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831B1 -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831B1
KR102334831B1 KR1020210060225A KR20210060225A KR102334831B1 KR 102334831 B1 KR102334831 B1 KR 102334831B1 KR 1020210060225 A KR1020210060225 A KR 1020210060225A KR 20210060225 A KR20210060225 A KR 20210060225A KR 102334831 B1 KR102334831 B1 KR 102334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drone
parallel structure
im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상
이강열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8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B64C2201/127
    • B64C2201/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을 포함하되,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드론과, 상기 드론을 거치 및 관리하기 위한 스테이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지유닛은, 일정면적을 가지는 받침플레이트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 상에 설치되는 수직구조체; 상기 수직구조체의 일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1평행구조체; 상기 수직구조체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평행구조체; 상기 수직구조체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1-1연장체와, 상기 제1-1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1-1내삽체를 포함하는 제1-1삽입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IMAGE MAP MAKING SYSTEM}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있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측정기는 현장에서 GPS와 결합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각종 지형물에 의한 가림이 없는 광야 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도외지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고층건물이 집중된 도심에서는 GPS위성과의 통신이 곤란하고, 수많은 방해 전파가 범람하며, 이로 인한각종 센서의 오작동 발생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는 지형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했다. 또한, 매 건물마다 위치측정기를 설치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공간영상도화, 수치지도제작 등의 연계과정에서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 보다 효율성, 안정성, 비용절감 등을 모두 확보하는 드론운용을 가미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234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항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영상도화, 수치지도제작 등의 연계과정에서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 보다 효율성, 안정성, 비용절감 등을 모두 확보하는 드론운용을 가미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드론 운용을 위한 수단으로서 드론을 거치하고, 드론의 상태에 따라 운용 혹은 대기 수리 등을 위한 구별된 취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드론에 대한 에너지 보조와 물리적으로 내진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모두 갖춘 구조물을 함께 제공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을 포함하되,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드론과, 상기 드론을 거치 및 관리하기 위한 스테이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드론은, 드론 본체(10)와, 상기 드론 본체(10)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20)과, 항공 촬영 사진에서 지상의 기준점이 나타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표지로서,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통기홀(31)이 뚫어져 있는 대공표지부재(30)를 포함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항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영상도화, 수치지도제작 등의 연계과정에서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 보다 효율성, 안정성, 비용절감 등을 모두 확보하는 드론운용을 가미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드론 운용을 위한 수단으로서 드론을 거치하고, 드론의 상태에 따라 운용 혹은 대기 수리 등을 위한 구별된 취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드론에 대한 에너지 보조와 물리적으로 내진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모두 갖춘 구조물을 함께 제공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식으로 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산기의 연산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드론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드론에 채용되는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랜딩기어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된 상태를 정면에서 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메라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테레오카메라의 조립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
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100,102,104)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메모리가 실장된 차량제어기(110)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RF를 발신하는 RF발신기(R1,R2,R2)가 각 차량에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에는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하에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 즉좌표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G1,G2,G3)도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의 지붕에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120)가 더 설치되어 입체 영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가 높은 건물의 경우 그 직상방에서 드론(200)이 촬영할 경우측면 이미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측면 이미지를 입체 영상이미지로 획득한 후 평면 이미지와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미지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때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RF발신기(R1,R2,R3)는 RF를 발진시켜 드론(2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진된 신호는 RF발신기(R1,R2,R3) 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고유한 RF를 포함하므로 드론(200)은 수신한 RF를 통해당해 RF를 발진한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할 수 있다.아울러, 상기 RF발신기(R1,R2,R3)는 드론(200)이 촬영대상 지면(즉, 촬영존)에 진입하면 각 차량(100,102,104)에 설치된 차량제어기(11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단발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발로 지속해서 발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200)은 관리서버(300) 및 차량(100,102,104)과의 무선통신을 비롯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드론제어기(210)를 탑재한다. 이때, 상기 드론제어기(210)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211)와, RF발신기(R1,R2,R3)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기(212)와, 드론(200)이 위치한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계(213)와,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드론(200)이 현재 위치한 지점의 지피에스 좌표를 확인하는 좌표계(214)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좌표계(214)가 확인한 위치정보 및 고도계(213)에서 확인된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지면상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기(215)와, 상기 연산기(215)가 연산한 거리정보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촬영존의 촬영이미지 상에 위치정보를 합성하는 위치정보합성기(216)와, 합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드론메모리(2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11)은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일반적인 카메라로,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이 적용될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입체영상 이미지 확보를 위해 드론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RF수신기(212)는 RF발신기(R1,R2,R3)가 발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발진신호에 포함된 RF를 확인하여 구별하며, 구별 정보는 드론제어기(210)가 인식한다. 아울러, 상기 연산기(215)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촬영존의 둘레중 적어도 3곳에 배치된 RF발신기(R1,R2,R3)와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차량(100,102,104)과, 촬영존 내의 상부 일정높이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드론(200)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촬영존, 즉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11)가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단위공간의 크기에 대한 영상이미지에 좌표값, 다시 말해 위치정보를 삽입하여 도화모듈(330)이 도화할 때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도록 차량(100,102,104)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하기 위해 드론(200)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 지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드론(200)의 위치는 좌표계(214)를 통해 알고 있고, 또한 촬영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은 고도계(213)를 통해 알고 있으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RF의 속도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시간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결국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으로부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산출되게 된다.
이렇게,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을 기준으로 각 GPS수신기(G1,G2,G3)가 획득한 좌표값과, 기준점으로부터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정보를 알기 때문에 결국 촬영된 촬영존의 영상이미지에 RF발신기 (R1,R2,R3)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촬영존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할 때 각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도화하게 되면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메모리(217)는 위치정보가 합성된 촬영이미지를 저장물 형태로 기록한 후 드론제어기(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화모듈(3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드론메모리(217)는 이를 테면 RAM과 같이 임시 저장기능을 갖는 외장형 디스크(USB방식으로 탈부착되는기록매체, 또는 SD 카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디스크일 수도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하드드라이브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론(200)은 장시간, 이를 테면 적어도 6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은 부력상승 기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드론(20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원반형태의 드론몸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220)의 하면에는 엔진챔버(230)가 고정되고, 상기 엔진챔버(230)의 저면 중심에는 카메라(2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엔진챔버(230)의 저면 외곽에는 랜딩기어(400)가 설치되어 상기 드론(200)이 비행, 착륙 등을 수행할 때 드론몸체(220)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드론암, 드론로터, 드론로터모터 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사항이므로 도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드론(200)의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엔진챔버(230) 내부에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가 설치된다.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는 도 6에 예시한 사진과 같이, IHI社(일본)에서 생산판매하는 제품을 사용할수 있는데, 이러한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는 손바닥 크기의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터빈에 초고속 발전기를 일체로 결합시킨 형태로서 포일베어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한 오일프리 구조를 가지며, 분당 40만 회전, 최대 400와트의 발전능력을 가진 터빈형 발전기이다. 특히,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의 구동시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엔진냉각을 위해 상기 엔진챔버(230)의 내부 천정면에는 냉각팬(242)이 구비되고, 엔진챔버(230)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기공(232)이 천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론몸체(210)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요입된 축전지설치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의 양측에는 부력챔버(26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채워진다. 물론, 공기는 빠져나갈 수 있고 유입될 수 있도록 둘레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챔버(260)의 일측에는 앞서 설명한 드론제어기(21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에는 축전지(270)가 장착되고, 상기 축전지(270)는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와 연결되어 전기를 축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설치홈(250)과 축전지(270) 사이에는 단열패드(272)가 개재되면 더욱 좋다. 단열패드(272)는 상기 축전지(270)가 상기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하여 축전지(27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설치홈(250)을 포함한 상기 드롬몸체(220)의 상면은 드론커버(280)에 의해 밀폐된다. 이렇게 하면, 드론(200)은 엔진인 초소형 가스터빈발전기(24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축전지(270)에 축전하게 되므로 드론(200)이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는 충분한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드론몸체(220)는 내구성과 경량화를 위해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 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 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다른 한편,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메인제어부인 서버제어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제어기(310)에는 상기 드론(200)과 무선통신하여 도화에 필요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상기 서보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도화하는 도화모듈(330)과, 상기 서버제어기(310)에 연결되고 송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메모리(340)를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 드론(200)은 긴급 상황에서 수상에 착륙할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수상에서 이륙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수상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랜딩기어(400)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이 수륙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랜딩기어(400)의 하단에는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같은 제1,2부력체(410,42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2부력체(410,420)는 양단이 밀폐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중공된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1,2부력체(410,420)의 부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2부력체(410,420)의 내부에는 이중관 형태로 헬륨가스챔버(430)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헬륨가스챔버(430)에는 헬륨가스가 채워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헬륨가스챔버(430)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리브(44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가스충전구(450)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충전구(450)는 밀폐마개 (460)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헬륨가스를 충전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부력체(410,4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일체로 돌출된 판상의 제1,2고정편(470,480)이 더구비되는데, 상기 제1,2고정편(470,480)에는 상기 랜딩기어(400)의 하단이 각각 고정된다.또한, 상기 제1,2부력체(410,420)의 외주면 하측에는 제1,2받침다리(412,422)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2받침다리(412,422)는 육상 이착륙시 사용되는 지지수단이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200)은 제1,2부력체(410,420)에 의해 수상 이착륙도 가능하고, 제1,2받침다리
(412,422)의 존재로 인해 육상 이착륙도 가능하게 되어 수륙 이착륙이 용이하므로 비상시 수상에 내려 앉거나 뜰 수도 있는 장점이 있어 파손이나 손상, 침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즉, 귀중한 촬상 정보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자산 관리상 유용성이 현저히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의 지붕에 구비되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120)를 유동 및 부분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장애물 회피력을 증대시켜 정확한 촬상이 가능하도록 도 9 및 도 10과 같은 형태의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차량(100,102,104)의 지붕 상면에는 고정포스트(POST)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포스트(POST)에는 수직이동블럭(5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POST)의 수직이동블럭(500)이 끼워진 면 일측에는 수직구동모터(510)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구동모터(510)에는 수직볼스크류(5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수직볼스크류(520)는 상기 수직이동블럭(500)을 관통하여 이와 스크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구동모터(51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이동블럭(500)은 상기 고정포스트(POST)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이동블럭(500)의 비결합면에는 수평안내판(530)이 볼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평안내판(530)에는 수평이동블럭(5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수평이동블럭(540)이끼워진 면 일측에는 수평구동모터(550)가 고정되고, 상기 수평구동모터(550)에는 수평볼스크류(560)가 연결되는데 상기 수평볼스크류(560)는 상기 수평이동블럭(540)을 관통하여 이와 스크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구동모터(55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블럭(540)은 상기 수평안내판(53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블럭(540)에는 스테레오카메라(120)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아울러, 상기 스테레오카메라(120)는 좌안 카메라(CA1)와 우안 카메라(CA2)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2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수평이동블럭(540)의 비결합면에는 체결홈(542)이요입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42)에는 조절구(544)가 나사체결되는데, 상기 조절구(544)는 일단에 조절구(544) 보다 더 큰 직경의 플랜지 형상을 갖는 고정환편(54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환편(546)에는 카메라설치홈(548)
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설치홈(548)에 스테레오카메라(120)를 구성하는 좌안 카메라(CA1) 및 우안 카메라(CA2)의 각 일단이 체결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좌안 카메라(CA1) 단독, 혹은 우안 카메라(CA2)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게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스테레오카메라(120)를 상하 좌우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간섭물 회피 설계가 용이하여 보다정확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줌 기능은 스테레오카메라(120)의 렌즈 구성 자체에 구현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포스트(POST)와 직이동블럭(500)과 수평안내판(530)과 수평이동블럭(540)은 내구성과 내습성, 내변색성 및 윤활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성형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조성물은, 카본블랙 2.5중량%,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 8중량%, 옥시비스 3중량%, 산화나트륨 4중량%, 티오시안구리 1.5중량%, F-T 왁스(Fischer-Tropsch Wax) 8중량%, 규산소다 2중량%, 애타풀자이트(attapulgite) 2중량%, 포졸란(Pozzolan) 5중량%, 폴리부텐(Polybutene) 3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 4중량%,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중량%, 세바스산 2중량%, 테르븀 2중량%,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혼합 조성된다. 이때, 상기 카본블랙은 전도성 카본블랙 나노입자(분말)로서 카본블랙의 유전특성에 의해 전자기파를 흡수 차폐하게 된다. 다만, 성형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된다. 또한,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는 Ni-CF 5%를 말하며, Ni-CF 5%란 탄소섬유(CF:Carbon Fiber)에 금속으로니켈이 5중량% 분산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금속이 코팅된 섬유상 충전재는 전자기파 차폐 능력은 물론 수지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옥시비스(OXYBIS)는 가교기능을 통해 경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이소프로필에테르(Iso-PropylEther)를 말하며, 상기 산화나트륨은 알카리성 산화물로서 항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오염방지제로서, 이물부착을 억제하고 방습성, 즉 내습성을 강화하기 위해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F-T 왁스(Fischer-Tropsch Wax)는 점도 조절 및 교반성 증대와 성형물의 변형 억제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조성물들간의 바인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애타풀자이트는 보통 증점 및 벌킹을 위해 첨가하는 재료지만 본 발명에서는 섬유상 구조로인한 신율 향상에 따른 탄성력 강화와 내열성 증대를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은 자외선 및 열과 화학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유화를 촉진하여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이물방지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켜 조성물 상호간의 바인딩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바스산(sebace acid)은 이물부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내마모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강한 내구성과 경도 특성을 구축하여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조성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5cmХ5cmХ0.5cm 크기의 시료를 만들고, 전자파 차폐능력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차폐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수성(내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염수에 침지시킨 상태로 15일간 유지 후 확인하였으나 염수 침습이 발생하지 않았다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드론과, 상기 드론을 거치 및 관리하기 위한 스테이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지유닛은, 일정면적을 가지는 받침플레이트부(1100);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 상에 설치되는 수직구조체(1200); 상기 수직구조체(1200)의 일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1평행구조체(1300); 상기 수직구조체(1200)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평행구조체(1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구조체(1200)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1-1연장체(1211)와, 상기 제1-1연장체(12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가 내삽되는 제1-1내삽체(1212)를 포함하는 제1-1삽입모듈; 타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2-1연장체(1221)와, 상기 제2-1연장체(122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가 내삽되는 제2-1내삽체(1222)를 포함하는 제2-1삽입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1내삽체(1212)는 상기 제1-1연장체(1211)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1내삽체(1222)는 상기 제2-1연장체(1221)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수직구조체는(1200)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체(1213)와, 상기 제1-2연장체(12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가 내삽되는 제1-2내삽체(1214)를 포함하는 제1-2삽입모듈;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2연장체(1223)와, 상기 제2-2연장체(122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가 내삽되는 제2-2내삽체(1224)를 포함하는 제2-2삽입모듈; 상기 제1-2내삽체(1214)는 상기 제1-2연장체(1213)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2내삽체(1224)는 상기 제2-2연장체(1223)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를 고정시킨다.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3연장체(1213)와, 상기 제1-3연장체(12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가 내삽되는 제1-3내삽체(1216)를 포함하는 제1-3삽입모듈;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3연장체(1225)와, 상기 제2-3연장체(1225)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가 내삽되는 제2-3내삽체(1226)를 포함하는 제2-3삽입모듈; 상기 제1-3내삽체(1216)는 상기 제1-3연장체(1213)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3내삽체(1226)는 상기 제2-3연장체(1225)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1내삽체(1212)의 단부에는 제1-1외부연장체(1511)가 구비되며, 상기 제1-2내삽체(1214)의 단부에는 제1-2외부연장체(15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3내삽체(1216)의 단부에는 제1-3외부연장체(15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외부연장체(1511)와 상기 제1-2외부연장체(1512) 사이에는 다수의 상기 드론이 위치되는 제1-1출격공간(SP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외부연장체(1513)와 상기 제1-2외부연장체(1512) 사이에는 다수의 상기 드론이 위치되는 제1-2출격공간(SP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1출격공간(SP11)과 상기 제1-2출격공간(SP12)상에서 상기 드론이 비행을 시작 혹은 종료하기 위하여 대기하며, 상기 제1-1연장체(1211)와 상기 제1-2연장체(1213) 사이에는 제1-1리퍼용보관공간(WP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1연장체(1211)와 상기 제1-2연장체(1213) 사이에는 제1-2리퍼용보관공간(W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1리퍼용보관공간(WP11)과 상기 제1-2리퍼용보관공간(W12)상에는 고장점검을 위한 상기 드론 혹은 비행이 불가한 상기 드론이 위치된다.
상기 제2-1내삽체(1222)의 단부에는 제2-1외부연장체(16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2내삽체(1224)의 단부에는 제2-2외부연장체(16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3내삽체(1226)의 단부에는 제2-3외부연장체(161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외부연장체(1611)와 상기 제2-2외부연장체(1612) 사이에는 다수의 드론이 위치되는 제2-1출격공간(SP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외부연장체(1613)와 상기 제2-2외부연장체(1612) 사이에는 제2-2출격공간(SP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1출격공간(SP21)과 상기 제2-2출격공간(SP22) 상에서 상기 드론이 비행을 시작 혹은 종료하기 위하여 대기하며, 상기 제2-1연장체(1221)와 상기 제2-2연장체(1223) 사이에는 제2-1리퍼용보관공간(WP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1연장체(1221)와 상기 제2-2연장체(1223) 사이에는 제2-2리퍼용보관공간(WP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1리퍼용보관공간(WP21)과 상기 제2-2리퍼용보관공간(WP22)상에는 고장점검을 위한 상기 드론 혹은 비행이 불가한 상기 드론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1연장체(1211)의 상단에는 제1상단감지부(171)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연장체(1213)의 하단에는 제1하단감지부(17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단감지부(171)와 상기 제1하단감지부(172)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 채, 상기 제1-1출격공간(SP11)과 상기 제1-2출격공간으로(SP12)부터 비행을 나서는 상기 드론의 출격대수를 1차감지하여, 상기 드론들의 정상 운용을 1차체크하며, 상기 제2-1연장체(1221)의 상단에는 제2상단감지부(191)가 구비되며 상기 제2-2연장체(1223)의 하단에는 제2하단감지부(19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단감지부(171)와 상기 제1하단감지부(172)는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 채, 상기 제2-1출격공간(SP21)과 상기 제2-2출격공간(SP22)으로부터 비행을 나서는 상기 드론의 출격대수를 1차감지하여, 상기 드론들의 정상 운용을 1차체크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의 상방에는 제1중복감지부(181)가 구비되된다.
아울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의 상방에는 제2중복감지부(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중복감지부(181)는 상기 제1-1출격공간(SP11)과 상기 제1-2츨격공간으로부터 비행을 나선 상기 드론들이 상부 일정공간으로 승강하면, 상기 드론들을 2차체크하며, 상기 제2중복감지부(201)는 상기 제2-1출격공간(SP21)과 상기 제2-2츨격공간으로부터 비행을 나선 상기 드론들이 상부 일정공간으로 승강하면, 상기 드론들을 2차체크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는 상부에 제1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는 상기 제1연결모듈을 통해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에 설치되되, 상기 제1연결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가 안착되는 제1구동몸체(3100)와, 상기 제1구동몸체(3100)의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 내부에 삽입되는 제1직사각형상돌기(3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직사각형상돌기(3200)는 상기 제1구동몸체(3100)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의 내부면을 가압고정시키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는 상부에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는 상기 제2연결모듈을 통해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에 설치되되, 상기 제2연결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가 안착되는 제2구동몸체(4100)와, 상기 제2구동몸체(4100)의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 내부에 삽입되는 제2직사각형상돌기(4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직사각형상돌기(4200)는 상기 제2구동몸체(4100)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의 내부면을 가압고정시키며, 상기 제1연결모듈의 좌측에는 제1가드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몸체(3100)의 유동을 억제 및 고정시키며, 상기 제2연결모듈의 우측에는 제2가드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몸체(4100)의 유동을 억제 및 고정시킨다.
상기 제1가드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구동체(5100)와, 상기 제1구동체(5100)상에서 진퇴유동하는 제1이동체(5110)와, 상기 제1이동체(5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1구동몸체(3100)와 접하며, 상기 제1구동몸체(3100)를 수평으로 받치는 제1수평받침체(5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수평받침체(5120)는 상기 제1구동몸체(3100)의 유동을 수평방향상에서 제한 및 고정시킨다.
상기 제2가드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1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체(6100)와, 상기 제2구동체(6100)상에서 진퇴유동하는 제2이동체(6110)와, 상기 제2이동체(6110)의 단부에서 상기 제2구동몸체(4100)와 접하며, 상기 제2구동몸체(4100)를 수평으로 받치는 제2수평받침체(6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수평받침체(6120)는 상기 제2구동몸체(4100)의 유동을 수평방향상에서 제한 및 고정시키며, 상기 제1수평받침체(5120)는, 상부 전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의 상부에 접하는 제1회전직사각구조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의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2수평받침체(6120)는, 상부 전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의 상부에 접하는 제2회전직사각구조체(6130)가 구비되어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의 상부에 접하며, 상기 제1회전지사각구조체(5130)와 상기 제2회전직사각구조체(6130)는 회전을 통하여 각가 상기 제1수평받침체(5120)와 상기 제2수평받침체(6120)르 하부로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는 상기 수직구조체(1200)와의 대향면상에는 상부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대각봉(7110)과, 상기 제1대각봉(7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구조체(1200) 내부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7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는 상기 수직구조체(1200)와의 대향면상에는 상부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대각봉(8110)과, 상기 제2대각봉(8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구조체(1200) 내부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8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체(7120)와 상기 제2장착체(8120)는 상기 제1대각봉(7110)과 상기 제2대각봉(8110)의 상부 대각유동에 기반하여 각각 상기 수직구조체(1200)를 가압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제1평행구조체(1300)에는 상기 제1대각봉(7110)과상기 제1장착체(7120)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3대각봉(7200)과 제3장착체(7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에는 상기 제2대각봉(8110), 상기 제2장착체(8120)와 대칭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4대각봉(8200)과 제4장착체(8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장착체(7210), 상기 제3대각봉(7200), 상기 제4장착체(8210), 상기 제4대각봉(8210) 등은 상부에서 하부로 대각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고정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체(7120) 내지 상기 제4장착체(8210)는 상기 수직구조체(1200)에 내부 삽입된 상태에서, 둘레방향 회전을 통해 2차적인 가압고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제1장착체(7120) 내지 상기 제4장착체(8210) 다각의 단면의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1연장체(1211) 내지 상기 제1-3연장체(1213)에는 각기 제1배터리모듈(BM1)이 내장되며, 상기 제2-1연장체(1221) 내지 상기 제2-3 연장체(1225)에는 각기 제2배터리모듈(BM2)이 내장된다. 상기 제1-1연장체(1211) 내지 상기 제1-3연장체(1213)는 진툉유동으로 외부 노출되는 범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1내삽체(1212) 내지 상기 제1-3내삽체(1216)의 두께와 면적을 넉넉하게 하여, 상기 제1-1연장체(1211) 내지 상기 제1-3연장체(1213)가 일정범위로 출몰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1내삽체(1222) 내지 상기 제2-3내삽체(1226)의 두께와 면적을 넉넉하게 하여, 상기 제2-1연장체(1221) 내지 상기 제2-3연장체(1225)가 일정범위로 출몰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출몰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배터리모듈(BM1)과 상기 제2배터리모듈(BM2)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며, 마찬가지로 상부에 드론들이 안착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평행구조체(1400)는 상기 수직구조체(1200)와의 대향면상에는 상부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대각봉(8110)과, 상기 제2대각봉(8110)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구조체(1200) 내부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8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체(7120)와 상기 제2장착체(8120)는 상기 제1대각봉(7110)과 상기 제2대각봉(8110)의 상부 대각유동에 기반하여 각각 상기 수직구조체(1200)를 가압고정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 200, D1, D2, D3, D4: 드론
300: 관리서버

Claims (1)

  1.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RF발신기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를 식별하고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을 포함하되,
    상기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드론과, 상기 드론을 거치 및 관리하기 위한 스테이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테이지유닛은,
    일정면적을 가지는 받침플레이트부;
    상기 받침플레이트부 상에 설치되는 수직구조체;
    상기 수직구조체의 일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1평행구조체;
    상기 수직구조체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평행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구조체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1-1연장체와, 상기 제1-1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1-1내삽체를 포함하는 제1-1삽입모듈;
    타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2-1연장체와, 상기 제2-1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2-1내삽체를 포함하는 제2-1삽입모듈;
    상기 제1-1내삽체는 상기 제1-1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1내삽체는 상기 제2-1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일측 하부로 연장되는 제1-2연장체와, 상기 제1-2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1-2내삽체를 포함하는 제1-2삽입모듈;
    타측 하부로 연장되는 제2-2연장체와, 상기 제2-2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2-2내삽체를 포함하는 제2-2삽입모듈;
    상기 제1-2내삽체는 상기 제1-2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2내삽체는 상기 제2-2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일측 중간부로 연장되는 제1-3연장체와, 상기 제1-3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1-3내삽체를 포함하는 제1-3삽입모듈;
    타측 중간부로 연장되는 제2-3연장체와, 상기 제2-3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2-3내삽체를 포함하는 제2-3삽입모듈;
    상기 제1-3내삽체는 상기 제1-3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3내삽체는 상기 제2-3연장체의 당김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평행구조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1-1내삽체의 단부에는 제1-1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2내삽체의 단부에는 제1-2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3내삽체의 단부에는 제1-3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1외부연장체와 상기 제1-2외부연장체 사이에는 다수의 상기 드론이 위치되는 제1-1출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3외부연장체와 상기 제1-2외부연장체 사이에는 다수의 상기 드론이 위치되는 제1-2출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1출격공간과 상기 제1-2출격공간 상에서 상기 드론이 비행을 시작 혹은 종료하기 위하여 대기하며,
    상기 제1-1연장체와 상기 제1-2연장체 사이에는 제1-1리퍼용보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1연장체와 상기 제1-2연장체 사이에는 제1-2리퍼용보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1리퍼용보관공간과 상기 제1-2리퍼용보관공간상에는 고장점검을 위한 상기 드론 혹은 비행이 불가한 상기 드론이 위치되며,
    상기 제2-1내삽체의 단부에는 제2-1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2내삽체의 단부에는 제2-2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3내삽체의 단부에는 제2-3외부연장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1외부연장체와 상기 제2-2외부연장체 사이에는 다수의 드론이 위치되는 제2-1출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3외부연장체와 상기 제2-2외부연장체 사이에는 제2-2출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1출격공간과 상기 제2-2출격공간 상에서 상기 드론이 비행을 시작 혹은 종료하기 위하여 대기하며,
    상기 제2-1연장체와 상기 제2-2연장체 사이에는 제2-1리퍼용보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1연장체와 상기 제2-2연장체 사이에는 제2-2리퍼용보관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1리퍼용보관공간과 상기 제2-2리퍼용보관공간상에는 고장점검을 위한 상기 드론이 위치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구조체의 타측에 대향하게 설치되는 제2평행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구조체는
    일측 상부로 연장되는 제1-1연장체와, 상기 제1-1연장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평행구조체가 내삽되는 제1-1내삽체를 포함하는 제1-1삽입모듈을 포함하는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10060225A 2021-05-10 2021-05-10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33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25A KR102334831B1 (ko) 2021-05-10 2021-05-10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25A KR102334831B1 (ko) 2021-05-10 2021-05-10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831B1 true KR102334831B1 (ko) 2021-12-07

Family

ID=7886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25A KR102334831B1 (ko) 2021-05-10 2021-05-10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75B1 (ko) * 2023-04-14 2024-02-28 박종판 지리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680B1 (ko) * 2017-02-15 2018-04-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테이션
KR101846519B1 (ko) * 2017-10-30 2018-04-09 (주)국토해양기술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KR101835516B1 (ko) * 2017-10-12 2018-04-19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182341B1 (ko) 2020-05-11 2020-11-24 (주)스페이스 항공촬영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46548B1 (ko)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680B1 (ko) * 2017-02-15 2018-04-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테이션
KR101835516B1 (ko) * 2017-10-12 2018-04-19 주식회사 유성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46519B1 (ko) * 2017-10-30 2018-04-09 (주)국토해양기술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KR102182341B1 (ko) 2020-05-11 2020-11-24 (주)스페이스 항공촬영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46548B1 (ko)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75B1 (ko) * 2023-04-14 2024-02-28 박종판 지리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839B1 (ko) 실시간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1846519B1 (ko)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KR101835516B1 (ko) 지형지물에 의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74710B1 (ko) 영상왜곡의 신속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15260B1 (ko) 기준점 위치확인과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400256B1 (ko)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KR101815261B1 (ko) 항공촬영 영상물을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용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46548B1 (ko) 신속하게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US6933965B2 (en) Panoramic aerial imaging device
KR102068325B1 (ko)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편집시스템
KR102334831B1 (ko) 지장물의 각 기준점과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523017B1 (ko) 항공영상을 위한 해상 표정기준점 제공장치
KR101893078B1 (ko) 측정된 수치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3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707114B1 (ko) 무인 비행체 에어스테이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 운용 방법
CN109813287B (zh) 具备自主导航的海洋观测装置
KR101827487B1 (ko)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795008B1 (ko)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KR101830901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743626B1 (ko) 무인비행체(uav)를 이용한 하천측량 시스템
KR101816213B1 (ko)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205770189U (zh) 一种带显示屏的无人机
KR102369695B1 (ko) 스테레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 오차 보정이 적용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205738070U (zh) 具有推力线可变装置的无人机
CN205378034U (zh) 漂浮拍摄装置
KR102065762B1 (ko) 항공 이미지와 지상 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