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128B1 -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128B1
KR102334128B1 KR1020210101814A KR20210101814A KR102334128B1 KR 102334128 B1 KR102334128 B1 KR 102334128B1 KR 1020210101814 A KR1020210101814 A KR 1020210101814A KR 20210101814 A KR20210101814 A KR 20210101814A KR 102334128 B1 KR102334128 B1 KR 10233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buoy
eco
extrusion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환
Original Assignee
한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환 filed Critical 한수환
Priority to KR102021010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81Covering the foamed object with, e.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9Shaping and joining components with different densities or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aroun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부력을 제공하도록 성형하는 발포부표의 양쪽으로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면서 압출기에서 발포부표의 외경으로 융착부재를 압출함과 동시에 감아 발포부표의 외경과 융착부재가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한 몸체가 되도록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포부표(30)의 측면부(33) 외측으로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해 고정하고 몸체(31)의 외경으로 융착부재(20)를 공급해 코팅하는 친환경 부표(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31)의 외경으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하고, 몸체(31)를 회전시키며 상기 융착부재(20)의 압출과 동시에 몸체(31)를 한바퀴 이상 감싸고 상기 몸체(31)의 원둘레에서 일부분이 겹치는 폭(28)을 갖도록 공급하여 부재 융착로라(40)로 몸체(31)와 홈부(32) 및 측면부(33)에서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외경과 융착부재(20)가 맞닿아 융착부재(20)가 가지고 있는 온도로 몸체(31)의 표면이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All-in-one fused eco-friendly buoys with simultaneous extrusion coating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부력을 제공하도록 성형하는 발포부표의 양쪽으로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면서 압출기에서 발포부표의 외경으로 융착부재를 압출함과 동시에 한바튀 이상 감아 압출하면서 남아 있는 온도에 의해 발포부표의 외경과 융착부재가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한 몸체가 되도록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양식시설 뿐만 아니라 바지선과 연안개발 등에 부유식 부표의 설치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부표의 해양환경 파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양식장 등에 사용되는 부표는 대부분 고밀도 스티로폼(EPS, Expanded Styrofoam)을 사용하고 있으나 스티로폼이 국부적으로 파손되어 알갱이가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스티로폼 알갱이가 해양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스티로폼 부표 표면에 폴리우레타를 도포하거나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을 시트형태로 압출하여 외피로 감싼 부표가 친환경 부표로 명명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부표의 외피를 형성하는 폴리우레아와 PE, PP는 낮은 강성 및 강도로 부표의 국부적인 파손을 막기 어려우며, 국부적인 파손으로 내부 스티로폼이 유출되므로 기존에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하였으며, 스티로폼 외부로 PE, PP 시트로 둘러싼 부표의 경우 바다에 설치된 후에 스티로폼과 시트의 독립된 성형성과 온도차이로 인하여 분리되어 따로 놀게 되므로 융착부분의 분리를 막을 수 없어 융착부분에서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그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오히려 부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624681호(친환경 부표의 측면 용접장치와 그 방법)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스티로폼 몸체의 양측부에는 측면덮개를 부착하고, 외주면은 열수축 시트로 커버하여 스티로폼의 강도 보강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친환경 부표는, 측면덮개와 열수축 시트가 예상외로 쉽게 분리된다는 단점을 갖게 되고, 제조시에는 용접 로울러를 이용해 최대한 긴밀하게 융착 하지만, 사용 중 지속적인 파도와 바람의 영향을 이기지 못하고 융착부위가 조금씩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융착부위가 완전치 분리되면, 스티로폼 발포부표로부터 측면덮개가 이탈하여 스티로폼이 그대로 들어나게 된다. 이탈된 측면덮개는 바로 수거되지 않으면 바닷물 속에 부유하거나 해저면에 쌓이게 된다.
아울러, 시트를 코팅한 상태에서 야간에는 식별이 불가능하므로 바다를 운행하는 배와 충돌에 의해 파손의 원인이 되어 항로에 방해를 하거나, 위치의 식별이 어렵게 되고 주인이 뒤바뀐 상태로 수확이 이루어져 다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해수에 노출된 스티로폼도 서서히 부서져 미세판 파편들이 주변으로 퍼져나가 바닷물을 크게 오염시키게 된다. 바닷물 속에 부유하는 미새한 스티로폼 조각은 물고기가 먹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이를 섭취하는 인간에게 2차 피해를 입히는 것이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908844호(2018. 10. 10.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20-0076948호(2020. 06. 30.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259543호(2020. 09. 18.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969489호(2019. 04. 10.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양쪽으로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해 공급한 상태에서 압출기에서 융착부재가 압출되는 동시에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외경에 공급해 압출되면서 남아 있는 열을 이용해 일체형으로 코팅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융착부재를 압출하는 동시에 발포부표를 회전시키면서 외경에 한바퀴 이상 공급해 코팅되도록 하며 융착부재와 발포부표가 압출되면서 남아 있는 열을 이용해 융착되면서 융착부재와 발포부표가 만나는 부분에서 용융이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코팅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친환경 부표의 융착부재 외경으로 야광띠를 코팅해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부표의 측면부 외측으로 측면 고정부재를 공급해 고정하고 몸체의 외경으로 융착부재를 공급해 코팅하는 친환경 부표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외경으로 융착부재를 압출하고, 몸체를 회전시키며 상기 융착부재의 압출과 동시에 몸체를 한바퀴 이상 감싸고 상기 몸체의 원둘레에서 일부분이 겹치는 폭을 갖도록 공급하여 부재 융착로라로 몸체와 홈부 및 측면부에서 융착부재를 눌러 몸체의 형상을 따라 외경과 융착부재가 맞닿아 융착부재가 가지고 있는 온도로 몸체의 표면이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 양쪽으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의 외측으로 측면부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를 성형하며;
스티로폼 발포부표가 회전 안내로라의 상측에서 양쪽의 측면부의 대부분을 감쌀 수 있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를 공급해 측면 고정실린더 전방의 측면 고정부가 측면 고정부재를 눌러 측면부를 감싸 고정하고;
압출방향이 선택된 T-다이에서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몸체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를 압출과 동시에 몸체의 상측에서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지며;
상기 회전 안내로라의 상측에 설치된 부재 융착로라가 몸체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를 눌러 몸체의 형상을 따라 고정시키고, 융착부재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가 측면부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 양쪽으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의 외측으로 측면부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를 성형하는 부표 발포단계;
상기 부표 발포단계를 수행한 후 스티로폼 발포부표가 성형되면 냉각에 의해 발포부표 공급부를 통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대기상태에 있도록 하고, 공급로라를 통해 회전 안내로라의 사이 상측에 공급되는 부표 공급단계;
합성수지 펠릿을 공급해 가열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 공급하는 압출기의 선단에 T-다이를 설치해 융착부재를 압출하기 위한 융착부재 용융단계;
스티로폼 발포부표가 회전 안내로라의 상측에 공급되면, 양쪽의 측면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를 공급하고, 측면 고정실린더를 구동시켜 전방의 측면 고정부가 측면 고정부재를 눌러 측면부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측면 고정단계;
압출방향이 선택된 T-다이에서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몸체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를 압출해 몸체의 상측에서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지도록 공급하는 융착부재 즉시 압출단계;
상기 회전 안내로라의 상측에는 부재 융착로라가 설치되어 몸체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를 눌러 몸체의 형상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고, 융착부재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는 측면부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감싸며 코팅되는 발포부표 융착단계;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가 융착부재로 코팅된 후에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배출 실린더를 더 설치해 완성된 친환경 부표를 배출시켜 마감하는 발포부표 마감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양쪽으로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해 공급한 상태에서 압출기에서 융착부재가 압출되는 동시에 스티로폼 발포부표의 외경에 한바퀴 이상 공급해 발포부표의 압출 온도로 발포부표와 융착부재가 맞닿는 부분에서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된 코팅상태를 통하여 발포부표와 융착부재가 파도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절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융착부재를 압축하는 동시에 발포부표의 외경에 감아 코팅하도록 하며, 한바퀴 이상 감는 과정에 의해 겹치는 폭에서 융착부재가 만나면서 일체형으로 융착이 이루어져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 부표를 압출과 동시에 코팅해 일체형으로 융착되도록 한 융착부재 외경으로 야광띠를 코팅해 야간에 식별이 가능해 항로의 안내표시와 위치의 식별 및 농민간의 위치 오인으로 인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요부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의 코팅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융착로라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대한 코팅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융착부재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야광띠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몸체와 용융 융착부 및 융착부재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조립해 코팅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 정면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나낸 블럭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융착로라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대한 코팅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측면 고정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융착부재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부표에 야광띠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31) 양쪽으로 끈 또는 밧줄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홈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2)의 외측으로 측면부(33)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3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형상은 기존에 사용되는 부표를 나타낸 것으로 김발에 적용되거나, 표식으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에 따라 외형적인 형상이나 모양 등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부표, 부자, 부이, 부구와 같이 통상적으로 어업에서 사용되거나 불리는 어구의 모둔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것임을 물론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성형되면 냉각에 의해 발포부표 공급부(55)를 통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공급로라(56)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 안내로라(47)에 하나씩 공급되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는 내부가 채워지거나 빈 중공이 형성되도록 사출 또는 브로워몰딩으로 성형하여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 공급되면, 융착부재(20)와 같이 미리 압출되어 측면부(33)의 대부분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절단한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하고, 측면 고정실린더(50, 50a)를 구동시켜 전방의 측면 고정부(51, 51a)가 측면 고정부재(25)를 눌러 측면부(33)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고정부재(25)는 측면부(33)를 코팅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가압하여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펠릿을 공급해 가열되는 온도로 용융에 의해 압출 공급하는 압출기(10)의 선단에 T-다이(11)를 설치해 발포부표(30)의 양쪽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3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해 몸체(31)의 상측에서 외측을 감싸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는 회전 안내로라(47)의 회전에 따라 융착부재(20)의 공급속도에 맞추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몸체(31)의 외측을 한바퀴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지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는 부재 융착로라(40)가 설치되어 몸체(31)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고, 융착부재(20)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21)는 측면부(33)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감싸며 코팅되는 것이다.
이때,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외경으로 공급되는 융착부재(20)는 T-다이(11)로부터 압출과 동시에 몸체(31)의 외경에 공급해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용융된 온도가 조금만 냉각된 상태로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외경에 공급되어 부재 융착로라(40)를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눌리게 되므로 압출되는 즉시 가지고 있는 온도를 통하여 몸체(31)의 외경과 맞닿아 일부를 용융시켜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포(30)의 외경에 융착부재(20)를 압출과 동시에 공급해 코팅하는 과정에서 몸체(31)의 외경에 열풍기(45)를 통하여 가열함으로써 스티로폼 발포부표(30)와 융착부재(20)가 만나는 부분에서 용융에 의한 융착이 더 균일하고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융착부재(20)로 코팅된 후에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배출 실린더(44)를 더 설치해 완성된 친환경 부표(100)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기(10)로부터 용융되어 공급되는 원료가 양쪽으로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압출기와 T-다이(11, 11a)의 사이에 압출 제어부(12, 12a)를 더 설치하여 유, 공압으로 용융 수지의 공급시간을 조절하거나 온/오프 타임을 조절함으로써 양쪽에서 연속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간을 절약하고 연속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티로폼 발포부표(30, 30a)는 양쪽으로 연속된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압출기(10)에서 연속되는 용융 수지의 공급과 연속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부표(100)를 그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야간에 항로 안내와 위치식별 및 물체확인 등을 위해 야광용 띠(70)를 코팅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되;
친환경 부표(100)의 코팅을 수행한 상태에서 몸체(31)의 중앙 한곳 또는 양쪽 2곳 및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출기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압출에 의해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야광용 띠(70)를 코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야광용 띠(70)를 미리 압출한 후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수작업에 의해 결합 및 코팅함으로써 야간에 발광을 통해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몸체와 용융 융착부 및 융착부재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발포부표(30)의 몸체(31)를 감싸는 융착부재(20)는 T-다이(11, 11a)에서 압출되는 즉시 몸체(31)의 외측면을 한바퀴 감싼 상태에서 전체 길이의 3∼40%의 범위에서 겹치는 폭(28)을 갖도록 감싸지도록 하며, 길이를 추가하여 여러바퀴 감싸도록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여러바퀴 감싸는 경우에는 융착부재(20)의 두께를 매우 얇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착부재(20)가 압출되는 즉시 몸체(31)에 공급되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융착부재(20)는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몸체(31)의 표면과 만나면서 소유하고 있는 온도를 통해 표면 일부가 용융되어 용융 융착부(35)를 형성하면서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조립해 코팅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 정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측면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양쪽에 홈부(32)를 갖고 양쪽 선단에 측면부(33)가 형성되는 몸체(31)의 양쪽에는 시트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측면 고정부재(25)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측면 고정부재(25)를 시트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출에 의해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사출 성형하는 측면 고정부재(25)는 측면부(33)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측면부(33)를 감싸며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측면 고정부재(25)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보강 요철돌기(25a)가 다수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얇게 사출하는 경우에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31) 양쪽의 측면부(33)에 각각 측면 고정부재(25)를 결합한 후에는 융착부재(20)를 T-다이(11, 11a)에서 압출하는 동시에 몸체(31)의 외경에 한바퀴 감싼 상태에서 전체 길이의 3∼40%의 범위에서 겹치는 폭(28)을 갖도록 감싸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부재(20)가 압출되는 즉시 몸체(31)에 공급되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융착부재(20)는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몸체(31)의 표면과 만나면서 소유하고 있는 온도를 통해 표면 일부가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부재(20)가 몸체(31)를 감싸는 과정에서 융착부재(20)의 양쪽 선단이 측면 고정부재(25)의 일부를 감싸며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친환경 부표(100)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 14에 도시한 블럭도를 통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31) 양쪽으로 끈 또는 밧줄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홈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2)의 외측으로 측면부(33)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30)를 성형하는 부표 발포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성형되면 냉각에 의해 발포부표 공급부(55)를 통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대기상태에 있도록 하고, 공급로라(56)를 통해 회전 안내로라(47)의 사이 상측에 공급되는 부표 공급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합성수지 펠릿을 공급해 가열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 공급하는 압출기(10)의 선단에 T-다이(11)를 설치해 융착부재를 압출하기 위한 융착부재 용융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
압출기(10)의 한쪽으로 압출하거나, 양쪽으로 연결되는 T-다이(11, 11a)의 사이에 압출 제어부(12, 12a)를 설치해 T-다이(11, 11a)의 압출방향을 선택하는 압출방향 선택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 공급되면, 양쪽의 측면부(33)의 대부분을 감쌀 수 있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하고, 측면 고정실린더(50, 50a)를 구동시켜 전방의 측면 고정부(51, 51a)가 측면 고정부재(25)를 눌러 측면부(33)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측면 고정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고정부재(25)는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의 보강 요철돌기(25a)가 다수개 형성되어 보강하는 측면 고정부재(25)를 사출 성형해 양쪽의 측면부(33)에 결합해 고정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압출방향이 선택된 T-다이(11, 11a)에서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몸체(31)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해 몸체(31)의 상측에서 융착부재(20)가 압출되는 동시에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몸체(31)의 원둘레에 대하여 3∼40%의 범위에서 겹치는 폭을 갖게 감싸지도록 공급하는 융착부재 즉시 압출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부재(20)는 압출되는 동시에 몸체(31)를 한바퀴 이상 감싸면서 성형되는 것이며,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몸체(31)의 표면과 만나면서 소유하고 있는 온도를 통해 표면 일부가 용융되어 용융 융착부(35)가 형성되며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이다.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외경에 열풍기(45)를 설치해 가열함으로써 스티로폼 발포부표(30)와 융착부재(20)의 용융에 의한 융착이 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풍 가열단계(S65)를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는 부재 융착로라(40)가 설치되어 몸체(31)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고, 융착부재(20)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21)는 측면부(33)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감싸며 코팅되는 발포부표 융착단계(S7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융착부재(20)로 코팅된 후에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배출 실린더(44)를 더 설치해 완성된 친환경 부표(100)를 배출시켜 마감하는 발포부표 마감단계(S80)를 수행하는 것이다.
친환경 부표(100)의 몸체(31) 중앙 한곳 또는 양쪽 2곳 및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출기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압출에 의해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야광용 띠(70)를 코팅 하거나, 야광용 띠(70)를 미리 압출한 후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수작업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야간에 발광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부표 야광 성형단계(S90)를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발포부표를 회전시키면서 융착부재를 압출하는 동시에 코팅시켜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부재의 열에 의해 용융되며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고정되는 코팅을 수행해 바다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도나 바람 및 충격 등으로 융착된 부분이 절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랫동안 부력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압출기 11 : T-다이
12, 12a : 압출 제어부 20 : 융착부재
21 : 마감 융착부 25 : 측면 고정부재
25a : 보강 요철돌기 28 : 겹치는 폭
30, 30a : 발포부표 31 : 몸체
32 : 홈부 33 : 측면부
35 : 용융 융착부 40 : 부재 융착로라
41 : 홈 누름부 42 : 측면 마감부
44 : 배출 실린더 45 : 열풍기
47 : 회전 안내로라 50, 50a : 측면 고정 실린더
51, 51a : 측면 고정부재 55 : 발포부표 공급부
56 : 공급로라 70 : 야광용 띠
100 : 친환경 부표

Claims (12)

  1. 발포부표(30)의 몸체(31) 외경으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하고, 몸체(31)를 회전시키며 상기 융착부재(20)의 압출과 동시에 몸체(31)를 한바퀴 이상 감싸고 상기 몸체(31)의 원둘레에서 일부분이 겹치는 폭(28)을 갖도록 공급하여 부재 융착로라(40)로 몸체(31)와 홈부(32) 및 측면부(33)에서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외경과 융착부재(20)가 맞닿아 융착부재(20)가 가지고 있는 온도로 몸체(31)의 표면이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를 한바퀴 이상 감싸는 융착부재(20)는 압출과 동시에 감싸지도록 하며, 몸체(31)의 원둘레에 대하여 3∼40%의 범위에서 겹치게 감싸지도록 하고,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몸체(31)의 표면과 만나면서 소유하고 있는 온도를 통해 표면 일부가 용융되어 용융 융착부(35)에서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를 코팅한 융착부재(20)는 몸체(31) 중앙 한곳 또는 양쪽 2곳 및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출기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압출에 의해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야광용 띠(70)를 코팅 하거나, 야광용 띠(70)를 미리 압출한 후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수작업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야간에 발광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4. 발포부표(30)의 측면부(33) 외측으로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해 고정하고 몸체(31)의 외경으로 융착부재(20)를 공급해 코팅하는 친환경 부표(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31)의 외경으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하고, 몸체(31)를 회전시키며 상기 융착부재(20)의 압출과 동시에 몸체(31)를 한바퀴 이상 감싸고 상기 몸체(31)의 원둘레에서 일부분이 겹치는 폭(28)을 갖도록 공급하여 부재 융착로라(40)로 몸체(31)와 홈부(32) 및 측면부(33)에서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외경과 융착부재(20)가 맞닿아 융착부재(20)가 가지고 있는 온도로 몸체(31)의 표면이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5. 제 1항과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표(30)의 양쪽 측면부(33)를 감싸며 보강 요철돌기(25a)를 다수개 형성시키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해 고정한 후 몸체(31)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20)를 압출과 동시에 몸체(31)와 측면 고정부재(25)의 상측에서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6.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31) 양쪽으로 홈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2)의 외측으로 측면부(33)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30)를 성형하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서 양쪽의 측면부(33)를 감싸며 보강 요철돌기(25a)를 다수개 형성시키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해 측면 고정실린더(50, 50a) 전방의 측면 고정부(51, 51a)가 측면 고정부재(25)를 눌러 측면부(33)를 감싸 고정하고;
    압출방향이 선택된 T-다이(11, 11a)에서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몸체(31)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20)를 압출과 동시에 몸체(31)와 측면 고정부재(25)의 상측에서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지며;
    상기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 설치된 부재 융착로라(40)가 몸체(31)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와 측면 고정부재(25)의 형상을 따라 고정시키고, 융착부재(20)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21)가 측면 고정부재(25)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융착부재(20)가 압출되는 온도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7. PE, PP, PVC(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의 원료를 공급해 발포에 의해 원통형의 몸체(31) 양쪽으로 홈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2)의 외측으로 측면부(33)가 라운드지도록 스티로폼 발포부표(30)를 성형하는 부표 발포단계(S10);
    부표 발포단계(S10)를 수행한 후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성형되면 냉각에 의해 발포부표 공급부(55)를 통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대기상태에 있도록 하고, 공급로라(56)를 통해 회전 안내로라(47)의 사이 상측에 공급되는 부표 공급단계(S20);
    합성수지 펠릿을 공급해 가열 온도로 용융시켜 압출 공급하는 압출기(10)의 선단에 T-다이(11)를 설치해 융착부재를 압출하기 위한 융착부재 용융단계(S30);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 공급되면, 양쪽의 측면부(33)를 감쌀 수 있는 원형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하고, 측면 고정실린더(50, 50a)를 구동시켜 전방의 측면 고정부(51, 51a)가 측면 고정부재(25)를 눌러 측면부(33)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측면 고정단계(S50);
    압출방향이 선택된 T-다이(11, 11a)에서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몸체(31)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폭을 갖도록 시트형태로 융착부재(20)를 압출해 몸체(31)의 상측에서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일정부분이 겹치게 감싸지도록 공급하는 융착부재 즉시 압출단계(S60);
    상기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는 부재 융착로라(40)가 설치되어 몸체(31)의 외경을 감싸며 공급되는 융착부재(20)를 눌러 몸체(31)의 형상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고, 융착부재(20)의 양쪽 선단부로 노출되는 마감 융착부(21)는 측면부(33)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감싸며 코팅되는 발포부표 융착단계(S70);
    상기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융착부재(20)로 코팅된 후에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배출 실린더(44)를 더 설치해 완성된 친환경 부표(100)를 배출시켜 마감하는 발포부표 마감단계(S8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 용융단계(S30)를 수행한 후 압출기(10)의 한쪽으로 압출하거나, 양쪽으로 연결되는 T-다이(11, 11a)의 사이에 압출 제어부(12, 12a)를 설치해 T-다이(11, 11a)의 압출방향을 선택하는 압출방향 선택단계(S4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단계(S50)는 스티로폼 발포부표(30)가 회전 안내로라(47)의 상측에 공급되면, 양쪽의 측면부(33)를 감싸며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보강 요철돌기(25a)가 형성된 측면 고정부재(25)를 공급하고, 측면 고정실린더(50, 50a)를 구동시켜 전방의 측면 고정부(51, 51a)가 측면 고정부재(25)를 눌러 측면부(33)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 즉시 압출단계(S60)는, 융착부재(20)가 압출되는 동시에 외측을 한바퀴 이상 감싼 후 몸체(31)의 원둘레에 대하여 3∼40%의 범위에서 겹치는 폭(28)을 갖게 감싸지도록 공급하고, 40∼180℃의 온도를 갖고 코팅되며 몸체(31)의 표면과 만나면서 소유하고 있는 온도를 통해 표면 일부가 용융되어 용융 융착부(25)에서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 즉시 압출단계(S60)를 수행한 후 스티로폼 발포부표(30)의 외경에 열풍기(45)를 설치해 가열함으로써 스티로폼 발포부표(30)와 융착부재(20)의 용융에 의한 융착이 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풍 가열단계(S65)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표 마감단계(S80)를 수행한 후, 친환경 부표(100)의 몸체(31) 중앙 한곳 또는 양쪽 2곳 및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출기에 직접 연결한 상태에서 압출에 의해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야광용 띠(70)를 코팅 하거나, 야광용 띠(70)를 미리 압출한 후 친환경 부표(100)의 외경으로 수작업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야간에 발광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부표 야광 성형단계(S9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제조방법.
KR1020210101814A 2021-08-03 2021-08-03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33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14A KR102334128B1 (ko) 2021-08-03 2021-08-03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14A KR102334128B1 (ko) 2021-08-03 2021-08-03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128B1 true KR102334128B1 (ko) 2021-12-02

Family

ID=7886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14A KR102334128B1 (ko) 2021-08-03 2021-08-03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12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9543A (ja) 1988-08-23 1990-02-28 Dainippon Ink & Chem Inc 光学活性なビフェニ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
KR101200020B1 (ko) * 2012-08-01 2012-11-12 김학건 수산양식용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1774890B1 (ko) * 2017-05-04 2017-09-19 (주)유원포리머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용 발판과 그 제조방법
KR101908844B1 (ko) 2017-03-03 2018-10-16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101946876B1 (ko) * 2018-03-09 2019-02-13 세인스틸 주식회사 열수축 케이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69489B1 (ko) 2016-10-28 2019-04-16 이호성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 부표
KR20200076948A (ko) 2018-12-20 2020-06-30 이지운 양식용 부표
KR102176311B1 (ko) * 2020-08-06 2020-11-09 홍병준 내화학성 및 내후성 피복을 갖는 부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표
KR102180870B1 (ko) * 2020-06-08 2020-11-19 박찬역 수산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2230914B1 (ko) * 2020-08-13 2021-03-24 정용현 발포성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부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9543A (ja) 1988-08-23 1990-02-28 Dainippon Ink & Chem Inc 光学活性なビフェニ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
KR101200020B1 (ko) * 2012-08-01 2012-11-12 김학건 수산양식용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489B1 (ko) 2016-10-28 2019-04-16 이호성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 부표
KR101908844B1 (ko) 2017-03-03 2018-10-16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101774890B1 (ko) * 2017-05-04 2017-09-19 (주)유원포리머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미끄럼방지용 발판과 그 제조방법
KR101946876B1 (ko) * 2018-03-09 2019-02-13 세인스틸 주식회사 열수축 케이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00076948A (ko) 2018-12-20 2020-06-30 이지운 양식용 부표
KR102180870B1 (ko) * 2020-06-08 2020-11-19 박찬역 수산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2176311B1 (ko) * 2020-08-06 2020-11-09 홍병준 내화학성 및 내후성 피복을 갖는 부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표
KR102230914B1 (ko) * 2020-08-13 2021-03-24 정용현 발포성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부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367B1 (ko)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US6773773B2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manufacture
KR101880951B1 (ko) 발포 성형용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US5618065A (en) Electric welding pipe joint having a two layer outer member
KR101743560B1 (ko) 다중벽관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1914596B1 (ko) 발포 성형용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334128B1 (ko)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946876B1 (ko) 열수축 케이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US5358580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ose having reinforcement incorporated therein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34125B1 (ko) 압출 동시 코팅형 일체 융착식 친환경 부표 코팅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851161B1 (ko)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9756B1 (ko)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JP3647857B1 (ja) 管継手の製造方法
US262407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ural hose
JP2002307520A (ja) タイヤ成型用ゴム部材押出機およびタイヤ構成部材製造方法
CN109869541B (zh) 新型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及其生产工艺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KR102033312B1 (ko) 부력체가 삽입되는 외경관을 이용한 부표와 그 제조방법
EP0069249A1 (en) Tube package
US62581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fitting, and pipe fitting
KR101815849B1 (ko) 두 줄 용접되는 원통 슬리브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0533456B1 (ko) 폐폴리에틸렌 솔리드 하수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96550B1 (ko)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장치
NO783460L (no) Laminert roer for sammenfellbare beholdere og fremgangsmaate for deres fremstilling
CA1239267A (en) Process for producing nets of plastic material and apparatuses for carrying out said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