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22B1 -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22B1
KR102334422B1 KR1020210045694A KR20210045694A KR102334422B1 KR 102334422 B1 KR102334422 B1 KR 102334422B1 KR 1020210045694 A KR1020210045694 A KR 1020210045694A KR 20210045694 A KR20210045694 A KR 20210045694A KR 102334422 B1 KR102334422 B1 KR 10233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fastener
elastic member
power syste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의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단부에 모선이 결합되는 헤드부; 고정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절연내력을 제공하는 주름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모선이 고정단으로부터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헤드부의 타 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하는 내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a protector of a distribution line of an electr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철탑, 변압기 등의 배전 및 전력설비에 설치되는 내진 기능을 가지는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설비는 한국전력공사의 발전소 상호, 발전소와 변전소, 변전소 상호를 연결하는 전선로 또는 사이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765kv송전선로, 345kv송전선로, 154kv 송전선로가 있으며, 송전설비는 송전철탑류, 송전선로, 각종 지지물, 애자, 접지장치 등 송전설비에 취부되는 모든 장치를 포괄한다.
또한, 배전설비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거치는 일 없이 직접 수용가에 이르는 선로로서, 학교 또는 집단거주시설 등의 건축물 단위나 소지역 단위로 설치되는 분전반, 수배전반, 모터제어반, 비상발전기, 송전/배전 철탑, 변압기, 맨홀 등을 포괄한다.
이러한 송전설비 및 배전설비는 통상 혐오시설로 인지하고 있어 인적이 드문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산악 지역 등 접근 자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서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매우 어렵고, 지진이나 산사태, 눈사태 등으로 인한 장애 발생 시 이를 복구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송전설비를 찾기가 매우 곤란하며, 비효율적인 인력 투입이 발생하고 있어 송전 및 배전계통의 절대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전설비 중 하나인 수배전반은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적소에 분배하는 설비로써, 내부에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와, 상기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변압기 및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설비를 갖춤에도 불구하고, 지진, 산사태 등과 같은 진동에 의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송전 및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진 또는 방진 구조의 보호설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7439호(2012. 7. 13.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적물의 고정단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모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력계통의 배전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단부에 모선이 결합되는 헤드부; 고정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절연내력을 제공하는 주름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모선이 고정단으로부터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헤드부의 타 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하는 내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진부는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패스너가 고정되도록 내부에 이중사출로 마련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제1고정공과, 상기 내진부를 관통한 제2패스너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고정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부는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호 교번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진부는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심 영역에 배치되며, 제1경도범위를 가지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경도범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제2경도범위를 가지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부는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부는 상기 제1패스너가 고정되는 상기 너트가 상기 제1탄성부재 또는 코어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스너의 헤드가 상기 제1탄성부재 또는 코어부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에 의하면,
첫째, 목적물과 모선 사이에서 내진부를 통하여 상호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내진부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와 연결되는 패스너 역시 서로 절연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절연내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내진부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진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서로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넷째, 제1탄성부재에 코어부재를 마련하여 최악의 상황에서도 헤드부와 지지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목적물과 모선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기본적인 모선 지지구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가 장착된 외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가 장착된 외함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I-I' 영역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4a는 도 3b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c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 및 산소 공급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가 장착된 외함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가 장착된 외함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100)는 수배전반(1)의 외함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이 밖에도 분전반, 배전반, 모터 제어반(MCC)을 포함하는 배전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수배전반(1)은 인버터 모듈(미도시)과, 수배전 모듈(미도시) 및 변압모듈(미도시)이 내부에 설치되는 외함 본체(10)와, 외함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외함 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방진장치(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은 기본적으로 진동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외함 본체(10)의 외형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미도시)이나 프레임 구조로 분리된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수용공간(11) 내부에는 PCB,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 등의 기본적인 수배전반의 구성요소와, 방열 및 방습에 따른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함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수용공간(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2)가 마련된다.
도어(12)는 수용공간(11)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12)를 통하여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모듈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2)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에는 도어(12)가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이때, 도어(12) 상에는 작업자가 외함 본체(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투시창은 도어(12)가 아닌 외함 본체(10)의 다른 측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투시창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외함 본체(10) 내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투시창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상체 일부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함 본체(10)는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기의 배전 관련 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의 현재 운전 상태와, 발전량, 네트워크 정보, 발전효율 등을 나타내며, 일 측에 배치된 도어(12)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100)는 외함 본체(10) 내부에서 모선(30)이 설정된 목적물(40) 상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선(30)이 버스바(busbar)이고, 목적물(40)이 구획벽이나 프레임 구조인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는 송전선로와 다른 목적물(예컨대, 철탑, 변전소, 전봇대 등) 사이의 배전 전력계통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I-I' 영역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100)는 하나의 애자(insulator)구조를 가진다.
도 3a를 살펴보면,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100)는 헤드부(110)와, 지지부(120) 및 내진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모선(30)이 결합되는 부분이 메탈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드부(110)의 모선(30) 결합부분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온도 변화, 부식, 변형 등에 강하고, 또한 경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지지부(12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애자의 구조를 가진다. 자기(瓷器)나 폴리머, 폴리에틸렌, 유리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절연 기능을 제공하고, 역시 온도변화나 내식성에 강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지지부(120)는 외주면에 절연내력을 제공하는 주름(121)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마련된다.
헤드부(110)와 지지부(120)는 내진부(130)를 통해서 서로 결합되며, 내진부(130) 상에 결합되는 제1패스너(F1)와 제2패스너(F2)가 상호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결합되면서 이들을 결합시킨다. 헤드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에는 내진부(130)에 의해서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며, 내진부(130)가 최대로 압축되는 상황에서도 헤드부(110)와 지지부(120)는 서로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스너(F1)는 헤드부(110)의 상부에서 헤드부(110)를 관통한 후에 내진부에 형성된 제1고정공(131)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제1고정공(131) 내부에는 너트가 이중사출로 마련되기 때문에 내진부 내부에서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물론, 제1패스너(F1)의 헤드와 헤드부(110)가 접촉하는 면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W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패스너(F2)는 내진부(130)의 상부로부터 내진부(130)에 형성된 제2고정공(132)을 관통한 후에 지지부(120)의 일 단부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지지부(120)의 상부에는 제2패스너(F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인서트(122)가 구비된다. 물론, 인서트(122)의 내주면에는 제2패스너(F2)의 수나사에 대응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물론, 제2패스너(F2)와 내진부(130)의 제2고정공(132) 내부에서 접촉하는 면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W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진부(130)는 헤드부(110)와 내진부(130) 및 지지부(120)와 내진부(130)를 각각 제1패스너(F1)와 제2패스너(F2)로 별도 결합함으로써, 헤드부(110)와 지지부(120)가 패스너를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회피하여, 진동의 전달 경로를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는 도 3b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3c에 나타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130)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반경 상에 제1고정공(131)과 제2고정공(132)이 상호 교번으로 배치된다. 즉, 복수개의 제1고정공(131)과 제2고정공(132)은 서로 교차하여 45도 각도로 하나씩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각 고정공이 4개씩 총 8개 형성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개가 구조설계에 따라서 설정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고정공(131)과 제2고정공(132)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하나의 원주 방향에서 제1고정공(131)과 제2고정공(132)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내진부(130)의 외주면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G)이 형성된다. 요홈(G)은 헤드부(110) 및 지지부(120)와 접촉하는 측면 내측에 형성된 돌부와 간섭되도록 배치되며, 헤드부(110)와 지지부(120)가 서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내진부(130)는 합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를 포함한다. 여기서, 합성고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GEPO250C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재(130a)는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심 영역에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130a)는 제1경도범위로 형성된다.
제2탄성부재(130b)는 제1탄성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제1경도범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제2경도범위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진부(130)는 헤드부(110) 또는 지지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합성 고무재질의 제2탄성부재(130b)의 외형이 변형되면서 내진 기능 및 절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들의 소재는 고무나 플라스틱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측정기를 통하여 경도가 측정되며, 측정자와 스프링의 강도에 따른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다른 타입의 고무경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ASTM 규격을 참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탄성부재들(130a, 130b)의 경도는 제1경도범위(H1)가 약 50~70경도 이고, 제2경도범위(H2)가 약 30~55 경도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의 경도범위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공(131) 내부에서 너트(133)의 위치는 제1탄성부재(130a)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질의 제1탄성부재(130a)가 너트(133)와 제1패스너(F1)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고정공(132) 내부에서 제2패스너(F2)의 헤드도 제1탄성부재(130a)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2패스너(F2)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의 내진부(230)는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 사이에 구비되는 코어부재(2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부재(231)는 제1탄성부재(130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코어부재(23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내진부(230)는 제1탄성부재(130a)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탄성부재(130a)들 사이 및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도 있다.
코어부재(231)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진 타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어부재(231)는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 사이에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제1탄성부재(130a)와 제2탄성부재(130b) 사이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내진부(230)는 합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헤드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에 큰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내진부(230)의 파손을 감당하지 못할 수 있는 상황을 염두하여 제1패스너(도 3c 참조, F1)와 제2패스너(도 3c 참조, F2)가 서로 직결되지 않되, 헤드부(도 3c 참조, 110)와 지지부(도 3c 참조, 12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코어부재(231)가 구비될 수 있다.
코어부재(231)는 제1패스너(F1)와 제2패스너(F2)가 각각 관통하는 제1고정공(131)과 제2고정공(132)의 중심 영역보다 큰 지름의 통공(232)이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패스너들과 접촉할 수 없다. 다만, 내진부(230)가 파손될 만큼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 제1패스너(F1)는 너트(133)에 결합된 부분이 제1탄성부재(130a) 또는 코어부재(2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패스너(F2)는 헤드 부분이 제1탄성부재(130a) 또는 코어부재(23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코어부재(231)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헤드부(110)와 지지부(12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에 의하면, 목적물과 모선 사이에서 내진부를 통하여 상호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진부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와 연결되는 패스너 역시 서로 절연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절연내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내진부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진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서로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1탄성부재에 코어부재를 마련하여 최악의 상황에서도 헤드부와 지지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목적물과 모선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기본적인 모선 지지구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110:헤드부
120: 지지부
130: 내진부

Claims (4)

  1.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기의 배전 관련 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하는 외함 본체(10) 내부에서 모선(30)이 설정된 목적물(40) 상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력계통의 배전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의 배전 관련 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하는 외함 본체(10) 내부에서 모선(30)이 설정된 목적물(40) 상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력계통의 배전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장치는,
    헤드부에 삽입 체결되는 제1패스너(F1)와;
    헤드부를 통하여 지지부에 삽입 체결되는 제2패스너(F2)와;
    일 단부에 모선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패스너(F1)의 헤드와 헤드부(110)가 접촉하는 면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W1)가 구비되는 헤드부(110)와;
    고정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절연내력을 제공하는 주름(121)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모선이 고정단으로부터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제2패스너(F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인서트(122)가 구비되는 지지부(120);
    및 상기 헤드부의 타 단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부와 지지부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패스너가 고정되도록 내부에 이중사출로 마련되는 너트(133)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제1고정공(131)과, 내진부를 관통한 제2패스너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고정공(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호 교번으로 배치되며, 제2패스너(F2)와 제2고정공(132) 내부에서 접촉하는 면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W2)가 구비되고, 제1탄성부재(130a)가 중심 영역에 배치되며 제1경도범위를 가지고, 제2탄성부재(130b)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경도범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질의 제2경도범위를 가지며, 외주면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G)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G)은 헤드부(110) 및 지지부(120)와 접촉하는 측면 내측에 형성된 돌부와 간섭되도록 배치되고 헤드부(110)와 지지부(120)가 서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두께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내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배전 관련 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를 포함하는 외함 본체(10) 내부에서 모선(30)이 설정된 목적물(40) 상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력계통의 배전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5694A 2021-04-08 2021-04-08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233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94A KR102334422B1 (ko) 2021-04-08 2021-04-08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94A KR102334422B1 (ko) 2021-04-08 2021-04-08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22B1 true KR102334422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94A KR102334422B1 (ko) 2021-04-08 2021-04-08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508A (ja) * 2004-12-10 2006-06-22 Toyo Tire & Rubber Co Ltd 手持ち式建設機械用防振ゴムおよび土壌突き固め装置
KR101167439B1 (ko) 2010-10-29 2012-07-19 (주)플레넷아이엔티 무선통신을 이용한 송전설비 감시 시스템
KR101607241B1 (ko) * 2015-06-25 2016-03-29 주식회사 에너솔라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607240B1 (ko) * 2015-06-25 2016-03-29 주식회사 에너솔라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843419B1 (ko) * 2017-10-20 2018-04-02 신상균 옥내외 수배전 및 전봇대에 설치되는 내진형 애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508A (ja) * 2004-12-10 2006-06-22 Toyo Tire & Rubber Co Ltd 手持ち式建設機械用防振ゴムおよび土壌突き固め装置
KR101167439B1 (ko) 2010-10-29 2012-07-19 (주)플레넷아이엔티 무선통신을 이용한 송전설비 감시 시스템
KR101607241B1 (ko) * 2015-06-25 2016-03-29 주식회사 에너솔라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607240B1 (ko) * 2015-06-25 2016-03-29 주식회사 에너솔라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843419B1 (ko) * 2017-10-20 2018-04-02 신상균 옥내외 수배전 및 전봇대에 설치되는 내진형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17B1 (ko) 전력기기함
KR100932187B1 (ko)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KR101183474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내진 수배전 장치
KR101269899B1 (ko)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042577B1 (ko) 내진기능형 배전반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KR101276252B1 (ko)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253774B1 (ko) 내진형 수배전반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2334422B1 (ko)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US11799274B2 (en) Tower mounted high voltage switchgear
KR101607817B1 (ko) 수배전반의 내진장치
KR101814147B1 (ko) 부분방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US4866568A (en) Integrated transformer sectionalizing switch assembly
KR101607241B1 (ko)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981784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160032844A (ko) 스마트 분전반
KR102386704B1 (ko) 내진 설계용 배전반 내진장치
KR20170117764A (ko) 플렉서블 부스바를 적용한 내진형 수배전반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KR100617481B1 (ko)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방법
KR102299284B1 (ko) 투명 배전반
KR20150068208A (ko) 배전반용 모듈식 차단기
KR102343845B1 (ko) It 융합 블록 조립식 키트형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하여 분전반 이상 징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