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513B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513B1
KR102333513B1 KR1020200055553A KR20200055553A KR102333513B1 KR 102333513 B1 KR102333513 B1 KR 102333513B1 KR 1020200055553 A KR1020200055553 A KR 1020200055553A KR 20200055553 A KR20200055553 A KR 20200055553A KR 102333513 B1 KR102333513 B1 KR 102333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rash
artificial
garb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353A (ko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이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용 filed Critical 이진용
Priority to KR102020005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5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94Refuse receptacl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or extinguishin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30/00Shap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30/135Potted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 및 상기 뚜껑 아래에 위치하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가지며, 또한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aske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마치 조화식물 화분 또는 조형물 전시품과 같은 느낌을 주어, 지저분한 쓰레기통이 없는 것과 같은 위장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갖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통은 일상 생활에서 주변에 많이 비치되어 있는 필수 물품이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거리에 수 많은 쓰레기통이 마련되어 갖추어져 있다. 또한, 환경보호를 위한 재활용품 분리수거에 있어서, 종이, 플라스틱, 유리, 철, 스티로폼, 목재, 비닐 등 다양한 종류로 분리하기 위한 여러 개의 분리수거용기로서의 쓰레기통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쓰레기통은 보통 외관상 보기 좋지 않거나 지저분한 느낌을 주기 마련이다. 즉, 쓰레기를 담는 통이라는 선입견 만으로도 불쾌한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쓰레기통은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어 가능한 한 최소한 필요한 만큼의 쓰레기통만을 비치하거나, 또는 쓰레기통을 보이지 않도록 은폐시키거나, 또는 사람들 자신의 생활영역에서 원거리에 배치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쓰레기가 수시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생활 필수품인 쓰레기통을 너무 멀리 비치한다거나 아예 전혀 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히려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줄 수 있다. 청결을 위하여 쓰레기를 즉시 처리하기위한 편리성에는 생활공간 안에서도 근거리에 쓰레기통이 배치 되어야 만 하는 접근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사람들은 쓰레기통을 배치하는 위치 문제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특히 외부 방문자에게 있어서 방문 장소(예를 들어, 사업주의 사무실)의 첫인상은 상당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지저분하게 보일 수 있는 쓰레기통이 눈에 보이면 방문자(고객)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일상 생활이나 주변 환경에서 쓰레기통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거부감을 없애고,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쓰레기통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20-2012-0005225호에는 장식소품기능의 휴지통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차량운행중이나 탁상업무 중 발생하는 휴지나 잡다한 소량의 쓰레기를 수납하는 휴지통을, 이 휴지통이 비치되는 곳의 특성상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나, 또는 접촉에 의한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 외형을 갖추면서 오뚝이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휴지통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쓰레기통은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면서, 이와 동시에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를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소화기능을 가져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성 쓰레기통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갖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 외부인(예, 고객)이 방문할 경우 사무실내 분위기의 첫인상은 외부 방문자에게 매우 중요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쓰레기통 형상을 위장(은폐)한 심미성이 뛰어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을 배치함으로써, 사무실 공간에 주거하는 사람(예, 사업주 또는 직원)에게 편리성과 심미성을 제공하면서 방문자(예, 고객)에게도 쾌적한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소화기능을 가져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성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 및 상기 뚜껑 아래에 위치하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을 구비하여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가지며, 또한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일 구현예의 단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쓰레기통의 일 구현예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뚜껑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하며, 장식물은 손잡이 부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는 화분 형상 또는 전시물 받침대 형상으로 제작하여, 쓰레기통이 마치 조화식물 화분 또는 조형물 전시품과 같은 느낌을 주어 미관을 해치지 않아, 지저분한 쓰레기통이 없는 것과 같은 위장 효과를 줄 수 있다. 오히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우수한 심미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을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로 이루어진 뚜껑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은 결합도구에 의해 상기 뚜껑에 부착되며, 결합도구 제거시 상기 뚜껑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은 나사에 의해 조여져 뚜껑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인조 장식물로 교체하기 위해 나사를 풀어 인조 장식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은 이와 상이한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로 교체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 아래에는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함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1)을 구비한 뚜껑(2); 상기 뚜껑(2) 아래에 위치하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6); 및 상기 용기 아래에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8)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1)로 이루어진 뚜껑(2)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소화함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을 갖는다.
뚜껑에 구비된 통기 구멍은 뚜껑을 열고 닫을 때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돕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소화함에 구비된 통기 구멍은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와 소화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돕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통기 구멍이 없으면, 상기 용기 또는 소화함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뚜껑의 개폐 또는 상기 용기와 소화함의 분리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어 개폐 또는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뚜껑과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연결부위 및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와 소화함의 연결부위는, "ㄱ" 또는 "ㄴ" 모양으로 이루어져 서로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2)과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6)의 접촉부분(즉, 뚜껑을 닫았을 때 연결부위)은 "ㄱ" 또는 "ㄴ" 형태를 가져 두 성분이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상부의 내측 둘레에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에 맞추어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막대 또는 고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막대 또는 고리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막대인 경우에, 양 말단에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부는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하고자 원통형 막대를 상기 그루브로부터 제거하는데 용이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 봉투(예, 비닐 봉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6)의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4)와 상기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5)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안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루브(4)에 끼워진 상기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5)를 제거하면, 쓰레기 봉투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쓰레기 봉투를 쓰레기통안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루브(4)와 상기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5) 사이에 쓰레기 봉투를 위치시키고 상기 그루브(4)에 상기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5)를 맞추어 끼워 넣으면 쓰레기 봉투가 쉽게 쓰레기통안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분리수거용 쓰레기의 종류는 상기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에 부착되는 인조 장식물의 종류는 선인장, 다육이, 소나무, 난 및 해바라기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수거용 쓰레기의 종류를 구분하여 쓰레기통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선인장은 폐지, 다육이는 플라스틱, 소나무는 유리병 등과 같이 임의로 인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수거용 쓰레기의 종류를 정하여 사용할 경우, 쓰레기통에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아도 분리수거용 쓰레기의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내측벽에 걸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부는 상기 뚜껑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뚜껑의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뚜껑이 덮혀 있는 부분이 외관상 보이지 않아, 겉으로 보았을 때 뚜껑이 덮혀 있다기 보다는 인조 식물이 놓여져 있는 화분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쓰레기통의 장식효과를 높이고 심미감을 한층 더 부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화함은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와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함에는 모래, 물 등을 담을 수 있다. 소화함의 모래나 물의 무게는 쓰레기통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쓰레기통이 잘 쓰러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소화함은 화재발생시와 같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쓰레기통은 우리 주변에 흔히 비치하여 사용하는 물품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화재발생시와 같이 위급한 상황에 쉽고 신속하게 화재진압용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화함이 구비된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출입구나 일상 생황의 활동 근접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소화함은 소화함의 겉면에 스티커로 "소방함"이라는 표식을 하여, 화재발생시 누구나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는 상기 소화함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6) 또는 상기 소화함(8)은, 상기 용기(6)의 하단이 상기 소화함(8)의 상부에 맞추어 끼워 넣어지는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소화함(8)은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6) 아래에 서랍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모양의 장식물의 종류는 예를 들어, 수석, 조각품, 골동품, 기념품, 상패, 트로피, 화분, 화병, 성물, 창작물, 탑, 건축, 상상의 생물, 신화나 전설의 형상, 12지상형상, 인물형상, 인형, 장난감, 탈것, 집, 궁, 성, 산, 미니어처형상 등 그 밖의 캐릭터와 전시물, 홍보물 또는 다양한 형태 자연물 및 인공 조형물형태와 각 종류의 질감으로 제공 되는 미술품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선인장과(Cactaceae), 용설란과(Agavaceae), 석류풀과(Aizoaceae), 수선화과(Amaryllidaceae), 협죽도과(Apocynaceae),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파인애플과(Bromeliaceae), 돌나물과(Crassulaceae), 대극과(Euphorbiaceae), 제스네리아과(Gesneriaceae), 백합과(Liliaceae), 뽕나무과(Moraceae), 참깨과(Pedalidaceae) 및 포도과(Vitacea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다육식물의 인조 식물; 아칼리파, 아나나스류, 알로카시아, 베고니아, 칼라듐, 칼라테아, 콜레우스, 크로톤, 시페루스, 드라세나류, 고무나무, 양치류, 헤테라롬베아, 야자나무류 및 산세비에리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관엽식물의 인조 식물; 소나무, 잣나무, 삼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주목나무, 향나무, 주목, 측백나무, 편백나무 및 화백나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침엽수의 인조 식물; 떡갈나무, 뽕나무, 상수리나무, 오동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백단, 수양버들, 포플러, 단풍나무, 너도밤나무 및 호두나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활엽수의 인조 식물; 춘란, 하란, 추란, 한란, 풍란, 문주란, 심비디움, 호접란, 온시디움 및 미니호접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난초과 식물; 담죽, 포대죽, 피리대죽, 해장죽, 반죽, 왕대, 오죽, 산죽, 갓대, 조릿대, 황금죽 및 골드세피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대나무과 식물의 인조 식물; 및 장미꽃, 해바라기, 튤립, 백합, 수선화, 카네이숀, 베고니아꽃, 제비꽃, 사프란, 개나리꽃, 나팔꼿, 라일락꽃, 맨드라미꽃, 목련꽃, 벚꽃, 수국꽃, 은방울꽃, 아네모네꽃, 진달래꽃, 철쭉꽃, 채송화, 칸나꼿, 코스모스꽃, 패랭이꽃, 팬지꽃, 프리지아꽃 및 히아신스꽃으 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꽃의 인조 식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장식물은 바람직하게 선인장, 다육이, 소나무, 난초과 식물 및 해바라기로부터 선택된다.
1: 식물 또는 캐릭터 모양의 인조 장식물
2: 뚜껑
3: 결합도구
4: 그루브
5: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
6: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
7: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받침대
8: 소화함

Claims (7)

  1.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을 구비한 뚜껑;
    상기 뚜껑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 형상의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 및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 아래에 소화물질이 담긴 소화함
    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은 결합도구에 의해 상기 뚜껑에 부착되어 있으며, 결합도구 제거시 상기 뚜껑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과 상이한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로 교체가능하며,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상부의 내측 둘레에 쓰레기 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쓰레기를 담기 위한 용기의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에 맞추어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막대 또는 고리를 가지며,
    쓰레기통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으로 사용되며, 분리수거용 쓰레기의 종류는 상기 식물 모양의 인조 장식물에 따라 구분되는,
    쓰레기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의 내측벽에 걸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부는 상기 뚜껑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뚜껑의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쓰레기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 장식물은 선인장, 다육이, 소나무, 난초과 식물 및 해바라기로부터 선택되는, 쓰레기통.
KR1020200055553A 2020-05-10 2020-05-10 쓰레기통 KR10233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53A KR102333513B1 (ko) 2020-05-10 2020-05-10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53A KR102333513B1 (ko) 2020-05-10 2020-05-10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53A KR20210137353A (ko) 2021-11-17
KR102333513B1 true KR102333513B1 (ko) 2021-12-01

Family

ID=7870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53A KR102333513B1 (ko) 2020-05-10 2020-05-10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5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56Y1 (ko) * 2000-04-18 2000-09-01 신성산업주식회사 쓰레기 통
US20120217247A1 (en) * 2011-02-25 2012-08-30 Adkins Catherine A Removable Trash Can Liner System
KR101615860B1 (ko) * 2015-10-07 2016-04-26 송경준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10U (ja) * 1992-03-30 1993-12-14 知行 松尾 消火器収納容器
KR20040066084A (ko) * 2004-07-02 2004-07-23 이정민 병뚜껑에 캐릭터를 결합하는 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56Y1 (ko) * 2000-04-18 2000-09-01 신성산업주식회사 쓰레기 통
US20120217247A1 (en) * 2011-02-25 2012-08-30 Adkins Catherine A Removable Trash Can Liner System
KR101615860B1 (ko) * 2015-10-07 2016-04-26 송경준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53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90717A1 (en) Ornamental device for concealing an article
US5085002A (en) Portable art object wall decoration
KR102333513B1 (ko) 쓰레기통
JP3215468U (ja) ハーバリウム装飾品
US20150223404A1 (en) Modular Plant Container System
KR200300226Y1 (ko) 화분커버
US7058993B2 (en) Flora integrated cover for toilet tools
US20050039398A1 (en) Wet/dry gift arrangements and method for making
US20060000393A1 (en) Table with ornamental display
KR20220001899U (ko)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JPS6118783Y2 (ko)
US20020014428A1 (en) Multi-purpose container with a picture frame
CN211704223U (zh) 一种装盛三个民俗节日使用的多种祭祀用品纸质组合包装
KR100460395B1 (ko) 거리와 주변장식용 화분 및 그 제조방법
Polanco Grocery Store Condolences
Matsuo Analysis of flower appreciation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contribute to progress of flower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flower trade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WO2021038947A1 (ja) 祭壇
JP3129157U (ja) ベチバー使用の消臭・脱臭器具。
JP3113169U (ja) 植木鉢と受皿を組合せた観賞用置物
JPH0665430U (ja) 模造植物の植木鉢
JPH0223191Y2 (ko)
JP3193511U (ja) 記念品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