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920A -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920A
KR20210004920A KR1020200180683A KR20200180683A KR20210004920A KR 20210004920 A KR20210004920 A KR 20210004920A KR 1020200180683 A KR1020200180683 A KR 1020200180683A KR 20200180683 A KR20200180683 A KR 20200180683A KR 20210004920 A KR20210004920 A KR 2021000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detection program
protected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오투씨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투씨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투씨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920A/ko
Publication of KR2021000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920A/ko
Priority to KR1020230001659A priority patent/KR20230012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통신망 접속 가능 정보기기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노인 또는 장애인 등 피보호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자의 정상적인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판단하고, 장시간 잠금해제가 수행되지 않으면 이를 이상(異常)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등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의 기본 기능만을 활용하여 피보호자의 안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SAFETY CHECK SERVICE METHOD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통신망 접속 가능 정보기기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노인 또는 장애인 등 피보호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자의 정상적인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판단하고, 장시간 잠금해제가 수행되지 않으면 이를 이상(異常)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 등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전통적 가족 형태가 점차 해체되고 핵가족 또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 또는 장애인 등 자유로운 거동에 제약이 있는 계층에 대한 일상적 보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노령 인구의 급증에 따라 고령층에 대한 일상 생활 환경에서의 안전 및 안부 확인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동통신 등 통신 기술의 발달 및 관련 기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연령 및 계층을 막론하고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통신망 접속 가능 휴대형 정보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고령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 취약층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 역시 확대되고 있다.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의 스마트기기 즉, 통신망 접속 가능 휴대형 정보기기는 정보의 처리 속도 및 용량 등 성능에 있어서 통상의 탁상용 컴퓨터에 필적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상황으로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 및 보급과 더불어 관련 서비스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바, 상대적으로 외부 활동에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는 고령자 또는 장애인의 대외 소통 및 여가활동에 있어서 이미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실상 필수품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 취약층의 통신 접근성 및 활용도는 과거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 할 수 있으며, 피비호자인 고령자 또는 장애인을 보호하는 자녀 또는 가족 등의 보호자 입장에서는 피보호자와의 통신 자체에 있어서는 그 제약이 상당 수준 완화되었을 뿐 아니라, 상시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기기의 특성상 통신 편의성 역시 향상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자 또는 장애인 등 거동 취약층의 경우 사고 또는 급성 질환으로 인한 위험 요소가 상존할 뿐 아니라, 보호자가 동거하지 않는 경우 위험 상황에 대처는 물론 위험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즉각적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거동 취약층의 통신 편의성 및 접근성 제고만으로는 충분한 보호 및 안부 확인에 있어서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피보호자인 거동 취약층의 주거 공간에 CCTV 카메라 또는 각종 감지기 등을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수집된 영상정보 및 감지정보를 보호자 또는 소방서 등의 안전 관리 기관이 원격지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097235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허 제1097235호를 비롯한 종래의 영상기반 또는 센서기반 안부 확인 기술은 피보호자의 주거 공간에 카메라를 비롯한 다양한 감지 기기를 설치하여야 할 뿐 아니라, 이들 감기 기기를 통신망과 연결하여야 하는 바, 막대한 초기 설치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피보호자 입장에서는 상시 감시된다는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대용량 정보인 영상정보 및 감지정보의 통신망 점유로 인하여 기존 통신망의 용량 확충 또는 통신망 신설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집된 영상정보 및 감지정보의 송수신 및 처리 과정에서의 유출이 발생될 위험이 상존하며, 이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노출이 야기되어 회복하기 어려운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
이에, 피보호자의 거동 자체를 감시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피보호자의 주거 공간에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의 사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안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015631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 작동 감시형 안부 확인 기술을 통하여, 피보호자의 부담감 및 사생활 침해 우려는 상당 수준 경감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전제품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보호자 또는 유관 기관으로 전송하는 전용 기기의 설치가 불가피한 바, 이 역시 상당한 초기 설치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가전제품은 사용자에 따라 그 사용 양태가 극적으로 변동되는 특성을 가지는 바, 단순히 가전제품의 가동 여부만으로는 사용자의 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질 뿐 아니라, 통신 기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통신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양방향 통신 기능이 미비하므로, 별도의 통신로를 개설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그 자체가 양방향 통신 기기일 뿐 아니라, 다양한 감지 수단이 장착되어 있음은 물론, 자체적으로 고도의 정보처리가 가능한 휴대형 정보처리 통신 기기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부 확인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11640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116405호를 비롯한 종래의 스마트폰 기반 안부 확인 기술은 스마트폰 사용자인 피보호자가 스마트폰을 상시 소지한다는 상황을 전제로 수립된 것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활용하여 피보호자의 거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을 소지한 피보호자가 거동하면 스마트폰에 장착된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스마트폰에 탑재된 감지 프로그램이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한 후, 해당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이 접속된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보호자에게 관련 정보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폰 장착 센서 기반 안부 확인 기술은 스마트폰에 자체 장착된 센서를 활용하고, 통신 기기인 스마트폰의 통신망 접속 기능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시스템 구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폰 탑재 센서의 상시 가동 상태를 유지하여야 할 뿐 아니라, 서비스를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과 센서의 연결 및 정보 수발 상태 역시 상시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의 상시 가동 및 응용프로그램의 상시 활성화에 따른 전력 및 전산자원 소모가 불가피하며, 이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전원 및 성능 관리에 상당한 애로점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특히, 피보호자의 거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전술한 위치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위치 센서는 주로 GPS 기반 센서로서 미미한 위치 변화에 대해서는 유효한 감지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GPS 신호의 수신이 제한되는 실내 공간에서는 사실상 그 유효성이 전무한 바, 노인 또는 장애인 등 피보호자가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점을 감안할 때, 사실상 위치 센서는 안부 확인 서비스에 있어서 적용이 불가능한 센서라 할 수 있다.
한편,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는 미세한 동작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로서 일견 피보호자의 거동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으나, 실제 상황에서는 과민한 감도로 인하여 피보호자의 거동 여부를 파악함에 있어서 상당한 오류가 수반될 수 밖에 없다.
즉, 사용자인 피보호자의 실제 사용에 따른 이동이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 및 이동에 모두 반응할 뿐 아니라, 피보호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되어도 피보호자의 미세한 움직임 조차 정상적인 거동으로 오판하는 것이다.
이렇듯, 종래의 스마트폰 장착 센서 기반 안부 확인 기술은 스마트폰의 전원 및 성능상 봉착되는 심각한 문제점은 차치하더라도, 피보호자의 능동적 거동 여부를 파악함에 있어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스마트폰의 기본적 기능을 활용하되 스마트폰의 전원 및 성능 관리상 부담을 경감하고, 피보호자의 능동적 거동 여부를 실질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안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된 각종 센서의 활성화는 물론 이들과 연결된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완전히 배제하는 조건에서도 서비스의 운용이 가능하고, 외부 요인에 의한 이동이 아닌 피보호자의 능동적 거동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함과 동시에, 실내 공간 등 위치 파악이 곤란한 환경에서도 피보호자의 안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안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에는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를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 갱신 수록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경과후 검출프로그램이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서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검출프로그램이 통신망을 통하여 경보신호를 보호자단말(20)로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에는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피보호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리서버(30)에는 시간정보, 식별정보 및 수신처정보가 수록되는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며,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와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30)가 전송된 시간정보 및 식별정보를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경과후 관리서버(30)가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서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관리서버(30)가 당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처정보를 인출하여 수신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폰 등 스마트기기의 기본 기능만을 활용하여 피보호자의 안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센서 등 자체 감지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에 대한 피보호자의 능동적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바, 위치 정보 획득이 불가능한 실내 공간에서도 정확한 작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외부 요인에 의한 오판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장착 센서 및 연관 응용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불필요하므로 스마트폰의 전원 및 성능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스마트폰 운영체계의 기본적 기능만을 활용하여 구현이 가능한 바, 별도의 하드웨어는 물론 복잡한 대용량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저사양 스마트폰에서도 본 발명의 무리 없는 수행이 가능하고, 서비스 수행으로 인한 스마트폰의 전산자원 잠식 역시 극히 미미한 바, 일체의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수행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피보호단말의 잠금해제 방식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형 실시예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도 4 실시예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각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 하드웨어로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통신망 접속 가능 정보기기 즉,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과, 역시 스마트기기인 보호자단말(20)이 구성되며, 이들 피보호단말(10) 및 보호자단말(20)은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은 노인 또는 장애인 등 거동 취약층인 피보호자가 직접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피보호단말(10)과, 이들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단말(2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보호자는 자신의 보호자단말(20)로 피보호자의 안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신망이란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 및 보호자단말(20)이 연결 내지 접속되는 통신망을 망라하는 것으로, 음성통화 및 단문메시지 서비스가 제공되는 전통적인 이동통신망은 물론, TCP/IP 기반 무선랜이 모두 포함되며, 휴대형 정보기기인 피보호단말(10) 및 보호자단말(20)의 특성상 통신망을 통한 정보 전달은 기본적으로 무선망을 경유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이 수행됨에 있어서 피보호단말(10) 및 보호자단말(20)이 통신망에 상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는데, 여기서 상시 접속 상태란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상태 및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에 있어서의 통신로(session) 개설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경보신호의 송출 또는 피보호단말(10)과 서버간의 간헐적 정보 전송시에만 접속 상태가 성립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보호단말(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이며, 따라서 터치스크린의 활성화 상태를 조절하는 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이 필수적으로 부여된다.
즉, 본 발명의 피보호단말(10)에는 터치스크린의 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이 부여될 필요가 있는데,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장치로서 적용되는 통상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는 필수 기능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이 탑재되는 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하여 피보호단말(10)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에 별도의 기능 또는 기기를 추가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피보호단말(10)에는 후술할 잠금해제 시간의 검출 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는데, 검출프로그램은 피보호단말(10)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이나, 피보호단말(10) 운영체계의 모듈 내지 부프로그램 또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즉, 피보호단말(10)의 사용자로서 고령자 등 거동 취약자인 피보호자가 자신의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을 사용하기 위하여 잠금 상태인 피보호단말(10)을 조작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검출프로그램이 이를 감지하여 당(當) 시점(時點)의 시각(時刻)을 시간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시간정보의 검출은 피보호단말(10)에 장착되어 피보호단말(10) 운영체계와 연결된 RTC(Real Time Clock)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직접 독출(讀出, read) 하거나, 운영체계가 독출한 시간정보를 검출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의 터치스크린 잠금해제 방식으로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터치스크린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방법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잠금해제의 수행을 당해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능동적 거동으로 전제하고 이를 활용하여 피보호자인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안부를 확인함에 주안점이 두어진 것인 바, 잠금해제 방식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이렇듯,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가 수행된 시점(時點)의 시간정보 검출이 완료되면,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를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 갱신 수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시간정보의 갱신 수록이란 기억장치에 기 수록된 시간정보를 최종적으로 신규 검출된 시간정보로 갱신하는 오버라이트(overwrite) 방식의 저장으로서, 이로써 본 발명 수행에 따른 기억장치 용량 등 전산자원의 잠식을 극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을 수행하는 검출프로그램의 메모리 점유를 축소하고 처리속도를 가속할 수 있다.
이렇듯 시간정보의 검출 및 갱신 수록이 반복되는 조건에서, 단위시간 경과후 검출프로그램이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서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검출프로그램이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서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처리가 상기 단위시간을 주기(週期)로 반복 수행되는 것으로, 이때 반복 처리의 주기인 단위시간은 검출프로그램의 작성자는 물론 본 발명 서비스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검출프로그램이 통신망을 통하여 경보신호를 보호자단말(20)로 송출하는 단계를 통하여, 피보호단말(10)에서 일정 시간 이상 잠금해제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이를 이상(異常)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호자단말(20)로 경보신호가 전달되는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보호자의 능동적 동작 여부가 충분히 반영된 안부 확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인 노인 또는 장애인 등 거동 취약층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는 시간차의 기준은 사용자의 특성 또는 시간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데, 예컨데 피보호단말(10)의 사용 가능성이 낮은 야간 시간대에는 시간차의 기준을 연장하고, 주간 시간대에는 시간차의 기준을 단축하는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서버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서버형 실시예를 통하여, 제반 정보의 수록 및 처리를 원격지의 대용량 관리서버(30)에 위임할 수 있으므로, 일층 세밀하고 정확한 안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피보호단말(10)의 전산자원 소모는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보호자의 이상 상황 발생시 보호자 뿐 아니라 구조 기관 및 의료 기관 등 유관 기관으로의 동시 상황 전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서버형 실시예는 도 4에서와 같이,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과 보호자단말(20)이 구성됨은 물론, 피보호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원격지의 관리서버(30)가 구성된다.
또한, 피보호단말(10)에는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되, 검출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와 연결되며, 관리서버(30)에는 시간정보, 식별정보 및 수신처정보가 수록되는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된다.
여기서 관리서버(30)와 안부데이터베이스(31)의 연결이란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에 관리서버(30)와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구축되어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상태 뿐 아니라, 관리서버(30)의 기억장치에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구축되어 서버프로그램인 관리서버(30)와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되는 정보에 있어서 식별정보란 각각의 피보호단말(10)에 부여되는 고유의 자타 식별용 정보로서, 각 피보호단말(10)에 ID 형식으로 부여되는 정보를 활용하거나 피보호단말(10)이 스마트폰인 경우 해당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식별정보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서버형 실시예가 다수의 보호자 및 피보호자를 가입자로 유지하여 피보호자의 안부관련 정보를 보호자 및 전술한 유관 기관에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수행되는 상황을 상정한 것으로, 이 경우 관리서버(30) 및 안부데이터베이스(31)의 운용 주체는 안부 확인을 독립적 서비스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업체가 될 수 있음은 물론, 통신사 또는 행정 기관이 서비스 제공 주체가 되어, 통신 가입자에 대한 부가 서비스 또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로 본 발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버형 실시예는 도 5에서와 같이,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즉, 피보호자가 피보호단말(10)을 조작하여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면 검출프로그램이 이를 감지하여 당(當) 시점(時點)의 시각(時刻)을 시간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시간정보 검출 방식은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와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30)가 전송된 시간정보 및 식별정보를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하는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이어서, 단위시간 경과후 관리서버(30)가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서 식별정보 및 최근 수록된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인출된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시간차 산출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는 피보호단말(10)이 아닌 관리서버(30)에서 수행되는 바, 피보호단말(10)의 전산자원 잠식을 극소화할 수 있다.
이후,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관리서버(30)가 당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처정보를 인출하여 수신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수신처정보란 경보신호를 수신할 보호자 및 유관 기관을 특정하는 정보로서, 사전 설정된 보호자의 보호자단말(20) 뿐 아니라, 구조 기관 또는 의료 기관 등 유관 기관으로의 신속한 상황 전파가 가능하게 된다.
10 : 피보호단말
20 : 보호자단말
30 : 관리서버
31 : 안부데이터베이스

Claims (2)

  1.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에는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를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 갱신 수록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경과후 검출프로그램이 피보호단말(10)의 기억장치에서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검출프로그램이 통신망을 통하여 경보신호를 보호자단말(20)로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2.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결된 정보기기로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수단으로 장착된 스마트기기인 피보호단말(10)에는 검출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피보호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리서버(30)에는 시간정보, 식별정보 및 수신처정보가 수록되는 안부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며;
    피보호단말(10)의 잠금해제 기능이 수행되어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면 피보호단말(10)의 운영체계로부터 검출프로그램이 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프로그램이 검출된 시간정보와 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30)가 전송된 시간정보 및 식별정보를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하는 단계와;
    단위시간 경과후 관리서버(30)가 안부데이터베이스(31)에서 식별정보 및 시간정보를 인출하고 당 시점(時點)의 시간과 시간정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시간차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 관리서버(30)가 당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처정보를 인출하여 수신처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KR1020200180683A 2020-12-22 2020-12-22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KR20210004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3A KR20210004920A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KR1020230001659A KR20230012086A (ko) 2020-12-22 2023-01-05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3A KR20210004920A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659A Division KR20230012086A (ko) 2020-12-22 2023-01-05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920A true KR20210004920A (ko) 2021-01-13

Family

ID=741424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83A KR20210004920A (ko) 2020-12-22 2020-12-22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KR1020230001659A KR20230012086A (ko) 2020-12-22 2023-01-05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659A KR20230012086A (ko) 2020-12-22 2023-01-05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49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351B1 (ko) 2022-05-19 2022-12-05 주식회사 데이터유니버스 스마트폰을 통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351B1 (ko) 2022-05-19 2022-12-05 주식회사 데이터유니버스 스마트폰을 통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086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4883B1 (en) Identifying persons of interest using mobile device information
US10909792B2 (en) Scalable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
CN103680083B (zh) 事件通知
JP6091842B2 (ja) 居住者見守り装置、居住者見守りプログラム及び居住者の見守り方法
JP6266184B1 (ja) 監視システム
CN110363961A (zh) 一种用户家中摔倒监测报警方法、装置、介质及终端设备
KR101329306B1 (ko) 독거노인 응급 안전 관리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4954352A (zh) 安全系统访问检测
KR101998064B1 (ko)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2305535B1 (ko) 알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157110A (zh) 用于加强的隐私、资源和警报管理的系统和方法
US20170295481A1 (en) Auto-Generate Emergency Voice Call Based on Sensor Response and Pre-Entered Data
KR101431627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가정보안방법
KR20230012086A (ko)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WO2006011162A1 (en)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technology and/or internet
JP3887597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US20140277609A1 (en) Monitoring removal of an automation control panel
Handler et al. Security and privacy issues in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a case study
KR100343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방법
KR20020012079A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이를 이용한 웹영상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JP201052709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保安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2333929A (ja) データセンタシステム
JP2006331402A (ja) オンライン・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20210115752A (ko) 화재수신기를 위한 중계기가 통합된 월패드
KR200225066Y1 (ko) 유동 아이피주소를 갖는 감시현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