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191B1 -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191B1
KR102334191B1 KR1020200186276A KR20200186276A KR102334191B1 KR 102334191 B1 KR102334191 B1 KR 102334191B1 KR 1020200186276 A KR1020200186276 A KR 1020200186276A KR 20200186276 A KR20200186276 A KR 20200186276A KR 102334191 B1 KR102334191 B1 KR 10233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tofu
potato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택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엘아이티코리아
우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엘아이티코리아, 우택규 filed Critical 유한회사엘아이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미백 기능성을 가진 강원도 특산 작물인 두백감자, 몽부사 등을 포함한 미백 기능을 위한 천연 성분의 화장료,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화학 물질의 독성 등 부작용을 줄이고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부 미백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TATO}
본 발명은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연 소재와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농 제품과 천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는 더 이상 음식과 음료에 국한하지 않고, 화장품 소재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인체 독성에 대한 우려를 막기 위해 안전한 천연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국내외 천연 화장품 시장 또한 매년 성장하고 있다.
2018년 345억 달러 (한화 약 38조 7,000억 원) 규모였던 천연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5.2%가 증가해 2027년 전 세계 매출액이 545억 달러 (한화 약 61조 1,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시장조사기관(Future Market Insights (FMI))에 따르면, 화장품과 세면용품에 화학 물질의 부작용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증가하고 천연 성분의 이익에 관한 지식의 보급과 윤리적 소비주의의 증가에 힘입어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백감자는 강원도 특산작물로, 다른 감자 품종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한국형 토질과 지형에 맞게 생산된 감자 품종이다. 두백감자는 외부 환경에 강하고, 열에 의해 갈변되는 경우도 드물다. 두백감자는 껍질이 두꺼운 편이고 전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감자의 과육이 대체로 흰 분질감자(starchy)로, 전분이 많이 들어 있어 요리를 했을 때 쉽게 부서지고, 수분이 낮아, 쪄 먹으면 보슬보슬해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활용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7443호 (2004.10.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원도 특산 작물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미백 기능성을 가진 강원도 특산 작물인 두백감자, 몽부사 등을 포함함으로써, 미백 기능을 위한 천연 성분의 화장료, 약학,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성분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화학 물질의 독성 등 부작용을 줄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피부 미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표준 원료 생산을 위한 강원도 특산 작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공정으로, 도 2는 두백감자의 열수 추출공정, 도 3은 몽부사 씨(도인)의 유기용매 추출공정, 도 4는 산양삼의 환류 추출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원도 특산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표준 원료 생산의 전체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기능성을 확인한 실험으로, 도 7은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실험 결과, 도 8은 멜라닌 생성억제활성 실험 결과이다.
도 9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두백감자 성분의 특성 분석을 위한 두백감자와 수미감자 비교실험 재료이다.
도 10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몽부사 성분 특성 분석을 위한 재료이다.
도 11은 도 10의 몽부사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강원도 특산작물인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두백감자 추출물 10-20 중량%, 몽부사 추출물 10-20 중량% 및 잔량의 산양삼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가 1:(0.5 내지 2):(1 내지 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4 내지 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백감자 추출물은 두백감자를 열수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백감자를 가압가열추출(autoclave extraction, AE)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몽부사 추출물은 몽부사를 (C1~C4)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몽부사 씨(도인)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양삼수는 산양삼을 환류 추출하여 포집한 수증기 포집물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미백"은 멜라닌 색소 등의 과다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켜, 상기 색소 침착으로 야기되는 피부의 흑화를 방지하여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란, 피부 색소 침착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화장료는 일반 화장료와 달리 생리활성적인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화장품법에 정의된 바에 따라 피부 미백 등 특정 효능과 효과가 강조된 화장료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가지는 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 중에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및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수용성 또는 유용성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합성이 도움을 주는 비타민 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페이스트, 젤, 용액, 현탁액, 유탁액, 오일, 왁스, 팩,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밀크 로션, 파우더, 에센스, 아이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비누, 팩, 스틱상 제품, 밤(Balm) 타입 제품,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너뷰티(inner beauty)"란, 먹는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장품을 바르는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피부 표면만을 일시적으로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식품 등을 통해 피부 속, 내부에서부터 건강한 피부를 가꾸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두백감자 추출물 10-20 중량%, 몽부사 추출물 10-20 중량% 및 잔량의 산양삼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발포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장품 보조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약학 보조제,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 흡수성 물질, 퍼스널 케어 화합물(personal care compound), 활성 성분, 미용 보조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 점막용 필름, 정제, 시럽, 캡슐, 환제, 과립, 분말,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가짐으로써,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은 기미, 주근깨, 잡티, 검버섯 및 오타모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색소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미(melasma)"는 불규칙한 모양, 다양한 크기의 갈색 점이 노출부위, 특히 얼굴에 발생하는 색소성 질환으로, 태양 광선에 대한 노출 등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주로 좌우 대칭적으로 뺨과 이마, 눈 밑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주근깨(freckle)"는 햇빛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에 주로 생기는 황갈색의 작은 색소성 반점으로,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멜라노코르틴-1-수용체(melanocortin-1-receptor)의 유전자 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 피부 멜라닌 세포가 자극을 받아 멜라닌 색소의 합성이 증가하여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검버섯(liver spot, age spot)"은 노화 및 햇빛의 자외선 노출에 의해 형성된 피부 상의 얼룩으로, 일광흑색점(햇빛흑색점, 일광흑자, solar lentigo) 또는 간반이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타모반(nevus of Ota)"은 눈 주위의 피부와 눈, 점막 등에 잘 발생하는 갈색 내지 푸른 색조를 띠는 반점을 말한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담체와 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부형제, 희석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결합제, 붕해제, 용제 등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담체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활성 또는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고형 제형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솔비톨, 만니톨, 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캡술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액상 제형은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제형은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를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치료 효능의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D3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 용량 수준은 사용 목적,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 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특히 한정할 필요 없이,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부 도포, 피하, 호흡기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멜라닌 과다 생성에 따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피부 미백을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수술 또는 다른 약물 치료 등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및 각종 드링크,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과일통조림, 잼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햄, 베이컨 등), 빵류 및 면류, 쿠키 및 스낵류, 유제품(버터, 치즈 등) 등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첨가제 및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된 상기 추출물의 유효 용량은 피부 미백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 및 식품을 원료로 하여 일반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피부 미백을 위한 보조제로 섭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포함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용 또는 멜라닌 생성 억제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강원도 특산 작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복합원료 제조
1. 원료
평창 감자(두백감자 10kg 생두, 건조 감자 600g), 치악산 복숭아 몽부사(건조 과육 600g, 건조 씨 분말 200g), 평창 산양삼수(증기추출법으로 추출액 3kg)을 준비하였다 (도 1).
2. 전처리
준비된 생과 및 건조 원료는 사용의 용이와 원료수급 추출방법의 일원화를 위하여 하기와 같은 순서로 전처리하여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1) 저온 건조 : 30℃의 저온 건조 온도로 건조기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며 12~15시간 1차 건조를 실시하였다. 1차 건조 완료 후 시료의 보수적 수분율은 20% 이내 이다.
2) 동결 건조 : 시료의 부패방지 및 보관성의 용이성과, 최대 수분율 감소를 위하여, -20℃로 동결 건조를 실시하여 최소 수분함량 7%, 실험 시료 수분 함량을 13% 이하로 유지하여 시료를 전처리 하였다.
3) 분쇄 : 분쇄기(IKA A11 basic)를 사용하여 40mesh 이하로 분쇄한 분말을 -20℃로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추출공정
1) 두백감자
두백감자는 수용성 과육으로 유기용매 보다는 열수 추출법이 적합하다. 이에, 열수 추출법 중 가압가열추출(autoclave extraction, AE)과 저온고압추출(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 LTPE)을 비교하여 추출법을 선택하였다.
두백감자의 가압가열추출(AE)은 분쇄시료 100g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가압가열 교반기(DF-100A)를 이용하여 121℃에서 15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였고, 두백감자의 저온고압추출(LTPE)은 분쇄시료 100g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급속 추출기(rapid extractor, FT110)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8.0bar의 압력 하에서 3회 반복 추출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두 추출방법에 따른 두백감자 추출물의 수율을 비교한 것이다.
Sample Average Yields
(%, dry basis)
Test 1 Test 2 Test 3
AE 31.71 32.08 31.22 31.84
LTPE 15.39 18.11 14.05 14.03
이를 통해, 두백감자의 최적 추출법은 열수 추출공정 중 가압가열추출공정으로 정하여, 추출공정을 표준화하였다 (도 2).
2) 몽부사 복숭아
복숭아의 건조 과육과 과피의 경우에는 수용성으로 열수 추출법이 적합하며, 건조 복숭아씨(도인)의 경우에는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① 과육/과피 : 열수 추출법
열수 추출법 중 가압가열추출(AE)과 저온고압추출(LTPE)을 비교하여 추출법을 선택하였다. 가압가열추출은 과육/과피 분쇄시료 100g에 3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가압가열 교반기(DF-100A)를 이용하여 100℃에서 20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였고, 저온고압추출은 과육/과피 분쇄시료 100g에 30배의 증류수를 가한 후, rapid extractor(FT110)를 이용하여 24℃에서 2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표 2는 상기 두 추출방법에 따른 복숭아 과육/과피 추출물의 수율을 비교한 것이다.
Sample Average Yields
(%, dry basis)
Test 1 Test 2 Test 3
AE 48.23 49.54 46.89 48.28
LTPE 37.74 37.12 37.02 39.08
② 복숭아씨(도인) : 유기용매 추출법
건조한 도인 분쇄시료 100g을 70% 에탄올(EtOH, w/v) 1L에 침지시킨 후, shaking bath에서 12시간씩 3회 추출하였다.
하기 표 3은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에 따른 도인 추출물의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Sample Average Yields
(%, dry basis)
Test 1 Test 2 Test 3
EtOH 59.5 60.54 58.77 59.62
상기 표 2 및 표 3을 비교한 결과, 복숭아 과육/과피 추출물에 비해 도인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고, 후술할 HPLC 분석에 따른 지표성분의 함량과 보관 및 원료 공급면에서 우위 요소를 가지는 바, 도인 추출물로 추출공정을 표준화하였다 (도 3).
3) 산양삼수
원료 특성상 고가인 관계로 산양삼 재배업체의 직접생산 산양삼수(WGDE)를 제공 받아 농축단계를 거처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사 고시 추출방법은 하기와 같다.
산양삼수(WGDE)의 추출은 증류추출기를 이용하였다. 100g의 건조된 산양삼에 1L의 증류수를 넣고 3시간 환류추출로 전탕하였다. 전탕 후 환류추출기에 냉각수 공급을 중단한 후 증발되는 수증기를 포집 액화하여 사용하였다 (도 4).
4. 원심분리 및 기능성 성분 농축공정
상기의 추출공정으로 추출한 추출물의 잔여물 및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성분 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농축공정을 반복 실행하였다.
1) 1차 정제 : 여과
각각의 추출물은 Whatman No. 1 여과지로 불순물 등을 여과하는 1차 여과 과정을 거친 후, 분말 활성탄을 활용하여 여과층을 형성하고 추출물을 통과시켜 추출물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고 용매 및 식물 내의 엽록소 성분을 분리시키는 2차 여과 과정을 수행하였다.
2) 2차 정제 : 원심분리
원심분리 장치 라보젠 416G(labogene 416G)를 사용하여 1차 정제된 추출물을 2,000-3,000rpm으로 7-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여과하여 조 추출물(crude extract)을 제조 단계별로 분획하여 식물 유효성분을 추출 정제하였다.
3) 농축 : 환류 농축 (회전감압농축, 진공증발법)
상기 2차 정제 단계를 완료한 추출물의 성분에 농축 단계를 더하여 고순도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로, 감압농축기 EYELA N-1300으로 추출물의 에탄올과 같은 용매제를 증발시켜 건조·폐액처리 하여 추출액의 순수 추출물을 응집하고 층분리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수조(Water bath)의 온도는 35℃~42℃로 유지하고, 비등점에 대한 진공은 175mbar, 회전수는 140~200rpm (용매: 에탄올-140rpm, 증류수-200rpm)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5. 혼합 믹싱 및 제형분리 공정
상기의 농축과정을 거친 고순도 추출액을 기능성별 혼합 믹싱과정과 동결건조 과정을 통해 화장료 성분을 개발하였다. 농축한 추출액을 동결건조 후, -40℃에서 보관하였다. 혼합 파우더 Complex는 각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과 액상상태의 혼합 Complex 원료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 혼합 원료상의 부패 및 보관과 용해시 잔존물의 비율이 높아져 전자의 방법으로 파우더 형태의 원료를 제조 방식을 택하였다. 최종 표준화 공정은 도 5와 같다.
Waters HPLC system를 사용하여 감자, 복숭아, 산양삼 추출물의 기능성 주요 성분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하기 표 4는 C18-Column을 적용하여 HPLC 분석을 이용한 각 추출물의 주요 기능성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20142764965-pat00001
<제조예 1> 기능성 화장료 제조 - GSP_W(Gangwon Special Plant_Whitning)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으로 기능성 화장료 GSP_W를 제조하여 이의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20142764965-pat00002
<실험예 1> 세포 독성 실험
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B16 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mouse melanoma cell)(한국세포주은행)를 1×104 cell/ml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10~1,000μg/ml의 농도로 희석한 추출물의 시료가 첨가된 새 배지로 교체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를 각 well당 20μl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r(Sanyo, Japan)에서 배양 2시간 후 형성된 formazan을 200μl DMSO에 녹이고, 595nm에서 ELISA reader (PowerWaveXS2, BioTek, 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하기 식 1로 계산되었다.
<식 1> Cell viability(%)=[(Exp.-Blank)/Control]×100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GSP_W와 비타민 C를 대조군으로 하여, 추출물을 10~1,000μ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세포 독성을 시험한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GSP_W는 1,000μg/ml에서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높은 농도에서도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Mean±S.D.)로 표기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tudent‘sunpaired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0.05일 때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이하 실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실험예 2> 최적 혼합비 확인
각각의 최적 혼합비를 확인하기 위해 혼합 추출물의 보습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습률은 화장료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피부장벽 개선에 가장 기초적 측정치로, 미백 및 주름개선의 유효성과 적합 혼합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6은 각 추출물 혼합비에 따른 시간별 보습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액상 Complex 화장료의 중량비로 총 중량 100g 당 미백 기능성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1.5:1.5:7 일 때, 보습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상 층인 산양삼수에 상기 원료의 액상화 (100배의 증류수에 용해한 후 30분뒤 상등액을 취하여 사용) 원료를 75℃, 11,000rpm으로 15분간 가열 교반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42764965-pat00003
<실험예 3> 미백 기능성 확인
두백감자, 몽부사, 및 산양삼 추출물을 혼합(1.5:1.5:7의 비율)하여 미백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1.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확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는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자외선에 대해 피부 보호를 할 수 있으나, 과도하게 생성되었을 경우 피부에 색소 침착 되어 기미나 주근깨가 생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피부 미백제 개발에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주로 사용한다.
반응구는 0.175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0.5 mL에 10 mM L-DOPA를 녹인 기질 액 0.2mL 및 GSP_W 추출물 용액 0.1m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110U/mL) 0.2mL를 첨가하여 37℃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 nm에서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GSP_W 추출물 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GSP_W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GSP_W가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 GSP_W Vitamin C
IC50 19.62㎍/mL 49.41㎍/mL
2. 멜라닌(melanin) 생성억제 확인
GSP_W 원료가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melan-a 세포를 6 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해 72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그 후 1% triton X-100이 들어있는 PBS 용액을 통해 세포를 용해시켜 e-tube에 옮겨 담고 4℃, 1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cell pellet에 1N NaOH 수용액을 첨가하여 6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GSP_W는 100μg/mL 농도에서 멜라닌 합성을 58%로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과 동일 농도 비교 시 낮게 나타났으나, 단일 화합물이 아닌 추출물임을 감안할 때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원료 시험
성상, 향취, 안정도(48 hrs), pH, 납(Pb) 함유량, 비소(As) 함유량, 미생물(Microbes) 항목에 대해 원료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항목 중 Pb(납) 함유량 시험의 경우 점토질 또는 토양관련 시료에 적용되는 시험 방법으로, 본 실험예에서는 기능성별 액상 원료에 대하여 점도 실험으로 대체하여 7종의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파우더형 원료의 경우 점도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발주자와 협의하여 6종의 시험을 시행하였다.
하기 표 8은 GSP_W 액상 원료 100g을 채취하여 진행한 원료 시험 결과이다,
Figure 112020142764965-pat00004
하기 표 9는 GSP_W 파우더 원료 100g을 채취하여 진행한 원료 시험 결과이다.
Figure 112020142764965-pat00005
<실험예 5> 원료 특성 분석
1. 두백감자
강원도 특산 품종인 두백감자와 전국에서 생산중인 수미감자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를 통해 성분 속 피토케미컬 성분 비교를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최대 생산량을 보이는 수미 감자는 점질 감자로 전분성분이 낮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사용 감자 품종인 두백감자는 분질 감자로 전분성분의 함량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수분함량이 낮은 특징을 보인다.
본 실험예에서는 천연화장품의 미백기능성 조성물로의 가능성 확인 및 원료화를 위해 두백감자의 영양성분 및 추출물의 피토케미컬 성분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상세하게는, 두백감자의 피토케미컬 성분 분석 중 비타민 C 분석, 판토텐산(비타민 B5),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대해 확인하였다.
1) 재료
본 실험예에 사용한 두백감자는 강원도 평창지역에서 2020년에 재배된 것으로 평창군농업협동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두백감자의 이화학적 특성분석은 국내산 수미감자와 비교하였다. 두백감자는 국화과 식물, 수미감자는 가지과 식물이지만 덩이줄기가 형성되고 이용되는 공통점이 있어 일반감자인‘수미’와 비교하였으며, 수미감자는 강원도 원주 소재의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두백감자 및 수미감자는 물로 잘 씻어 이물을 제거하였고 1.0cm 크기로 슬라이스한 후 12시간 상온건조 및 -20℃로 동결건조 하였다. 다중 건조된 두백감자 및 수미감자는 40mesh 이하로 분쇄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도 9).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약 폴린 & 시오칼토 페놀 시약(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글루코오스(glucose), 프룩토오스(fructose), 수크로오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갈산(gallic acid), 퀘르세틴(quercetin), 소듐카보네이트(sodiumcarbonate) 등은 Sigma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황산(sulfuric acid)은 Daejung (Siheung,Korea)으로부터 아미노산 표준 H(amino acid standard H)는 Pierce (Rockford, IL,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및 결과
① 비타민C,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B 5 ) 분석
건조 수취한 실험 시료와 대조군 시료 5g을 정확히 측정하고 동량의 10% 메타인산(metaphosphoric acid) 용액을 가하여 10분간 현탁시켰다. 적당량의 5% 메타인산을 넣어 주고 균질화된 시료를 100mL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5% 메타인산 용액으로 100mL로 정용한 후, 3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Waters 2695 Separation Module HPLC system 및 Waters 996 Photodiode Array Detector (Waters), 칼럼은 SunfireTM C18 (5.0 μm, 4.6 mm×250 mm, Waters)를 사용하였고 검출기 파장은 판토텐산은 254nm, 비타민 C는 475nm였다. 이동상은 25mM phosphate buffer (pH 3.6 with H3PO4)를 사용하였다. 온도는25℃, 속도는 0.8μL/min, 주입량은 10μL로 하였다. 표준용액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Sample Vitamin C (mg%) 판토텐산(B5) (mg%)
두백감자 19.84±0.07 8.89±0.17
수미감자 21.02±0.12 3.43±0.09
HPLC 분석을 통해 수미감자와 두백감자의 피토케미컬 성분 분석을 통해 본과의 유효성분 함유량을 비교한 결과, 상기 표 10과 같이, 비타민 C의 함량은 수미감자가 약간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두 품종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판토텐산의 경우 두백감자의 전분함량 및 무기단백질의 높은 함량에 기인하여 약 3배의 함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②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두백감자와 수미감자의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nis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1mL씩 첨가하고 10% Folin 시약 1mL과 2% Na2CO3 시약 1mL을 넣은 후 5초간 섞어주었다.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gall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이 때, gallic acid를 농도별로 표준곡선(y=11.198x+0.0554, R2=0.9930)을 작성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두백감자와 수미감자의 총 플라보노이드는 Kw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만든 시료를 0.5mL씩 취하여 95% 에탄올 1.5mL을 첨가하고 10% 질산알루미늄(aluminum nitrate)과 1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각각 0.1mL씩 넣어준 후 증류수 2.8m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quercetin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의 농도별 표준곡선(y=3.0504x-0.0119, R2=0.9955)을 이용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Sample Total phenol content
(mg GAE/%)
Total flavonoids content (mg QE/%)
두백감자 3.36±0.07 1.89±0.03
수미감자 3.62±0.01 0.45±0.07
그 결과, 상기 표 11과 같이, 다중 건조한 두백감자의 총 페놀 함량이 3.36±0.07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는 1.89±0.03mg QE/g으로 나타났으며, 수미감자의 총 페놀 함량은 3.62±0.01mg GAE/g으로 두백감자보다 약간 높은 값을 나타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0.45±0.07mg QE/g으로 두백감자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다. 항산화 효과에 탁월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통해 두백감자의 항산화 성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몽부사 복숭아
알칼리성 식품인 복숭아(P runus persica L. Batsch)는 복사나무의 열매로서 주성분이 수분과 당분이며,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유기산(organic acid)과 펙틴(pectin) 등이 풍부한 과실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과육과 유과 씨의 추출수율 및 성분(항산화율_폴리페놀) 비교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로의 적합한 원료 시료를 결정하였다.
1) 재료
본 실험예에 사용된 복숭아 유과는 강원도 원주시 소초읍 일원 대성농원에서 2020년 7월 하순에 적과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품종은 몽부사(Yumefuji)로 과육이 무르고 수분함량이 높은 백도종의 품종이다. 시료는 1% Na2HCO3로 수세하여 털을 제거하고 복숭아 유과 과육은 과피를 제거 후 분쇄하여 동결건조(SFDSM12-60Hz, Samwon Freezing Engineering Co., Seoul, Korea)한 다음, 분말화하여 밀봉 냉동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복숭아 유과 씨(도인)는 시료 100g당 10배량(w/v)의 80% methanol로 24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한 다음,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4,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40℃ 수욕 상에서 회전식 감압농축기(EyelaA-1000S,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SFDSM12-60Hz,Samwon Freezing Engineering Co., Seoul, Korea)하여 분말화하여 밀봉 냉동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및 결과
① 추출 수율 비교 분석
80% 메탄올(meth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2시간 shaking 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이용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2와 같이, 유과 씨(도인)의 추출 수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과 당류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과육의 경우, 건조과정에서 수분 증발 현상으로 추출 수율상의 차이점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Sample Yields(%)
유과 과육시료 4.35±0.86
유과 씨(도인)시료 6.16±0.16
② 폴리페놀 함량 비교 분석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제조된 추출액을 80% methanol로 희석하고 추가로 증류수에 50mg/mL로 희석한 후 0.2mL 취하고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St. Louis, MO, USA)을 0.2 mL을 첨가한 후 25℃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10% Na2CO3 3mL을 가하여 25℃에서 1시간 방치 후 UV/Vis-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825, Shimadzu Co., Kyoto, Japan)로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표준곡선을 gallic acid로 구하였으며 표준 검량식에 적용하여 시료 중 gallic acid equivalent(GAE mg/g)로 나타내어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표 13과 같이, 유과 씨(도인) 추출물에서 유과 과육 추출물 시료보다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mple Total phenol content (mg GAE/%)
유과 과육시료 9.95±0.27
유과 씨(도인)시료 20.61±0.02
③ 항산화 활성 확인
환원력(Reducing power) 실험은 ferric-ferricyanide(Fe3+) 혼합물이 수소를 공여하여 자유라디칼을 안정화시켜 ferrous(Fe2+)로 전환하는 환원력을 흡광도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환원력은 Oyaizu (2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농도(0, 5, 10, 50mg/mL)를 각각 달리하여 첨가한 화합물 1mL에 200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6) 1mL과 1% 포타슘 페리시아나이드(potassium ferricyanide, Sigma) 1mL을 혼합시켰다. 그리고 혼합물을 50℃에서 20분 동안 incubation 시킨 후,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w/v) 1mL을 첨가시킨 후 10분 동안 3000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상등액 1mL에 증류수 1mL과 0.1% 페릭클로라이드(ferric chloride, Sigma) 0.1mL을 첨가시켜 유과 과육 시료와 유과 씨(도인) 시료에 대해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과 같이, 상기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10mg/mL에서 몽부사 유과 씨(도인) 시료 (OD700=1.48)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미백 기능성 원료인 복숭아의 이화학적 특성 및 화장료 성분으로 적합한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4)

  1.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1:1:(4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두백감자 추출물은 두백감자를 가압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물이고, 상기 몽부사 추출물은 몽부사 씨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산양삼수는 산양삼을 환류 추출하여 포집한 수증기 포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에센스,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1:1:(4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두백감자 추출물은 두백감자를 가압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물이고, 상기 몽부사 추출물은 몽부사 씨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산양삼수는 산양삼을 환류 추출하여 포집한 수증기 포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발포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 점막용 필름, 정제, 시럽, 캡슐, 환제, 과립, 분말,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뷰티(inner beauty)용 조성물.
  13. 삭제
  14. 두백감자 추출물, 몽부사 추출물 및 산양삼수를 1:1:(4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두백감자 추출물은 두백감자를 가압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물이고, 상기 몽부사 추출물은 몽부사 씨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산양삼수는 산양삼을 환류 추출하여 포집한 수증기 포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186276A 2020-12-29 2020-12-29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76A KR102334191B1 (ko) 2020-12-29 2020-12-29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76A KR102334191B1 (ko) 2020-12-29 2020-12-29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191B1 true KR102334191B1 (ko) 2021-12-06

Family

ID=7893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276A KR102334191B1 (ko) 2020-12-29 2020-12-29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1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43A (ko) 2003-04-08 2004-10-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241703A (ja) * 2009-04-02 2010-10-28 Toyo Shinyaku Co Ltd 美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43A (ko) 2003-04-08 2004-10-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241703A (ja) * 2009-04-02 2010-10-28 Toyo Shinyaku Co Ltd 美白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e-yeon Lee 외 4명, "Comparison of Index Compounds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by Extraction Methods", J Int Korean Med., Vol. 39, No. 3, pp. 313-322, 2018.06.30* *
Kyoung-Hee Kim 외 3명,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1, No. 2, pp. 156-160, Feb 2012* *
Myeong-Wook Kim 외 4명, "Beauty food activities of wild-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round part", J Appl Biol Chem., Vol. 61, No. 1, pp. 33-38, 2018.03.31.(온라인 공개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US2021033057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dventitious root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s effective ingredient
KR102253376B1 (ko) 가는갯능쟁이 추출물 또는 계요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368406B1 (ko)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97531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59519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フェヌグリー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2334191B1 (ko) 두백감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249034B1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334192B1 (ko) 흰민들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71679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및 미백활성
CN107206039A (zh) 含高山黄芩提取物的用于美白肌肤的组合物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JP2021095370A (ja) 蒸気加熱処理工程を含む方法で処理したオタネニンジンの種子及び/又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2291441B1 (ko) 자두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12332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