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345B1 -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345B1
KR102335345B1 KR1020170060523A KR20170060523A KR102335345B1 KR 102335345 B1 KR102335345 B1 KR 102335345B1 KR 1020170060523 A KR1020170060523 A KR 1020170060523A KR 20170060523 A KR20170060523 A KR 20170060523A KR 102335345 B1 KR102335345 B1 KR 10233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ollower
roller finger
pallet
vehic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784A (ko
Inventor
최명식
곽영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45B1/ko
Priority to US15/794,852 priority patent/US10309264B2/en
Priority to CN201711096674.6A priority patent/CN108868934A/zh
Publication of KR2018012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5Overhead end-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벽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팔렛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상기 벽부의 하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A ROLLER FINGER FOLLOWER}
본 발명은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연 기관의 밸브 기구에 구비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 축(cam 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된다. 또한,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캠 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된다.
한편, 최적의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개폐 시기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밸브의 개폐는 밸브 트레인의 롤러 핑거 팔로워를 통해 수행되며,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는 연료의 연소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는 캠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는 원가절감을 위해 프레스 성형을 이용한 스탬핑 공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롤러 핑거 팔로워는 캠과 접촉되도록 베어링이 장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밸브와 접촉되는 팔렛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러 핑거 팔로워는 몸체부와 팔렛부가 연결되는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어렵고, 하중의 누적으로 인해 내구성 저하 및 몸체부와 팔렛부 사이에 피로파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어링과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팔렛부에서 피로파괴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벽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팔렛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상기 벽부의 하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벽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팔렛부의 하부를 지나는 가상 수평선(L)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팔렛부를 향하여 설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렛부는 상기 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팔렛부는 상기 벽부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팔렛부의 돌출된 끝단 하면은 하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된 밸브 접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 상기 팔렛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연결 샤프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에 의하면, 베어링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메인 바디의 벽부에 연결되는 팔렛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베어링에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팔렛부에서 피로파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의 내구성을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하나의 기구로 2개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탬핑 공법으로 제작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롤러 핑거 팔로워의 내구성을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스탬핑 공법을 유지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가 적용된 밸브 트레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가 적용된 밸브 트레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1)는 엔진의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밸브(5)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1)는 하나의 기구로 2개의 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롤러 핑거 팔로워(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 팔렛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바디(10)는 지지부(12)와 벽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는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1)와 상기 밸브(5)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부(rash adjuster)인 피봇(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벽부(14)는 상기 지지부(12)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2)로부터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벽부(14)는 상기 지지부(12)의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팔렛부(20)는 상기 벽부(14)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10)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벽부(20)에는 베어링(B)이 장착되도록 장착홀(16)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B)은 연결 샤프트(18)를 통해 상기 장착홀(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B)은 캠 샤프트(미도시)와 원활하게 캠 접촉되면서,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1)의 상기 팔렛부(20)를 통해 상기 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팔렛부(20)는 상기 벽부(14)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팔렛부(20)는 상기 벽부(14) 외측면에 폭 길이만큼 접촉되어 상기 메인 바디(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팔렛부(20)는 상기 벽부(14)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기 밸브(5)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효율적으로 상기 벽부(14)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렛부(20)는 반복 전달되는 하중의 누적으로 인한 피로파괴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팔렛부(20)는 상기 벽부(14)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렛부(20)의 돌출된 끝단 하면은 하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된 밸브 접촉면(22)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팔렛부(20)는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1)가 레버 운동을 할 경우, 상기 밸브 접촉면(22)을 통해 상기 밸브(5)와의 접촉됨으로써, 상기 밸브(5)와의 마찰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베어링(B)으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10)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홀(1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상기 벽부(14)의 하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벽부(14)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12)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0)는 양단이 각각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팔렛부(20)의 하부를 지나는 가상 수평선(L)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12)로부터 상기 팔렛부(20)를 향하여 설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베어링(B)과의 접촉이 방지되고, 상기 벽부(14)의 하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베어링(B)으로부터 상기 벽부(14)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지지부(12)로부터 상기 팔렛부(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벽부(14)의 하부로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메인 바디(10), 상기 팔렛부(20), 및 상기 연결부(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1)를 적용하면, 상기 베어링(B)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메인 바디(10)의 벽부(14)에 연결되는 상기 팔렛부(2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밸브(5)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상기 베어링(B)에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상기 팔렛부(20)에서 피로파괴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핑거 팔로워(1)의 내구성을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하나의 기구로 2개의 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탬핑 공법으로 제작하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롤러 핑거 팔로워
3 : 유압간극조절부
5 : 밸브
10 : 메인 바디
12 : 지지부
14 : 벽부
16 : 장착홀
18 : 연결 샤프트
20 : 팔렛부
22 : 밸브 접촉면
30 : 연결부
B : 베어링

Claims (11)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벽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팔렛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 상기 벽부의 하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는
    상기 베어링과의 접촉이 방지되고, 상기 벽부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상기 벽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분산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팔렛부의 하부를 지나는 가상 수평선(L)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팔렛부를 향하여 설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벽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부는
    상기 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부는
    상기 벽부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부의 돌출된 끝단 하면은 하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돌출된 밸브 접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상기 팔렛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연결 샤프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KR1020170060523A 2017-05-16 2017-05-16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KR10233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3A KR10233534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US15/794,852 US10309264B2 (en) 2017-05-16 2017-10-26 Roller finger follower
CN201711096674.6A CN108868934A (zh) 2017-05-16 2017-11-09 滚柱指轮随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3A KR10233534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84A KR20180125784A (ko) 2018-11-26
KR102335345B1 true KR102335345B1 (ko) 2021-12-03

Family

ID=6427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23A KR10233534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9264B2 (ko)
KR (1) KR102335345B1 (ko)
CN (1) CN10886893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437A1 (en) 2009-06-05 2010-12-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ocker arm for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249753A (ja) * 2012-05-30 2013-12-12 Nisshin Seisakusho:Kk 動弁装置及びロッカーアーム
CN104481622A (zh) 2014-11-20 2015-04-01 绵阳富临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无滚子气门摇臂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856A (en) * 1990-10-15 1991-04-30 Ford Motor Company Engine finger follower type rocker arm assembly
JP4084542B2 (ja) 2001-03-07 2008-04-30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可変動弁機構
DE102005023201A1 (de) * 2005-05-20 2006-11-23 Schaeffler Kg Schleppheb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46897A1 (de) * 2005-09-30 2007-04-05 Schaeffler Kg Kippheb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US8086625B2 (en) * 2008-07-31 2011-12-27 Simply Hired, Inc. Automated method for re-attracting job seekers to job match site at more opportune times
DE102013220850A1 (de) * 2013-10-15 2015-04-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ipphebel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CN205779080U (zh) * 2016-05-27 2016-12-07 台州威德隆机械有限公司 一种摇臂合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437A1 (en) 2009-06-05 2010-12-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ocker arm for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249753A (ja) * 2012-05-30 2013-12-12 Nisshin Seisakusho:Kk 動弁装置及びロッカーアーム
CN104481622A (zh) 2014-11-20 2015-04-01 绵阳富临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无滚子气门摇臂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68934A (zh) 2018-11-23
US20180334929A1 (en) 2018-11-22
US10309264B2 (en) 2019-06-04
KR20180125784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3769B2 (ja) エンジンの連続可変バルブリフト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20160197A1 (en) Variable valv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84741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JP2008175133A (ja) 内燃機関の燃焼室構造
JP5100474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におけるロッカシャフト支持構造
KR102335345B1 (ko) 차량용 롤러 핑거 팔로워
US7673602B2 (en) Variable valve mechanism
CN107701253B (zh) 一种摇臂机构
CN103758601A (zh) 用于发动机的配气机构及具有其的车辆
US20150059673A1 (en) 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actuator of engine
JP4589286B2 (ja) 開弁特性可変型内燃機関
US7762223B2 (en)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3742691U (zh) 用于发动机的配气机构及具有其的车辆
US8613265B2 (en) Detent structure for rocker shaft
KR101511959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US7918201B2 (en)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engine
KR101511958B1 (ko) 밸브의 편차조절장치
JP4571172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のコントローラ
JP4161209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493291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JP503557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340637B2 (ja) エンジン
JP4706867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511961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JP4051179B2 (ja) 可変動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