활동 기간, 상기 외출 기간 또는 상기 수면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기간이 불확실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출력하고, 기설정 시간 이상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기간을 상기 외출 기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수 진동은 현관문 개폐, 수면 중 코골이, 뒤척임 및 숨소리에 따라 발생되는 특수한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된 경우 동작을 시작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가 동작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는 경우 깜박이는 광을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사고 방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상기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사고 방지 장치.
  6. 삭제
KR1020190159071A 2019-12-03 2019-12-03 사고 방지 장치 KR10233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71A KR102338294B1 (ko) 2019-12-03 2019-12-03 사고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71A KR102338294B1 (ko) 2019-12-03 2019-12-03 사고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58A KR20210069358A (ko) 2021-06-11
KR102338294B1 true KR102338294B1 (ko) 2021-12-10

Family

ID=7637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071A KR102338294B1 (ko) 2019-12-03 2019-12-03 사고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2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81B1 (ko) * 2018-08-09 2019-08-28 (주)골드닥 대상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로봇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028B1 (ko) * 2007-11-26 2010-06-10 이정대 사고 알림 장치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9001B1 (ko) * 2008-12-30 2011-09-30 유넷웨어(주)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KR102478383B1 (ko) 2018-04-13 2022-1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낙상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81B1 (ko) * 2018-08-09 2019-08-28 (주)골드닥 대상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로봇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358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5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aping and bullying
US10803720B2 (en) Intelligent smoke sensor with audio-video verification
US10210746B2 (en) Portable securit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home security system monitoring service
JP6067836B2 (ja) 監視システム
US20050255826A1 (en) Cellular telephone based surveillance system
JP5902966B2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US11373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detection of vaping, smoking, or potential bullying
WO2017117674A1 (en) Intelligent smoke sensor with audio-video verification
KR102338294B1 (ko) 사고 방지 장치
JP200918868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通報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セキュリィティ装置
WO2021205621A1 (ja) 騒音監視装置、騒音監視方法
JP6594110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04920A (ko)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JP7357457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火災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54029A (ko) 화재 알림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알림 감지 시스템과, 화재 알림 감지 방법
KR20210057332A (ko) 스마트미러기반의 레이더 및 생체정보,음성을 이용한 헬스 케어모니터링 시스템
JP2003308581A (ja) 防災無線システム
JP2006293993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監視方法
US20230039101A1 (en) System and methodology that facilitates an alarm with a dynamic alert and mitigation response
KR20100000583A (ko) 비상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2083956A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US2023037030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agating a primary alert of a monitoring system or device
US2020009823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environmental awareness to a user
JP2007148797A (ja) 避難支援装置および避難支援方法
JP2021018536A (ja) 情報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