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18B1 -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 Google Patents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6918B1 KR102336918B1 KR1020210097677A KR20210097677A KR102336918B1 KR 102336918 B1 KR102336918 B1 KR 102336918B1 KR 1020210097677 A KR1020210097677 A KR 1020210097677A KR 20210097677 A KR20210097677 A KR 20210097677A KR 102336918 B1 KR102336918 B1 KR 102336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bottle
- storage
- water
- lid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a recess in order to be seated on the neck or similar protrusion of a larg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통, 특히 상단 주입구가 돌출된 생수통을 세워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보관통과 뚜껑에 각각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부와 지지홈을 형성하여, 적층이 어려운 구조의 생수통을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게 하는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주입구를 구비한 생수통 본체; 바닥부와 측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측벽부 하부로 연장 연결된 받침부를 구비한 보관통; 및 상기 수납부의 상면 개구부에 탈착되며 다른 보관통의 받침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주입구를 구비한 생수통 본체; 바닥부와 측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측벽부 하부로 연장 연결된 받침부를 구비한 보관통; 및 상기 수납부의 상면 개구부에 탈착되며 다른 보관통의 받침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통, 특히 상단 주입구가 돌출된 생수통을 세워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보관통과 뚜껑에 각각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부와 지지홈을 형성하여, 적층이 어려운 구조의 생수통을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게 하는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 제20-041566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0273호, 등록특허 제10-0570223호, 등록특허 제10-1458366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수통, 특히 스탠드형 정수기로써 생수통을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되는 정수기용 생수통은 공지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 상단에 주입구가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생수통은 주입구의 돌출 구조로 말미암아 생수통들을 세워서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없다.
이에 생수통을 눕혀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나, 원통형 몸체로 인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운반 특히 차량 운반 중에 적층한 생수통들이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수통을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팔레트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팔레트 이용 시 생수통의 보관 허용 개수가 줄게 됨은 물론, 생수통을 넣고 빼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수통, 특히 주로 스탠드형 정수기의 물 공급용으로 사용괴든 상단 주입구가 돌출된 형태의 생수통을 상하로 적층하여 다량의 생수통을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주입구를 구비한 생수통 본체;
바닥부와 측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측벽부 하부로 연장 연결된 받침부를 구비한 보관통; 및
상기 수납부의 상면 개구부에 탈착되며 다른 보관통의 받침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서,
상기 보관통은 상기 측벽부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주입구가 끼워지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서,
상기 보관통은 상기 측벽부의 상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부로 연결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뚜껑은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하되, 일측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 연결된 당김부, 상기 당김부의 양측단에서 뚜껑 내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당김부의 반대편 끝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은,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보관통과 뚜껑에 서로 끼움 결합 가능한 받침부와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어, 세워서 적층하기 어려운 구조의 생수통을 상하로 쉽고 안전하게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으며,
보관통 내에서 생수통 본체의 상단 주입구와 바닥부가 전후좌우로 완전 고정되기 때문에 생수통 본체가 전후좌우로 유동하지 않아 생수통 본체가 일측으로 쏠리면서 발생하는 편하중으로 인한 전복 등이 발생하지 않고,
뚜껑이 보관통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홈으로 형성된 당김부를 통해 뚜껑의 개방을 쉽게 하며,
뚜껑 개방 시 지렛대 지지가 이루어져, 생수통 본체의 주입공이 끼워진 뚜껑을 더욱 쉽고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수통의 단면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수통의 분해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수통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몸통부(11), 상기 몸통부(11)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주입구(12)를 구비한 생수통 본체(10);
바닥부(21)와 측벽부(22)로 형성되어 상기 생수통 본체(10)가 수납되는 수납부(23), 상기 측벽부(22) 하부로 연장 연결된 받침부(24)를 구비한 보관통(20); 및
상기 수납부(23)의 상면 개구부에 탈착되며 다른 보관통(20)의 받침부(24)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수통 본체(10)는, 공지된 생수통과 동일한 것으로, 몸통부(11) 내부에 생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생수통 본체(10)를 뒤집어 정수기에 안착시킴으로써, 몸통부(11)의 생수가 상기 주입구(12)를 통해 배출하여 정수기로 생수를 보충 및 공급한다.
이러한 생수통 본체(10)는, 상기 몸통부(11)가 주로 원통형의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몸통부(11)의 모양 및 크기에 제한이 없다.
상기 보관통(20)은 상기 생수통 본체(10)를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면서, 생수통을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보관통(2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상기 측벽부(22)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21)는 상기 몸통부(11)의 너비에 상응하여 측벽부(22)가 생수통 본체(10)의 바닥부(21)를 전후좌우로 고정시키며, 생수통 본체(10)의 상단 주입구(12)는 후술하는 뚜껑(30)의 고정공(33a)으로 고정되어, 보관통(20) 내에서 생수통 본체(10)가 전후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관통(20)은 상기 측벽부(22)의 상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부로 연결된 플랜지부(25)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부(25)는 상기 뚜껑(3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뚜껑(30)의 개방 시 뚜껑(30)의 지지대로 기능하며, 이는 상기 뚜껑(30)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1)에는 상기 생수통 본체(10)의 주입구(12)가 끼워지는 끼움공(21a)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보관통(20)은 상기 측벽부(22) 및 받침부(24)를 관통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공(22a)(24a)을 포함하여, 보관통(20) 즉, 생수통 본체(10)의 운반을 쉽게 한다.
나아가 상기 보관통(20)은 상기 플랜지부(25)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보관통(20)의 받침부(24)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6)는 상기 플랜지부(25)에서 하부로 상기 받침부(24)의 길이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뚜껑(30)이 개방된 보관통(20)의 상부에 추가로 보관통(20)을 단독으로, 또는 생수통 본체(10)가 수납된 보관통(20)을 다시 적층할 때, 상기 지지부(26)가 상기 지지홈(31)을 대신하여 보관통(20)들의 상하 적층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보관통(2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보관통(20) 내의 생수통 본체(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보관통(20)들의 상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30)은 상기 플랜지부(25) 내측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하여 결합된다.
이에 상기 뚜껑(30)의 테두리 내측에서 상기 플랜지부(25)의 내벽에 대응하여 하부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부(32)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32)의 홈 구조로 상기 지지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2)의 외벽부는 상기 플랜지부(25)의 내벽에 억지 끼움되어 뚜껑(30)이 보관통(2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뚜껑(30)은 상기 주입구(12)가 끼워지는 고정공(33a)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30)은 상기 고정공(33a)에 상기 생수통 본체(10)의 주입구(12)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보관통(20)의 상광하협의 구조와 함께 생수통 본체(10)의 상, 하단부 모두를 전후좌우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뚜껑(30)은 상기 고정공(33a)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 연결되어 형성된 보조 주입구(33)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보조 주입구(33)의 하측 개구부가 상기 고정공(33a)이 된다.
이러한 보조 주입구(33)는 보관통(20) 자체를 정수기에 장착 가능할 경우, 상기 생수통 본체(10)의 주입구(12)를 연장시켜 뚜껑(30)의 개방 없이 생수통 본체(10)의 생수가 정수기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주입구(33)에는 별도의 마개가 씌어져 밀봉되며, 외주면에서 돌출된 후크돌기(33b)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뚜껑(30)은, 일측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 연결된 당김부(34), 상기 당김부(34)의 양측단에서 뚜껑(30) 내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된 절개홈(35)을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34)는 상기 삽입부(32)의 측벽에서 상부로 연장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절개홈(35)에 의해 'ㄴ'자 형상으로 뚜껑(30)에 부분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당김부(34)는 사용자가 당김부(34)를 잡아당기면, 당김부(34)가 상부로 절곡되면서 삽입부(32)가 플랜지부(25)에서 빠지게 하여, 상기 뚜껑(30)의 개방을 쉽게 한다.
또한 상기 뚜껑(30)은 상기 당김부(34)의 반대편 끝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25)에 지지되는 결합돌기(3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36)는 소정 너비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의 타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부(25)의 상면에 지지되게 한다..
이에 상기 당김부(34)를 잡아당기면, 상기 결합돌기(36)가 상기 플랜지부(25)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플랜지부(25)에서 보다 쉽게 빠지면서, 뚜껑(3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당김부(34)는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돌기(34a)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25)의 벽체부에는 상기 잠금돌기(34a)와 결합돌기(36)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25a)(25b)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돌기(34a)와 결합돌기(36) 및 각 결합공(25a)(25b)의 끼움 결합으로 상기 뚜껑(30)이 상기 보관통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개홈(35) 구조로 인해 상기 잠금돌기(34a)를 쉽게 뺄 수 있어, 뚜껑(30)의 개방이 편리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6)를 활용해 뚜껑(30) 개방 상태의 보관통(20)들을 적층할 수 있는데, 보관통(20)의 측벽부(22)가 지지부(26) 내측에 억지 끼움되면서 보관통(20)이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6)에 측벽부(22) 지지용 탈착수단을 도입하였다.
먼저 상기 지지부(26)는 내경이 상기 측벽부(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지지부(26)의 내측 끝단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부(261),
상기 회동부(2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되며, 상기 회동부(261)의 양면으로 노출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한 지지볼(263),
상기 회동부(261)를 상기 지지부(26)와 수평하게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261)는 상기 지지부(26)의 끝단에 힌지축(262)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24)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볼(263)은 양 측면 중앙에서 돌출된 회전축(264)이 상기 회동부(261)에 끼워져 축설된다.
상기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262)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261)가 수평하게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한다.
이에 뚜껑(30) 개방 상태에서 보관통(20)들을 서로 끼우면, 상기 받침부(24)에 의해 상기 회동부(261)가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볼(263)이 상기 측벽부(22)의 외면에 접촉하여 보관통(20)의 삽입 후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관통(20)들을 분리할 때, 상기 지지볼(263)의 회전을 통한 구름 지지로 인해 측벽부(22)가 쉽게 빠지게 되며, 보관통(20)들이 완전 분리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회동부(261) 및 지지볼(263)의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생수통 본체 11 : 몸통부
12 : 주입구
20 : 보관통 21 : 바닥부
22 : 측벽부 23 : 수납부
24 : 받침부 25 : 플랜지부
26 : 지지부
30 : 뚜껑 31 : 지지홈
32 : 삽입부 33 : 연장 주입구
34 : 당김부 35 : 절개홈
36 : 결합돌기
12 : 주입구
20 : 보관통 21 : 바닥부
22 : 측벽부 23 : 수납부
24 : 받침부 25 : 플랜지부
26 : 지지부
30 : 뚜껑 31 : 지지홈
32 : 삽입부 33 : 연장 주입구
34 : 당김부 35 : 절개홈
36 : 결합돌기
Claims (4)
-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주입구를 구비한 생수통 본체;
바닥부와 측벽부로 형성되어 상기 생수통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측벽부 하부로 연장 연결된 받침부를 구비한 보관통; 및
상기 수납부의 상면 개구부에 탈착되며 다른 보관통의 받침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통은 상기 측벽부의 상측 끝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부로 연결된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뚜껑은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하되, 일측 테두리에서 상부로 절곡 연결된 당김부, 상기 당김부의 양측단에서 뚜껑 내측으로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통은 상기 측벽부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상기 주입구가 끼워지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고정공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 연결되어 형성된 보조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당김부의 반대편 끝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677A KR102336918B1 (ko) | 2021-07-26 | 2021-07-26 |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677A KR102336918B1 (ko) | 2021-07-26 | 2021-07-26 |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6918B1 true KR102336918B1 (ko) | 2021-12-08 |
Family
ID=7886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677A KR102336918B1 (ko) | 2021-07-26 | 2021-07-26 |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691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2569A (ja) * | 2001-04-26 | 2002-12-18 | Hong Sin Tan | ネスティング・スタッキング・クレート |
JP2004161378A (ja) * | 2002-11-13 | 2004-06-10 | Schuetz Gmbh & Co Kgaa | 液体貯蔵容器およびこの貯蔵容器の外部容器の製造方法 |
KR101437578B1 (ko) * | 2014-01-03 | 2014-09-04 | (주)한스이엔지 | 중형산적용기 |
KR20140120773A (ko) * | 2013-04-04 | 2014-10-14 | 이영철 |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
-
2021
- 2021-07-26 KR KR1020210097677A patent/KR102336918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2569A (ja) * | 2001-04-26 | 2002-12-18 | Hong Sin Tan | ネスティング・スタッキング・クレート |
JP2004161378A (ja) * | 2002-11-13 | 2004-06-10 | Schuetz Gmbh & Co Kgaa | 液体貯蔵容器およびこの貯蔵容器の外部容器の製造方法 |
KR20140120773A (ko) * | 2013-04-04 | 2014-10-14 | 이영철 |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
KR101437578B1 (ko) * | 2014-01-03 | 2014-09-04 | (주)한스이엔지 | 중형산적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48186A (en) | Paperboard container for fluids having top opening fitment and exposed lip for engagement by handling implements | |
US8146737B2 (en) | Beverage cup carrier | |
US20060255000A1 (en) | Vertically stackable water bottle | |
US6966442B2 (en) | Stacking crates | |
GB2452188A (en) | Bag in a box | |
US20060000740A1 (en) | Stackable bottle | |
JP2006056466A (ja) | 車両の容器保持構造 | |
KR102336918B1 (ko) | 적층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한 생수통 | |
US8833615B2 (en) | Disposable container with fitting attachment | |
MX2014005366A (es) | Botella que incluye un cierre removible hueco. | |
RU2008120649A (ru) | Сосуд к крышкой | |
JP2000313477A (ja) | 不定形容器用ホルダー | |
JP5850591B1 (ja) | バッグインボックス | |
US9302809B1 (en) | Stackable, stabilized fuel containers | |
JP2022181888A (ja) | 飲料用容器 | |
KR200475233Y1 (ko) | 주류 용기 | |
US7754138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able containers | |
US3831817A (en) | Stackable liquid container with pour spout | |
KR20130059664A (ko) |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 |
US20220340331A1 (en) | Liquid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and allowing for stacking with another liquid container | |
JP4003120B2 (ja) | ボトル用ホルダ | |
JP2017137093A (ja) | 細口容器保持具 | |
CN208897582U (zh) | 便于堆放的油墨罐 | |
JPH0826338A (ja) | 液体運搬用容器 | |
AU2002211595B2 (en) |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