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62B1 -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862B1
KR102337862B1 KR1020200060812A KR20200060812A KR102337862B1 KR 102337862 B1 KR102337862 B1 KR 102337862B1 KR 1020200060812 A KR1020200060812 A KR 1020200060812A KR 20200060812 A KR20200060812 A KR 20200060812A KR 102337862 B1 KR102337862 B1 KR 10233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ube
support
awning
support plat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470A (ko
Inventor
모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문
Priority to KR102020006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4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roller tub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blind to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C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대향배치되는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사이의 하부 위치에 체결되며 타측에는 벽체에 설치된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배치되고, 차양막(230)이 권취되는 롤러튜브(220)의 둘레가 내부홈(141)에 삽입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되어 내부홈(141)에 삽입된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받침리브(142)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SUPPORTER FOR ROLLER TUBE OF AWNING SYSTEM}
본 발명은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막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롤러튜브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롤러튜브의 둘레에 권취되는 차양막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마찰에 의한 박음질 라인이 훼손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롤러튜브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롤러튜브용 지지구가 어닝시스템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종래의 롤러튜브용 지지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롤러튜브용 지지구는, 차양막(10)이 감겨지는 롤러튜브(1)를 지지하도록 그 롤러튜브(1)의 중간부가 안착되며 롤러튜브(1)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그 롤러튜브(1)를 지지하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지지구(110)와, 차양막(10)이 감겨지는 롤러튜브(1)를 지지하도록 그 롤러튜브(1)의 중간부가 안착되며 롤러튜브(1)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그 롤러튜브(1)를 지지하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구(110)와 마주보게 설치된 제2지지구(120) 및, 외벽에 설치된 가로대(2)에 고정되고 제1,2지지구(110,120)가 그 양측벽에 고정되는 지지몸체(130)를 포함하며, 제1,2지지구(110,120)는 그 외주연에 복수의 제1,2롤러(112,122)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었다.
따라서, 롤러튜브(1)가 회전하면 제1,2롤러(112,122)가 롤러튜브(1)의 둘레를 사방에서 가압하면서 함께 회전하여 차양막(10)이 롤러튜브(1)에 밀착된 상태로 권취되도록 하거나 권취된 차양막(10)이 고르게 펼쳐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이상의 롤러(112,122)가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소음이 크게 발생하며, 각 롤러(112,122)가 차양막(10)의 권취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차양막(1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화현상으로 차양막(10)의 색상이 변색되거나 표면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러튜브용 지지구의 양측에서 접철동작하는 가변암(6)의 속도보다 각 롤러(112,122)에 면접촉되는 차양막(10)이 펼쳐지는 속도가 늦어 차양막(10)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대형 어닝시스템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개별막(231)을 폭방향의 양단이 상호 겹쳐지도록 박음질하여 하나의 차양막(230)을 형성하는데, 이 경우 각 개별막(231)이 겹쳐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견고하며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롤러튜브용 지지구를 배치하여 차양막(230)이 롤러튜브(1)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와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된 각 롤러(11,122)와 박음질 라인(232)이 접촉되면서 박음실이 마모되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639호(2013.08.20), 어닝 장치의 개량형 센터 서포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자 형상으로 이루진 지지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된 받침리브가 기존의 제1,2롤러를 대신하여 롤러튜브의 둘레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튜브에 권취된 차양막이 고르게 펼쳐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고, 열화현상으로 인해 차양막이 변색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튜브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플레이트가 롤러튜브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두 받침리브 사이에 차양막의 박음질 라인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박음질 라인이 접촉되면서 훼손되어 차양막이 쉽게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롤러튜브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는, 각각 C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대향배치되는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사이의 하부 위치에 체결되며 타측에는 벽체에 설치된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배치되고, 차양막(230)이 권취되는 롤러튜브(220)의 둘레가 내부홈(141)에 삽입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되어 내부홈(141)에 삽입된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받침리브(142)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은 복수 개의 개별막(231)으로 이루어지되 각 개별막(231)은 폭방향의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박음질되어 하나의 차양막(23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두 받침리브(142) 사이에 차양막(230)의 박음질 라인(232)이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개구된 양단이 라운드지게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각 측면플레이트(110,12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받침리브(142)의 표면에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4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가 회전하여 차양막(2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흡진재(144)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140) 내부에 배치되되 지지플레이트(140)의 형상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차양막(230)을 통해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플레이트(140)보다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에 의하면,
첫째, 각각 C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는 제1측면플레이트(110) 및 제2측면플레이트(120)는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대향배치되고, 고정프레임(130)은 일측이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사이의 하부 위치에 체결되며 타측이 벽체에 설치된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140)는 차양막(230)이 권취되는 롤러튜브(220)의 둘레가 내부홈(141)에 삽입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되어 내부홈(141)에 삽입된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받침리브(142)가 형성된 것과 같이, C자 형상으로 이루진 지지플레이트(140)의 폭방향 양측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된 받침리브(142)가 기존의 제1,2롤러(112,122)를 대신하여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이 고르게 펼쳐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고, 열화현상에 의해 차양막(230)이 변색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은 복수 개의 개별막(231)으로 이루어지되 각 개별막(231)은 폭방향의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박음질되어 하나의 차양막(23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두 받침리브(142) 사이에 차양막(230)의 박음질 라인(232)이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박음질 라인(232)이 받침리브(142)와 접촉되면서 훼손되어 차양막이 쉽게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개구된 양단이 라운드지게 만곡되어 롤러튜브(220)로부터 권출되는 차양막(230)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굴절되거나 펼쳐진 차양막(230)이 롤러튜브(220)에 굴절되면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각 측면플레이트(110,12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받침리브(142)의 표면에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43)이 형성됨으로써, 차양막(230)과 받침리브(142)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양막(230)의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내부에는 흡진재(144)가 배치되어 롤러튜브(220)가 회전하면서 차양막(2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어닝시스템 내부에 정숙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가 어닝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복수 개의 개별막이 폭방향으로 박음질되어 하나의 차양막을 형성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가 어닝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구성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가 차양막을 지지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내부에 흡진재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튜브용 지지구(100)는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이 고르게 펼쳐지거나 감겨지도록 가이드하며, 열화현상으로 인해 차양막(230)이 변색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지구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플레이트(110), 제2측면플레이트(120), 고정프레임(130) 및 지지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 및 제2측면플레이트(120)은 지지플레이트(140)가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22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각각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대향배치된다.
여기서, 각 측면플레이트(110,120)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1지지구(110) 및 제2지지구(120)가 연이어 연결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부품(제1지지구 및 제2지지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튜브(220)의 고하중에 변형없이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과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어닝시스템의 가로대(210)와 각 측면플레이트(110,120)을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사이의 하부 위치에 체결되며 타측에는 벽체에 설치된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상기와 같이 각 측면플레이트(110,120)과 분리 및 조립되는 개별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플레이트(110,12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모두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각 측면플레이트(110,120)과의 조립시 두 측면플레이트(110,120)를 가로 지르도록 삽입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홈(131)에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된 후 고정홈(131)의 개구된 부분에 가로대(210)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1롤러(112) 및 제2롤러(122)를 대신하여 롤러튜브(2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배치되고, 차양막(230)이 권취되는 롤러튜브(220)의 둘레가 내부홈(141)에 삽입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되어 내부홈(141)에 삽입된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받침리브(1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고정프레임(130)와 마찬가지로 각 측면플레이트(110,120)과의 조립시 두 측면플레이트(110,120)를 가로 지르도록 삽입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튜브(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플레이트(140)의 개구된 상하측 양단 중 상측 단부에 차양막(230)의 상면이 지지되면서 롤러튜브(220)의 둘레에 차양막(230)이 권취되고, 롤러튜브(2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플레이트(140)의 개구된 상하측 양단 중 하측 단부에 차양막(230)의 저면이 지지되면서 전방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개구된 양단이 라운드지게 만곡되어 롤러튜브(220)로부터 권출되는 차양막(230)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굴절되거나 펼쳐진 차양막(230)이 롤러튜브(220)에 굴절되면서 권취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측면플레이트(110), 제2측면플레이트(120), 고정프레임(130) 및 지지플레이트(140)의 조합된 구성으로 인해, C자 형상으로 이루진 지지플레이트(140)의 폭방향 양측에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된 받침리브(142)가 기존의 제1,2롤러(112,122)를 대신하여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이 고르게 펼쳐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고, 열화현상에 의해 차양막(230)이 변색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1,2롤러(112,122)와 비교하여 차양막(230)과 접촉되는 영역이 대폭 감소되어 접철동작하는 가변암(240)의 속도보다 차양막(230)이 펼쳐지는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양막(230)에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은 복수 개의 개별막(231)으로 이루어지되 각 개별막(231)은 폭방향의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박음질되어 하나의 차양막(23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두 받침리브(142) 사이에 차양막(230)의 박음질 라인(232)이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박음질 라인(232)이 받침리브(142)와 접촉되면서 훼손되어 차양막이 쉽게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받침리브(142)는 두 개별막(231)이 중첩되는 부위에 각각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차양막(230) 중 내구성이 가장 견고하고 쉽게 늘어나지 않는 부위에 접촉되면서 차양막(230)의 권취 및 권출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과 달리 두 개별막(231)이 중첩되는 부위의 양측단이 각각 박음질되는 경우 두 박음질 라인의 내측 위치에 두 받침리브(142)가 배치되어 박음실이 받침리브(142)와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박음실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각 측면플레이트(110,12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43)이 형성됨으로써, 차양막(230)과 받침리브(142)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양막(230)의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지지플레이트(140)의 전체표면에 코팅층(143)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양막(230)과 직접 접촉하는 받침리브(142)부분에만 코팅층(143)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표면에 코팅층(143)을 형성하는 방식 이외에 지지플레이트(140) 자체를 테프론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0)의 내부에는 흡진재(144)가 배치되어 롤러튜브(220)가 회전하면서 차양막(2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어닝시스템 내부에 정숙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흡진재(144)로 고무, 실리콘, 스펀지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기 위해 합성수지를 베이스로 제조되는 경우 과중한 차양막(230)의 하중에 의해 C자 형상이 벌어지거나 뒤틀려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0)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재(150)는, 지지플레이트(140)의 형상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차양막(230)을 통해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4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플레이트(140)보다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40)의 몸체 부분과 받침리브(142) 부분에 각각 별도의 보강재(150)가 내장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플레이트(140)의 몸체부분과 받침리브(142) 부분을 연하여 일체로 형성된 보강재(150)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재(150)로는 금속재질이나 강화플라스틱과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110...제1측면플레이트 120...제2측면플레이트
130...고정프레임 131...고정홈
140...지지플레이트 141...내부홈
142...받침리브 143...코팅층
144...흡진재 210...가로대
220...롤러튜브 230...차양막
231...개별막 232...박음질 라인

Claims (5)

  1. 각각 C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대향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110)와 제2측면플레이트(120) 사이의 하부 위치에 체결되며 타측에는 벽체에 설치된 가로대(210)의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30); 및
    상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측면플레이트(110,1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배치되고, 차양막(230)이 권취되는 롤러튜브(220)의 둘레가 내부홈(141)에 삽입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소폭으로 길게 돌출되어 내부홈(141)에 삽입된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받침리브(142)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40);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튜브(220)에 권취된 차양막(230)은 복수 개의 개별막(231)으로 이루어지되 각 개별막(231)은 폭방향의 양단이 상호 겹쳐져 박음질되어 하나의 차양막(23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두 받침리브(142) 사이에 차양막(230)의 박음질 라인(232)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개구된 양단이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각 측면플레이트(110,12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받침리브(142)의 표면에 테프론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4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40)는, 롤러튜브(220)가 회전하여 차양막(230)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는 흡진재(144)가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0812A 2019-09-19 2020-05-21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KR10233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12A KR102337862B1 (ko) 2019-09-19 2020-05-21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44 2019-09-19
KR1020200060812A KR102337862B1 (ko) 2019-09-19 2020-05-21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44 Division 2019-09-19 2019-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470A KR20210034470A (ko) 2021-03-30
KR102337862B1 true KR102337862B1 (ko) 2021-12-10

Family

ID=7526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12A KR102337862B1 (ko) 2019-09-19 2020-05-21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76Y1 (ko) * 2008-12-17 2009-06-19 정금필 어닝 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39Y1 (ko) * 2011-05-04 2013-08-30 (주)두현 어닝 장치의 개량형 센터 서포트
KR101889781B1 (ko) * 2016-12-28 2018-08-20 아시모리코리아(주) 차량의 배리어네트 지지용 스테이기구
KR20190108322A (ko) * 2018-03-14 2019-09-24 전성호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976Y1 (ko) * 2008-12-17 2009-06-19 정금필 어닝 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470A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654B2 (en) Softbox
JP3163685U (ja) ブラインドシステム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AU2014208656B2 (en)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JP6549093B2 (ja) 建築物開口部の巻き上げ式の覆い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9879476B2 (en) Cordless curtain
US64021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flexible sheet material to a support structure
US6237667B1 (en) Roller shade tube with extension wing
US6923236B2 (en) Sector curtain
KR102337862B1 (ko) 어닝시스템의 롤러튜브용 지지구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CA2993107C (en) Folding sun-shading device
JPH05239977A (ja) ワイヤーピアススクリーン装置
TWM254982U (en) Roman shades blinds cloth with adjustable length and Roman shades blinds using the same
KR200440937Y1 (ko) 롤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설치구조
WO2007132147A1 (en) Fabric sail
WO2023011052A1 (zh) 投影装置和投影屏幕
JP3225599U (ja) テントフレームとテント用幕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テント
US20060289121A1 (en) Curtain with a light adjusting structure
JP6514554B2 (ja) ガイドレール、ロールスクリーン、ロール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及び日射遮蔽システム。
EP2767665A1 (en) Closure arrangement
JP3762718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110004507U (ko) 블라인드 시스템
JP2013020057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160060500A (ko) 창문용 블라인드 타입 보온 단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