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583B1 -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583B1
KR102337583B1 KR1020150052067A KR20150052067A KR102337583B1 KR 102337583 B1 KR102337583 B1 KR 102337583B1 KR 1020150052067 A KR1020150052067 A KR 1020150052067A KR 20150052067 A KR20150052067 A KR 20150052067A KR 102337583 B1 KR102337583 B1 KR 10233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arth leakage
sensitive
function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353A (ko
Inventor
양영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5005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5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 H02H3/16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for three-phase system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ELCB: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도 전류 선택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의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는, 영상변류기, 상기 영상변류기에서 발생되는 기전 신호를 인가받아 감도 전류를 선택하는 감도 전류 선택부,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 IC 및 상기 전용 IC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을 포함하되,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는,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 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ELCB HAVING FUNCTION OF SELECTIVE EARTH LEAKAGE BREAKING}
본 발명은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ELCB: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도 전류 선택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의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 장치(ELCB)는 저압 전로에 있어 감전사고나 화재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상 사용된다. 근래에는 사회적인 안전 의식의 향상 등에 따른 감전 재해에 대한 의식 고조와, 법적 설치 의무 장소 증가 등의 이유에 의해 그 사용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는 3상 전류 균형의 붕괴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110), 영상변류기(11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감도 전류를 선택하는 감도 전류 선택부(120), 감도 전류 선택부(120)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 IC(130), 전용 IC(130)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코일(15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리스터(Thyristor, 140) 및 사이리스터(140)의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회로(160) 등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누전 발생 시 영상변류기(110)를 통해 각 상의 전류 균형 붕괴가 감지되면 2차 권선에 기전력이 발생되며, 전용 IC(130)는 감도 전류 선택부(120)를 통해 이러한 기전력을 인가받아 증폭시킨 다음 설정된 감도 선택 기준치와의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교의 결과, 입력된 값이 설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용 IC(130)는 이에 대응되는 신호의 출력을 통해 사이리스터(140)를 활성화 시키게 되고, 활성화 된 사이리스터(140)는 트립코일(150)로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기구부(미도시)를 물리적으로 동작시켜 누전 차단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는 부하 장치의 누전 전류뿐만 아니라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을 모두 누전으로 인식하여 선로를 차단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라인의 정지가 과도하게 발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누전 차단 장치는 부하 장치의 성능 테스트 및 이를 위한 잦은 ON/OFF 등의 과정에 발생되는 기동 전류 또는 불평형 전류 등을 모두 누전으로 인식하고 그때마다 선로를 차단시킬 수밖에 없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누전 상황이 아님에도 누전으로 인식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작업 라인의 정지가 수시로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나 작업 생산성 등이 저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도 전류 선택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의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는, 영상변류기, 상기 영상변류기에서 발생되는 기전 신호를 인가받아 감도 전류를 선택하는 감도 전류 선택부,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 IC 및 상기 전용 IC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을 포함하되,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는,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감도 전류 인식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은,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 내에 구비되는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의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에 대응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는,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감도 전류 인식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는,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감도 전류에 대한 인식은 불가능하고, 제2 임계값 보다 큰 감도 전류에 대한 인식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임계값은 기동 전류 및 불평형 전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지락 전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제품의 성능 테스트 과정 등과 같이 부하 장치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는 감도 전류 선택부의 설정 조작을 통해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작업 라인의 가동 중단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의 향상 및 생산성 향상 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경제적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는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효과의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단일의 누전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 상황 등과 같은 불안정 모드 및 테스트 완료 이후 완제품 상태의 안정 모드에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추가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도 제공할 있다.
도 1은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 가능한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는, 영상변류기(210), 감도 전류 선택부(220), 전용 IC(230), 사이리스터(240), 트립코일(250) 및 전원회로(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감도 전류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제어 등에 대응되도록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의 선택적 활성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도 전류 선택부(220) 내에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을 구비하도록 하였음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변류기(210)로부터 누설 전류가 감지되면 감도 전류 선택부(220), 전용 IC(230), 사이리스터(240) 및 트립코일(250) 등의 순차적 동작에 의해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은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와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는 경우, 다시 말해,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을 활성화 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 장치는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과 같은 작은 누설 전류에는 반응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변류기(210)는 입력되는 3상 전류의 균형 붕괴 감지를 통해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회로에 인가되는 왕복 전류의 왕로전류와 귀로전류의 차에 의해 누설 전류를 감지하고, 누설 전류의 유기 전압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도 전류 선택부(220)는 누전 차단 장치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목적 등에 부응하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반응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가령 고감도(15, 30㎃), 중감도(100, 200, 500, 1000㎃) 또는 저감도(3, 5, 10, 20A)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누전 차단 장치가 가정용 설비에 구비되는 것인지 아니면 산업용 설비에 구비되는 것인지 등의 설치 장소와, 감전 방지용인지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방지용인지 등의 목적에 따라 그에 적합한 용량의 저항 등을 이용해 구성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은 고감도 또는 중감도의 누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용 부하 장치의 감전 방지용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 장치에 구비되는 감도 전류 선택부(22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은 감도 전류 선택부(220)에 구비되는 모든 저항의 합이 0에 수렴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크기(용량)를 갖는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도 전류 선택부(220)를 통과하는 신호의 전압이 0에 수렴(V=I×R)되도록 기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상변류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작은 크기의 누설 전류에 대응되는 기전력을 식별 불가한 값으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은 감도 전류 선택부(220) 내에 병렬 연결된 각각의 저항에 대해, 그 전체 합의 크기가 0에 가까운 작은 값으로 수렴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갖는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감도 전류 선택부(220)가 30㎃ 내지 500㎃의 전류 검출을 위해 3개의 저항(100Ω, 250Ω, 500Ω)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병렬 연결된 이들 저항의 총 크기(R)는, [1/R = 1/R1 + 1/R2 + 1/R3]의 공식을 통해 계산하면 62.5Ω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가령 0.1Ω의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이들 3개의 저항들과 병렬 연결되도록 추가 구비되는 경우, 4개 저항에 의해 구성되는 총 저항의 크기는 약 0.1Ω 수준으로 감소되며, 이에 따라 감도 전류 선택부(220)를 통과하는 신호의 전압 역시 크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구비되는 경우 감도 전류 선택부(220)가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과 같은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에 대해 반응하지 않도록 동작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저항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들이 모두 예시일 뿐이며, 해당 누전 차단 장치의 설치 장소와 설치 목적 등에 따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용량의 저항 소자가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때,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 등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을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토글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부(미도시) 등에 연결됨으로써 조작부의 스위칭 동작 등에 대응하여 활성화/비활성화의 상태 설정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선택을 위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을 감도 전류 선택부(220)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감도 전류 선택부(22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활성화, 탈착된 상태에서는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토글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를 외부에 구비하고,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이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조작 등의 동작에 의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활성화/비활성화가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선택적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상의 어떠한 기술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 장치에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테스트 작동 중인 부하 장치 등의 연결에 의해 작업 라인의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과 같은 미세 전류에 의한 유사 누전 상황에서는 누전 차단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도 수십 A 수준의 실제 지락 전류가 발생된다면 감도 전류 선택부(220)와 전용 IC(230)에 의해 검출 가능한 수준의 전압이 생성되기 때문에, 누전 차단 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주변 설비들에 대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활성화로 인해 감도 전류 선택부(220) 내의 전체 저항값의 합이 0에 가까운 작은 값이 되었다 하더라도, 지락 전류와 같은 수십 A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감도 전류 선택부(220)의 출력값은 유의미한 수준에 이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단의 구성요소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누전 차단 기능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테스트 작동의 완료 등으로 인해 부하 장치의 안정화가 이루어졌을 경우, 스위치 전환 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비활성화를 통한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의 활성화에 의해, 상기의 누전 차단 장치가 정상적인,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로 기능하도록 전환이 가능함은 전술한 바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는, 제품의 테스트 과정 등과 같이 부하 장치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는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의 비활성화를 통해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작업 라인의 가동 중단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의 누전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 상황 등과 같은 불안정 모드 및 완제품 상태의 안정 모드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2가지 모드에 각각 적용 가능한 별도의 누전 차단용 장치를 구성하는 등에 소요되는 제조 비용의 추가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감도 전류 선택부(220)의 후단에 연결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전용 IC(230)는 감도 전류 선택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누전 발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활성화 되는 경우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에 의해 반응하여 감도 전류 선택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은 0에 가까운 아주 작은 값이기 때문에, 전용 IC(230)에 의해 누전 발생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용 IC(230)에 의해 기준값 초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동작하게 되는 후단의 사이리스터(240) 및 트립코일(250) 등의 구성요소들 역시,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는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다. 단, 수십 A 수준의 실제 지락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감도 전류 선택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유의미한 수준의 크기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전용 IC(230), 사이리스터(240) 및 트립코일(250) 등이 차례로 작동함으로써 회로를 차단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사이리스터(240)에 의해 작동 신호를 인가받은 트립코일(250)이 기구부(미도시)를 물리적으로 동작시켜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에서와 동일하다.
아울러, 전류 인식 불가 저항(225)의 비활성화에 의해 감도 전류 선택부(220)의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 감도 전류 선택부(220)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용 IC(230), 사이리스터(240) 및 트립코일(250) 등이 통상의 누전 차단 장치에서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이에 따라 지락 전류 뿐만 아니라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이상 전류에 대해서도 누전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게 됨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설명되지 않은 전원회로(260)는, 사이리스터(240)의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 적용 가능한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은, 영상 변류 단계(S310), 트립 신호 출력 단계(S340) 및 누전 차단 기능 수행 단계(S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은, 영상 변류 단계(S31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S320)하고, 이 결과에 따라 작동 방식이 결정되도록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은, 테스트 작동 중인 부하 장치 등의 연결에 의해 작업 라인의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이상 전류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의 비활성화 모드가 설정(S320)되는 경우, 지락 전류와 같이 수십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수준의 누전이 발생되는 상황(S325)이 아니면 누전 차단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대신, 테스트 작동 등의 완료로 인해 부하 장치의 안정화가 이루어졌을 경우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을 활성화(S320)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누설 전류가 기준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S330)한 후 이에 대응되도록 트립 신호 출력(S340) 및 이에 따른 누전 차단 기능 수행(S350) 등의 정상적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감도 전류 선택 기능의 활성화, 비활성화가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의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에 대응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은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은 착탈 구조 또는 토글 스위치 등을 이용한 스위칭 구조 등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의 기능이 손쉽게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누전 차단 방법은, 부하 장치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는 작은 수준의 감도 전류를 누전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작업 라인의 가동 중단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의 향상과 이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결과적으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210: 영상변류기 120, 220: 감도 전류 선택부
130, 230: 전용 IC 140, 240: 사이리스터
150, 250: 트립코일 160, 260: 전원회로
225: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

Claims (5)

  1. 영상변류기;
    상기 영상변류기에서 발생되는 기전 신호를 인가받아 감도 전류를 선택하는 감도 전류 선택부;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 IC;
    상기 전용 IC의 출력 신호에 대응되도록 트립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리스터(Thyristor); 및
    상기 사이리스터의 입출력과 연결되어 작업 라인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원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는,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감도 전류 인식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은,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 내에 구비되는 감도 전류 인식 불가 저항의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에 대응되어 이루어지며,
    부하 장치의 테스트 작동에 대응되는 상기 작업 라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상기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기동 전류나 불평형 전류와 같은 이상 전류에 대해서 상기 트립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상기 부하 장치의 테스트 완료에 대응되는 상기 작업 라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상기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누설 전류와 같은 이상 전류에 대해서 상기 트립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의 감도 전류 인식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동작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전류 선택부는, 감도 전류 인식 기능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감도 전류에 대한 인식은 불가능하고, 제2 임계값 보다 큰 감도 전류에 대한 인식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기동 전류 및 불평형 전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지락 전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KR1020150052067A 2015-04-13 2015-04-13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KR10233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67A KR102337583B1 (ko) 2015-04-13 2015-04-13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67A KR102337583B1 (ko) 2015-04-13 2015-04-13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53A KR20160122353A (ko) 2016-10-24
KR102337583B1 true KR102337583B1 (ko) 2021-12-09

Family

ID=5725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67A KR102337583B1 (ko) 2015-04-13 2015-04-13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921B1 (ko) 1998-07-07 2001-01-15 이종수 누전차단 점검장치 및 방법
KR100825851B1 (ko) 2006-02-15 2008-04-29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100974782B1 (ko) 2004-03-01 2010-08-06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101396945B1 (ko) 2010-10-05 2014-05-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952Y1 (ko) * 1998-06-23 2000-10-02 이종수 누전차단기의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921B1 (ko) 1998-07-07 2001-01-15 이종수 누전차단 점검장치 및 방법
KR100974782B1 (ko) 2004-03-01 2010-08-06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100825851B1 (ko) 2006-02-15 2008-04-29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KR101396945B1 (ko) 2010-10-05 2014-05-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53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5719B1 (en) Fault current detecting circuit
EP3406011B1 (en) Circuit for breaking alternating current
KR101247208B1 (ko) 누전 차단 장치
CN104111366A (zh) 具有参数配置的交流/直流敏感型剩余电流保护器
CN110011271B (zh) 接地漏电断路器
US20170302085A1 (en) Mitigating an effect of a downstream failure in an automatic transfer switching system
CN103683181A (zh) 配电系统和操作配电系统的方法
CN105098747A (zh) 故障电流限制器
US3614534A (en) Ground-fault-responsive electrical protective systems
KR102337583B1 (ko) 선택적 누전 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 차단 장치
KR100804520B1 (ko)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CN100370567C (zh) 避免压敏电阻失效的装置及方法以及接地故障断路器
KR100804518B1 (ko)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CN108736439B (zh) 一种漏电保护器
US3916261A (en) Ground fault protective system including improved impedance detecting means
KR101291767B1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10032871A (ko) 누전 차단장치
JP20060255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339668B2 (ja) 遮断器
JP2012065459A (ja) 過電流検出装置及び過電流検出方法
KR20180123334A (ko) 전류감시보드
KR101409479B1 (ko)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JP4715537B2 (ja) 漏電遮断器
JP2017022917A (ja) 地絡方向継電装置と地絡方向継電装置システム
CN204992531U (zh) 一种三相四线漏电保护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