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79B1 -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79B1
KR101409479B1 KR1020130067554A KR20130067554A KR101409479B1 KR 101409479 B1 KR101409479 B1 KR 101409479B1 KR 1020130067554 A KR1020130067554 A KR 1020130067554A KR 20130067554 A KR20130067554 A KR 20130067554A KR 101409479 B1 KR101409479 B1 KR 10140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unit
circuit
circuit protection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솔루션 filed Critical (주)프라임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6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8Checking overvoltage di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단락을 감지함으로써 서지 유입횟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는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유입되는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보호부와, 회로보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회로보호부에서 발생된 단락에 의한 회로보호부 내부의 전류 경로의 변화를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Surge protect device having short detection type surge counter}
본 발명은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단락을 감지함으로써 서지 유입횟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는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지란 낙뢰나 스위치 개폐조작, 지락, 단락 등의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일시적인 과전압이나 과전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낙뢰에 의한 서지 및 개폐 조작때 발생되는 서지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지는 전기, 전자 계통의 회로들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임펄스 형태의 서지 전압 또는 서지 전류를 받은 회로들은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서지로부터 각종 전자기기를 보호하고자 서지보호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서지보호장치는 일반적으로 전력의 인입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유입되는 서지를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서지보호장치는 서지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조금식 다른 특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서지 유입 횟수에 따라 동작특성이 변화하는 서지보호소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소자의 동작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다시 말해, 서지보호장치는 서지 유입 횟수에 따라 소자의 특성이 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 횟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원활한 서지보호장치의 사용을 위해서는 제한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정확하게 서지의 유입 횟수를 카운트하여 서지보호장치의 소자를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서지보호장치는 전원 라인상에 포토 커플러 또는 변류기등을 설치하여 서지 유입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는 낮은 서지(3등급 조합파) 수준에서는 안정적인 동작을 하나, 높은 서지(1등급, 2등급)에서는 전자파의 영향에 의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높은 서지에서도 정확하게 서지 유입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유입되는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보호부와, 상기 회로보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상기 회로보호부에서 발생된 단락에 의한 상기 회로보호부 내부의 전류 경로의 변화를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로보호부는 일단이 상기 배전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의 유입시 임피던스가 낮아짐으로써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서지흡수소자와, 상기 서지흡수소자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카운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부를 포함하며, 서지 유입시 상기 카운트부가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단락에 의해 상기 상태확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로보호부는 상기 서지흡수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열화를 감지하여 과열 발생시 전류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열화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로보호부는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며 과도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한하는 복수의 퓨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상태확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서지 유입 횟수 및 서지 유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운트부는 서지 유입 횟수가 지정된 수치에 도달한 경우에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유입되는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며, 일단이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며 과도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한하는 복수의 퓨즈와, 상기 퓨즈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의 유입시 임피던스가 낮아짐으로써 서지 전류의 경로를 접지로 변환시키는 서지흡수소자와, 상기 서지흡수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부를 가지는 회로보호부와, 서지 유입시 상기 회로보호부의 서지흡수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단락에 의해 상기 상태확인부에 연결되는 MCU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의하면, 서지 유입시 회로보호부에 순간적인 단락이 발생되며, 이러한 단락에 의하여 회로상의 MCU가 On/off되는 현상을 감지하여 카운트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서지에서도 정확하게 서지 유입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의하면, 서지 유입시 서지흡수소자에 의한 순간적인 단락으로 인하여 상태확인부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서지에서도 정확하게 서지 유입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의 회로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는 회로보호부(100) 및 카운트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보호부(100)는 퓨즈(110), 서지흡수소자(120), 열화감지부(130) 및 상태확인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카운트부(200)는 카운터(210), 제어부(220), 표시부(230)를 포함하며 경고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는 단상 또는 삼상 전원에 연결되며 복수의 배전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여기에서, 배전선로는 R, S 및 T상을 가지는 3상 전압선(R,S,T)과 중성선(N)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상 전압선(P)과 중성선(N)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이러한 배전선로를 통해 회로로 전달되며, 회로의 입력단에는 회로보호기(10)가 배치된다. 회로보호기(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전류 발생시 트립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보호기(10)의 출력단에서 연장되는 배선선로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을 공급받는 회로 또는 설비 등이 연결되며, 회로 또는 설비들은 회로보호기(10)를 통과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된다. 또한, 회로보호기(10)와 회로 또는 설비 사이의 복수의 배전선로에는 회로보호부(100)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회로보호부(100)는 배전선로의 인입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서지전류의 경로를 변환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로보호부(100)는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지 발생시 서지전류를 회로보호부(100)를 통해 접지로 흘려보냄으로써 회로를 보호한다.
회로보호부(100)의 인입부에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는 퓨즈(110)가 배치되며, 퓨즈(110)는 회로보호부(100)에 과도 전류가 계속 흐를 경우 구성성분중의 하나가 녹아서 끊어짐으로써 이를 제한한다. 각각의 퓨즈(110)에는 서지흡수소자(120)가 연결되며, 서지흡수소자(120)와 퓨즈(110)의 사이에는 서지흡수소자(120)의 열화를 감지하여 서지흡수소자(120)에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에 전류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열화감지부(130)가 배치된다.
열화감지부(130)는 서지흡수소자(120)와 연결된 선로의 전류 및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며, 전류 및 전압의 변화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서지흡수소자(120)의 열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열화가 발생된 경우에 서지흡수소자(120)를 선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서지흡수소자(120)는 서지가 없는 경우에는 회로의 개로 상태와 같은 무한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다가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서지전압에 반응하여 임피던스가 낮은 값으로 급변함으로써 서지전류를 접지로 흘려보낸다.
서지흡수소자(120)에는 서지흡수소자(1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확인부(140)가 연결되며, 서지흡수소자(120)가 이상 상태인 경우에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서지흡수소자(12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확인부(140)에는 MCU(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또는 배터리(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는 MCU(20)는 회로 전체를 제어하는 유닛이기 때문에 단락으로 인해 회로가 불안정해지는 것이 방지되기 위함이다.
MCU(2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제품에 채용되어 전자 제품의 두뇌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에 연결된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한다.
또한, 상태확인부(140)에는 카운트부(200)가 연결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트부(200)는 카운터(210)와, 제어부(220)와, 표시부(230) 및 경고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카운트부(200)는 서지의 유입되는 경우에 회로보호부(100)에 발생된 단락에 의해 상태확인부(1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카운트하고, 사용자에게 서지유입횟수 및 서지보호장치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카운터(210)는 상태확인부(140)에 연결되며, 상태확인부(1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한다. 이러한 카운트 신호는 카운터(210)와 연결된 제어부(220)로 전달되고, 제어부(220)는 전달된 카운트 신호를 저장하고 기록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카운터(210)의 신호를 받아 표시부(230)에 서지가 몇번이나 유입되었는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까지의 서지 유입 횟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표시부(230)에 서지가 유입되고 있다는 표시 신호를 내보냄으로써 사용자는 서지의 유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설정된 카운트수와 현재까지의 서지 유입 횟수를 비교하여 서지 유입 횟수가 지정된 수치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220)에 연결된 경고표시부(240)를 통해 알람 또는 빛을 냄으로써 사용자에게 서지보호장치의 적절한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20)는 상태확인부(140)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태확인부(1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MCU(20)에는 카운트부(200)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카운트부(200)는 MCU(20)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서지유입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지 전류가 유입되어 회로보호부(100)에 의해 단락이 되면 MCU(20)가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MCU(20)에 연결된 카운트부(200)의 카운터(210)가 MCU(20)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전술한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서지보호장치에 유입되는 서지유입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정상 상태의 경우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R, S, T 및 N선을 타고 회로로 인입된다. 회로의 인입부에는 과도전류 차단용 회로보호기(10)가 설치되어 전류를 감지하고 있으며, 회로보호기(10)를 통과한 전류는 회로 또는 설비로 공급되어 회로등을 구동시킨다.
이때, 회로보호기(10)의 출력단과 회로 또는 설비 사이의 배전선로에 연결된 회로보호부(100)의 서지흡수소자(120)는 높은 임피던스 특성을 보이고 있어 전류가 회로보호부(100)로 흐르지 않고 회로등으로 공급되며, 회로보호부(100)의 상태확인부(140)는 서지흡수소자(120)의 상태를 표시한다.
회로보호기(10)의 출력단에서부터 병렬로 연결되어 회로보호부(10)로 인입되는 전류는 회로보호부(10)와 병렬로 연결된 상태확인부(140)에 공급되며, 이때 상태확인부(140)에 연결된 카운트부(200)의 표시부(230)는 서지가 유입되지 않고 있다는 표시를 띄운다.
한편,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유입된 서지 전류에 의하여 회로보호부(100)의 서지흡수소자(120)의 임피던스 특성이 순간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유입된 서지 전류는 회로 또는 설비로 흘러가지 않고 회로보호부(100)를 통하여 접지로 흘러나가게 됨으로써 회로가 보호된다. 이때, 회로보호부(100)의 열화감지부(130)는 서지흡수소자(120)의 열화를 감지하고 열화 발생시 전류를 끊음으로써 서지흡수소자(12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때, 열화감지부(130)의 동작을 보면, 열화감지부(130)에는 서지가 유입될 수 있는 서지유입시간(예를들어 500㎲)이 미리 셋팅되어 있다. 여기에서,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열화감지부(130)는 서지가 유입되는 시간이 정해진 시간(500㎲)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정해진 시간(500㎲)을 초과한 것이 확인되면 서지흡수소자(120)가 열화되거나 수명이 다한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알람을 표시하고 전류를 끊음으로써 열화보호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회로보호부(100)에서는 단락이 일어나고, 단락에 의하여 회로 또는 설비 및 상태확인부(14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카운트부(200)의 카운터(210)는 상태확인부(140)로의 전원공급이 순간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신호를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전달받은 신호를 판단하여 표시부(230)가 서지가 유입되고 있다는 표시를 하도록 신호를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서지 유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서지의 유입이 끝난 경우에 누적된 서지 유입 횟수를 표시부(230)가 나타낼 수 있도록 신호를 보냄으로써 사용자는 현재까지의 서지 유입 횟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MCU(20)에 별도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정상 전류의 흐름을 보면 배전선로에 연결된 회로보호부(100)의 서지흡수소자(120)는 높은 임피던스 특성을 보이고 있어 전류가 서지흡수소자(120)로 흐르지 않고 회로 및 상태확인부(140)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상태확인부(140)로 공급된 전류는 상태확인부(140)를 통과하여 접지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되고, 이를 통해 상태확인부(140)는 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름을 표시함과 동시에 서지흡수소자(120)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한다.
이때, 서지가 유입되면, 유입된 서지 전류에 의하여 회로보호부(100)의 서지흡수소자(120)의 임피던스 특성이 순간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유입된 서지 전류는 회로 또는 설비, 상태확인부(140)로 흘러가지 않고 회로보호부(100)의 서지흡수소자(120)를 통하여 접지로 흘러나가게 됨으로써 회로가 보호된다. 이때, 상태확인부(140)로 흐르던 전류가 순간적으로 차단되거나 또는 비정상 전압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태확인부(140)에 연결된 카운트부(200)가 서지 유입 횟수를 카운트하여 표시부(230)에 표시하게 된다.
참고로, 서지 유입은 배전선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 전라인을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어느 상황에서나 상태확인부(140)의 전압은 비정상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배전선로 중 하나의 라인에만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누적된 서지 유입 횟수가 지정된 횟수에 도달되는 경우에 경고표시부(240)에 경고 표시 신호를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서지보호장치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20)가 상태확인부(140)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MCU(20)에 카운트부(2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MCU(20)는 평소에는 상태확인부(140)를 통과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이때 MCU(20)에 연결된 카운트부(200)의 표시부(230)는 서지가 유입되지 않고 있다는 표시를 띄운다.
이때, 서지가 유입되는 경우에 유입된 서지 전류에 의하여 회로보호부(100)에서는 단락이 일어나고, 단락에 의하여 회로 및 MCU(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카운트부(200)의 카운터(210)는 순간적으로 MCU(2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회로보호기 20 : MCU
30 : 배터리 100 : 회로보호부
110 : 퓨즈 120 : 서지흡수소자
130 : 열화감지부 140 : 상태확인부
200 : 카운트부 210 : 카운터
220 : 제어부 230 : 표시부
240 : 경고표시부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유입되는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보호부; 및
    상기 회로보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상기 회로보호부에서 발생된 단락에 의한 상기 회로보호부 내부의 전류 경로의 변화를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보호부는 일단이 상기 배전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의 유입시 임피던스가 낮아짐으로써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서지흡수소자와, 상기 서지흡수소자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카운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부를 포함하며, 서지 유입시 상기 카운트부가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단락에 의해 상기 상태확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보호부는 상기 서지흡수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열화를 감지하여 과열 발생시 전류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열화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보호부는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며 과도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한하는 복수의 퓨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상태확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서지 유입 횟수 및 서지 유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는 서지 유입 횟수가 지정된 수치에 도달한 경우에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7.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로에 전달하는 복수의 배전선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며 서지 유입시 유입되는 서지 전류의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며, 일단이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며 과도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한하는 복수의 퓨즈와, 상기 퓨즈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지의 유입시 임피던스가 낮아짐으로써 서지 전류의 경로를 접지로 변환시키는 서지흡수소자와, 상기 서지흡수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지흡수소자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확인부를 가지는 회로보호부; 및
    서지 유입시 상기 회로보호부의 서지흡수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단락에 의해 상기 상태확인부에 연결되는 MCU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20130067554A 2013-06-13 2013-06-13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140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54A KR101409479B1 (ko) 2013-06-13 2013-06-13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54A KR101409479B1 (ko) 2013-06-13 2013-06-13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479B1 true KR101409479B1 (ko) 2014-06-24

Family

ID=5113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54A KR101409479B1 (ko) 2013-06-13 2013-06-13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435B2 (en) 2015-02-03 2018-08-14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river circuit able to monitor usage of a surge protection arrangement
CN112198337A (zh) * 2020-09-23 2021-01-08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状态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2198337B (zh) * 2020-09-23 2024-06-11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状态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362A (ja) * 2003-03-11 2004-09-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耐サージ素子の寿命判定方法及び寿命判定回路
KR20060033822A (ko) * 2004-10-16 2006-04-20 삼현전자통신(주) 카운트 수단이 구비된 서지보호장치
KR100863668B1 (ko) 2007-04-17 2008-10-15 이우헌 서지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362A (ja) * 2003-03-11 2004-09-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耐サージ素子の寿命判定方法及び寿命判定回路
KR20060033822A (ko) * 2004-10-16 2006-04-20 삼현전자통신(주) 카운트 수단이 구비된 서지보호장치
KR100863668B1 (ko) 2007-04-17 2008-10-15 이우헌 서지 프로텍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435B2 (en) 2015-02-03 2018-08-14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river circuit able to monitor usage of a surge protection arrangement
CN112198337A (zh) * 2020-09-23 2021-01-08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状态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2198337B (zh) * 2020-09-23 2024-06-11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状态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1715B1 (en) Dc power supply insulation fault detection circuit
KR100956162B1 (ko) 복합형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방법
US9812858B2 (en) Surge protective system
CA2857710C (en) Built-in testing of an arc fault/transient detector
KR101253229B1 (ko) Tvs/배리스터 단락감지 및 통신용 서지보호장치
KR101247208B1 (ko) 누전 차단 장치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95658B1 (ko) 누설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451387B1 (ko) 계기용 변류기 2차 단자 개방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JP5272123B2 (ja) 劣化警報機能付きspd
CN102884696A (zh) 改进的电涌保护
KR101402046B1 (ko) 디지털 누전차단기
JP6509029B2 (ja) 分電盤
KR101840288B1 (ko) 누전차단기
JP5295635B2 (ja) サージ防護装置
KR101409479B1 (ko)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1027038B1 (ko) 서지 보호기용 통신 시스템
KR101473109B1 (ko) 변류기 보호장치
JP5348695B2 (ja) 過電圧保護素子の故障検知回路、及び、加入者回路
JP4339668B2 (ja) 遮断器
KR101304261B1 (ko) 서지 보호 장치
KR20140017773A (ko) 서지 보호 장치
JP2008269932A (ja) サージ防護装置の交換時期判定方法及び交換時期判定装置、並びにサージ防護装置
JP4196026B2 (ja) 襲雷検出回路
CA2976989C (en) A prot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