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58B1 - 다목적 물꼬 - Google Patents

다목적 물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58B1
KR102333858B1 KR1020210038220A KR20210038220A KR102333858B1 KR 102333858 B1 KR102333858 B1 KR 102333858B1 KR 1020210038220 A KR1020210038220 A KR 1020210038220A KR 20210038220 A KR20210038220 A KR 20210038220A KR 102333858 B1 KR102333858 B1 KR 10233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opening
wat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3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등으로부터 논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물꼬에 관한 것으로 물이 유입되는 측과 물이 배출되는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개구와 제 2개구, 상기 제 1개구 측에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여 형성되는 관통홀, 내부 양측면에 상기 관통홀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레일, 상기 제 1레일의 하단 측으로부터 상기 제 2개구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레일을 포함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측에 제 1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 1플레이트 및 상측에 제 2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개구로 배출되는 배수량을 조절하는 제 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물꼬{Multifunctional Inlet For Irrigation}
본 발명은 다목적 물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로 등으로부터 논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물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꼬란 논에 물이 넘어 들어오거나 나가게 하기 위하여 만든 좁은 통로로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논에 물을 끌어넣는 입구를 의미한다.
특히, 벼를 재배하는 경우 논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둑이 형성되고, 둑에는 벼의 생장에 맞도록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논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거나 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꼬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물꼬는 둑에 일부를 제거하여 수로를 형성하고 흙 등이 담긴 자루 또는 비닐 포대 등으로 수로를 막거나 개방함으로써 논의 수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물꼬는 폭우 등에 의하여 흙이 쉽게 허물어져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032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뭄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승, 하강함으로써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 1수위 조절판(30) 및 상기 몸체부(1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철사나 실 등의 연결구를 잡아당기면 힌지(21)를 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물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제 2수위 조절판(20)을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목적 물꼬는 상기 제 1수위 조절판(30)이 개방되어 몸체부(10)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수위 조절판(20)과 상기 힌지(21)가 결합되는 부위로 세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다목적 물꼬는 비교적 강도가 약한 상기 제 2수위 조절판(20)과 상기 힌지(21)가 결합되는 부위가 상기 제 1수위 조절판(30)이 개방되어 몸체부(10)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032호(공고일 2017.04.04.)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물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플레이트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구성 간의 결합부 측으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물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간의 결합 부위 등과 같이 비교적 강도가 약한 부분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해당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물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물꼬는 몸체부와 제 1플레이트 및 제 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는 상기 몸체부는 물이 유입되는 측과 물이 배출되는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개구와 제 2개구, 상기 제 1개구 측에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여 형성되는 관통홀, 내부 양측면에 상기 관통홀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레일, 상기 제 1레일의 하단 측으로부터 상기 제 2개구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레일을 포함하여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측에 제 1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측에 제 2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개구로 배출되는 배수량을 조절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레일의 하단에 상기 관통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 1체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제 1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 1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1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제 2레일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직선부 및 상기 레일 직선부와 연속되어 상기 제 2개구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레일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상기 레일 경사부의 상측으로 상기 제 2개구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3개구 및 내부 양측면에 상기 레일 경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부에 탈착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물꼬는 구성 간의 결합부 측으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량 조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물꼬는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이 되는 플레이트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물꼬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몸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제 2플레이트와 제 3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가 와전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유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의 제 2플레이트와 제 3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가 와전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물꼬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물꼬는 몸체부(100)와 제 1플레이트(200) 및 제 3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서 전, 후방 및 후방 측 상부에 각각 개구(110)를 포함하여 수로 등으로부터 논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조립이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상판이 분리 및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의 상판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110)는 물이 유입되는 측에 형성되는 제 1개구(111)와 물이 배출되는 측에 형성되는 제 2개구(112) 및 상기 제 2개구(112) 측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3개구(113)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개구(112)와 상기 제 3개구(113)는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Γ'자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제 1개구(111) 측의 상면에 상기 몸체부(110)를 통하여 흐르는 물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20)과 상기 관통홀(120)의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레일(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레일(130)의 하단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저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 1체결리브(1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 양측면에 각각 상기 제 1체결리브(131) 측으로부터 상기 제 2개구(112)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 2레일(1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레일(140)은 상기 제 1체결리브(131) 측에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직선부(141)와 상기 레일 직선부(141)와 연속되어 상기 제 2개구(112)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레일 경사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 직선부(141)와 상기 레일 경사부(142)가 이어지는 부분에는 완만한 라운딩 형상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1개구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3개구(113)의 단부는 상기 레일 직선부(141)와 상기 레일 경사부(142)가 이어지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 경사부(142)는 상기 제 2개구(112) 측에 형성되는 상기 레일 직선부(14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개구(112)의 상측까지 이어지는 직선일 수도 있으나 만곡부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원호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개구(112) 측에 형성되는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단면은 상기 상기 제 2개구(112)와 상기 제 3개구(113)가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상측에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고정부(1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고정부(143)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양측면에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143)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나 고리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재질의 사각판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20)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상기 유로(100)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플레이트(200)의 폭은 상기 유로(100)의 내측 단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상기 관통홀(120)에 완전 삽입된 경우 상기 유로(10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유로(100)의 내측 단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상기 관통홀(120)에 완전 삽입된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파지부(21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파지부(210)는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상기 제 1플레이트(20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고정부(220)가 양측에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고정부(220)는 상기 제 1레일(130)에 삽입되는 상기 제 1플레이트(2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 1파지부(2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플레이트(200)를 상기 관통홀(120)로 밀어 넣으면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상기 제 1레일(13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체결리브(131)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제 1체결리브(131)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 1플레이트(200)를 사용자가 상기 제 1파지부(210)를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 1플레이트(200)는 상기 제 1레일(13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200)가 상기 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거나 일부 개방되도록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제 1고정부(220)에 제 1고정부재(230)를 끼어 넣어 상기 제 1플레이트(2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고정부제(2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 측에서 상기 제 1고정부(220)에 체결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끈 등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재(2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핀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써 상기 제 1플레이트(20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더욱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플레이트(300)의 길이는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상기 레일 직선부(141)로부터 상기 레일 경사부(142)로 이동 가능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2파지부(310)와 상기 제 2파지부(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2고정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파지부(310)는 상기 제 1파지부(2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직선부(141)에 위치할 때, 상기 제 2파지부(310)는 상기 제 3개구(113)를 통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경사부(142)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상기 레일 경사부(142) 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파지부(310)가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재(320)는 상기 제 2레일(140)을 따라 위치 조절이 완료된 상기 제 2플레이트(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고정부(143)에 삽입되는 핀이거나 체결되는 고리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 2파지부(3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 2플레이트(300)를 상기 제 2레일(140)을 따라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길이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상기 레일 직선부(141)에서 상기 레일 경사부(14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 1개구(1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 2개구(112) 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2플레이트(300)의 단부 보다 높이가 낮은 경우 상기 제 2개구(120)로 배출이 방지됨으로써 배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 2파지부(3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 2플레이트(300)를 상기 제 2레일(140)을 따라 상기 레일 경사부(142)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제 2플레이트(300)는 상기 레일 경사부(142)에서 상기 레일 직선부(141)로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몸체부
110. 개구
111. 제 1개구
112. 제 2개구
113. 제 3개구
120. 관통홀
130. 제 1레일
131. 제 1체결리브
140. 제 2레일
141. 레일 직선부
142. 레일 경사부
143. 제 2고정부
200. 제 1플레이트
210. 제 1파지부
220. 제 1고정부
230. 제 1고정부재
300. 제 2플레이트
310. 제 2파지부
320. 제 2고정부재

Claims (5)

  1. 물이 유입되는 측과 물이 배출되는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개구와 제 2개구, 상기 제 1개구 측에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여 형성되는 관통홀, 내부 양측면에 상기 관통홀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레일, 상기 제 1레일의 하단 측으로부터 상기 제 2개구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레일을 포함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측에 제 1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 1플레이트; 및
    상측에 제 2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개구로 배출되는 배수량을 조절하는 제 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레일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직선부; 및
    상기 레일 직선부와 연속되어 상기 제 2개구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레일 경사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레일의 하단에 상기 관통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 1체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제 1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 1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1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상기 레일 경사부의 상측으로 상기 제 2개구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제 3개구 및 내부 양측면에 상기 레일 경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부에 탈착되어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 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물꼬.
KR1020210038220A 2021-03-24 2021-03-24 다목적 물꼬 KR10233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20A KR102333858B1 (ko) 2021-03-24 2021-03-24 다목적 물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20A KR102333858B1 (ko) 2021-03-24 2021-03-24 다목적 물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858B1 true KR102333858B1 (ko) 2021-12-06

Family

ID=7890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220A KR102333858B1 (ko) 2021-03-24 2021-03-24 다목적 물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73Y1 (ko) * 2005-09-08 2005-12-08 김상현 수문
KR101723032B1 (ko) 2016-05-19 2017-04-04 박종세 다목적 물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73Y1 (ko) * 2005-09-08 2005-12-08 김상현 수문
KR101723032B1 (ko) 2016-05-19 2017-04-04 박종세 다목적 물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473B2 (en) Elastomeric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KR102333858B1 (ko) 다목적 물꼬
KR100922874B1 (ko) 수로관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0738973B1 (ko) 미세유량조절밸브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CN109750635A (zh) 一种生态与硬质相结合的挡墙结构
KR101968576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102121319B1 (ko) 유량 조절이 가능한 물뿌리개
CN104488668A (zh) 浮力开关及包括该浮力开关的水田自动灌溉机构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175071Y1 (ko) 급수용 논물막이
KR200163449Y1 (ko) 급수용논물막이
KR20180134112A (ko) 어도블록
KR200329969Y1 (ko) 농수 조절용 수문
KR20210041660A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KR200364468Y1 (ko) 물꼬
US2821842A (en) Irrigation control gate
JP4621833B2 (ja) 塵取りスクリーン付分岐口
US5720575A (en) Water control and diversion headg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50071635A (ko) 논물 유입량 조절장치
JP2003055947A (ja) 水田用給水ゲート
JP2001211765A (ja) 水田用堰
KR20190100805A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