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78B1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578B1 KR102335578B1 KR1020200074585A KR20200074585A KR102335578B1 KR 102335578 B1 KR102335578 B1 KR 102335578B1 KR 1020200074585 A KR1020200074585 A KR 1020200074585A KR 20200074585 A KR20200074585 A KR 20200074585A KR 102335578 B1 KR102335578 B1 KR 102335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barrier
- liquefied gas
- support
- prim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과,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단열벽과,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2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마감하는 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단에 상기 1차 방벽이 연결되는 상벽; 상기 상벽의 하측에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및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서포트 사이를 실링하는 연결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벽과 평행한 수직부를 갖고, 상기 수평부의 하측 및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내면에 금속 스트립이 마련되는 블록재가 안착되며, 상기 연결 방벽은, 하단이 상기 2차 방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블록재의 상기 금속 스트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LNG 등의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선박 내에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소위 "화물창"으로 지칭됨)가 설치되어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에 의해 증발가스(Boil Off Gas; BOG)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열 설계를 통해 증발 가스의 기화 비율인 자연 기화율(Boil Off Rate; BOR)을 낮추는 것이 액화가스 저장탱크 설계의 핵심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적어도 2층의 단열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LNG가 저장된 공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IBS(Interbarrier Space), IS(Insulation Space)가 마련된다.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는 LNG의 로딩/언로딩 등을 위하여 상면에 돔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돔은 IBS와 IS를 실링하면서도 IBS 등의 내부에 질소가스 등을 공급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실링 및 단열을 위한 돔의 효율적인 구조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벽의 실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과,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단열벽과,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2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마감하는 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단에 상기 1차 방벽이 연결되는 상벽; 상기 상벽의 하측에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및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서포트 사이를 실링하는 연결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벽과 평행한 수직부를 갖고, 상기 수평부의 하측 및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내면에 금속 스트립이 마련되는 블록재가 안착되며, 상기 연결 방벽은, 하단이 상기 2차 방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블록재의 상기 금속 스트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재는, 상기 외벽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 스트립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연결 방벽이 상하로 갭을 두고 고정되는 내측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재는, 상면에 상기 수평부가 고정되는 상측 금속 스트립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까지 연장되는 외측부와,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 금속 스트립까지 연장되는 내측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는,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2차 방벽 등에 대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하는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단열공간에 대한 실링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연결 방벽이 2차 방벽, 단열재, 서포트 등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 인해, 액화가스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을 포함한다. 이때 선박은 적어도 액화가스를 추진연료/발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일 수 있으며, 가스 운반선, 가스가 아닌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상선, FSRU, FPSO, Bunkering vessel, 해양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다만 도 1을 먼저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사항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의 격벽 구조가 탱크의 외벽(21)을 이루는 멤브레인형일 수 있고, 또는 선체 내부 공간에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인입 설치되는 독립형일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타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또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선체에 탑재되는 위치(선내 또는 갑판 상부 등의 선외) 역시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내측 방향으로 단열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선체 격벽에 직접 단열층이 시공되는 멤브레인형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액화가스 저장탱크(1)가 독립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 이하에서 선체라는 표현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외체로 대체하여 해석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저장공간에는 액화가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는 LNG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화가스가 LNG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액화가스는 LNG 외에도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아 저장을 위해 강제로 액화되며 발열량을 갖는 모든 물질(LPG, 에탄, 수소, 암모니아 등)을 포괄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은 벽체(10)에 의해 둘러싸여 닫힌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액화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벽체(10)에는 상면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돔(20)이 설치된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벽체(10)와 돔(20)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10)는,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1차 방벽(11), 1차 단열벽(12), 2차 방벽(13), 2차 단열벽(14)을 갖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내측은 액화가스가 저장된 공간 내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외측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1차 방벽(11)은 저온의 액화가스로 인한 취성 파괴를 억제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SUS, INVA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1차 방벽(11)에는 슬로싱을 대비하기 위해 주름 또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방벽(11)은 서로 겹배치되어 용접 등으로 실링됨에 따라 저장공간 전체(돔(20) 부분을 제외)를 닫힌 공간으로 만들게 된다.
1차 방벽(11)은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2차 방벽(13) 역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벽이 되므로,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적어도 2중으로 누출 방지를 구현하는 구조를 갖는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외측에 배치되며 1차 단열기능을 구현한다. 1차 단열벽(12)은 플라이우드(121), 단열블록(122)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라이우드(121)는 1차 단열벽(12)에서 내측에 구비되며, 플라이우드(121)에 앵커링유닛(도시하지 않음)이 고정된다. 앵커링유닛은 1차 방벽(11)의 겹침 용접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블록(122)은 1차 단열벽(12)에서 외측에 구비되며 단열성을 갖는다. 단열블록(122)은 폴리우레탄폼 블록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열재가 수용된 박스 블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열블록(122)은 후술할 2차 방벽(13)에 본딩 등을 통해 접합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선체 등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과 2차 방벽(13)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는데, 1차 단열벽(12)이 배치되는 공간은 단열공간을 이룰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이 배치된 단열공간은 IBS(Interbarrier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
가장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1차 단열벽(12)은 후술할 돔 코밍(20a)의 상벽(22)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돔 코밍(20a)의 상벽(22)과 2차 방벽(13) 사이의 실링을 위해 연결 방벽(24)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시공 순서에 따를 때, 2차 단열벽(14) 상에 2차 방벽(13)이 마련되고 2차 방벽(13)에 1차 단열벽(12)이 마련되는데,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은 상벽(22) 대비 하방에 위치하면서 2차 방벽(13) 일부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노출된 2차 방벽(13)과 상벽(22) 사이에서 연결 방벽(24)이 설치되면서 돔 코밍(20a)과 2차 방벽(13)이 상호 실링 연결된다.
이후 최상단의 1차 단열벽(12)과 돔 코밍(20a)의 상벽(22) 사이의 갭에 마감 단열벽(12a)이 채워져서 연결 방벽(24)을 커버할 수 있다. 마감 단열벽(12a)은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단열블록(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차 단열벽(12)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1차 단열벽(12)의 내면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 상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
2차 방벽(13)은, 1차 단열벽(12)의 외측에 마련된다.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함께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 기능을 가지며,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의 파손 시 액화가스의 누출을 2차로 방지하게 된다.
2차 방벽(13)은 1차 방벽(11)과 동일/유사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1차 방벽(1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2차 방벽(13)은 금속시트 양면에 유리섬유시트 등이 적층된 복합시트 또는 반대로 유리섬유시트 양면에 금속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2차 방벽(13)는 SUS, INVAR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2차 방벽(13)은 2차 단열벽(14) 상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해, 별도의 2차 방벽(13)이 적층되는데, 2차 단열벽(14) 상의 2차 방벽(13)은 상대적 강성 재질로 마련되고, 2차 단열벽(14)들 사이의 2차 방벽(13)은 수축 팽창을 대비하여 상대적 유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의 외측에 배치된다. 2차 단열벽(14)은 1차 단열벽(12)과 마찬가지로 단열 기능을 가지며, 1차 단열벽(12)과 동일/유사하게 플라이우드(141), 단열블록(142)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와 단열블록(142)의 적층 순서는, 1차 단열벽(12)과 반대될 수 있다. 1차 단열벽(12)은 1차 방벽(11)의 용접 고정을 위해 앵커링유닛이 마련되는 플라이우드(121)가 내면에 마련되는 반면, 2차 단열벽(14)은 선체 측에 고정하기 위해 플라이우드(141)가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2차 단열벽(14)은 선체 내면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마스틱(143)을 이용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마스틱(143)은 접착제로서 2차 단열벽(14)의 플라이우드(141)를 선체에 고정한다.
2차 단열벽(14)은 2차 방벽(13)과 선체 사이의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며, 2차 단열벽(14)이 배치된 공간은 2차 단열공간으로서 IS(Insulation Space)로 지칭될 수 있다.
즉 벽체(1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1차 방벽(11) - IBS(1차 단열벽(12)) - 2차 방벽(13) - IS(2차 단열벽(14)) - 선체 순으로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IBS와 IS인 단열공간은 후술하는 돔(20)에 의해 마감된다.
이와 같이 2중의 방벽 및 2중의 단열벽(단열공간)을 갖는 벽체(10)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벽체(10)는 평면 또는 곡면이나 경사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다양한 형상의 저장공간을 이룬다.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에 마련된다. 저장공간을 형성한 벽체(10)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의 유출입을 위해 상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에는 돔(20)이 설치되어 마감된다.
이때 저장공간 상면을 이루는 벽체(10)는 개구된 부분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의 상단에 돔(20)이 설치될 수 있다.
돔(20)은 벽체(10)에 형성된 단열공간을 마감한다. 단열공간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벽체(10)에서 2차 방벽(13)의 내측과 외측에 마련되며, 돔(20)은 각각의 단열공간을 상호 분리되도록 마감할 수 있다.
돔(20)은 저장공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벽체(10)에 고정 설치되는 돔 코밍(20a)을 포함한다. 돔 코밍(20a)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일례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돔 코밍(20a)은 후술하는 구체적 구조를 통해, IBS와 IS가 상호 분리되면서 닫힌 공간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돔 코밍(20a)에는 질소라인(도시하지 않음) 등이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단열공간 내 질소의 유출입을 구현할 수 있다.
돔 코밍(20a)의 상측에는 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돔 커버에는 액화가스나 증발가스 등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돔 커버에 펌프타워(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이 고정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등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의 돔(20)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돔(20)의 구조는 돔 코밍(20a)의 구조임을 알려둔다.
참고로 제2 실시예 이하에 대한 설명 시, 해당 실시예가 앞선 내용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함을 알려둔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을 각각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의 돔(20)은, 외벽(21), 상벽(22), 서포트(23), 연결 방벽(24)을 포함한다.
외벽(21)은,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다. 외벽(21)은 돌출부의 외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체 일부가 외벽(21)을 대체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21)은 다각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측면에 라인들이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단열공간으로의 질소 공급/단열공간에서의 질소 배출을 위한 라인이 각각 돔 코밍(20a)에서 서로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외벽(21)의 외측에는 수평의 보강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외벽(21)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에 따라, 외벽(21)의 외측 둘레에 보강재(211)를 부가함으로써 돔 코밍(20a)의 구조 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보강재(211)는 선체의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트렁크 데크와 상벽(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벽(21)의 높이가 높지 않을 경우 보강재(211)는 생략 가능하며, 트렁크 데크가 보강재(211)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벽(22)은, 외벽(21)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에 돔 커버가 안착된다. 상벽(22)은 외벽(21)의 상단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수평하게 마련되어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벽체(1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벽(22)은 외벽(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에는 돔 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벽(22)의 폭은 적어도 벽체(10)의 두께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벽체(10)의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벽(22)의 외측단은 외벽(21)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벽(22)과 보강재(211) 사이에는 수직의 웹부재(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되어 구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벽(22)의 내측에는 1차 방벽(1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벽(22)의 내측단에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이 구비된다. 1차 단차해소수단(221)은 상면과 하면 및 그 사이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ㄷ자 형태를 갖는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면이 상벽(22)의 내측단에 겹쳐져 고정될 수 있다.
다만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높이는 상벽(22)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므로, 상벽(22)의 내측단에 1차 단차해소수단(221)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단(222)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단(222)은 상벽(22)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상면 및 하면이 모두 상벽(2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서포트(23)는, 외벽(21)외 내측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서포트(23)는 상벽(22)을 통해 단열공간들을 커버할 때,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IBS)과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IS)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포트(23)는 후술할 연결 방벽(24)을 통해 2차 방벽(13)과 연결되어,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외측과 연통되고 2차 방벽(13)의 내측 단열공간은 서포트(23)의 내측과 연통된다. 다만 서포트(23)는 상단이 상벽(22)에 고정되므로, 서포트(23)는 내외 방향으로 단열공간을 구분하게 된다.
서포트(23)는 수직부(231)와 돌출부(234)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직부(231)는 상벽(2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수직부(231)는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서 2차 방벽(13)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또한 외벽(21) 대비 내측에서 외벽(21)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각종 라인이 관통하는 돔 커버가 돔 코밍(20a)에 안착될 때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서포트(23)는 2차 방벽(13)보다 외측 지점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23)와 2차 방벽(13)을 상호 연결하여 2차 방벽(13) 외측 단열공간을 실링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에 돌출부(234)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수직부(231)와 돌출부(234) 사이에 블록재(23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블록재(2341)는 돌출부(234)와 2차 단열벽(14)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34)는, 수직부(231)의 일 지점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234)와 수직부(231)는 ㅓ 또는 T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만 돌출부(234)의 돌출 각도는 수직부(231) 기준으로 직각이거나 또는 예각 등일 수 있다.
돌출부(234)의 내측단은 2차 방벽(13)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234)의 하면에는 블록재(2341)가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은 블록재(2341)의 내면에 고정되어 서포트(23)와 2차 방벽(13) 사이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블록재(2341)를 이용하여 서포트(23)와 2차 방벽(13)을 마감할 수 있다. 이때 블록재(2341)는 내면 및 상하면에 실링층(2342)이 둘러싸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서포트(23)에서 수직부(231)의 내측 및 돌출부(234)의 하측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블록재(2341)는, 상면의 실링층(2342)이 돌출부(234)의 하면과 맞닿아 실링 연결되며 하면의 실링층(2342)이 2차 단열벽(14)의 상면과 연결된다. 또한 블록재(2341)의 내면에 구비된 실링층(2342)은,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실링층(2342)은 연결 방벽(24)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연결 방벽(24)과 마찬가지로 기밀성 유지를 구현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하여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을 구분한다.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동일/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2차 단열벽(14) 상에 마련되는 2차 방벽(13) 대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설치 시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연결 방벽(24)은 금속시트의 양면에 유리섬유시트가 적층된 복합시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블록재(2341)의 내면 실링층(2342)에 고정되며, 연결 방벽(24)은 돌출부(234)에 고정되지 않고 평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는 연결 방벽(24)의 하단을 먼저 2차 방벽(13)에 고정한 뒤, 상단을 블록재(2341)의 내면 실링층(2342)에 본딩 등으로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23)의 돌출부(234)는 내측단이 2차 방벽(13)보다 외측에 위치하나, 블록재(2341)는 연결 방벽(24)이 고정되는 내면 실링층(2342)이 2차 방벽(13)과 나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블록재(2341)의 내면 실링층(2342) 사이를 평평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되므로, 유연 재질 외에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23)로부터 2차 방벽(13)까지의 실링은, 서포트(23)의 수직부(231), 서포트(23)의 돌출부(234), 블록재(2341)의 상면 실링층(2342), 블록재(2341)의 내면 실링층(2342), 연결 방벽(24), 2차 방벽(13) 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링을 위해 블록재(2341)의 상하면과 내면을 커버하는 실링층(2342)은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블록재(2341)의 하면은 블록재(2341)의 내면 실링층(2342)과 2차 방벽(13) 사이의 연결 방벽(24)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이므로, 블록재(2341) 하면에 구비되어 2차 단열벽(14)과 맞닿는 실링층(234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재(2341)는 수직부(231)와 접하는 외면에는 실링층(2342)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재(2341)에 덮인 실링층(2342)은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연결 방벽(24)의 하단은 1차 단열벽(12)의 높이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1차 단열벽(12)이 연결 방벽(24)의 시공 전에 2차 방벽(13)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1차 단열벽(12) 보다 상방에 시공되는 연결 방벽(24)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감 단열벽(12a)이 시공되어 마감될 수 있다.
서포트(23)와 외벽(21) 사이에는, 외측 단열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단열재(25)는 외벽(21)과 서포트(23) 사이에 채워지며, 2차 단열벽(14)과 함께 2차 단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외측 단열재(25)는 2차 단열벽(14)과 동일/유사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외측 단열재(25)는 글라스울, 강화 폴리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단열재(25)가 마련되는 공간은 2차 방벽(13)의 외측 단열공간으로서 질소 등과 같은 비폭발성 기체가 채워질 수 있다. 참고로 내압은 IS > 저장공간 > IBS 순으로 세팅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측 단열재(25)는 서포트(23)와 외벽(21)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상벽(22)으로부터 서포트(23) 하단까지 연장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외측 단열재(25)의 하단은 수직부(231)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2차 단열벽(14)에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외측 단열재(25)는 시공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구비되고 시공 후 일체화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수직부(231)의 내측에 고정되며 2차 방벽(13) 또는 연결 방벽(24)의 내면과 나란한 내면을 갖는다. 내측 단열재(26)는 서포트(23)의 수직부(231)가 2차 방벽(13) 대비 외측으로 치우쳐 마련된 것을 보상하여, 마감 단열벽(12a)의 설치를 위한 평면 확보를 위하여 마련될 수 있고, 돌출부(234)와 상벽(22)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외측 단열재(25)와 동일 유사한 재질로 마련되거나, 또는 고정력 확보를 위해 우드가 다층으로 겹쳐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내측 단열재(26)는 수직부(231)에 내측 방향으로 마련되는 스터드(2311) 및 스터드(2311)에 고정되는 고정구(262)(너트 등)를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외면이 서포트(23)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2차 방벽(13)의 내면에 적층 설치되는 1차 단열벽(12)의 외면을 상방으로 연장하였을 때 연장된 외면과 서포트(23)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메우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단열재(26)는, 1차 단차해소수단(221)과 서포트(23)의 수직부(231) 사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는 마감 단열벽(12a)을 설치하기 위해 상벽(22)의 하단 부분과 서포트(23)의 내측 부분을 사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돌출부(234)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단열재(26)는 고정력 확보를 위해 우드 재질로 마련되고, 상벽(22)의 하면에서 1차 단차해소수단(221)의 외측에 마련되는 내측 단열재(26)는 단열 효과를 위해 폴리우레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단열재(26)가 마련된 상태에서, 연결 방벽(22) 및 블록재(2341)의 내측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마련됨으로써 마감 단열벽(12a)과 1차 단열벽(12)의 내면에 1차 방벽(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돔 코밍(20a)에서 상벽(22)의 하단에 서포트(23)를 두고 2차 방벽(13) 내외의 단열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연결 방벽(24)으로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하되, 실링층(2342)으로 덮인 블록재(2341)를 서포트(23)에 시공한 뒤,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서포트(23)가 아닌 블록재(2341)의 실링층(2342)에 고정되도록 하여 연결 방벽(24)을 평평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을 통해, 2차 단열벽(14), 블록재(2341) 및 2차 방벽(13) 간의 틈을 커버할 수 있어, 가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블록재(2341)를 이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손상의 위험이 적어 기밀성 유지에 효과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서포트(23)가 상벽(22)이 아닌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서포트(23)는 상벽(22)의 하측에서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포트(23)는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35)와, 수평부(235)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벽(21)과 평행한 수직부(2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평부(235) 및 수직부(231)를 포함한 서포트(23)는,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ㄴ자 형상의 외측부(2351)와, 외측부(2351)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수직하게 절곡되는 ㄱ자 형상의 내측부(235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포트(23)는, 수평부(235)의 하측 및 수직부(231)의 외측에 블록재(2341)가 구비된다. 블록재(2341)는 내면에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이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의 설치를 위해 내면에 플라이우드(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적층될 수 있다.
블록재(2341)는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벽(21)의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블록재(2341)의 내면에 마련된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은 2차 방벽(13)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 고정되며, 서포트(23)는 수직부(231)가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231)와 연결 방벽(24)은, 상하로 갭을 두고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내측 금속 스트립(2343) 역시 금속 재질로서 방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서포트(23) - 내측 금속 스트립(2343) - 연결 방벽(24) 사이에서 누출의 우려는 없다. 물론 서포트(23)와 연결 방벽(24)이 내측 금속 스트립(2343) 상에서 겹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은 연결 방벽(24)과 수직부(231)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실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재(2341)는 상면에 서포트(23)의 수평부(235)가 고정되는 상측 금속 스트립(2344)이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서포트(23)는 별도로 구비된 외측부(2351)와 내측부(2352)가 연결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는데, 내측부(2352)와 외측부(2351)의 겹침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내측부(2352)가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부(2352)와 외측부(2351)가 겹친 부분은 상측 금속 스트립(2344) 상의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상측 금속 스트립(2344)을 통해 내측부(2352)와 외측부(2351)가 상호 실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앞서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내측부(2352)와 외측부(2351)가 내외 방향으로 갭을 두고 상측 금속 스트립(2344)에 연결되어, 외측부(2351) - 상측 금속 스트립(2344) - 내측부(2352) 사이에서 누출 우려가 없는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측 금속 스트립(2344)의 경우 내측부(2352)를 고정하는 역할과 동시에, 외측부(2351)가 설치될 때 이면의 burn damage를 방지하는 역할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포트(23)가 상벽(22)이 아닌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서포트(23)와 상벽(22) 사이에는 내측 단열재(26)가 채워질 수 있다.
연결 방벽(24), 내측부(2352) 및 내측 단열재(26) 등은 마감 단열벽(12a)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마감 단열벽(12a)은 1차 단열벽(12)과 함께 1차 방벽(11)이 설치되는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23)에서 외측부(2351)가 내측부(2352)와 상하로 겹치게 배치될 경우, 내측부(2352)의 두께만큼 외측부(2351)와 블록재(234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간극에 외측 단열재(25)가 채워질 수 있다. 또는 외측 단열재(25)는 본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을 갖는 블록재(2341)를 이용하여,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23)의 하단과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갭을 두고 간접 연결되도록 하면서 충분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벽(14) 및 상측 금속 스트립(2344)과 서포트(23)의 겹침 구조로 인해, 가스 기밀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을 갖는 블록재(2341)를 이용해 서포트(23)와 연결 방벽(24)이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서포트(23)가 외벽(21)의 내측에서 상벽(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23)는 수직부(231)와 절곡부(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부(233)에는 2차 단차해소수단(236)이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23)는 하단이 2차 단열벽(14) 대비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절곡부(23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갭에는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고, 블록재(2341)가 안착될 수 있다.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1차 단차해소수단(221)과 유사하게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고정을 위해 절곡부(233)에는 고정단(237)이 마련될 수 있고 고정단(237)에 의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하면이 절곡부(23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상면이 절곡부(233)의 상면에 겹쳐 고정될 수 있으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은 2차 방벽(13)/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블록재(2341)는 서포트(23)의 절곡부(23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 배치되며, 내면에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이 구비된다. 이러한 블록재(2341)는 외벽(2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고, 내면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은 2차 방벽(13)/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을 경유하며 상단이 서포트(23)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방벽(24)은 상단이 서포트(23)에 마련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벽(24)은, 하측 연결 방벽(241)과 상측 연결 방벽(2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연결 방벽(241)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측 금속 방벽은 하단이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 연결되고 상단이 서포트(23)의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에 연결된다.
이때 하측 연결 방벽(241)은 상측 연결 방벽(242) 대비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하측 연결 방벽(241)은 복합 시트, 상측 연결 방벽(242)은 SUS 등의 금속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측 연결 방벽(242)은 2차 단차해소수단(236)과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 사이를 실링하는 마감부재로 지칭될 수 있고, 하측 연결 방벽(241)만 연결 방벽(24)으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 방벽(24)은 하나로 일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측 연결 방벽(241)의 상단 및 상측 연결 방벽(242)의 하단은,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에서 상하로 갭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서포트(23)와 2차 방벽(13) 사이는 절곡부(233) - 2차 단차해소수단(236) - 상측 연결 방벽(242) - 내측 금속 스트립(2343) - 하측 연결 방벽(241) - 2차 방벽(13) 순으로 실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2차 방벽(13), 내측 금속 스트립(2343),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이 모두 한 평면 상에 단차 없이 배치되도록 하면서, 2차 방벽(13)과 내측 금속 스트립(2343), 내측 금속 스트립(2343)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을 각각 별도의 연결 방벽(24)으로 연결하여, 연결 방벽(24)이 평평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강성의 연결 방벽(24)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하측 연결 방벽(241)과 상측 연결 방벽(242)이 내측 금속 스트립(2343) 상에서 겹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하측 연결 방벽(241)과 상측 연결 방벽(242)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 단차가 형성되므로, 연결 방벽(24)은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트(23)와 상벽(22) 사이에는 적절한 형상이나 재질을 갖는 내측 단열재(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 방벽(24)의 내측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설치되어 1차 방벽(11)의 시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서 내측 금속 스트립(2343)을 갖는 블록재(2341)를 활용하고 연결 방벽(24)을 상하로 나누어 실링함으로써, 평평한 연결 방벽(24)을 통한 실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에서 블록재(2341)의 내측 금속 스트립(2343), 2차 단차해소수단(236) 등의 구성을 통해 실링 연결되어, 가스 기밀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서포트(23)가 상벽(22)이 아닌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서포트(23)는, 외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35)와, 수평부(235)의 내측단에 고정되고 외벽(21)과 평행한 수직부(231)를 갖는다. 또한 수직부(231)와 수평부(235)를 포함하는 서포트(23)는 ㅏ자 또는 T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서포트(23)의 수평부(235)는, 외벽(21)에서 수직하게 구비된다. 이때 외벽(21)에는 앞서 설명한 수평의 보강재(211)가 마련되는데, 서포트(23)는 수평부(235)가 보강재(211)와 동일 선상에서 나란하게 마련되도록 하여,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서포트(23)와 외벽(21) 및 보강재(211)는 +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외벽(21)을 사이에 두고 수평부(235)와 보강재(211)는 연속이 아닌 단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23)의 수직부(231)는 내면이 2차 방벽(13)과 나란하게 마련된다. 이때 수직부(231)의 내면에는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수직부(231)는 연결 방벽(24)의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수직부(231)의 내면에 고정된다. 2차 방벽(13)과 수직부(231)의 내면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연결 방벽(24)은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평평하게 실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방벽(24)은 연질 재질 외에, 금속 등의 강성 재질도 선택 가능하다.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해당 간극은 연결 방벽(24)에 의해 커버된다. 다만 서포트(23)의 수직부(231)와 2차 단열벽(14) 대비, 서포트(23)의 수평부(235)와 2차 단열벽(14)은 상대적으로 큰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포트(23)의 수평부(235)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는 블록재(2341)가 구비될 수 있다. 블록재(2341)는 수직부(231)와 2차 단열벽(14) 사이의 간극에는 채워지지 않고 수직부(231)의 외측에만 마련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블록재(2341)가 수직부(231)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도 채워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블록재(2341)의 내면은 2차 방벽(13)과 나란하거나 2차 방벽(13) 대비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235)와 상벽(22) 사이에는 내측 단열재(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는 수평부(235)와 수직부(231)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과, 그 위에 배치되는 부분 등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방벽(24)과, 연결 방벽(24)이 마련되지 않는 수직부(231)의 상단 일부분과, 수평부(235)의 상방에 마련되는 내측 단열재(26) 등의 내측 등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마련되며, 1차 단열벽(12)과 마감 단열벽(12a)의 내면 상에 1차 방벽(11)이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외벽(21)에서 수평의 보강재(211) 반대편에 수평하게 서포트(23)를 연장하고, 서포트(23)의 수직부(231)를 통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가 연결 방벽(24)으로 실링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여 누출 우려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잡한 형태의 실링 마감 구조를 대폭 간소화하여 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방벽(24)의 고정(접착) 면적을 증가함에 따라 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1)는, 도 4에서와 유사하게 수직부(231) 및 절곡부(233)를 갖는 서포트(23)를 구비하고 절곡부(233)의 내측단에 2차 단차해소수단(236)을 구비한다. 이때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하면이 절곡부(233)에 설치된 고정단(237)에 의해 고정되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에 연결 방벽(24)의 상단이 고정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4와 달리 블록재(2341)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2차 단열벽(14) 상에서 연결 방벽(24)과 2차 방벽(13)이 상호 고정되는 구조에서 도 4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벽체(10)의 2차 단열벽(14)의 내면에 홈(145)이 마련되며, 2차 단열벽(14)의 내면에서 홈(145)의 하단까지 2차 방벽(13)이 마련된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하부가 홈(145)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이 홈(14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2차 방벽(13)에 고정되고, 상단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에 고정되어 2차 방벽(13)과 서포트(23) 사이를 실링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방벽(24)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져 홈(145)에 삽입되며 하단이 홈(14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2차 방벽(13)에 고정되는 하측 연결 방벽(241)을 포함한다. 이때 하측 연결 방벽(241)은 홈(145)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고 금속재(243)를 고정된다.
금속재(243)는 홈(145)에서 하측 연결 방벽(241)의 내측에 삽입되어 하측 연결 방벽(241)을 홈(145)에 고정한다. 금속재(243)가 홈(145)에 인입됨으로써 하측 연결 방벽(241)은 홈(145) 내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방벽(24)은, 하단이 금속재(243)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에 고정되는 상측 연결 방벽(242)을 포함한다. 즉 2차 방벽(13)과 2차 단차해소수단(236) 사이는, 2차 방벽(13) - 하측 연결 방벽(241) - 금속재(243) - 상측 연결 방벽(242) 순으로 실링 연결된다.
이때 금속재(243)는 내면이 2차 단차해소수단(236)의 내면과 나란하게 마련됨으로써, 금속재(243)와 2차 단차해소수단(236) 사이를 상측 연결 방벽(242)이 평평하게 실링하도록 할 수 있고, 상측 연결 방벽(242)을 유연 재질 외에 강성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하측 연결 방벽(241)은 금속재(243)를 통해 홈(145) 내에 끼워져 고정되어야 하므로, 하측 연결 방벽(241)은 상측 연결 방벽(242) 대비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측 연결 방벽(242)과 동일하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차 단차해소수단(236)은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2차 단열벽(14) 대비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2차 단차해소수단(236)과 2차 단열벽(14) 사이를 마감하기 위해 외측 단열재(25)가 사용된다.
외측 단열재(25)는 적어도 일부가 외벽(21)과 서포트(23) 사이에 채워질 수 있으며, 서포트(23)와 2차 단열벽(14)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측 단열재(25)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2차 단열벽(14)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측 연결 방벽(242)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23)와 상벽(22) 사이에는 적절한 형상과 재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내측 단열재(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측 단열재(26)에는 마감 단열벽(12a)이 구비될 수 있다. 마감 단열벽(12a)은 내측 단열재(26)와 2차 단차해소수단(236)을 커버하면서, 또한 상측 연결 방벽(242) 및 하측 연결 방벽(241)을 모두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결 방벽(24)을 2차 방벽(13)에 고정할 때 홈(145) 및 금속재(243) 끼움 구조를 활용하여, 상측 연결 방벽(242)의 하단과 금속재(243) 사이에서 용접이 가능하게 해 서포트(23)와 2차 방벽(13) 사이를 용접으로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조합이나,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액화가스 저장탱크 10: 벽체
11: 1차 방벽 12: 1차 단열벽
121: 플라이우드 122: 단열블록
12a: 마감 단열벽 13: 2차 방벽
14: 2차 단열벽 141: 플라이우드
142: 단열블록 143: 마스틱
145: 홈 20: 돔
20a: 돔 코밍 21: 외벽
211: 보강재 22: 상벽
221: 1차 단차해소수단 222: 고정단
23: 서포트 231: 수직부
2311: 스터드 233: 절곡부
234: 돌출부 2341: 블록재
2342: 실링층 2343: 내측 금속 스트립
2344: 상측 금속 스트립 235: 수평부
2351: 외측부 2352: 내측부
236: 2차 단차해소수단 237: 고정단
24: 연결 방벽 241: 하측 연결 방벽
242: 상측 연결 방벽 243: 금속재
25: 외측 단열재 26: 내측 단열재
261: 마스틱 262: 고정구
11: 1차 방벽 12: 1차 단열벽
121: 플라이우드 122: 단열블록
12a: 마감 단열벽 13: 2차 방벽
14: 2차 단열벽 141: 플라이우드
142: 단열블록 143: 마스틱
145: 홈 20: 돔
20a: 돔 코밍 21: 외벽
211: 보강재 22: 상벽
221: 1차 단차해소수단 222: 고정단
23: 서포트 231: 수직부
2311: 스터드 233: 절곡부
234: 돌출부 2341: 블록재
2342: 실링층 2343: 내측 금속 스트립
2344: 상측 금속 스트립 235: 수평부
2351: 외측부 2352: 내측부
236: 2차 단차해소수단 237: 고정단
24: 연결 방벽 241: 하측 연결 방벽
242: 상측 연결 방벽 243: 금속재
25: 외측 단열재 26: 내측 단열재
261: 마스틱 262: 고정구
Claims (6)
-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1차 방벽과,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1차 단열벽과,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2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을 이루는 상기 벽체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마감하는 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단에 상기 1차 방벽이 연결되는 상벽;
상기 상벽의 하측에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및
상기 2차 방벽과 상기 서포트 사이를 실링하는 연결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벽과 평행한 수직부를 갖고, 상기 수평부의 하측 및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내면에 금속 스트립이 마련되는 블록재가 안착되며,
상기 연결 방벽은, 하단이 상기 2차 방벽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블록재의 상기 금속 스트립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재는, 상기 외벽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 스트립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연결 방벽이 상하로 갭을 두고 고정되는 내측 금속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재는,
상면에 상기 수평부가 고정되는 상측 금속 스트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까지 연장되는 외측부와,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 금속 스트립까지 연장되는 내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는,
상기 상측 금속 스트립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4585A KR102335578B1 (ko) | 2020-06-18 | 2020-06-18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4585A KR102335578B1 (ko) | 2020-06-18 | 2020-06-18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5578B1 true KR102335578B1 (ko) | 2021-12-03 |
Family
ID=7886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4585A KR102335578B1 (ko) | 2020-06-18 | 2020-06-18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57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1780A (ko) * | 2014-04-08 | 2016-12-09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부력 구조체에 수용된 밀봉, 단열된 용기 |
KR20180069780A (ko) * | 2015-10-13 | 2018-06-25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밀봉 단열 탱크 |
KR101959391B1 (ko) * | 2013-02-22 | 2019-03-19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스루―요소를 포함하는 탱크 벽 |
KR101966963B1 (ko) * | 2012-11-16 | 2019-08-13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
KR20200012633A (ko) * | 2018-07-27 | 2020-02-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의 제조 방법 |
-
2020
- 2020-06-18 KR KR1020200074585A patent/KR102335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6963B1 (ko) * | 2012-11-16 | 2019-08-13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
KR101959391B1 (ko) * | 2013-02-22 | 2019-03-19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스루―요소를 포함하는 탱크 벽 |
KR20160141780A (ko) * | 2014-04-08 | 2016-12-09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부력 구조체에 수용된 밀봉, 단열된 용기 |
KR20180069780A (ko) * | 2015-10-13 | 2018-06-25 |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 밀봉 단열 탱크 |
KR20200012633A (ko) * | 2018-07-27 | 2020-02-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9265B1 (ko) | 코너부를 포함하는 밀봉된, 열 절연 선박 | |
KR102082501B1 (ko) | 액체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 |
KR102459477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80061945A (ko) |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 |
KR102335578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81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80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75111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23470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82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50341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83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84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75112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77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23467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498659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553165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테스트용 장치 | |
KR102131578B1 (ko) | 액체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 |
KR102131577B1 (ko) | 액체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 |
KR102665264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438791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80092402A (ko) |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시스템 | |
KR20180061944A (ko) |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 |
KR20240029398A (ko) | 리퀴드 돔 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