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963B1 -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963B1
KR101966963B1 KR1020157015557A KR20157015557A KR101966963B1 KR 101966963 B1 KR101966963 B1 KR 101966963B1 KR 1020157015557 A KR1020157015557 A KR 1020157015557A KR 20157015557 A KR20157015557 A KR 20157015557A KR 101966963 B1 KR101966963 B1 KR 10196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in
barrier
subassembly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304A (ko
Inventor
피에르 장
브루노 귈톤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5008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75Thermal insulations by gas
    • F17C2203/0379In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91Thermal insulations by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8Alloys or compositions of metals
    • F17C2203/0651Inv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67Arrangement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7Composition; Humidity
    • F17C2250/0452Concentration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3Reducing manufacturing time or eff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Barges
    • F17C2270/0113Barges fl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8Offshore
    • F17C2270/0123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 지지 벽(1) 상에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기 위한 밀봉 커버링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밀봉 배리어 요소(15)를 위치 설정하고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덮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가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한, 단계, 및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와 상기 지지 벽(1) 사이에 폐쇄 용적(32)을 형성하도록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둘레에 측면 분할 요소(20, 19, 17)들을 배치하고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를 상기 지지 벽(1)에 밀봉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커버링을 배치하는 단계; - 상기 폐쇄 용적(32)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WALL}
본 발명은 밀봉 및 단열 탱크들의 제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온 또는 고온 액체들의 저장 또는 운반을 위해 설계된 탱크들, 예를 들면, 해상으로 액체 가스의 저장 및/또는 운반을 위한 탱크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 및 단열 탱크는 에너지 분야에서, 특히 부유 구조물에 탑재된 탱크 내에 대기압에서, 대략 -163℃로 액체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보 FR2798358호는 선박의 선체에 통합되는 저장 탱크를 설명하는데, 이 탱크의 벽들은 탱크의 내부로부터 탱크의 외부를 향하는 두께 방향으로 연속하여, 주 밀봉 배리어, 주 단열 배리어, 보조 밀봉 배리어 및 보조 단열 배리어를 포함한다. 단열 배리어들은 단열 라이닝을 포함하는 병치된 단열 요소들로 구성된다.
초저온 탱크용 벽은 공보 FR2780767호로부터 또한 공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 탱크의 지지 벽(bearing wall) 상에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밀봉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 상기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fluid tightness)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에 밀봉 배리어 요소를 배치하고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한, 단계;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둘레의 제 위치에 측면 분할 요소(lateral partitioning element)들을 배치하고, 상기 밀봉된 배리어 요소를 밀봉 방식으로 상기 지지 벽에 연결하여,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와 상기 지지 벽 사이에 폐쇄 용적(closed volume)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이러한 유형의 탱크는 아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방법은:
- 상기 지지 벽 상의 제 1 폐쇄 용적에 대해 제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병치하는 단계;
-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단계;
-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상기 제 1 밀봉 커버링의 측면 분할 요소들에 연결하여 상기 제 1 폐쇄 용적에 인접하고 상기 측면 분할 요소들에 의해 상기 제 1 폐쇄 용적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폐쇄 용적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 1 폐쇄 용적을 상기 제 2 폐쇄 용적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방법은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제 2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는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에 제공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체크되며, 여기서 상기 개구는 상기 오리피스를 관통하는 드릴링에 의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제 1 폐쇄 용적을 제 2 폐쇄 용적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제 1 밀봉 용적과 제 2 밀봉 용적 사이에, 측면 분할 요소 내에 있는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통하여 그리고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통하여 측면 분할 요소를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개구는 분할 요소의 돌출 중공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돌출 중공 부분은 제 1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 1 폐쇄 용적 내로 개방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제 1 폐쇄 용적을 제 2 폐쇄 용적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제 1 폐쇄 용적과 연통하도록 지지 벽을 통하여 개방하는 제 1 연결 파이프 및 제 2 폐쇄 용적과 연통하도록 지지 벽을 통하여 개방하는 제 2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며 지지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 회로를 제 위치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또한:
- 폐쇄 용적들 각각에 대해 직각들로 지지 벽의 드릴링을 수행하는 단계;
- 폐쇄 용적들 각각을 지지 벽의 외부에 배치된 유체 회로에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보어들 내 제 위치에 각각의 연결 파이프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측면 분할 요소들을 제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지지 벽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측면 분할 요소들의 판을 밀봉 방식으로 지지 벽 및 제 1 밀봉 배리어 부조립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측면 분할 요소들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밀봉 커버링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에지판을 제 1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측면 분할 요소가 제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 1 밀봉 배리어 요소는 밀봉 방식으로 가장자리 판에 연결되고,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측면 분할 요소들에 연결하는 동안 밀봉 방식으로 가장자리 판에 연결된다.
가장자리 판 및 밀봉 배리어 요소는 용접, 접착(gluing), 볼트결합 등에 의해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 주 밀봉 배리어 요소 상에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기 위해 주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에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한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위치 설정하고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단계, 및
주 측면 분할 요소들을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둘레의 제 위치에 배치하고,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밀봉 방식으로 제 1 밀봉 커버링에 연결하여, 주 단열 배리어 요소와 제 1 금속 커버링 사이에 주 폐쇄 용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주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방법은:
- 제 1 주 폐쇄 용적에 대해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병치하는 단계;
-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는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단계;
- 예컨대, 제 1 주 폐쇄 용적에 인접하게 그리고 주 측면 분할 요소들에 의해 제 1 주 폐쇄 용적으로부터 분리되게 제 2 주 폐쇄 용적을 형성하도록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제 1 주 밀봉 커버링의 주 측면 분할 요소들에 연결하는 단계;
- 제 1 주 폐쇄 용적과 제 2 주 폐쇄 용적 사이에, 주 측면 분할 요소에 있는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방법은 또한 주 측면 분할 요소 내에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제 2 주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폐쇄 용적 내로 검출 가능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폐쇄 용적 내에 과잉 압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폐쇄 용적 외부에서 검출 가능한 테스트 가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동안 상기 폐쇄 용적 내로 주입되는 테스트 가스가 헬륨 또는 암모니아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방법은 또한 밀봉 배리어 요소 상에 그리고 지지 벽 상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측면 분할 요소들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탱크의 지지 벽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포함하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는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 및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지지 벽 상에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고정하는 단계는:
지지 벽의 제 1 패널 상에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지지 벽의 제 2 패널 상에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벽의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일체형인 정착 판에 고정된 커플러로 밀봉 배리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의 교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플러는 두 개의 패널들에 의해 형성된 각도의 이등분선 상에 판으로부터 지향되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또한 밀봉 커버링을 통하여 밀봉 방식으로 통과하고 로드 상에 밀봉 커버링의 고정을 보장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는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에 위치 설정되어,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 및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은:
지지 벽;
탱크의 지지 벽 상에 배치되는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밀봉 커버링으로서, 상기 밀봉 커버링은: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으며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한 밀봉 배리어 요소;
밀봉 배리어 요소를 밀봉 방식으로 지지 벽에 연결하여 밀봉 배리어 요소와 지지 벽 사이에 제 1 폐쇄 용적을 형성하는,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을 포함하는,
밀봉 커버링;
지지 벽 상의 제 1 폐쇄 용적에 대해 병치되어 배치되는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의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로서,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으며,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제 1 밀봉 커버링의 측면 분할 요소들에 연결되어, 제 1 폐쇄 용적에 인접하고 측면 분할 요소들에 의해 제 1 폐쇄 용적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폐쇄 용적을 형성하는,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 및
제 1 폐쇄 용적을 제 2 폐쇄 용적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유체 연통 수단을 포함한다.
이 같은 탱크 벽들로 형성된 탱크는 예를 들면 LNG를 저장하도록 육지 저장 설비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탱크는 부유식의 연안 또는 심해 구조물, 특히 LNG 캐리어, 부유식 저장 및 재 기화 설비(FSRU), 부유식 원유 생산, 가공 저장 및 하역 설비(FPSO)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온 액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은 이중 선체, 및 이중 선체 내에 배치되는 앞에서 설명된 탱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선박을 적재(loading) 또는 하역(unloading)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저온 액체 제품은 단열 배관을 통하여 부유 설비 또는 육지 저장 설비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 설비 또는 육지 저장 설비로 이송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저온 액체 제품을 위한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전술된 선박, 부유 설비 또는 육지 저장 설비로 선박의 화물실 내에 설치된 탱크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단열 배관 및 부유 설비 또는 육지 저장 설비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 또는 육지 저상 설비로 단열 배관을 통한 저온 액체 제품의 유동을 구동하기 위한 펌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제 2 금속 부분에 대한 제 1 금속 부분의 자동 용접을 위한 레일 상의 장치를 제공하며, 두 개의 금속 부분들은 선형 용접에 의해 조립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용접은 레일에 평행한 방향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작동 트레드(running tread)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휠(wheel)에 의해 가이드 레일 상에 유지되는 캐리지로서, 상기 휠은 레일의 방향과 평행한 전진 방향에 따라 레일 상에서 캐리지를 구동하도록 상기 레일의 작동 트레드와 협동할 수 있는,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용접 토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 토치는 두 개의 금속 부분들 사이에서 레일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또한 용접 토치에 대해 평행하게 지향되는 프레스 암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제 2 금속 부분 상의 제 1 금속 부분으로부터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 암은 제 1 금속 부분과 접촉하는 일 단부에 제 2 금속 부분 상에 제 1 금속 부분을 배치할 수 있는 배치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 암은 또한 암을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는, 암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롤러는 제 1 금속 부분과 용접 토치 사이에 공간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 암은 레일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선 둘레에서 관절식으로 움직인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레일은 또한 랙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또한 제 2 휠을 포함하며, 제 2 휠은 레일의 랙과 협동할 수 있는 톱니(toothing)를 가져서 레일 상의 캐리지의 운동을 구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캐리지는 가이드 레일 상에 휠에 의해 매달린다.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는 개념은 복수의 탱크 벽 부조립체들로부터 모듈형 방식으로 생산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탱크의 유밀 상태는 폐쇄 용적을 형성하도록 지지 구조물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밀봉 멤브레인 부분에 의해 부조립체를 생산함으로써 각각의 경우 독립적으로 입증된다.
본 발명의 몇몇 양태들은 이러한 부조립체들을 서로 조립 한 후 상이한 부조립체들의 단열 배리어의 연통을 허용하면서 복수의 부조립체들을 서로 조립하기 전에 탱크 벽 부조립체의 완전한 유밀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몇 개념들은 밀봉 배리어 연결 요소들에 의해 탱크 벽 부조립체들을 연결하고, 상기 부조립체들의 유밀 상태와 관계 없이 연결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순히 비 제한적 예시로 제공된, 본 발명의 수 개의 특별한 실시예들의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연결 요소들에 의해 연결된 탱크 벽 부조립체들의 사전-보강된 블록의 조립에 의해 생산된 LNG 캐리어의 탱크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 상에 탱크 벽 부조립체의 조립 동안, 탱크 벽 부조립체의 밀봉 및 단열 보조 배리어의 에지의 횡 단면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보조 밀봉 및 단열 배리어 상의 주 밀봉 및 단열 배리어의 조립 동안 탱크 벽 부조립체의 에지를 횡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6은 LNG 캐리어의 탱크의 두 개의 사전-보강된 블록들의 연결 영역을 예시한다.
도 7은 표면 평평도를 복구하도록 설계되는 케이슨(caisson)으로 덮여진, 도 6의 영역(VII)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보조 밀봉 및 단열 연결 배리어 요소들에 연결될 때 도 5의 부조립체의 에지를 예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주 밀봉 및 단열 연결 요소들에 연결될 때 도 8에 도시된 부조립체의 에지를 예시한다.
도 11은 LNG 캐리어 탱크 및 이러한 탱크의 적재/하역을 위한 터미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체 수집기 회로가 구비된, 탱크 벽 부조립체의 사전-보강된 블록의 조립에 의해 생산된 LNG 캐리어의 탱크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유체 회로로의 연결이 제공된 탱크의 앵글(angle) 영역을 예시한다.
도 14는 블록 상의 탱크 벽 부조립체의 조립 동안, 탱크 벽 부조립체의 보조 밀봉 및 단열 배리어의 에지를 횡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사전-보강된 블록의 2면각의 각도로 배열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사전-보강된 블록을 예시한다.
도 1은 액체 천연 가스(LNG)와 같은 저온 유체를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는 선박의 탱크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탱크는 선박의 지지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벽들을 포함한다. 특히, 지지 구조물은 이 경우 이중-선체 선박의 내부 선체로 구성되며, 이중-선체 선박의 내부 선체의 벽은 도면부호 "1"로 표시된다.
지지 구조물의 각각의 벽 상에, 보조 단열 층(2), 보조 밀봉 배리어(3), 주 단열 층(4), 및 주 밀봉 배리어(5)를 연속하여 중첩함으로써 탱크의 대응하는 벽이 제공된다. 지지 구조물의 벽 상의 보조 단열 층의 단열 요소들의 고정은 예를 들면 단열 요소들의 내부 림들과 스터드들 사이의 협동에 의해, 단열 요소들과 커플러의 협동에 의해, 접착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주 단열층(4) 및 보조 단열층(2)은 규칙적인 패턴에 따라 병치되는 단열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단열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가진 케이슨(caisson)들이다. 주 단열 요소들 및 보조 단열 요소들은 이에 따라 주 밀봉 배리어(5) 및 보조 밀봉 배리어(3)를 각각 지지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가진 단열 층을 형성한다.
선박의 구조물, 및 특히 선박의 이중 선체의 제조는 대형의 사전 제작된 블록(6)들의 조립에 의해 제공된다. 사전 제작된 블록(6)들은 특히 이미 배관 및 장비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선박의 횡방향 횡단면에 따른 지지 구조물은 4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6)들에 의해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는 상부 챔퍼(60)들 및 하부 챔퍼(61)들을 갖는 섹션을 포함한다. 이중-브리지 블록(7) 및 이중-기부 블록(8)은 두 개의 측면 블록(10)들과 단부(9)에서 조립된다. 이중-브리지 블록(7)의 단부들은 상부 챔퍼(60)들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다. 이중-기부 블록(8)의 단부들은 하부 챔퍼(61)들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다. 선박 내의 두 개의 인접한 탱크들을 분리하는 지지 구조물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코퍼댐(cofferdam)들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이중-브리지 블록(7)들, 이중-기부 블록(8)들, 및 측면 블록(10)들에 의해 형성된 주변으로 연결되는 사전 제작된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사전 제작된 블록(6)은 사전 제작된 블록(6)들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조립되는 복수의 하위(sub)-블록(11)들로 이루어진다.
사전 제작된 블록(6)들을 서로 조립하기 전에, 탱크 벽들의 부분은 블록(6)들 상에 사전-보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탱크 벽 부조립체(12)들은 선박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 도크에서 블록(6)들을 서로 조립하기 전에 블록(6)의 내벽(1) 상에 장착된다. 블록들 상에 탱크 벽 부조립체(12)들의 사전-장착은 평평한 영역들 및 부두 상에서 예를 들면 작업장에서 작업을 허용함으로써 단열 및 밀봉 배리어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블록(6)들의 사전-보강은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조립 동안 탱크 내의 필요한 비계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탱크 벽 부조립체들은 건조 도크에서 조립 단계 동안 서로에 대한 블록(6)의 조립, 및 특히 용접을 허용하도록 블록(6)들의 단부(9)들까지 연장하지 않는다. 내부 선체(1) 상의 대략 1 미터 폭의 연결 영역(13)들은 블록(6)들을 서로 조립하기 전에 단열 및 밀봉 배리어 층들로 덮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블록들의 조립 후, 인접한 사전 제작된 블록(6)들의 부조립체(12)들의 단열 층들 및 밀봉 배리어들은 인접한 부조립체(12)들 사이의 제 위치에 놓이는 단열 연결 요소들에 의해, 그리고 인접한 부조립체(12)들의 밀봉 배리어(3 및 5)들 상에 밀봉 방식으로 용접되는 밀봉 배리어 연결 요소(14)들을 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탱크 벽 부조립체들에 의한 블록들의 사전 보강은 또한 탱크 벽들의 제조를 위한 보강 부두 또는 건조 도크의 점유 시간을 감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이러한 단계에서 단지 연결 영역들만이 제 위치에 놓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블록(6) 상에 부조립체(12)의 사전 조립 동안, 부조립체의 보조 밀봉 배리어(3)는 지지 구조물(1)과 밀봉 용적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이어서 밀봉 용적들의 유밀 상태가 테스트된다. 주 배리어(5)는 이어서 제 2 밀봉 용적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이어서 테스트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각각의 블록의 탱크 벽 부조립체(12)의 유밀 상태가 블록(6)의 조립 전에 인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의 구현 동안 유밀 손실의 존재 위험을 제한하면서 볼록들이 독립적으로 테스트되어 테스트 시간의 면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밀 상태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조 밀봉 배리어(3) 내의 누출의 탐지의 경우 주 배리어 요소(5)를 해체할 필요 없이, 독립적으로 부조립체(12)에 속하는 각각의 밀봉 배리어(3 및 5)의 유밀 상태를 인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속적으로, 부조립체(12)들은 연결 멤브레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유밀 상태는 이에 따라 연결 영역(13)들 위에서 주로 체크될 수 있는데, 이는 부조립체(12)들이 미리 인증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 단열 층 및 보조 단열 층 내의 불활성 가스의 순환을 허용하도록, 개구들은 인접한 블록들의 주 단열 층들의 밀봉 용적들 사이 및 인접한 블록들의 보조 단열 층들의 용적들 사이에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10은 연결 요소들에 의한 인접한 부조립체(12)에 대한 부조립체(12)의 연결 단계들이 후속되는 도 1의 영역(II-II)에 위치되는 탱크 벽 부조립체(12)의 제조를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주 밀봉 배리어(5) 및 보조 밀봉 배리어(3)는 상승 에지들에 팽행한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1
스트레이크(invar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2
strake; 15)들로 이루어지는 금속 멤브레인들의 형태로 존재하며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3
스트레이크(15)들은 또한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4
로 제조된 긴 용접 지지부들과 교대로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용접 지지부들은 벽에 수직하게 단열 층(2 또는 4) 상에 돌출하고 각각의 경우 아래의 단열 층(2 또는 4) 상에 유지된다. 예를 들면, 용접 지지부들은 단열 층(2 또는 4)들의 단열 케이슨 커버 패널들에 제공된 역 "T"자 형태의 그루브들에 수용된다. 스트레이크(15)들의 상승 에지(18)들은 용접 지지부들을 따라 용접된다. 이러한 유형의 상승 에지들을 구비한 스트레이크들을 포함하는 밀봉 배리어는 특히 공보 FR2798358호에 설명된다.
선박의 구조물의 블록(6)의 사전-보강 동안 부조립체(12)의 보조 밀봉 배리어(3) 및 주 밀봉 배리어(5)의 생산 및 이의 유밀 상태의 체크 단계들은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다.
사실, 도 2는 제 2 단열 층(2) 상의 보조 밀봉 배리어(3)의 조립 동안 부조립체(12)의 에지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부조립체(12)에 대응하는 케이슨(16)들의 조립은 블록(8)의 지지 벽(1) 상에 고정되고, 케이슨들 각각은 합판(도시 안됨)으로 제조된 커버 패널을 포함한다.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5
로 제조된 1 mm 가장자리 판(17)들은 부조립체(12)의 에지들 상에서 연장하도록 에지 케이슨 커버 패널(16) 상에 나사조립됨으로써 고정되어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6
스트레이크(15)들은 이어서 용접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스트레이크(15)들의 상승 에지(18)들은 용접 지지부들 상에 용접된다.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7
스트레이크(15)들은 이어서 가장자리 판(17)들 상에 용접됨으로써 고정된다.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8
로 제조되는 강 앵글 철(steel angle iron; 19)들 및 0.7 mm 보조 분할 판(20)들은 지지 벽(1)에 대해 수직하게, 부조립체(12)의 가장자리 아래 제 위치에 배치된다. 분할 판(20)들은 보조 밀봉 배리어(3)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보조 밀봉 배리어 아래로 연장하는 윙(wing; 21)을 갖는다.
널링 휠(knurling wheel)을 구비한 용접 장치(22)는 보조 분할 판(20)들을 밀봉 방식으로 밀봉 배리어(3)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접 장치(22)는 프레임(24) 상의 가장자리의 높이에 장착된 레일(23)을 포함한다. 프레임(24)은 지지 벽(1) 상에 지지되는 자기 스터드(26)들을 포함하는 신축성 피트(telescopic feet; 25)에 의해 지지 벽(1)에 고정된다.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기는 레일(23)의 에지들 상에 지지되는 휠(27)들에 의해 레일(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측 상에, 레일(23)은 휠(27)들 중 하나와 협동하는 랙 톱니를 포함한다. 이러한 휠(27)은 치형이고, 캐리지가 랙의 맞물림에 의해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기(41)는 가장자리 판(17)이 내부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U"자의 형태의 바디(28)를 가진다. 널링 휠(29)은 "U"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 설정되고, 두 개의 널링 휠(29)들은 이에 따라 보조 분할 판(20)의 윙(21) 및 밀봉 배리어(3)의 가장자리에 의해 중첩되고 분리된다. 두 개의 널링 휠(29)들은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기(41)가 레일(23)을 따라 가장자리를 따르는 것을 허용하는 동안, 가장자리 판(17) 상의 윙(21)의 용접을 허용하는 전극들이다. 이에 따라, 널링 휠들을 구비한 용접 장치(22)는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가장자리 판(17)과 분할 판(20) 사이의 밀봉 용접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보조 분할 판(20)과 지지 벽(1) 사이에 유밀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계를 예시한다. 이를 위해, 앵글 철(19)은 밀봉 방식으로 보조 분할 판(20)과 지지 벽(1) 둘다 상에 밀봉 방식으로 용접된다. 이러한 용접은 용접기(41)를 가이드 레일(23) 상의 널링 휠로 대체하는 토치-홀더 캐리지(30)에 의해 수행된다. 두 개의 용접 토치(31)들은 캐리지(30)로부터 각각 앵글 철(19)의 단부까지 연장하여 앵글 철(19)과 지지 구조물(1) 사이 및 앵글 철(19)과 분할 판(20) 사이에 각각 용접 비드를 생성한다. 두 개의 용접 토치(31)들 사이에서, 캐리지(30)는 또한 샤프트(95)에 의해 캐리지(30) 상의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 유지되는 암(9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샤프트(95)는 가이드 레일(23)에 의해 부과되는 변위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 상의 자유도를 암(94)에게 허용한다. 타단부에서, 암(94)은 앵글 철(19)과 예각으로 접촉하는 가압기 롤러(96)를 지지한다. 이러한 암(94)은 지지 벽(1) 및 보조 분할 판(20)에 동시에 맞닿아 앵글 철(19)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용접 토치(31)들의 헤드들과 앵글 철(19)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작용은 생산된 용접들의 품질을 보장하는 것에 기여한다. 앵글 철(19) 상의 암(94)의 가압기 롤러(96)에 의해 가해지는 배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암(94)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잭을 포함한다. 가압기 롤러(96)는 캐리지(30)의 전진과 간섭하지 않기에, 그리고 예각(93)의 구역에서 캐리지와 접촉함으로서 앵글 철(19)과 협동하기에 적절한 형태를 갖는다. 롤러(96)의 외부 작동 트레드는 한편으로 지지 벽(1) 및 다른 한편으로 보조 분할 판(20)과 앵글 철(19) 사이에 더 나은 압력을 보장하도록 예를 들면 90°또는 그 미만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순환 하우징(33)은 또한 앵글 철(19) 상에 용접되고 앵글 철(19) 내의 오리피스에서 순환 하우징을 통과한다. 순환 하우징(33)은 케이슨(16)을 향하여 개방되지만 케이슨(16)의 반대 측면(34) 상에, 즉 용접 장치 측 상에 차단되는 직사각형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순환 하우징(33)은 또한 지지 벽(1) 상에 지지되는 러그(35)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순환 하우징(33)은 횡단면 상에 도시되지 않지만, 도 9의 횡단면 상에 도시된다. 앵글 철 내에 하우징(33)에 의해 형성된 오리피스는 100 x 30 mm의 치수들을 가지며 하우징(33)은 20 m 마다 위치될 수 있다.
가장자리 판(17)들과 앵글 철(19)들의 용접이 보조 밀봉 배리어(3)의 부조립체(12)의 전체 주변 둘레에 수행될 때, 지지 벽(1), 보조 분할 판(20)들 및 밀봉 배리어(3)는 보조 폐쇄 용적(32)을 한정한다. 오리피스가 이어서 폐쇄 용적(32) 내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과도 압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조 밀봉 배리어(3)를 뚫는다. 이에 따라, 누출을 일으키는 용접들에서의 임의의 결함은 주 밀봉 배리어(5)와 주 단열 층(4)의 조립 전에 감지될 수 있다.
유밀 상태는 보조 공간 내에 과도 압력을 생성함으로써 그리고 특히 금속 멤브레인의 용접부들 또는 앵글 철(19)들 및 가장자리 판(20)들의 용접들에서 누출하는 가스의 검출이 테스트된다. 주 공간 또는 보조 공간에서 과잉 압력이 가해지는 가스는 헬륨일 수 있다. 에를 들면 밀봉 배리어의 기하학적 형상을 따르는 로봇에 의해 수행되는 헬륨의 검출을 위한 장치는 이어서 어떠한 누출도 검출하기 위하여, 블록 상에 사전-강화된 탱크 벽 부조립체(12)의 용접들을 따라 수행된다.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암모니아를 관련된 부조립체(12)의 용적 내로 암모니아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적에 과잉 압력이 가해진다. 검출기는 멤브레인 상에 배치되고 누출을 나타내도록 암모니아와 접촉시 작동된다.
폐쇄 용적(32)으로부터 누출이 감지되지 않을 때, 테스트 유체의 주입을 위해 사용되는 오리피스를 차단한 후, 주 단열 층(4) 및 주 밀봉 층(5)은 보조 배리어(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단열 층(4)의 단열 요소들은 보조 밀봉 배리어(3) 상에 위치 설정되어 지지 벽(1)에 고정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밀봉 배리어(5)는 이어서 제 위치에 배치되고, 주 단열 요소의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주 에지 케이슨(36) 내에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09
로 제조된 해당 주 가장자리 판(37) 상에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다.
수직 주 분할 판(38)은 주 밀봉 배리어(5)와 보조 밀봉 배리어(3) 사이의 제 위치에 배치된다. 주 분할 판(38)은 인바
Figure 112015056435586-pct00010
0.7 mm 두께로 제조되고 주 밀봉 배리어로부터 보조 밀봉 배리어로 연장한다.
각각의 가장자리 판(17 및 37)에서, 주 분할 판(38)은 대응하는 가장자리 판(17 또는 37)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윙(39 및 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용접과 유사하게, 윙(39 및 40)들은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기(41)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특히, 보조 가장자리 판(17) 상의 윙(40)의 용접은 도 2에 설명된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 장치(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오프세팅이 보조 분할 판(20)과 주 분할 판(38) 사이에 남아 있어 윙(40 및 21)들의 용접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밀봉 배리어(5)가 배열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분할 판(20 및 38)들의 용접들은 독립적이다.
가장자리 판(37) 상의 윙(39)의 용접은 이의 부분에 대해 도 4에 도시된다. 이러한 용접을 위해, 프레임(24)은 더 큰 높이를 가지고 유사하게 남아 있는 널링 휠을 구비한 용접기(41)의 기능을 가진 프레임(44)으로 대체된다. 보조 순환 하우징(33)과 유사하게, 도 8에 도시된 주 순환 하우징(42)은 주 분할 판(38) 상에 용접되고 주 분할 판(38)을 통과한다. 순환 하우징(42)은 사전-강화된 블록(6)의 부조립체(12)의 외부에 위치된 순환 하우징의 단부(43)에서 차단된다. 순환 하우징(42)은 분할 판(38)의 상부 부분 상에 용접된다.
유밀 상태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벽 부조립체(12)의 전체 윤곽을 따라 두 개의 윙(39 및 40)들에 대해 생성되었을 때, 주 밀봉 배리어(5)와 보조 밀봉 배리어(3), 뿐만 아니라 주 분할 판(38)에 의해 한정된 주 용적(45)의 유밀 상태가 보조 용적(32)에 대한 유밀 상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
이중-기부 블록(8)은 이어서 다른 블록(6)들과 조립된다. 두 개의 블록(100 및 101)들의 조립은 도 6에 도시된다. 보조 단열 배리어(106)들, 보조 밀봉 배리어(107)들, 주 단열 배리어(108)들, 및 주 밀봉 배리어(109)들을 구비한, 블록(100 및 101)들은 이들의 지지 벽(103)들의 용접에 의해 먼저 조립된다. 도 6의 예에서, 블록(100)은 강화재(strengthener)로서 작용하는 플로어 판들 사이에 연결을 보장하는 내용골(112)을 포함한다. 블록(101)에 도시되는 플로어 판(113)들은 이중 선체 공간 내의 선박의 저부에서 주 횡방향 강화재로서 작용한다. 블록(101)은 또한 코퍼댐으로서 공지된, 중간 탱크 지지 격벽(114)을 포함한다.
블록(100 및 101)들의 지지 벽(103)들 사이의 접합점에서 크기(111)들을 갖는 공간(110)은 이러한 용접 작업을 허용하도록 비-강화 상태로 남겨 진다. 용접 작동 동안, 이중-기부 벽(103)이 영역(104)에서 변형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중-기부 벽(103)의 표면의 이러한 변형은 표면 평편도의 차이(105)를 초래할 수 있다. 표면 평편도의 이러한 차이는 용접 비드를 따르는 림에서 초래될 수 있다. 용접 작동 후, 표면 평편도(105)에서의 차이가 측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 십 밀리미터이다.
블록들이 조립될 때, 벽의 사전-강화된 부분들의 부조립체(12)들 사이의 연결은 연결 영역(13)에서, 특히 밀봉 멤브레인(3 및 5)들을 위한 연결 스트레이크(45)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단열 케이슨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차이(105)는 교정된 케이슨들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두께가 감소된 사전 제작된 박스(115)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사전 제작된 박스(115)들은 보상 판(116)들의 지지를 보장하는 보강물(117)들에 의해 이중-기부 벽의 낮은 또는 중공형 부분들에 구성된 베드 상에 배치된다. 보강물(117)들은 전형적으로 중합체 수지 보강물들이다. 보상 판들은 나무, 또는 전형적으로 200 kg/m3의 폼 밀도(foam density)들 가지는 고밀도 PU 폼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물(117)들 및 보상 판(116)들의 결합(association)은 지지부의 표면 평편도 및 두께가 감소된 박스(115) 사이의 두께와 블록(100 및 101)들 상에 사전 장착된 단열 케이슨들의 두께 사이의 차이를 회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조 단열 배리어의 연속성이 보장되면, 보조 유밀 상태의 연속정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어서 주 배리어를 부가한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의 단계들은 지금부터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열 요소(46 및 47)들은 두 개의 인접한 부조립체(12)들의 보조 분할 요소들 사이의 보조 단열 층에서 제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가장자리 케이슨(47)은 가장자리 판(17) 아래 위치 설정되고 가장자리와 지지 벽(1)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중간 케이슨(46)은 이어서 가장자리 케이슨(47) 상에 병치된다. 도 8에서, 보조 순환 하우징(33)은 횡단면 상에 도시하고, 따라서 보조 순환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용적(32)과 연통하는 것을 보여 줄 수 있다. 가장자리 케이슨(47) 및 중간 케이슨(46)은 각각 이들의 하부 표면 상에 순환 하우징(33)을 수용하는 그루브(48 및 49)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케이슨(46)은 하부 그루브(48) 위로 연장하는 이의 측면 표면에 수직 그루브(50)를 포함한다. 수직 그루브(50)는 이에 따라 순환 하우징(33)으로부터 케이슨(46)의 상부 표면으로 깔때기를 형성한다.
상승 에지들을 구비한 스트레이크들은 보조 가장자리 판(17) 상에 용접 비드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작동은 보조 폐쇄 연결 공간(51)을 형성하도록, 측면 블록(10)에 대응하는 인접한 탱크 벽 부조립체 상에 대칭으로 수행된다. 보조 연결 공간(51)의 유밀 상태는 이어서 그루브(50) 위에 제공되는 오리피스에 제공된 연결 부재(52)에 의해 체크된다. 이어서 가스는 보조 연결 공간 내로 주입되어 앞에서 설명된 누출의 검출을 위한 방법과 유사하게 어떠한 누출도 확인한다.
보조 분할 요소(20)들에 의해 한정되는 상이한 인클로저(32 및 51)들 사이의 연통을 제공하도록, 순환 하우징(33)은 이어서 도 9에 예시된 오리피스(99)에 의해 뚫린다. 이러한 뚫림은 연결 부재(52) 및 그루브(50) 를 통하여 삽입되는 공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 부재(52)는 이어서 차단 스토퍼에 의해 메워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보조 인클로저(51 및 32)들 내에 존재하는 유체들은 도 9에서 화살표(9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속적인 인클로저들 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주 배리어(5)의 연결은 주 연결 인클로저(56)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 가장자리 케이슨(53)들, 및 주 중심 케이슨(54)들을 제위치에 배치하고 상승 에지 스트레이크들로 이루어지는 연결 멤브레인(55)을 주 가장자리 판(37)들 상에 용접함으로써 보조 배리어(3)에 대한 연결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케이슨(53 및 54)들은 이들의 상부 표면에 주 순환 하우징(42)을 수용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주 인클로저의 유밀 상태는 이어서 순환 하우징(42) 위에 위치되는 주 연결 튜브(57)에 의해 테스트된다. 이러한 유밀 상태가 인증되면, 순환 하우징(42)은 이어서 연결 튜브(57)에 의해 뚫어진다. 이러한 천공은 도 10에서 개구(58)로 예시된 바와 같이, 주 순환 하우징(42)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천공은 단지 주 순환 하우징(42)의 상부 부분을 통하여서만 통과할 수 있다. 이어서 연결 튜브(57)는 스토퍼(59)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얻어진 탱크 벽은 주 공간을 가지며 주 공간의 상이한 구획부들이 화살표(9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통되고, 이에 따라 스위핑 가스(sweeping gas)가 순환되는 것을 허용한다. 유사하게, 보조 공간은 복수의 구획부들로 구성되고, 이 복수의 구획부들은 순환 하우징(33) 내의 개구들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이에 따라 스위핑 가스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탱크 벽의 제조 동안 폐쇄 용적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상술된 방법은 사전-강화된 블록들에 의한 조립에 따라 탱크 벽들의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벽의 건조 단계 동안 차단될 것이 요구되는 임의의 유형의 벽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비계가 벽의 마무리를 방해할 때 탱크 벽을 사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탱크 벽들은 소위 상승 에지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응하지만, 다른 탱크 실시예들에서, 벽 구성은 파형 멤브레인(undulating membrane)을 포함하는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멤브레인은 예를 들면 공보 FR-A-2936784호에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 밀봉된 용적을 제공하도록, 파형부 내에 시트 금속의 피스들을 제 위치에 배치하고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의 경우 블록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각각의 파형부의 단부를 메꾸는 것과 같이 시트 금속의 피스의 형태는 파형부의 내부 윤곽에 대응한다.
상술된 주 및 보조 인클로저들 사이의 순환은 순환 하우징(33 및 42)들을 뚫음으로써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순환은 다른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또는 보조 인클로저들 사이의 각각의 순환은 분할 판(20 또는 38)들을 연결 케이슨들을 통하여 그리고 대응하는 밀봉 배리어를 통하여 경사지게 뚫음으로써 직접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순환 하우징의 구조는 상이할 수 있지만, 보조 용적들 또는 주 용적들 사이의 연통을 허용할 수 있다.
서비스 시 주 및 보조 밀봉 배리어들의 조립시 기계적 인장이 있다. 열적 차이들에 의해 유발된 이 기계적 응력들은 사전-강화된 블록 내의 2면각들에서 제거된다. 도 15는 전체적으로 '150'으로서 표시되는 커플러를 제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응력들로부터의 회복을 예시한다. 이러한 커플러(150)는 지지 벽(1)의 두 개의 패널(151)들에 의해 형성된 각도의 2등분선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각도의 2등분선의 양 측면들 상에 배치된 유밀 멤브레인의 열적 편차들로부터 유도된 힘들의 대향 부분에 의해 응력들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정착 판(153)은 두 개의 패널(151)들의 접합부(154)에 용접된다. 이러한 정착 판(153) 상에 로드(156)와 협동하는 맨드렐(155)이 고정된다. 이러한 로드(156)는 맨드렐(155) 및 슬리브(157) 내로 나사 조립되도록 이의 단부에 나사 형성된다. 맨드렐(155)과 대향하는 단부에서 슬리브(157)는 보강 판(158)에 적용되는 보조 유밀 멤브레인(160)을 유지한다. 보강 판(158)은 지지 벽(151) 상의 제 2 단열 배리어의 단열 케이슨(161)을 통해 유지력을 회복하는 합판 요소(159) 상에 지지된다. 슬리브(157)는 또한 슬리브가 배치되는 유밀 멤브레인의 영역에서 유밀 상태를 보장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종래의 부조립체(12)에 대해, 유밀 테스트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밀봉 용적을 얻기 위하여 분할 요소들을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 밀봉 멤브레인(162)의 유지는 보조 부조립체 상에 지지됨으로써 동일한 원리에 따라 얻어진다. 이러한 경우, 로드(156)는 맨드렐에 나사 조립되지 않고 탱크 내부를 향하여 지향되는 슬리브(157)의 단부에 나사조립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용적은 유밀 상태로 제조되어야 하고, 이러한 유밀 상태는 도 4 내지 도 8의 블록의 주 배리어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진행함으로써 인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2면각은 최종 조립 준비가 된 사전 제작된 블록에 포함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장자리 요소들은 폐쇄 용적(32 및 45)들을 얻도록 접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접착에 의해 조립에 의해 관련되는 요소들은 분할 판(20 및 38)들, 앵글 철(19), 지지 벽(1), 및 가장자리 판(17 및 37)들이다. 접착은 교차 결합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열 용융 접착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은 또한 지지 벽 또는 멤브레인에 도포되고 이어서 가열되는 열 가소성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언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조 배리어들의 분할 판들은 상부 윙 및 하부 윙을 가져서 "U"자를 형성한다. 상부 윙은 가장자리 판과 접촉하고 하부 윙은 지지 벽과 접촉한다.
도 1과 같이, 도 12는 저온 유체를 저장하도록 설계되는 선박의 탱크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탱크는 이중-브리지 블록(7)들, 이중-기부 블록(8)들, 및 측면 블록(10)들을 포함하는 사전 제작된 벽 블록(6)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탱크는 또한 사전 제작되는 상부 챔퍼 가공된 섹션(60)들 및 하부 챔퍼 가공된 섹션(61)들을 또한 포함한다. 도 1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에 부가하여, 사전-보강물은 보조 단열 층(2)의 영역들을 연통되게 배치하기 위한 회로의 설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이중 선체 내부에 삽입되는 덕트(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덕트(120)는 각각의 사전 제작된 블록(6)에 제공되는 연결 파이프(121)들을 통해 보조 단열 층(2)의 영역들과 연통한다. 이를 위해, 내부 선체(1)의 벽은 덕트(120)에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21)들이 보조 단열 층(2) 내로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뚫어진다. 이에 따라 구성된 통신망은 펌프 또는 진공 펌프에 의해 연통되게 배치된 영역들 내에 포함되는 유체를 흡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스터 또는 압축기에 의해 예를 들면 관련된 영역을 불활성으로 만들도록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들은 특히 멤브레인들의 유밀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횡방향 격벽(125)(코퍼댐)과 길이방향 벽(126) 사이의 접합부에서 탱크의 앵글 구조의 설명이 지금부터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135), 즉 코퍼댐(125) 및 이중 브리지(126)와 일체형인 고정 플랫(anchorage flat; 124)들을 포함한다. 보조 밀봉 배리어(128)는 전체적으로 "131"로서 표시되는 빔에 용접된다. 앵글에서, 이러한 빔(131)은 연결 링의 역할을 하고 윙(124)들 및 고정 스트립(123)들을 통해 지지 구조물 상에 밀봉 배리어(128)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 구조물(135) 상에 보조 밀봉 배리어(128)의 고정을 보장하는 것에 부가하여, 윙(124)들 및 스트립(123)들은 영역(132, 133 및 134)들의 유밀 상태를 보장한다. 이러한 영역들은 보조 단열 배리어의 보조 단열 요소(127)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빔(131)은 주 단열 배리어를 구성하는 주 단열 요소(129)를 위한 지지 부재로서 그리고 주 밀봉 배리어(130) 상의 고정 부재로서 작용한다.
덕트(120)는 이중 선체 내의 공간에 삽입된다. 지지 구조물(135)을 통한 연결 파이프(121)에 의해, 연결 파이프는 보조 공간 영역(127)들 내에 위치되는 케이슨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영역들은 윙(124)들 및 스트립(123)들에 의해 한정된다. 덕트(120)는 진공 펌프 및/또는 불활성 가스의 소스에 연결되어, 특히 용접부들 상의 유밀 상태 테스트들을 수행한다.
영역마다 유밀 상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도록, 단열 밸브(122)가 각각의 연결 파이프(121)와 덕트(120)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진공 하에서 영역(132, 133 및 134)들 각각을 진공 상태하에서 연속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영역(132, 133, 134)을 연통되게 배치하기 위한 이러한 회로는 예를 들면 질소와 같은 유체들을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를 참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박의 구조물의 블록(6)의 사전 보강 동안 조립체를 단열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용적(32)의 임시 폐쇄에 의해 보조 밀봉 배리어(3)의 유밀 상태를 체크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강 요소인 페쇄 치크(closure cheek; 140)가 보조 밀봉 배리어의 가장자리들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치크(140)는 커버링 영역(141)에서 지지 벽(1)과 협동할 수 있고 제 2 커버링 영역(142) 내의 보조 밀봉 배리어(3)와 협동할 수 있다. 치크(140)는 전체 커버링 영역(14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볼트(143)들에 의해 가장자리 판(147)에 맞닿아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연결의 유밀 상태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밀봉부(144)와 결합된다.
치크(140)는 또한 스터드(145)들에 의해 지지 벽(1)에 고정된다. 커버링 영역(141)과 지지 벽(1) 사이에 가요성 밀봉 부재(144), 예를 들면 매스틱 보강물(mastic reinforcement; 144)이 또한 조립체의 유밀 상태를 위해 적용된다. 최종적으로, 볼트(143)들 및 스터드(145)들의 규칙적인 분배가 결정되어 치크(140)가 가압 가스의 주입을 견디는 것을 허용하고 밀봉 배리어의 유밀 상태를 인증한다.
유밀 상태가 체크되면, 치크(140)는 분해되고 이어서 연속 영역에서 요소들의 연속성이 도 8 내지 도 10에 설명된 연결 케이슨을 배치함으로써 마무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크의 형태는 부조립체(12)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정합함으로써 주 밀봉 배리어(5) 및 보조 밀봉 배리어(3)의 측면 밀봉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가동 치크의 장착의 단일 작동은 주 밀봉 배리어(5) 및 보조 밀봉 배리어(3)에 의해 한정된 용적들의 유밀 상태를 인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테스트들이 완료되면, 단일 분해 작동이 또한 필요하다.
상술된 탱크들은 육지 위 또는 LNG 캐리어 등과 같은 부유 구조물 내 설비들과 같은 상이한 유형들의 설비들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LNG 캐리어(70)의 단면도는 선박의 이중 선체(72) 내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각기둥 형태를 갖는 밀봉 및 단열 탱크(71)를 도시한다. 탱크(71)의 벽은 탱크 내에 들어 있는 LNG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주 밀봉 배리어, 주 밀봉 배리어와 선박의 이중 선체 사이에 배열되는 보조 밀봉 배리어, 및 각각 주 밀봉 배리어와 보조 밀봉 배리어 사이, 및 보조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72) 사이에 배열되는 두 개의 단열 배리어들을 포함한다.
공지된 방식으로, 선박의 상부 갑판 상에 배치되는 적재/하역 배관은 적절한 커넥터들에 의해 바다 또는 부두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어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71)로 LNG의 화물을 전달한다.
도 11은 적재 및 하역 유닛(75), 해저 덕트(76) 및 육지(77) 상의 설비를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적재 및 하역 유닛(75)은 가동 암(74) 및 가동 암(74)을 지지하는 타워(78)를 포함하는 고정식 연안 설비이다. 가동 암(74)은 적재/하역 배관(73)에 연결될 수 있는 단열된 가요성 파이프(79)들의 묶음을 지지한다. 지향될 수 있는 가동 암(74)은 모든 크기들의 LNG 캐리어들에 적응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연결 덕트는 타워(78)의 내부로 연장한다. 적재 및 하역 유닛(75)은 육지(77) 상의 설비로부터 또는 육지 상의 설비로 LNG 캐리어(70)의 적재 및 하역을 허용한다. LNG 캐리어는 액체 가스 저장 탱크(80)들 및 수중 덕트(76)에 의해 적재 또는 하역 유닛(75)에 연결되는 연결 덕트(81)들을 포함한다. 수중 덕트(76)는 먼 거리에 걸쳐, 예를 들면 5 km에 걸쳐 육지(77) 상의 설비와 적재 또는 하역 유닛(75) 사이에 액체 가스의 전달을 허용하며, 이 먼 거리는 적재 및 하역 작업들 동안 해안으로부터 먼 거리에 LNG 캐리어(70)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 가스의 전달을 위해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도록, 선박(70)에 탑재하는 펌프들 및/또는 육지(77) 상에 설비를 구비하는 펌프들, 및/또는 적재 및 하역 유닛(75)을 구비하는 펌프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이 수 개의 특별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특별한 실시예들로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특별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면, 설명된 수단뿐만 아니라 설명된 수단의 조합들의 기술적 균등예들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동사들 "이루어지는(consist of)", "포함하는(comprise 또는 include)" 및 이들의 활용 형태들의 사용은 청구항에서 나타난 단계들 또는 요소들이 아닌 다른 단계들 또는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요소 또는 단계에 대한 단수 형태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이 같은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도면 부호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2)

  1. 밀봉 배리어 및 단열 층의 연속적 중첩에 의해 지지 벽 상에 장착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지지 벽(1) 상에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고정하는(anchoring) 단계로서,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는 규칙적 패턴에 따라 병치되는 평행 육면체 형태를 갖는 단열 요소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단계;
    -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덮는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putting into place)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밀봉 배리어 요소(15)를 위치 설정하고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덮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가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는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중첩되는, 단계, 및
    측면 분할 요소들을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의 전체 윤곽을 따라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둘레의 제 위치에 배치(putting into place)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면 분할 요소들 각각은 폐쇄 치크(closure cheek; 140)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치크(140)는, 상기 지지 벽(1)과 협동하기 위해 제 1 커버링 영역(141)과, 상기 지지 벽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분할 판과, 그리고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의 가장자리 판(border plate) 상에 배열되는 제 2 커버링 영역(142)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치크(140)는, 예컨대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와 상기 지지 벽(1) 사이에 폐쇄 용적(32)을 형성하도록,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를 밀봉 방식으로 상기 지지 벽(1)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과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의 가장자리 판 사이의 연결의 유밀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 치크(140)의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은,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의 상기 가장자리 판과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가요성 밀봉부(144) 및 전체 제 2 커버링 영역(14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볼트(143)들에 의해,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의 상기 가장자리 판에 맞닿아 배치(placed against)되고,
    상기 조립체의 유밀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 치크(140)의 상기 제 1 커버링 영역(141)은, 상기 제 1 커버링 영역(141)과 상기 지지 벽(1) 사이에 배열되는 제 2 가요성 밀봉부(144), 스터드(145)들에 의해, 상기 지지 벽(1)에 고정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폐쇄 용적(32)의 유밀 상태(fluid tightness)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는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이고, 상기 밀봉 커버링은 보조 밀봉 커버링이고,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는 보조 밀봉 배리어 요소이고, 상기 폐쇄 용적(32)은 보조 폐쇄 용적이고,
    상기 보조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를 상기 보조 밀봉 배리어 요소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는 규칙적 패턴에 따라 병치된 평행 육면체 형태를 갖는 단열 요소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단계,
    -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를 덮도록 주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 예컨대 과잉 압력을 생성하도록 주 폐쇄 용적(45) 내로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주 폐쇄 용적(45)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 밀봉 커버링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 상에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위치 설정하고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를 덮는 단계로서, 상기 주 밀봉 배리어 요소가 상기 지지 벽에 평행하도록 상기 주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 상에 중첩되는, 단계; 및
    주 측면 분할 요소들을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의 전체 윤곽을 따라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 둘레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 측면 분할 요소들 각각은 상기 보조 밀봉 배리어 요소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주 분할 판을 포함하며, 예컨대 상기 주 밀봉 배리어 요소와 상기 보조 밀봉 커버링 사이에 주 폐쇄 용적(45)을 형성하도록, 상기 주 측면 분할 요소들은 상기 주 밀봉 배리어 요소를 밀봉 방식으로 상기 보조 밀봉 커버링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치크(140)의 모양은, 상기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의 가장자리 및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의 가장자리에 완벽하게 매칭되고(match), 상기 주 폐쇄 용적과 상기 보조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장착의 단일 작동(single operation of mounting)으로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의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과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의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예컨대 폐쇄 용적 내에 과잉 압력을 생성하도록, 검출 가능한 테스트 가스를 폐쇄 용적(32, 45, 51, 56) 내로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폐쇄 용적(32, 45, 51, 56) 외부에서 상기 검출 가능한 가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동안 상기 폐쇄 용적 내로 주입되는 테스트 가스가 헬륨 또는 암모니아인,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벽 상에 그리고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 상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측면 분할 요소들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벽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는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 및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벽 상에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고정하는 단계는:
    - 상기 지지 벽(1)의 제 1 패널 상에 상기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 상기 지지 벽(1)의 제 2 패널 상에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벽의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일체형인 정착 판(anchorage plate)에 고정된 커플러에 의해 상기 밀봉 배리어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는, 예컨대 상기 제 1 단열 배리어 유닛 및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유닛을 덮도록,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정착 판은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사이의 교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두 개의 패널들에 의해 형성된 각도의 이등분선 상의 상기 정착 판으로부터 지향되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밀봉 커버링을 통하여 밀봉 방식으로 통과하고 상기 로드 상에 상기 밀봉 커버링의 고정을 보장하는 슬리브를 또한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8.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 의해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을 제조하는 단계-각 사전 제작된 블록은, 상기 지지 벽과, 상기 지지 벽 상에 장착되는 상기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을 포함함-;
    - 상기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의 조립된 지지 벽들의 연결 영역(13)에서 두 개의 블록들의 부조립체들을 분리하는 공간(110)을 두고서, 상기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의 지지 벽들을 조립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영역에서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의 부조립체들의 단열 층들과 밀봉 배리어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 상기 두 개의 지지 벽들의 연결 영역(13) 상에서 제 1 폐쇄 용적(32, 45)에 대해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46, 47, 53, 54)를 병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의 두 개의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들의 측면 분할 요소들 사이의 제 위치에 배치되는 단열 요소(46, 47)들을 포함하는, 단계;
    -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덮는, 단계;
    - 예컨대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 각각의 상기 제 1 폐쇄 용적(32, 45)에 인접하고 측면 분할 요소(19, 20, 17, 38, 37)들에 의해 상기 제 1 폐쇄 용적(32, 45)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폐쇄 용적(51, 56)을 형성하도록,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 각각의 밀봉 커버링의 측면 분할 요소(19, 20, 17, 38, 37)들에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연결하는 단계;
    -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 각각의 제 1 폐쇄 용적(32, 45)을 상기 제 2 폐쇄 용적(51, 56)과 유체 연통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쇄 용적(32, 45)을 상기 제 2 폐쇄 용적(51, 56)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밀봉 용적과 상기 제 2 밀봉 용적 사이의 측면 분할 요소에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폐쇄 용적(51)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는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에 제공되는 오리피스(52, 57)을 통하여 체크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오리피스(52, 57)를 통한 드릴링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62)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통하여 측면 분할 요소(19, 20, 17)를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측면 분할 요소의 돌출하는 중공형 부분(33, 42) 내에 제공되며, 상기 돌출하는 중공형 부분은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 1 폐쇄 용적(32, 45) 내로 개방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쇄 용적을 상기 제 2 폐쇄 용적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폐쇄 용적과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 벽(1)을 통하여 개방하는 제 1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제 2 폐쇄 용적과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 벽을 통하여 개방하는 제 2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 회로를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용적들 각각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지지 벽의 드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지지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체 회로에 상기 폐쇄 용적들 각각을 연결하도록, 상기 각각의 연결 파이프를 각각의 보어들 내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측면 분할 요소(19, 20, 17, 38, 37)들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상기 밀봉 커버링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판(17, 37)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측면 분할 요소들이 제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는 상기 가장자리 판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를 측면 분할 요소(19, 20, 17, 38, 37)들에 연결하는 동안 상기 제 2 밀봉 배리어 요소는 상기 가장자리 판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 벽들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의 부조립체들의 주 단열 층들 및 상기 주 밀봉 배리어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 상기 주 폐쇄 용적(45)에 대해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를 병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블록들의 두 개의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들의 주 분할 요소들 사이의 제 위치에 배치되는 주 단열 요소들(53, 54)을 포함하는, 단계;
    -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55)를 상기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 상의 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55)는 상기 지지 벽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2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53, 54)를 덮는, 단계;
    - 예컨대 상기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 각각의 주 폐쇄 용적(45)에 인접하고 상기 주 측면 분할 요소들에 의해 상기 주 폐쇄 용적(45)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주 폐쇄 용적(56)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주 밀봉 배리어 요소(55)를 상기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의 각각의 주 밀봉 커버링의 주 측면 분할 요소(37, 38)들에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제 2 주 폐쇄 용적(56)과 두 개의 사전 제작된 블록들 각각의 주 폐쇄 용적(45) 사이의 주 측면 분할 요소 내에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측면 분할 요소 내에 개구를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주 폐쇄 용적(56)의 유밀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의 제조를 위한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배리어는 파형 멤브레인(undulating membrane)을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를 위한 방법.
  20. 밀봉 및 단열 탱크로서,
    지지 벽,
    밀봉 배리어 및 단열 층의 연속적인 중첩에 의해 상기 지지 벽 상에 장착된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으로서, 상기 탱크 벽은 상기 지지 벽(1) 상에 배치되는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는 규칙적인 패턴에 따라 병치된 평행 육면체 형태를 가진 단열 요소들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벽,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덮는 밀봉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커버링은: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를 덮는 밀봉 배리어 요소(15)로서,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가 상기 지지 벽에 평행하도록,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는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상에 중첩되는, 밀봉 배리어 요소; 및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의 전체 윤곽을 따른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로서, 상기 측면 분할 요소들 각각은 폐쇄 치크(140)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치크(140)는, 상기 지지 벽(1)과 협동하기 위해 제 1 커버링 영역(141)과, 상기 지지 벽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분할 판과, 그리고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의 가장자리 판 상에 배열되는 제 2 커버링 영역(142)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치크(140)는, 예컨대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와 상기 지지 벽(1) 사이에 제 1 폐쇄 용적(32)을 형성하도록, 상기 밀봉 배리어 요소(15)를 밀봉 방식으로 상기 지지 벽(1)에 연결하는, 측면 분할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과 보조 밀봉 배리어(3)의 가장자리 판 사이의 연결(link)의 유밀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 치크(140)의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은, 상기 보조 밀봉 배리어(3)의 상기 가장자리 판과 상기 제 2 커버링 영역(142) 사이에 배열되는 가요성 밀봉부(144) 및 전체 제 2 커버링 영역(14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볼트(143)들에 의해, 가장자리(147)에 맞닿아 배치되고,
    상기 조립체의 유밀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 치크(140)의 상기 제 1 커버링 영역(141)은, 상기 제 1 커버링 영역(141)과 상기 지지 벽(1) 사이에 배열되는 가요성 밀봉부(144), 스터드(145)들에 의해, 상기 지지 벽(1)에 고정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16)는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이고,
    상기 폐쇄 치크의 모양은, 상기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의 가장자리 판 및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의 가장자리 판에 완벽하게 매칭되고, 주 폐쇄 용적과 보조 폐쇄 용적의 유밀 상태를 장착의 단일 작동으로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의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과 상기 주 단열 배리어 부조립체(36)의 둘레의 측면 분할 요소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배리어는 파형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20157015557A 2012-11-16 2013-11-14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KR101966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60942A FR2998256B1 (fr) 2012-11-16 2012-11-16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FR1260942 2012-11-16
PCT/FR2013/052737 WO2014076424A1 (fr) 2012-11-16 2013-11-14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304A KR20150086304A (ko) 2015-07-27
KR101966963B1 true KR101966963B1 (ko) 2019-08-13

Family

ID=4812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557A KR101966963B1 (ko) 2012-11-16 2013-11-14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351610B2 (ko)
KR (1) KR101966963B1 (ko)
CN (1) CN104853983B (ko)
FR (1) FR2998256B1 (ko)
MY (1) MY192316A (ko)
WO (1) WO201407642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580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1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8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4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3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7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157504A (ko) * 2020-06-18 202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2258B1 (fr) * 2015-01-30 2017-07-28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tallation de stockage et de transport d'un fluide cryogenique embarquee sur un navire
FR3042253B1 (fr) * 2015-10-13 2018-05-1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KR101772581B1 (ko) * 2015-12-15 2017-08-31 주식회사 경동원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교차적층 된 진공단열패널의 연결 구조
GB2554862A (en) * 2016-10-04 2018-04-18 Torgy Lng Holding As Secondary barrier system
FR3069043B1 (fr) * 2017-07-13 2020-10-3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bande de support incurvee
FR3070673B1 (fr) * 2017-09-07 2019-09-13 Gaztransport Et Technigaz Ouvrage flottant comprenant une cuve apte a contenir du gaz combustible liquefie
FR3079301B1 (fr) * 2018-03-21 2020-10-30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diffusion d'un gaz traceur et procede de test de l'etancheite d'une membrane
FR3082593B1 (fr) * 2018-06-13 2020-06-1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munie d'un element de jonction ondule
FR3096111B1 (fr) * 2019-05-16 2023-03-24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de transport et/ou de stockage pour gaz sous forme liquide
FR3097964B1 (fr) * 2019-06-28 2021-11-12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test d’étanchéité de membrane étanche
KR102553159B1 (ko) * 2021-06-02 2023-07-10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60B1 (ko) 2009-03-12 2011-03-16 주식회사 디섹 Gtt no96 멤브레인형 lng선 카고탱크의 기밀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581A (en) * 1971-12-27 1974-01-01 Phillips Petroleum Co Fluid containment system
US4335831A (en) * 1978-01-16 1982-06-22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Insulated cryogenic liquid container
CN85105351B (zh) * 1985-07-13 1988-04-13 日本钢管株式会社 液化气储运罐的绝热方法和系统
JPS62269032A (ja) * 1986-05-19 1987-11-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ンクの漏洩テスト方法
FR2683786B1 (fr) * 1991-11-20 1994-02-18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JPH05157653A (ja) * 1991-12-04 1993-06-25 Nkk Corp 溶接部気密試験構造
FR2709726B1 (fr) * 1993-09-09 1995-12-22 Gaz Transport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ée, intégrée à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2709725B1 (fr) * 1993-09-09 1995-11-10 Gaz Transport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égrée à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ayant une structure d'angle simplifiée.
FR2780767B1 (fr) * 1998-07-01 2000-10-13 Agence Spatiale Europeenne Paroi pour reservoir cryogenique
FR2798358B1 (fr) * 1999-09-14 2001-11-02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a structure d'angle simplifiee
NO20042678D0 (no) * 2004-06-25 2004-06-25 Det Norske Veritas As Tank for storage of fluids at low temperatures, support means for a tank, sandwich structure for use in a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nk
JP4616279B2 (ja) * 2004-12-08 2011-01-19 コリア 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液化天然ガスの保存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ES2383392B1 (es) * 2007-05-29 2013-05-03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Sistema de aislamiento de tanques de almacenamiento de gnl que tiene una barrera secundaria soldada y metodo de construccion del mismo
FR2936784B1 (fr) 2008-10-08 2010-10-08 Gaztransp Et Technigaz Cuv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KR20110011155A (ko) * 2009-07-28 2011-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엘엔지선의 카고탱크 내 사이드오프닝부 시공방법
CN102052599A (zh) * 2010-09-15 2011-05-11 无锡滨达工业创意设计有限公司 杆秤式台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60B1 (ko) 2009-03-12 2011-03-16 주식회사 디섹 Gtt no96 멤브레인형 lng선 카고탱크의 기밀검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580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1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8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4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3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77B1 (ko) * 2020-06-18 2021-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157504A (ko) * 2020-06-18 202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50341B1 (ko) 2020-06-18 202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98256A1 (fr) 2014-05-23
CN104853983A (zh) 2015-08-19
FR2998256B1 (fr) 2019-12-20
JP2016503368A (ja) 2016-02-04
WO2014076424A1 (fr) 2014-05-22
KR20150086304A (ko) 2015-07-27
CN104853983B (zh) 2018-07-24
MY192316A (en) 2022-08-17
JP6351610B2 (ja)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963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벽의 제조 방법
US9677710B2 (en) Corner structure of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AU2016290011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having a secondary sealing membrane equipped with a corner arrangement with corrugated metal sheets
KR102389246B1 (ko) 밀봉되고 단열인 탱크의 코너 구조 및 그것의 조립 방법
CN112303475A (zh) 一种用于液化天然气储存的双金属低温薄膜陆用储罐
US20160069514A1 (en) Uncoupling of the corrugations of an impervious barrier
KR102169516B1 (ko) 리퀴드 돔을 조립하는 방법
US20210317950A1 (en) Corner structure for a sealed, thermally insulated tank
JP6134712B2 (ja) タンク壁を製造するための絶縁ブロック
US20150033769A1 (en) Pump tower installation structure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08725A (ko) 1차 리테이닝 수단이 제공된 시일링된 절연 베셀
JP2023508622A (ja) 密閉断熱タンク
AU2013298366A1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wall comprising spaced-apart support elements
CN215215721U (zh) 一种用于液化天然气储存的双金属低温薄膜陆用储罐
KR20150028285A (ko) 강화 뚜껑 패널을 포함하는 유밀한 단열 탱크용 래깅 요소
KR102205481B1 (ko) 샌드위치단열구조의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샌드위치단열구조가 적용되는 lpg 탱크, 코퍼댐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474599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
KR20230159388A (ko) 압축된 유체들을 저장 및 운반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5702310A (zh) 用于液化气体的储存罐的液体圆顶
KR102153823B1 (ko) 샌드위치단열구조의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샌드위치단열구조가 적용되는 lpg 탱크, 코퍼댐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622457B1 (ko) 액화가스 저장 설비
KR10273041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RU2797623C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монтажа резервуара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RU2791211C1 (ru) Хранилище дл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10229730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