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652B1 -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 Google Patents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652B1
KR102333652B1 KR1020210102530A KR20210102530A KR102333652B1 KR 102333652 B1 KR102333652 B1 KR 102333652B1 KR 1020210102530 A KR1020210102530 A KR 1020210102530A KR 20210102530 A KR20210102530 A KR 20210102530A KR 102333652 B1 KR102333652 B1 KR 10233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wer
configuration information
map
user authentication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파워텍 filed Critical (주)엘에스파워텍
Priority to KR102021010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설되거나 변경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장비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적용하여 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맵에 따라 상기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를 상기 맵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맵에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맵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 또는 배선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UBWAY USING POWER TRAIN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계사양에 따라 설계 맵을 제공하기 위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철 전력 배전설비는 열차 운행에 필요한 전원 공급 및 철도 관련 시설의 전원 공급에 필요한 설비로 송전선로, 변전설비, 전차선로, 배전선로, 전력기기, 조명설비 및 부대설비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철 전력 배전설비의 제반 업무는 설비의 구축 및 운영과정에서 해당 법규, 규정, 기준 지시에 의거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건설의 제반 업무는 작업수행-보고-확인-평가-조치-DB(Data Base)화 등이 실시간(Real-Time)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전철 전력 배전설비 건설의 제반 업무는 작업수행-내용수기-대장확인 또는 일지보고-확인-평가-조회 등으로 진행되어, 필요한 작업이 적기에 수행되고 있는지가 불분명하고, 제반 업무 수행 보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건설의 제반 업무에 대한 확인, 평가, 조회의 적시성이 확보되지 않으며, 전철 전력 배전설비 건설의 제반 업무에 관련된 정보의 DB화 진행(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의 경우 도면만을 이용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하게 되어 해당 도면이 누락되는 경우,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철 전력 배전설비를 설치 및 유지보수를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3819호(2020.03.0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설되는 전철 전력 배전설비 와 기 설치된 전철 전력 배전 설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설되거나 변경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장비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적용하여 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맵에 따라 상기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를 상기 맵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맵에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맵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 또는 배선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의 사진 자료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페이지는, 일부에 상기 사진 자료를 출력하는 사진출력 레이어를 할당하고, 상기 사진출력 레이어가 할당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전철 전력 설비 공사정보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출력레이어를 할당하고, 상기 공사정보를 클릭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사정보의 클릭 시 상기 사진출력 레이어에는 클릭된 구성에 대한 사진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설비가 설치되는 노선의 종류(일반철도, 고설철도), 열차운행 계획, 차량종류, 노반구배 및 곡선자료, 노반특성(교량, 터널), 주변노선 전철 변전소 형황 및 계획, 전철변전소 급전거리, 한전 전원 임피던스, 부하용량, 변합기(흡상변압기, 단권변합기)의 급전 방식 및 전차선로 임피던스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회페이지로의 접속 요청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상기 조회페이지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언락킹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모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인증모듈, 및 상기 언락킹 모션과 사용자 인증이 검증되면 상기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모듈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모션감지부 및 상기 제1모션감지부와 수평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제1모션감지부에서 기준 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고, 이후 상기 제2모션감지부에서 기준 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며, 이후 상기 신원인증모듈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조건에서만 상기 구성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결제 프로그램에 등록된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중 일부와 매칭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원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그 일부를 추출하여 기 등록되어 있는 결제수단의 고유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치된 전철 설비에 적용되는 전력선 및 장비를 하나의 전개도면을 통해 각각의 스펙을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현재 신설중인 전철 전력 배전설비를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2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상변압기의 급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권변압기의 급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S2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회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실행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맵 추출부(120), 제어부(130), 추출부(140) 및 사용자 인증 장치(15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10)는 신설되거나 변경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각각의 장비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은 허용전류, 입력 및 출력 전류, 전압 및 해당 설비의 용량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는 각각의 전철 전력 설비 장비가 설치될 GPS 좌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맵 추출부(120)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적용하여 맵을 추출한다.
추출된 맵은 각각의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의 설치 위치와 연결되는 전력선의 배선이 표시되는 베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력선 지하화를 설계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맵의 추출은 제공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알고리즘화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인공지능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맵의 추출은 기 설정된 학습모델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학습모델은 기 저장되어있는 설치된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지하화된 전력선의 배선 위치에 따른 맵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인간의 학습, 추론, 지각 능력을 구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치된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지하화된 전력선의 배선 위치에 따른 맵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맵에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맵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한다.
여기서, 구성정보는 해당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의 사진 자료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출력부(140)는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 또는 배선 도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조회페이지는 일부에 사진 자료를 출력하는 사진출력 레이어를 할당한다.
또한, 조회페이지는 사진출력 레이어가 할당되지 않은 위치에 공사정보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출력레이어를 할당하고, 공사정보를 클릭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사정보의 클릭 시 사진출력 레이어에는 클릭된 구성에 대한 자료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입력부(110)는 신설되거나 변경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장비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입력받는다(S210).
도 3은 도 2의 S2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입력부(110)는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전철 전력설비 종류, 전철 전력설비의 전산화 번호, 식별번호, 자재명, 자재 수량, 공사구분, 공사형태, 품번호, 코드, 품명, 수량 설치 영역, 설치 순서, 실적코드 또는 수작업 여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전철 전력 설비가 설치되는 노선의 종류(일반철도, 고설철도), 열차운행 계획, 차량종류, 노반구배 및 곡선자료, 노반특성(교량, 터널), 주변노선 전철 변전소 형황 및 계획, 전철변전소 급전거리, 한전 전원 임피던스, 부하용량, 변합기(흡상변압기, 단권변합기)의 급전 방식 및 전차선로 임피던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상변압기의 급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흡상변압기의 급전 방식은 철도 차량의 주행을 위한 궤도를 귀로로 하는 전류를 부급전선(NF)에 흡상시키기 위해 일정한 구간마다 흡상변압기를 설치하고, 그 중간지점에서 궤도와 부급전선을 접속시키는 흡상선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권변압기의 급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단권변압기의 급전방식은 급전선(AF)와 전차선(TF) 사이에 10Km의 간격으로 단권변압기를 병렬설치하여 변압기 권선의 중성점을 궤도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맵 추출부(120)는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적용하여 맵을 추출한다(S220).
도 6는 도 2의 S2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맵 추출부(120)는 각각의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의 설치 위치와 연결되는 전력선의 배선을 표시한다.
또한 맵 추출부(120)는 해당 전력선의 출력 및 직경, 전력의 이동방향을 더 포함하여 나타낸다.
이때, 도6에서 나타낸 SM, SA, TR은 각각의 전철 전력 설비를 의미하며, 각각의 굵은 갈색선, 파란색 선, 및 노란색 선은 각각 전력선을 의미한다.
또한, 맵 추출부(120)는 입력된 데이터와 기 저장되어 있는 관련사업 추진현황, 관계기관 협의, 노선현황, 열차운영계획, 주변의 한전변전소 위치, 급전계통구선방식 및 변전설비 위치등을 시행 급전계통으로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여 맵을 추출한다.
이때, 맵 추출부(120)는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전철 전력 설비의 네트워크 구성방식에 따라 주변압기의 개수, 결선 및 연결 방식을 설정하여 맵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맵에 따라 전력 설비 및 지하화된 전력선이 시공되면, 입력부(110)는 시공된 전력 설비 및 지하화된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를 사용자를 통해 맵에 입력받는다(S230).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맵에 시공된 전력 설비 및 지하화된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맵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한다(S240).
즉, 맵에 시공된 전력 설비 및 지하화된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전력 설비의 아이콘을 활성화시켜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생성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50).
여기서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지속적으로 생성된 아이콘의 선택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출력부(140)는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 또는 배선 도면을 출력한다(S260).
도 7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회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출력부(140)는 조회페이지와 각각의 구성을 표시한다.
이때 조회페이지에는 사진출력 레이어와 리스트출력 레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진출력 레이어와 리스트출력 레이어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나타내며, 각각의 사진출력 레이어와 리스트출력 레이어의 위치는 전력설비 유지보수 시스템(100)의 설정에 따라 크기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 내지 도 8h는 각각 해당 장비 내부, 장비 명판, 장비 번호, 장비 설치 위치 전경, 장비에 접속된 단자, 접속된 단자명찰, 접속된 케이블 제원 및 장비 단자 선로 명찰에 대한 조회페이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h는 좌측에 사진출력 레이어를 할당하고, 사진출력 레이어가 할당되지 않은 위치에 공사정보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출력레이어를 할당한다.
또한 출력부(140)는 공사정보를 클릭 시 사진출력 레이어에는 클릭된 구성에 대한 사진 자료를 출력한다.
또한 도 9에서 나타낸 것처럼, 출력부(140)는 각각의 전력 설비 장비의 지상개폐기에 접속된 각각의 전력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치된 전철 설비에 적용되는 전력선 및 장비를 하나의 전개도면을 통해 각각의 스펙을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현재 신설중인 전철 전력 배전설비를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전철 전력 설비, 전력선의 사진 자료등을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접속 인증수단으로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식 등의 경우 비밀번호 전체 문자를 번거롭게 입력해야 하고, 아울러 최근에는 비밀번호에 특수문자를 반드시 섞어야 하는 제한이 존재하여 해당 비밀번호를 외우기에도 상당히 까다롭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접속 인증에 상당히 애를 먹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비밀번호를 외우고 있다 하더라도 통상적으로 비밀번호가 매우 조그맣게 표시되어 노안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인증번호 식별이 곤란하였는바, 이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모션을 수행하기만 하면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 인증 장치(SL)은 모션 감지모듈(SL1), 신원인증모듈(SL2), 구성정보 제공모듈(SL3 및 데이터베이스모듈(SL4)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장치(SL)는 기존 방식에 비해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획득하지 않고도 본인 확인이 가능하고, 특히 카드번호의 일부만 추출하여 개인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 법적 규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모션감지와 신원인증 방식을 통해 주인만 잠금 해제가 가능한 사용자 인증 장치(SL)를 도입하였다.
먼저, 모션 감지모듈(SL1)은 사용자 단말기의 언락킹 모션(Unlocking motion)을 감지하기 위해 제1 모션감지부(SL11) 및 제2 모션감지부(SL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모션감지부(SL11)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모션감지부(SL1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도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모션감지부(SL11)와 제2 모션감지부(SL12)는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신원인증모듈(SL2)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수단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번호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SL4)에 기 등록된 결제 수단의 고유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구성정보 제공모듈(SL3)은 언락킹 모션과 사용자 인증이 검증되면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투광부(161)를 불투명에서 투명상태로 전환시킨다.
제1 모션감지부(SL11)에서 기준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고, 이후 제2 모션감지부(SL12)에서 기준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며, 이후 신원인증모듈(SL2)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구성정보 제공모듈(SL3)은 출력부(140)에 조회페이지와 각각의 구성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기한 사용자 인증 장치의 동작 과정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도 1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모션감지부(SL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우측으로 회전되어 제2 모션감지부(SL12)에 접촉되고, 신원인증모듈(SL2)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구성정보 제공모듈(SL3)은 출력부(140)에 조회페이지와 각각의 구성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이때, 도 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모션감지부(SL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우측으로 회전되어 제2 모션감지부(SL12)에 접촉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모션감지부(SL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회전되어 제2 모션감지부(SL12)에 접촉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모션감지부(SL11)에서 기준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지 않거나, 제2 모션감지부(SL12)에서 기준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지 않거나, 신원인증 모듈(SL2)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구성정보 제공모듈(SL3)는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초기화하여 재인증을 요청한다.
즉, 단순히 단말기의 접근만으로 잠금해제를 인식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 의한 언락킹 모션인 제1 모션감지부(SL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되어 제2 모션감지부(SL12)에 접촉시키는 모션과 신원인증 모듈(SL2)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잠금해제 절차를 시행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의 지문인식 또는 홍체인식과 같은 생체인식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오차가 없는 조도 센서를 통해 언락킹 모션을 감지한다는 점에서 인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수단의 고유번호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미도시)에 기 등록된 결제 수단의 고유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
110: 입력부 120: 맵 추출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SL: 사용자 인증 장치 SL1: 모션감지모듈
SL2: 신원인증모듈 SL3: 구성정보 제공모듈
SL4: 데이터베이스모듈

Claims (4)

  1.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은 신설되거나 변경 시공되는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장비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철 전력 설비 각각의 장비에 대한 스펙, 설치 위치 및 상기 전력선의 배선 위치를 적용하여 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맵에 따라 상기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를 상기 맵에 입력받는 단계;
    상기 맵에 상기 시공된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 각각의 구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맵에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조회페이지 또는 배선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페이지로의 접속 요청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장치는
    상기 조회페이지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언락킹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모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신원인증모듈, 및 상기 언락킹 모션과 사용자 인증이 검증되면 상기 구성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모듈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모션감지부 및 상기 제1모션감지부와 수평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모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제1모션감지부에서 기준 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고, 이후 상기 제2모션감지부에서 기준 값 이상의 조도 값이 검출되며, 이후 상기 신원인증모듈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조건에서만 상기 구성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결제 프로그램에 등록된 결제수단의 고유번호 중 일부와 매칭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원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의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그 일부를 추출하여 기 등록되어 있는 결제수단의 고유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전철 전력 설비가 설치되는 노선의 종류(일반철도, 고설철도), 열차운행 계획, 차량종류, 노반구배 및 곡선자료, 노반특성(교량, 터널), 주변노선 전철 변전소 형황 및 계획, 전철변전소 급전거리, 한전 전원 임피던스, 부하용량, 변합기(흡상변압기, 단권변합기)의 급전 방식 및 전차선로 임피던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더 입력받는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구성정보는 상기 전철 전력 설비 및 전력선의 사진 자료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페이지는,
    일부에 상기 사진 자료를 출력하는 사진출력 레이어를 할당하고, 상기 사진출력 레이어가 할당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전철 전력 설비 공사정보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는 리스트 출력레이어를 할당하고, 상기 공사정보를 클릭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사정보의 클릭 시 상기 사진출력 레이어에는 클릭된 구성에 대한 사진 자료를 출력하는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210102530A 2021-08-04 2021-08-04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KR10233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30A KR102333652B1 (ko) 2021-08-04 2021-08-04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30A KR102333652B1 (ko) 2021-08-04 2021-08-04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652B1 true KR102333652B1 (ko) 2021-12-01

Family

ID=7890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530A KR102333652B1 (ko) 2021-08-04 2021-08-04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12534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테르텐 Pc 사용 권한 부여 방법, 이를 포함하는 모듈, 서버, 및 시스템
KR20150144366A (ko) * 2014-06-16 2015-12-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종단 간 매체 소유 인증과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을 결합한 가맹점 결제 처리 방법
KR102274853B1 (ko) * 2021-03-16 2021-07-07 이진권 전력선 지하화 및 유지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723A (ko)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12534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테르텐 Pc 사용 권한 부여 방법, 이를 포함하는 모듈, 서버, 및 시스템
KR20150144366A (ko) * 2014-06-16 2015-12-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종단 간 매체 소유 인증과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을 결합한 가맹점 결제 처리 방법
KR102274853B1 (ko) * 2021-03-16 2021-07-07 이진권 전력선 지하화 및 유지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9895A (zh) 用于识别电子地图中的路口的方法和装置
CN111805508B (zh) 一种基于视觉理解的现场安全性许可方法
CN106204867A (zh) 可授予访客开门权限的门禁系统及门禁管理方法
CN106327649A (zh) 基于二维码的门禁系统及开门方法
CN103514641A (zh) 一种智能停车场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6997588A (zh) 基于计算机图像处理的公路路面、隧道病害诊断系统
CN110569938A (zh) 一种公路交通基础设施养护的编码与识别方法
CN108281029A (zh) 一种基于汽车电子标识的路旁车位检测装置
KR102333652B1 (ko) 전철 전력 배전설비 시스템을 이용한 전철 전력 배전설비 방법
CN108197625A (zh) 一种校正车牌识别的方法及系统
EP291248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gekennzeichneten gefahr- und/oder baustellen im bereich von fahrbahnen
CN107657668A (zh) 公交车智能停靠方法
CN105117822B (zh) 电力系统基础数据精益化处理方法
CN114005135A (zh) 建设项目图纸智能审核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789208B1 (ko) 공급자와 수용가 경계지점 간의 지상·지하시설물 측량·탐사를 통한 지상·지하시설물 데이터 db 관리플랫폼 형성장치 및 방법
CN206224574U (zh) 基于门禁的电气防误操作管控装置
CN108320563A (zh) 一种基于汽车电子标识的平面车位检测装置
CN101572018B (zh) Rvsm空域运行航空器批准有效性检验的装置及方法
KR102274853B1 (ko) 전력선 지하화 및 유지보수 방법
KR20140033701A (ko) 운전자 생체정보를 이용한 열차 제어 시스템
CN108725383A (zh) 一种公共交通车辆的管理方法、系统及公共交通车辆
CN105416347A (zh) 车内拥挤情况预知装置
CN205486849U (zh) 停车场车位管理系统
CN113746888B (zh) 一种工作票监护环节智能辅助决策方法
TWI788680B (zh) 智慧停車繳費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