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83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83B1
KR102333383B1 KR1020200011872A KR20200011872A KR102333383B1 KR 102333383 B1 KR102333383 B1 KR 102333383B1 KR 1020200011872 A KR1020200011872 A KR 1020200011872A KR 20200011872 A KR20200011872 A KR 20200011872A KR 102333383 B1 KR102333383 B1 KR 102333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hook
outer frame
mounting guid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6160A (en
Inventor
권용우
유정상
진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면에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을 체결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여,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간의 체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 clothes inlet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clothes; a door rotatab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the door comprising: an outer frame having an opening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windshield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cover the open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hooks for fastening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hereby improv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Figure 112020010517875-pat00006
Figure 112020010517875-pat00006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Clothes processing equipment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의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서 충격 등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를 보호하는 장착 가이드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ounting guide for protecting the windshield from an impact by enclos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of a door.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Also,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have both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 function of clothes.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의류 수용부를 포함한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and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며 의류 투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may include a door frame, a windshiel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a door window mounted on the door frame and protruding through the clothing inlet.

도어 프레임은 도어의 닫힘 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과, 본체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oor frame may include an outer fram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n inner frame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선행특허문헌 10-0595180호 (2006년 06월 23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에는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Prior Patent Document No. 10-0595180 (registered on June 23, 2006; hereinafter,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oor of a laundry dryer/drum washing machine.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아우터 윈도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도어 전방으로 돌출된 림(rim)이 구비된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a rim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door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indow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림은 아우터 윈도우의 두께와 대응되게 돌출되어, 아우터 윈도우의 외주면을 두께방향으로 전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im may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outer window, and may be formed to completely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ind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아우터 윈도우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림의 돌출 길이가 길면 길수록 림의 강도 보강을 위해 림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도어프레임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the longe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im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window is, the thicker the rim is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im, so that the size of the door frame increases.

선행특허문헌 10-1708352호(2017년02월14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2)에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rior Patent Document No. 10-1708352 (registered on February 14, 2017; here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분은 도어 커버의 측면을 덮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장착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can form a mounting guide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so as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cover.

특허문헌 2의 장착 가이드는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도어 커버의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mounting guide of Patent Document 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cover.

그러나, 이러한 장착 가이드의 하향 경사진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of the mounting guid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 과다 및 프런트 글라스와 아우터 프레임 사이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가 장착 가이드의 하향 경사진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도어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어, 프런트 글라스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due to the excessive weight of the windshield and weakening of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outer frame, the windshield moves along the downwardly inclined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and is separated from the door frame, thereby causing the windshield to break.

또한, 특허문헌 2의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의 접착을 위해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도포부와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측 및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실린트 도포부에서 유출된 실런트를 포집하는 복수의 실런트 포집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sealant application unit filled with a sealant for bonding the windshiel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a plurality of sealants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sealant application unit to collect sealant leaked from the sealant application unit A collecting portion is formed.

그러나, 실런트 도포부와 실런트 포집부는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나, 특허문헌 1에서는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다.However, the sealant applying unit and the sealant collecting unit reduce the thickness of the outer fram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rigidity of the outer frame is weakened, but Patent Document 1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supplement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frame.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축소하면서도 프런트 글라스를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 first object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the windshield while reducing the size of a mounting guid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본 발명은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실런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런트 글라스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sealant from leaking from an inner side of an outer frame and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an inner side of a windshield.

본 발명은 장착 가이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rigidity of a mounting guide.

본 발명은 접착제 충전홈으로 인해 취약해진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frame weakened by the adhesive filling groove.

본 발명은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착 가이드의 내측면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섯번째 목적이 있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nner surface structure of a mounting guid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두께방향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1곡선부와 상기 제1곡선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적어도 상기 직선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anel having a clothes inlet formed thereon and a clothes receiving unit for accommodating clothes inserted through the clothes inlet; an outer frame including a do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the door having an opening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windshiel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cover the open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mounting guid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shield, wherein the windshield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at a front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toward the rear and a portion, and the mounting guide may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straight portion.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직선부의 모두를 덮을 수도 있다.The mounting guide may cover all of the straight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상술한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가이드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프런트 글라스 외주면의 적어도 2/3를 덮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guid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mounting guide may cover at least 2/3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windshiel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곡선부와 대칭되게 연장되는 제2곡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직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shield further includes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from the straight portion toward the rea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Open from the mounting guide,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may be arranged in a structure covered by the mounting guide.

상술한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가이드의 두께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guide may in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windshield.

상술한 네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전하는 접착제 충전부 구비하는 평면부; 및 상기 접착제 충전부와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상기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described above, 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flat part having an adhesive filling part for filling an adhesive for attachment of the windshield; and a reinforcing rib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dhesive fill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전면과 후면이 각각 평면인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shiel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lat,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shield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충전부는,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홈; 및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넘치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illing unit,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 which the adhesive is filled; and a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planar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adhesive overflowing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 중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접착제 넘침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rib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adhesive overflow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radially inward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art among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 중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접착제 넘침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rt, and the adhesive overflow groove is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ib disposed to overlap.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rib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and are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ing groove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guid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형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urved shap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mounting guide toward the inner fram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투광 영역; 상기 투광 영역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 형성되는 투광성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shield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area; a non-transmissive area formed to surround an outside of the light-transmitting area; and a transmissive alignment mark formed in the non-transmissive area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windshiel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접착제 충전부에 충전되는 상기 접착제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mark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ed in the adhesive filling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접착제 충전부를 가리도록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접착제 충전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aque region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ing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to cover the adhesive filling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고, 최외곽부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내측단 사이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window covering an opening formed in the inner frame and having an outermost portion mounted between an inner end of the outer frame and an inner end of the inner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상술한 다섯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를 감싸는 내측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fifth object described above, in the mounting guide, an inner surface surrounding the windshield may be formed parallel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장착 가이드가 돌출되되,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일부(직선부와 내측 곡선부)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프런트 글라스를 지지할 수 있다.First, the mounting guide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shield, and the mounting guide is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straight part and inner curved part) of the windshiel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mounting guide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front Glass can be supported.

만약,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두께를 전부 덮으면,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더 길어져서, 장착 가이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장착 가이드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If the mounting guide cover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 length of the mounting guide protru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becomes longer. should be form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가 두께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제1곡선부(외측 곡선부), 직선부 및 제2곡선부(내측 곡선부)를 구비할 경우에,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직선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가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2/3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런트 글라스의 지지력을 확보하면서도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indshield has a first curved portion (outer curved portion), a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curved portion (inner curved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mounting guide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straight part of the. The length in which the mounting guide protru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is configured to cover 2/3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mounting guide can be reduced while secur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windshield.

둘째,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부에서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접착제가 아우터 프레임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수분이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mounting guide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shiel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shield, preventing the adhesi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as well as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can be prevented

셋째,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는 프런트 글라스를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장착 가이드를 형성하고, 장착 가이드의 내측면이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프런트 글라스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와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접착력이 약화되더라도 프런트 글라스에 대한 아우터 프레임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Thi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so as to surround the windshield to form a mounting gu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is formed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Even if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ront surfaces of the outer frame is weakened, sufficient support force of the outer frame with respect to the windshield can be secured.

둘째, 장착 가이드의 두께가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지점에서 프런트 글라스의 배면으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장착 가이드의 강성을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Second, as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guide increases from a point on the front or side of the windshield toward the rear of the windshield, the rigidity of the mounting guide that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can be secured by itself.

셋째, 보강리브 등의 구조물이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접착제 충전홈과 중첩되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접착제 충전홈으로 인해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Third, a structure such as a reinforcing rib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so as to overlap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weakening of the rigidity of the outer frame due to the adhesive filling groove.

넷째,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은 서로 후크 체결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에 체결홀을 뚫지 않고도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since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fastening structu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can be improved without drilling a fastening hole in the windshield.

둘째,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 각각은 쐐기 형상의 후크돌기를 구비하고, 각 후크돌기는 제1후크와 제2후크의 체결 후에 서로 맞닿는 제2경사면의 경사도가 체결 전에 서로 맞닿는 제1경사면의 경사도에 비해 더 가파르게 형성되어, 제2후크가 제1후크의 내측으로 진입하기는 용이하나 제2후크가 제1후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Second, each of the first hook of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hook of the inner frame has a wedge-shaped hook protrusion, and each hook protrusion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fastened. It is formed to be steep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it is easy for the second hook to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but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second hook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hook.

셋째,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탄성홈을 형성하여,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가 서로 체결 시 제1후크로 하여금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경 변형 가능하게 유도함으로써, 제2후크가 제1후크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어서,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by forming an elastic groove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first hook of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hook of the inner frame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induce the first hook to be deformable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hook is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it is possible to improve assembly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넷째, 압착부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 연결리브 및 지지리브를 구비하고, 압착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를 서로 체결 시 제2후크를 압착시킴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이 도어의 전체 중량 대비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제2후크가 제1후크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되거나 중력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막고 제1후크와 제2후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Fourth, the compression unit has a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connection ribs and support ribs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the compression ribs compress the second hook when the first hook of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hook of the inner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though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occupi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to the total weight of the door, it prevents the second hook from being deformed radially inwardly or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ok, and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oks is reduced. You can keep it more robust.

다섯째, 연결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를 연결하도록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에 대한 아우터 프레임의 지지강도와 복수의 압착리브의 압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Fifth, the connecting ribs protrud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ar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strength of the outer frame with respect to the windshield and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can be strengthened. .

여섯째, 복수의 지지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리브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리브 및 압착리브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ibs,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connection ribs and the compression ribs.

일곱째, 장착 가이드는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도어의 전방을 향해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장착 가이드의 내주면과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의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으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Seventh, the mounting guide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and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from exter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어의 후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어가 의류 투입구를 닫도록 의류 투입구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VI-V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VII-VI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과 손잡이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이너 프레임을 전방에서 바라보며, 손잡이에 후크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가이드의 내측에 프런트 글라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door viewed from the front in FIG. 1 .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FIG. 2 is disassembled;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n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mounted on the clothes inlet to close the clothes inlet;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hook fastening between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by taking a cross section along VI-VI in FIG. 4 .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in which a handle is formed by taking a cross section along VII-VII in FIG. 4 .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ok is partially formed on a handle while looking at the inner frame of FIG. 4 from the front.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shiel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ounting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X in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 터브, 드럼 및 도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 a tub, a drum, and a door 12 .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01),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panel 101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rear panel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ide panels forming both side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t may be composed of an upper panel and a lower panel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후면 패널과 좌우 양측의 측면 패널은 한 개의 직사각형으로 된 플레이트를 "ㄷ"자 형태로 벤딩하여 형성됨으로, 본체(10)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rear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re formed by bending a single rectangular plate in a "C" shape, structural rigidity of the main body 10 can be improved.

전면 패널(101)에 의류 투입구(102)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의류가 의류 투입구(106)를 통해 의류수용부에 투입될 수 있다. The clothes inlet 10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front panel 101 (refer to FIG. 5 ). The clothes inlet 102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ront panel 101 , so that clothes can be put into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clothes inlet 106 .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 리세스부(103)가 의류 투입구(102)를 감싸도록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는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The clothes inlet 102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recess 103 in the front panel 101 surrounds the clothes inlet 102 . The clothes inlet 10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recess 103 . A portion of the door 12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103 .

도어(12)는 의류 투입구(102)를 개폐하도록 전면 패널(10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25)로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1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anel 101 by a hinge 25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102 .

본체(10)의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A clothing accommodating par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clothes accommodating unit may include a drum to perform a drying function, or a tub and a drum to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과 함께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터브와 드럼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브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축이 수평하거나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erform a drying function together with washing, a tub and a drum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tu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central axis of the tu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horizontal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ashing water can be stored inside the tub.

드럼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터브의 전단부에 가스켓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gaske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tub in communication with the clothes inlet 102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ub from leaking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

터브의 내부에 드럼은 터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rum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with respect to the tub.

드럼의 전방부는 개방되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의류 투입구(102)를 통해 드럼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The front part of the drum is open and connected to the clothes inlet 102 in communication with it, and cloth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drum through the clothes inlet 102 .

터브의 후면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구동모터는 드럼의 후면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축을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드럼에 전달됨으로,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A driving moto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and the driving motor is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드럼의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세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드럼의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so that a fluid such as washing water can enter and exit the drum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드럼은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회전시킴으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um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lifters therein to rotate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to perform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컨트롤 유닛(11)은 본체(10)에 구비되거나 도어(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유닛(11)이 본체(10)의 전면 패널(101)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The control unit 11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r may be provided in the door 12 .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 is shown to be positioned above the front panel 101 of the main body 10 .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1)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administration process processed b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o a user and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The control unit 11 may include a circular knob and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Also, the control unit 11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어(12)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12)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viewed from the front in FIG. 1 ,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of FIG. 2 is disassembled.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3), 도어 윈도우(23), 프런트 글라스(20), 힌지 유닛(24) 및 로킹 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12 may include a door frame 13 , a door window 23 , a windshield 20 , a hinge unit 24 , and a locking unit 30 .

도어 프레임(1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oor frame 13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도어 프레임(13)은 아우터 프레임(14; 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 (19; 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frame 13 may include an outer frame 14 and an inner frame 19 .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BS material, PC material, etc.).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When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체결구조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overlapp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명명 이유를 설명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프레임(14)은 본체(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이너 프레임(19)은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9)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When explaining the reason for naming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are the body 1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losed. It faces the outside of, and the inner frame 19 is named as being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 The outer frame 14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rame, and the inner frame 19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rame.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18)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Circular openings 18 are formed inside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o correspond to each other.

개구부(18)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8)의 중심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The opening 18 may be locat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opening 18 may be located above the center of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외측 직경과 내측 직경(개구부(18) 직경) 사이의 거리(폭)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may have a different wid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width) between the outer and inner diameters (diameter of the opening 18) of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increases (widens) from the uppermost end to the lowermost end.

드럼의 중심은 본체(10)의 높이 중심(1/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drum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center (1/2) of the height of the body 10 .

드럼은 회전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차치하고 본체(1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The drum is fix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side from minute vibration caused by rotation.

소비자들은 본체(1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세탁기의 동일 용량 및 크기 대비 도어(12)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Consumers tend to prefer a larger door 12 compared to the same capacity and size of the washing machine when the main body 10 is viewed from the front.

또한, 소비자들은 도어(12)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가능하면 드럼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선호한다.In addition, consumers can look into the inside of the drum through the door 12, and if possible, prefer to secure a wide view of the inner space of the drum.

상술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 드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는 아래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oor 12 while the position of the drum is fixed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needs of consumers, the door 12 should be enl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은 의류 투입구(102) 또는 개구부(18)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3)은 개구부(18)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도어 윈도우(23)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door frame 13 should be moved lower than the center of the clothes inlet 102 or the opening 18 . Similarly, the door frame 13 may be centrally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door window 23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8 .

또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2)의 직경은 리세스부(103)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oor 12 ,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door 12 protrude outward from the recess 103 . Preferably, the door 1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recess 103 .

프런트 글라스(20)는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The windshield 20 is formed in a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The windshield 20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The front glass 20 has a flat front and a rear surface.

프런트 글라스(20)는 두께가 일정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어디에서 바라보아도 굴곡 없이 형성된다.The windshield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is formed without bending when viewed from anywhere up, down, left, and right.

이처럼, 유리 재질의 프런트 글라스(20)가 원형 형태로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불완전한 원형 형태로 전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었던 합성수지 재질의 기존의 도어 커버 대비, 도어(12)의 고급감이 향상된다.As such, the glass windshield 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flat front and back surfaces, so that the luxury of the door 12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oor cover made of synthetic resin, which has a convex front in an incomplete circular shape. is improved

불투광 영역(22) 내에는 투광성의 얼라인 마크(221)가 형성된다. 얼라인 마크(221)는 아우터 프레임(14)에 대한 프런트 글라스(20)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도면에서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측(6시 방향)에 원형의 얼라인 마크(221)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얼라인 마크(221)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얼라인 마크(22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transmissive alignment mark 221 is formed in the non-transmissive area 22 . The alignment mark 221 i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windshield 20 to the outer frame 14 . In this figure, a circular alignment mark 22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6 o'clock) of the windshield 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lignment mark 221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or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mark 221 may be changed.

프런트 글라스(20)는 다음과 같은 레이어 구조를 통하여 투광 영역(21), 불투광 영역(22) 및 얼라인 마크(221)를 구현할 수 있다.The windshield 20 may implement the transmissive area 21 , the non-transmissive area 22 , and the alignment mark 221 through the following layer structure.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불투광 영역(22)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은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2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차폐 레이어는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에 초자 인쇄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ndshield 20 may include a glass body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and a shield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rear surface of the glass body to form a non-transmissive region 22 . In this case, the portion where the shielding layer is not disposed forms 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and the alignment mark 221 . The shielding layer may be formed by vitreous print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body.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투광 영역(21)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투광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indshield 20 may include a glass body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and a film dispos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body. The film has a light-transmit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to have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a non-transmissive portion formed to be opaque to correspond to the non-transmissive area 22 , and to have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to correspond to the alignment mark 221 . It may include an alignment part to be formed.

또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필름이 투광 영역(2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즉, 상기 필름에서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뚫린 형태를 갖는지에 차이가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indshield 20 may include a glass body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glass material, and a film dispos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body. Here,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 example is that the film has a first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ransmissive area 21 , a non-transmissive portion formed to have opacity corresponding to the non-transmissive area 22 , and an alignment mark ( 221)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it.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portions of the film corresponding to 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and the alignment mark 221 are formed to have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or have a perforated shape.

프런트 글라스(20)는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실런트(sealant)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The windshield 2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pening 18 of the door frame 13 . The windshield 2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by a sealant or an adhesive.

유리재질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에 체결홀을 뚫으면 깨지기 쉬우므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글라스(2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아우터 프레임(14)에 부착된다.Since it is easy to break when a fastening hole is drilled in the windshield 20 due to the nature of the glass material, the windshield 20 is attached to the outer frame 14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to prevent the glass from breaking.

한편,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재질로 도어(12)의 전체 하중 대비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차지한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가이드(34)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windshield 20 is made of glass and occupies a relatively large load compared to the total load of the door 12 .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windshield 20 , a mounting guide 34 for mounting the windshield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장착 가이드(34)는 다음의 세가지 역할을 한다.The mounting guide 34 serves the following three functions.

첫째, 장착 가이드(34)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20)를 보호할 수 있다.First, the mounting guide 34 may protect the windshield 20 from external impact.

둘째,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를 지지할 수 있다.Second, the mounting guide 34 may support the windshield 20 .

셋째, 프런트 글라스(20)의 조립 시 프런트 글라스(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장착 가이드(34)의 주된 역할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보호이다. Thir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windshield 20 when assembling the windshield 20 . The main role of the mounting guide 34 is to protect the windshield 20 .

특히, 프런트 글라스(20)는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강화 유리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후면은 강도가 세지만,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인 원형의 외주면은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windshield 20 may be made of tempered glass. Due to the nature of the tempered glas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indshield 20 have strong strength, but the circula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has a weak strength.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To compensate for this, the mounting guide 34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outer frame 14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so as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from external impact. hav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가이드(34)의 내측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shield 2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ounting guide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9 .

아우터 프레임(14)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프레임(14)은 ABS 사출물에 크롬 도금(또는 도장)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1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e outer frame 14 may be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For example, the outer frame 14 may be formed by chromium plating (or painting) on the ABS injection molding.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14 .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 가이드(34)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과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G; Gap)가 형성될 수 있다.The windshield 20 may be mounted inside the mounting guide 34 . A gap (G)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사이의 틈새(G)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에 의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이 깨지는 현상(강화 유리 자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공간이다.The gap G between 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windshield 20 is an allowance for preven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from breaking (tempered glass self-breaking phenomenon) due to the plastic injection molding deformation of the outer frame 14 . it is space

플라스틱과 유리는 재질의 특성 상 열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사출물 변형으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이 깨질 수 있다.Since plastic and glass have different degrees of deformation due to he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may be broken due to deformation of the plastic injection product.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사이의 틈새(G)는 0.1mm~1.0mm 범위일 수 있다.The gap G between 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windshield 20 may be in the range of 0.1 mm to 1.0 mm.

상기 틈새(G)가 0.1mm보다 작으면,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에 의한 프런트 글라스(20)의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gap G is smaller than 0.1 mm, the windshield 20 may be cracked due to deformation of the plastic injection molded product.

상기 틈새(G)가 1.0mm보다 크면, 도어를 정면에서 봤을 때 틈새(G)가 보이거나 이물이 틈새(G)에 끼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틈새(G)가 너무 지나치게 크면,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 가이드(34)의 내측 중심에서 한 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gap (G) is greater than 1.0 mm, 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gap (G) may be seen or a problem in which a foreign material is caught in the gap (G) may occur. In addition, if the gap G is too large, the windshield 20 may be tilted toward one sid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mounting guide 34 .

또한,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쌈으로,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uide 34 wrap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to support the load of the windshield 20 .

바람직하게는,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틈새(G)는 0.5mm~0.7mm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쏠림 발생 시 일측이 1mm 이상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틈새의 크기를 1 mm 이내로 관리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gap G between 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windshield 20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5 mm to 0.7 mm. The reason is to manage the size of the gap within 1 mm because one side may be larger than 1 mm when the front glass 20 is tilted.

도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장착 가이드(34)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 Width)은 도어(12)의 직경 대비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도어의 동일한 크기 대비 장착 가이드(34)의 폭(W)이 작을수록 프런트 글라스(20)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착 가이드(34)는 도어의 직경 대비 3.5% 수준일 수 있다.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smaller the width (W) of the mounting guide 34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door 12, the better. This is because the diameter of the windshield 20 can be increased as the width W of the mounting guide 34 is smaller compared to the same size of the door.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3.5% of the diameter of the door.

장착 가이드(34)의 폭(W)이란 아우터 프레임(14)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반경방향 중심선을 따라 장착 가이드(34)의 외주면 직경(D1; Outer Diameter)과 내주면 직경(D2: Inner Diameter)의 차이의 절반을 의미한다. 즉, 장착 가이드(34)의 폭 W=(D2-D1)/2 이다.The width (W) of the mounting guide 34 is an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D1; Outer Diamet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D2: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guide 34 along a radial center line passing in a radial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frame 14 ) means half the difference. That is, the width W=(D2-D1)/2 of the mounting guide 34 .

장착 가이드(34)의 폭(W)은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W of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uniform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장착 가이드(34)의 폭(W)은 1.5mm~6.0mm일 수 있다.The width W of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1.5 mm to 6.0 mm.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3.2mm)를 고려하여 최소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이 너무 지나치게 작으면, 금형의 해상도 관리가 되지 않아 성형하기가 불가능하다.The width W1 of the mounting guide 34 is preferably at least 1.5 mm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3.2 mm) of the windshield 20 . If the width W1 of the mounting guide 34 is too small, the mold resolution is not managed and molding is impossible.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의 최소값은 도 10의 단면도에서 장착 가이드(34)의 상부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폭(W1)을 의미한다.Here, the minimum value of the width W1 of the mounting guide 34 means the width W1 of a portion formed in a plan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guide 34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은 최대 6.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이 너무 지나치게 크면, 플라스틱 성형 시 수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장착 가이드(34)의 정확한 치수 관리가 어렵게 된다.The width W2 of the mounting guide 34 is preferably 6.0 mm at most. If the width W2 of the mounting guide 34 is too large, a problem of shrinkage occurs during plastic molding,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manage the dimensions of the mounting guide 34 .

또한. 장착 가이드의 폭이 너무 지나치게 크면, 외관 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width of the mounting guide is too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의 최대값은 도 10의 단면도에서 장착 가이드(34)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크(37)의 외주면과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거리)을 의미한다.Here, the maximum value of the width W2 of the mounting guide 34 i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37 provided under the mounting guide 34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34 . means (distance).

장착 가이드(34)는 내주면부(345),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로 구성되어, 아우터 프레임(14)의 최외곽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mounting guide 34 may include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 a front surface portion 342 , a round portion 343 ,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 and may for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outer frame 14 .

내주면부(345)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면보다 도어의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면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이 부착되는 평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is form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may include a flat portion 15 to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is attached.

내주면부(34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345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내주면부(34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방향으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45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frame 14 so as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20 .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보다 더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는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is disposed more forward than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may exten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14 .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is formed in a flat surface.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34 .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와 경사면부(344)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충격을 분산시킴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장착 가이드(34)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round portion 343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between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to disperse the external impact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t various angles, thereby damaging the mounting guide 34 due to external impact. can be minimized.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보다 아우터 프레임(1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의 외측 끝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기설정된 곡률을 갖고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원둘레를 4등분할 때 한 개의 4분 원둘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und portion 343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outer frame 14 than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The round portion 343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t the outer end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The round part 343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round part 343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e round portion 34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ne quarter circle when the circumference is divided into quarters.

경사면부(344)는 라운드부(343)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부(344)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a diameter increases from the round portion 343 toward the inner frame 19 .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may for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ook of the outer frame 14 .

장착 가이드(34)는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는 하나의 장착 가이드(34)를 형성한다.The mounting guide 34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the round portion 343 ,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form one mounting guide 34 .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 각각은 반경방향의 폭과 해당 부분 각각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Each of the front surface part 342 , the round part 343 , and the inclined surface part 344 may have a different width and a corresponding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예를 들면, 장착 가이드(34)의 각 부분에서의 반경방향의 폭은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dial width at each portion of the mounting guide 34 may decrease from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

여기서,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의 폭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과 내주면부(345)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Here, the radial width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is a radial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

라운드부(343)의 반경방향의 폭은 라운드부(343)의 외주단과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The radial width of the round portion 343 is a radial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round portion 343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경사면부(344)의 반경방향 폭은 경사면부(344)의 외주단과 라운드부(343)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The radial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is a radial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round portion 343 .

다만, 도 10에서 장착 가이드(34)의 단면을 참조하면, 라운드부(343)의 원호 길이는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344)의 경사진 방향의 길이는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 of the mounting guide 34 in FIG. 10 , the arc length of the round part 343 may be longer than the radial length of the front surface part 342 . Also, the length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may be longer than the radial length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한편,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부(345)로부터 장착 가이드(34)의 각 부분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더 크다.On the other hand, the radial width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of the mounting guide 34 to each portion of the mounting guide 34 is larger from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

즉, 내주면부(345)와 경사면부(344)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은 내주면부(345)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크다.That is, the radial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44 is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또한, 내주면부(345)와 라운드부(343)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은 내주면부(345)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크다.In addition, the radial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345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round portion 343 is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45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342 .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 정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부(345)의 돌출 길이를 의미한다.The protruding length of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2/3 of the thickness of the windshield 20 . Her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mounting guide 34 mean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45 of the mounting guide 34 .

왜냐하면,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짧을 경우에 외부 충격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 가해질 수 있고,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mounting guide 34 is too short, an external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and the load of the windshield 20 can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 직선부(202)와 복수의 곡선부(201,203)가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복수의 곡선부(201,203)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제1곡선부(201)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제2곡선부(20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곡선부(201,203) 각각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For example, a straight part 202 and a plurality of curved parts 201 and 20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refer to FIG. 7 ).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201 and 203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201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and a second curved portion 203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have. Each of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201 and 203 has a constant curvature and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곡선부(201)는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곡면 형태로 연장됨으로써,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글라스 대비 프런트 글라스(2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201 extends forward in a curved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windshield 20 compared to the glas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또한, 장착 가이드(34)는 제1곡선부(201)를 덮지 않고,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를 덮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어 프레임(13)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uide 34 does not cover the first curved portion 201 and is formed to protrude to cover the straight portion 20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203 , thereby minimizing the area of the door frame 13 . have.

즉, 장착 가이드(34)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되게 하면서 도어 프레임(13)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area of the door frame 13 can be reduced while the mounting guide 34 protrude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제2곡선부(203)는 제1곡선부(201)와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곡선부(201)와 제2곡선부(203) 중 어느 하나의 곡선부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을 향하든지 혹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후방을 향하든지 방향에 상관없이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20)의 설치 및 조립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second curved part 203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urved part 201 ,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curved part 201 and the second curved part 203 is curved in front of the outer frame 14 . Since the assembly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whether facing or facing the rear of the outer frame 14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of the windshield 20 is convenient.

직선부(202)는 제1 및 제2곡선부(201,20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곡선부(201,203)와 각각 연결된다. 제1곡선부(201),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 각각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1/3일 수 있다.The straight line portion 20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portions 201 and 203 and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201 and 203 . Each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1 , the straight portion 202 ,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203 may be 1/3 of the thickness of the windshield 20 .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제2곡선부(203)와 직선부(20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guide 34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second curved portion 203 and the straight portion 202 of the windshield 20 .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테두리부에서 장착 가이드(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링 형태로 연장되어, 내부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mounting guide 34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dge of the outer frame 14 . The mounting guide 34 extends in a ring shap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windshield 20 is accommodated.

장착 가이드(34)는 기설정된 내경을 가지며, 원형을 이룬다. 장착 가이드(34)의 내경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경에 대응되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The mounting guide 34 has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forms a circle.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guide 34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indshield 20 , so that the mounting guide 34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The mounting guide 3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simpler appearance can be realized by eliminat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windshield 20 .

프런트 글라스(2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이 형성될 수 있다. A transmissive area 21 and a non-transmissive area 22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windshield 20 .

투광 영역(21)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21)은 반투광 영역(21)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is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so that the opposite side or the inside can be seen. Accordingly, the transmissive area 21 is a concept including the semi-transmissive area 21 .

투광 영역(21)은 아우터 프레임(14)의 개구부(18),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및 도어 윈도우(23)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광 영역(21)을 통해 의류수용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8 of the outer frame 14 , the opening 18 of the inner frame 19 , and the door window 23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losed, the user can look into the clothing receiving unit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

투광 영역(21)의 중심은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개구부(18)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라 함은 중심의 완전한 일치뿐만 아니라, 중심의 편심방향이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고, 투광 영역(21)의 편심된 방향이 개구부(18)의 편심된 방향과 같을 수도 있다.The center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opening 18 of each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 Here,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cludes not only the perfect coincidence of the center, but also the same eccentricity of the center.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and the center of the opening 18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eccentric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may be the same as the eccentric direction of the opening 18 .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8)의 중심이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투광 영역(21)의 중심도 프런트 글라스(2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 것을 보여준다. 이때,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of the opening 18 is eccentrically located upward (12 o'clock) from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13 , and correspondingly, the center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is also from the center of the windshield 20 . It shows that it is located eccentrically upward (12 o'clock).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and the center of the opening 18 may coincide.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불투광 영역(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유리 자체가 검정색으로 보일 수 있다.The non-transmissive region 22 is formed to surround the transmissive region 21 , and the non-transmissive region 22 does not transmit light and the glass itself may appear black.

불투광 영역(22)은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 및 도어 프레임(13)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non-transmissive area 22 may be disposed to cover and cover portions other than the opening 18 of the door frame 13 and a portion of the door frame 13 .

투광 영역(21)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22) 사이의 경계선은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A boundary line between the transmissive area 21 and the non-transmissive area 22 surrounding the transmissive area 21 may be clearly divided by the non-transmissive area 22 .

또는,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투광 영역(21)에서 불투광 영역(22)으로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은 투광 영역(2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by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transmissive area 21 and the non-transmissive area 22 through a halftone technique, the movement from the transmissive area 21 to the opaque area 22 may be visually passed. . To this end, the non-transmissive area 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ielding dots formed around 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 and the plurality of shielding dots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density toward the light-transmitting area 21 .

아우터 프레임(14)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frame 14 may include a flat portion 15 and a curved portion 16 .

평면부(1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접촉되며, 평면부(15)의 일부는 불투광 영역(2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5)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프런트 글라스(20)가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The flat portion 15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 and a portion of the flat portion 15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non-transmissive region 22 .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lat portion 15 , so that the windshield 20 may be adhered to the flat portion 15 .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 전면에 접착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홈(43)이 평면부(15)의 전면에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filling groove 43 for fill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with an adhesive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43)에 수용되며,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은 접착제에 의해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The adhesive is accommodated in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may be adhered to the flat portion 15 by the adhesive.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43)에 충전될 때 접착제 충전홈(43)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넘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43)으로부터 넘치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해,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접착제 넘침홈(441,442)이 링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When the adhesive is filled in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it may overflow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In order to accommodate the adhesive overflowing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respectively,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see FIG. 6).

접착제 충전홈(43)과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and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14 .

접착제 충전홈(43) 및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평면부(1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and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lat portion 15 .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은 평면부(15)의 접착제 충전홈(43) 및 접착제 넘침홈(441,44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opaque region 22 of the windshield 2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and the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and 442 of the flat portion 15 .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제1접착제 넘침홈(441)과 제2접착제 넘침홈(44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and a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

제1접착제 넘침홈(441)은 접착제 충전홈(43)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착제 넘침홈(442)은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접착제가 충전홈(43)에서 충전 후 넘칠 때 접착제를 수용된다.The first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inside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accommodate the adhesive when the adhesive overflows after filling in the filling groove 43 .

평면부(15)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48)이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 또는 습기가 물빠짐 홀(48)을 통해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ter drain holes 48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flat portion 15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water or moistur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is drained.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12 through the (48).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단에서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외측 둘레를 향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내측 부분과 곡면부(16)는 투광 영역(2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곡면부(16)의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16 may be bent from the inner end of the flat portion 15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18 of the inner frame 19 in an arc shape of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inner portion of the flat portion 15 and the curved portion 16 may be disposed to overlap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21 . An opening 18 may be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16 in a radial direction.

평면부(15)의 최외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 가이드(34)가 평면부(15)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flat portion 15 , the mounting guide 3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lat portion 1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mounting guide 34 of the outer frame 14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rim of the windshield 20 so that the outer rim of the windshield 20 is radially outward from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 escape can be prevented.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과 외주면에 도금층(17)이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의 전체 표면에 도금층(17)이 형성될 수 있다.A plating layer 17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by chrome plating. The outer frame 14 is completely immersed in the chrome plating solution, and the chrome pla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plating layer 17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도금층(17)은 은색 광택의 금속 색깔을 아우터 프레임(14)에 입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도금층(17)은 밝은 은색에 의해 원형의 물방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금층(17)은 육안으로 볼 때 고급감 등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The plating layer 17 is configured to coat the outer frame 14 with a metallic color of silver luster. According to this, the plating layer 17 can obtain the effect of looking like a circular water droplet due to the bright silver color. In addition, the plating layer 17 may induce sensibility such as a sense of quality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도어 윈도우(23)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The door window 23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lothes inlet 102 when the door 12 is closed. The door window 23 may be mounted on the door frame 13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8 of the inner frame 19 .

도어 윈도우(23)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 윈도우(23)를 통해 드럼 등 의류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합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window 23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rough the door window 23, the inner space of the clothing receiving unit, such as a drum,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The door window 23 is not limited to a synthet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사이에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n out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3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o be coupled thereto.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과 이너 프레임(19)의 내측단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of the door window 23 may have a planar shape, and may be disposed and fix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urved portion 16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end of the inner frame 19 .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다른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door 12 is closed, a portion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protrude forward from the recess 103, and the other portions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are It may be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103 .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는 리세스부(103)의 외측에 배치되되,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부는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03 ,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recessed portion 103 , and is a rear end of the curved portion 16 of the outer frame 14 . The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cess portion 103 .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의 전방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프레임(19)의 외주의 후방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A front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19 may protrude outwardly from the recess 103 , and a rea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19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103 .

프런트 글라스(20)는 리세스부(103)으로부터 외측 전방으로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windshield 20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recess portion 103 outward and forward.

도어(12)는 힌지 유닛(24)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oor 12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by the hinge unit 24 .

힌지 유닛(24)은 힌지(25), 힌지 홀더(28) 및 부시(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inge unit 24 may include a hinge 25 , a hinge holder 28 and a bush 29 .

힌지(25)는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부(26)와, 베이스부(26)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25 may be fixed to the body 1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3 . The hinge 25 may include a plate-shaped base portion 26 coupled to the body 10 and a rotation coupling portion 27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26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13 . can A plurality of rotation coupling units 27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힌지 홀더(28)는 도어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부(27)를 지지하여, 회전 결합부(27)가 도어 프레임(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hinge holder 28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3 to support the rotation coupling part 27 , so that the rotation coupling part 27 is not separated from the door frame 13 .

부시(29)는 회전 결합부(27)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bush 29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27 so that the rotation shaft can be smoothly rotated.

도어(12)의 일측에 힌지 유닛(24)이 장착되고, 도어(12)의 타측에 로킹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로킹 유닛(30)은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The hinge unit 24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12 , and the locking unit 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2 . The locking unit 30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12 to the body 10 .

로킹 유닛(30)은 샤프트(31), 도어 래치(32)(; door latch) 및 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30 may include a shaft 31 , a door latch 32 (; door latch) and a spring 33 .

샤프트(31)는 도어 래치(3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33)은 도어 래치(32)의 회전 시 원복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The shaft 3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door latch 32 , and may be mounted on the door frame 13 . The spring 33 has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restored when the door latch 32 is rotat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래치(32)는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및 원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oor latch 32 is configured to rotate and return to the door frame 13 , so that the door 12 can be locked or unlocked from the main body 10 .

도 4는 도 2에서 도어(12)의 후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어(12)가 의류 투입구(102)를 닫도록 본체(10)의 전면 패널(101)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VI-V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VII-VI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14)과 손잡이(35)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19)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4의 이너 프레임(19)을 전방에서 바라보며, 손잡이(35)에 후크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door 12 in FIG. 2 ,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12 mounted on the front panel 101 of the main body 10 to close the clothing inlet 102 .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by taking a cross section along VI-VI in FIG. 4, and FIG. 7 is a cross-section taken along VII-VII in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on which the handle 35 is formed, and FIG. 8 is a view of the inner frame 19 of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hape formed by

도 5는 도 1의 컨트롤 유닛이 전면 패널(101)의 상측으로부터 제거된 모습을 보여준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of FIG. 1 is remov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01 .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김으로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4 and 5 , the handle 35 is recess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inner frame 19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door 12 by pulling the handle 35 .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은 곡면 형태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9 may be formed to be convex rearwardly in a curved shape.

사용자가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12)에 손잡이(35)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손잡이가 도어의 앞쪽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12)의 전방면을 덮도록 프런트 글라스(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프런트 글라스(20)에 손잡이(35)를 설치하기는 어렵다.A handle 35 is provided on the door 12 for a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12 . Conventionally, it is commo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oo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ndshield 20 is provide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 ,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handle 35 on the windshield 20 .

그래서, 손잡이(35)는 프런트 글라스(20)로 인해 도어(12)의 전방면에 구비되지 못하고, 도어(12)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에 구비된다.Therefore, the handle 35 is no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 due to the windshield 20 , bu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 . The handle 35 is provided on the inner frame 19 .

또한, 사용자가 도어(12)를 잡아당기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35)는 도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35)가 도어(12)의 하부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손잡이(35)를 잡아당기기 위해 허리 및 무릎을 더 많이 굽혀야 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3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door 12 . This is because, when the handle 35 is installed under the door 12 , the user has to bend the waist and knees more to pull the handle 35 .

아울러, 힌지 유닛(24)과 로킹 유닛(30)은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따라 도어 프레임(1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중심선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hinge unit 24 and the locking unit 30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frame 13 along a horizontal center line that horizontal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13 in a radial direction, the horizontal center line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it higher than that.

게다가, 손잡이(35)는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도어 프레임(1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35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frame 13 higher than the locking unit 30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12 with a small force.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5)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오른쪽 상부에, 즉 도어 프레임(13)의 시계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1시에서 3시 방향 사이의 구간에 형성할 수 있다.The handle 35 may be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inner frame 19 .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losed, the handle 35 is higher than the locking unit 3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t the upper right, that is, 1 along the clockwis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or frame 13 . It can be formed in the section between o'clock and 3 o'clock.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서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35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9 . The handle 35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a partial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9 .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35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outer periphery (parts other than the handle 35) of the inner frame 19 and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어(12) 닫힘 시 본체(10)의 전방에서 볼 때 손잡이(35)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외주부에 비해 전방으로 함몰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손잡이(35)로 집어넣기가 용이하고, 손잡이(35)의 위치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12,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body 10, the handle 35 is depressed forward compared to the rear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19 and is formed in a flat shape, so that the door 12 ) is easy to put the user's hand into the handle 35 in the closed state, it is easy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handle (35).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에 각각 후크(37,36)가 형성된다.In order to fast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o each other, hooks 37 and 36 are formed i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respectively.

후크(37,36)는 아우터 프레임(14)에 구비되는 제1후크(37)와 이너 프레임(19)에 구비되는 제2후크(3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 및 제2후크(36)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oks 37 and 36 may include a first hook 37 provided on the outer frame 14 and a second hook 36 provided on the inner frame 19 . Each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장착 가이드(3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장착 가이드(3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ok 37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frame 14 toward the inner frame 19 . The first hook 37 may be disposed radially outside the mounting guide 34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19 . The first hook 37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uide 34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장착 가이드(34)와 제1후크(37)는 연장부(34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연장부(341)는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연장된다. 연장부(341)는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연장된다. 연장부(341)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The mounting guide 34 and the first hook 37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n extension 341 . The extension 341 extends from the mounting guide 34 to the first hook 37 . The extension portion 341 extends from the mounting guide 34 to the first hook 37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The extension 34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장착 가이드(34), 제1후크(37) 및 연장부(341) 각각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Each of the mounting guide 34 , the first hook 37 , and the extension 341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14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 연장부(341) 및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면을 하나의 곡면 형태로 형성하고, 이너 프레임(19)을 덮어서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이너 프레임(19)을 가림으로, 도어(12)의 외관이 미려해진다. 장착 가이드(34), 연장부(341) 및 제1후크(37) 각각은 주름 혹은 단차가 없이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unting guide 34 , the extension 341 , and the first hook 37 for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in a curved shape, and cover the inner frame 19 to cover the body 10 ) by covering the inner frame 19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exterior of the door 12 becomes beautiful. Each of the mounting guide 34, the extension 341, and the first hook 37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mounting guide 34 to the first hook 37 without wrinkles or steps. .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서로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제1후크(37)는 제2후크(36)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2후크(36)는 제1후크(37)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hook 37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hook 36 , and the second hook 3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37 .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과 제2후크(36) 사이에 장착홈(19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36)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장착홈(191)의 반경방향 높이는 제1후크(37)의 두께 대비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A mounting groove 19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ner frame 19 and the second hook 36 . The second hook 36 is formed to be stepped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ner frame 19 . The radial height of the mounting groove 19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ok 37 .

이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상호 체결 후 제1후크(37)의 외주단과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 사이에 단차가 없어짐으로 도어(12)의 외관이 미려해진다.According to this, after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are mutually fastened, there is no step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inner frame 19,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oor 12 is beautiful. .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후크(37)의 내주면에서 후크돌기(371)가 제2후크(36)를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ok 3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14 toward the inner frame 19 in the rear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ok 37 , a hook projection 37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hook 36 .

제2후크(36)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에서 아우터 프레임(14)을 향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후크(36)의 외주면에서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hook 36 protrudes for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19 toward the outer frame 14 . A hook protrusion 36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hook 37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ok 36 . The hook protrus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hook protrus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may protrud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각각의 단부에 후크돌기(371,361)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축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돌기(371,361)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서로를 향하여 결합하기는 쉬우나 반대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At each end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may be formed in a wedge shape. The hook protrus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hook protrus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do not allow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to be easily coupled toward each other, but to be detac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 각각은 체결 전에 서로 맞닿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반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체결 후에 서로 맞닿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후크돌기(371,361) 각각의 정점을 기준으로 후크돌기(371,361)의 기울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바뀐다.Each of the hook protrus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hook protrus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fore fastening,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fter fastening.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inclinations of the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are chang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es of each of the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의 기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체결 전 서로 마주보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1경사면은 체결 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2경사면에 비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lopes of the first slope and the second slop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each of the hook protrusions 371 and 361 facing each other before fastening may have a gentle slope compar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each of the hook protrusions 371 and 361 facing each other after fastening.

바꿔 말하면, 체결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2경사면은 체결 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1경사면보다 기울기가 급하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each of the hook protrusions 371 and 361 facing each other after fastening has a steep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each of the hook protrusions 371 and 361 facing each other before fasten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후크돌기(371,361)끼리 맞물리게 결합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move toward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engage the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to engage each other, thereby fastening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can do.

아울러, 쐐기형 후크돌기(371,361)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서로를 향하여 결합하기는 쉬우나 제1후크(37) 또는 제2후크(36)의 파손이 없는 한 반대방향으로 서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dge-shaped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are opposite unless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are easily coupled toward each other, but the first hook 37 or the second hook 36 is not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즉,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체결하기 위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체결 전 후크돌기(371,361) 상호간의 이동저항은 줄이고, 제1후크(37)와 제2후크(36)의 체결 후 후크돌기(371,361)가 서로 제2경사면끼리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move toward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order to fast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he movement resistan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s 371 and 361 before fastening. can be reduced, and after fastening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the hook projections 371 and 361 may be restricted from mov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leased from each other.

고하중의 프런트 글라스(20)를 지지하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에 탄성홈(38)과 압착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upport the high-load windshield 20 and to firmly maintain the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the outer frame 14 is provided with an elastic groove 38 and a pressing part.

압착부는 복수의 압착리브(39), 연결리브(40) 및 지지리브(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39 , connection ribs 40 , and support ribs 41 .

탄성홈(38)은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서제1후크(37)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8)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의 배면에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파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groove 38 may be formed radially inside the first hook 37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The elastic groove 38 may b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

탄성홈(38)은 제1후크(37)의 내측에서 평면부(15)를 두께방향으로 더 파이게 구성하여, 제1후크(37)의 두께가 얇아지게 함으로써, 제1후크(37)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The elastic groove 38 makes the flat portion 15 deep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37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ok 37 thinner, so that the first hook 37 is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radially outwar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후크(36)가 제1후크(37)의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진입 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서로 맞닿으면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려짐으로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 안쪽으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econd hook 36 enters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37 in the axial direction, the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hook project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are ), the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is sprea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as the hook project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is ) is easy to enter.

또한,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의 최고정점을 지나면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 상호 간에 반경방향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1후크(37)는 변형된 위치에서 본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서로 맞물리게 체결된다.In addition, while the hook projection 361 of the second hook 36 passes the highest point of the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the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 As the radial pressing force between the hook projections 361 of 36 is released, the first hook 37 is restored from the deformed posi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hook projection 371 and the second hook projection 371 of the first hook 37 are The hook projections 361 of the hook 36 are engaged with each other.

평면부(15)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39)가 형성될 수 있다. 압착리브(39)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제2후크(36)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의 체결 시 제2후크(36)를 압착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착리브(39)는 평면부(15)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39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 The compression rib 39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rt 15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ok 36, so that when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are fastened, the second hook ( 36) is made to compress. The compression ribs 39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착리브(39)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간의 체결 시 제2후크(36)의 내주면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착한다. 이에 따라, 제2후크(36)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리지 않음으로,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각각의 후크돌기(361,371)가 서로 체결된 후 서로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mpression rib 39 compress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ok 36 radially outward when fastening between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hook 36 is not push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hook projections 361 and 371 of each of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fter they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may be firmly maintained.

또한, 압착리브(39)는 제2후크(36)를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rib 39 compresses the second hook 36 , thereby strengthen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

압착리브(39)는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서 탄성홈(38)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The compression rib 39 is positioned radially inside the elastic groove 38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압착리브(39)의 후면에 진입안내면(391)이 탄성홈(38)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안내면(391)은 제2후크(36)의 이동을 안내하여 압착리브(39)와 제1후크(37) 사이로 제2후크(36)가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n entry guide surface 391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mpression rib 39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elastic groove 38 . The entry guide surface 391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hook 36 to induce the second hook 36 to be inserted between the compression rib 39 and the first hook 37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입안내면(391)은 제2후크(36)가 제1후크(37) 안쪽으로 진입하기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ntry guide surface 391 facilitates the second hook 36 to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37, so that assembly can be improved.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 연결리브(40)가 후방향으로 돌출되고, 링 형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리브(40)는 복수의 압착리브(39)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A connecting rib 40 protrudes in the rear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and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ring. The connecting rib 4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39 .

연결리브(40)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제1접착제 넘침홈(441)의 반대측으로부터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ib 4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frame 19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

연결리브(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접착제 넘침홈(441)과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art or all of the connecting rib 4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리브(40)는 접착제 넘침홈(441)으로 인해 평면부(15) 일측의 두께가 얇아짐으로 강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강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rib 40 can reinforce the decrease in rigidity due to the thinning of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15 due to the adhesive overflow groove 441 .

탄성홈(38)은 연결리브(40)와 제1후크(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8)은 연결리브(40)로부터 제1후크(37)로 갈수록 평면부(15)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elastic groove 38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rib 40 and the first hook 37 . The elastic groove 38 may have an inner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lat portion 15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onnecting rib 40 to the first hook 37 .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 복수의 지지리브(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사다리꼴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4 .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have a trapezoidal plate structure and may extend vertically in a radial direction.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 각각의 일측면은 평면부(15)에 배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리브(41)의 일측면에 수직한 외측면이 연결리브(40)에 일체로 연결되어,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리브(41)의 일측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리브(41)의 타측면은 평면부(15)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nar part 15 . An outer surface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support rib 41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b 40 ,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rib 40 .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rib 41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one side of the support rib 4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의 내측면과 평면부(15)에 수직하게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리브(40)와 압착리브(39)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 perpendicular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rib 40 and the flat portion 15 , and firmly connect the connecting rib 40 and the pressing rib 39 . can support

복수의 압착리브(39)와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를 사이에 두고 연결리브(40)의 내측과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pression ribs 39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be disposed to radially face each other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nection rib 40 with the connection rib 40 interposed therebetween.

복수의 지지리브(41)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접착제 충전홈(43)과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41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리브(41)는 접착제 충전홈(43)으로 인해 평면부(15)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rib 41 can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rigidity of the flat portion 15 due to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

평면부(15)의 후면에서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 중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의 반대측에 보강리브(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reinforcing rib 4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disposed inside the adhesive filling groove 43 among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441 and 442 . .

보강리브(42)는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제2접착제 넘침홈(44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42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리브(42)는 접착제 넘침홈으로 인해 평면부(15)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rib 42 can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rigidity of the flat portion 15 due to the adhesive overflow groove.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일부분으로서, 이너 프레임(19)의 외곽부 중 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다. 손잡이(35)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37)의 외측면을 축방향으로 덮지도 않는다.The handle 35 is a part of the inner frame 19 , and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of the outer frame 19 , other than the handle 35 . The handle 35 does not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ok 37 of the outer frame 14 in the axial direction.

이로 인해, 손잡이(35)와 아우터 프레임(14) 간의 후크 체결구조는 이너 프레임(19)과 아우터 프레임(14) 간의 후크 체결구조와 다소 차이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handle 35 and the outer frame 14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hook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inner frame 19 and the outer frame 14 .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손잡이(35)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hooks 47 of the handle 3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andle 35 .

손잡이(35)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후크(47) 각각은 원주방향으로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ooks 47 formed on the handle 35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반경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ok 46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may be formed to protrud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 내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손잡이(35)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ok 46 of the outer frame 14 projects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14 ,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has a radiu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35 .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direction.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이 서로 체결될 때 손잡이(35)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ook 46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andle 35 wh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are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arranged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후크(46)의 일측 모서리에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챔퍼부(461: chamfer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46)의 타측에 접촉부(462)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A chamfer part 461 may be formed at one edge of the first hook 46 to be inclined at a preset angle. The contact portion 462 may be formed substantially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ok 46 .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일측 모서리에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챔퍼부(47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타측에 접촉부(472)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A chamfer portion 47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t one edge of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 The contact portion 472 may be formed substantially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이 전후방향(축방향)으로 서로 체결 시, 챔퍼부(461,471)는 서로 맞닿아 손잡이(35)의 제2후크(47)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의 내측으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xial direction), the chamfers 461 and 47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is connected to the outer. It is easy to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46 of the frame 14.

또한, 아우터 프레임(14)과 손잡이(35)의 체결 후에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 각각의 접촉부(462,472)가 거의 수직하게 맞닿아 있어서 서로 탈거하기가 불가능하다.In addition, after the outer frame 14 and the handle 35 are fastened, the contact portions 462 and 472 of the first hook 46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are almost vertical.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annot be removed from each other.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 배면에 탄성홈(38)이 두께방향으로 파여지게 형성되어, 제1후크(46)가 제2후크(47)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 시 제1후크(46)는 탄성홈(38)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An elastic groove 38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5 of the outer frame 14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when the first hook 4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47, the first hook ( 46) can be elastically deformed radially outward by the elastic groove (38).

아울러, 제2후크(36)는 챔퍼부(461,471)에 의해 제1후크(37)의 내측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ok 36 can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hook 37 by the chamfers 461 and 471 .

게다가,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접촉부(462,472)에 의해 서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ok 37 and the second hook 3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ntact portions 462 and 472 .

손잡이(35)의 일측에서 보강리브(45)가 제2접착제 넘침홈(442)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reinforcing rib 45 from one side of the handle 35 may protrude toward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

보강리브(42)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의 반대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5)의 보강리브(45)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으로 인해 평면부(15)의 두께가 얇아져서 평면부(15)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42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 The reinforcing rib 45 of the handle 35 can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strength of the flat portion 15 due to the thinness of the flat portion 15 due to the second adhesive overflow groove 442 .

또한, 보강리브(42)는 손잡이(35)와 평면부(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함으로써, 손잡이(35)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42 serves as a spac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handle 35 and the flat portion 15 ,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handle 35 .

아울러, 보강리브(42)는 손잡이(35)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손잡이(35)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후크(46)의 접촉부(462)와 제2후크(47)의 접촉부(472) 상호 간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42 can not onl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handle 35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35 is reduced, but also the contact portion 462 of the first hook 46 and the second hook 47 . of the contact portions 472 may maintain a state of mutual contact.

따라서,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체결 구조에 의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결합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irst hook 46 of the outer frame 14 and the second hook 47 of the handle 35, the coupling and assembly properties between the outer frame 14 and the inner frame 19 can be improved. can

10 : 본체 101 : 의류 투입구
11 : 컨트롤 유닛 12 : 도어
13 : 도어 프레임 14 : 아우터 프레임
15 : 평면부 16 : 곡면부
17 : 도금층 18 : 개구부
19 : 이너 프레임 191 : 장착홈
20 : 프런트 글라스 21 : 투광 영역
22 : 불투광 영역 221 : 얼라인 마크
23 : 도어 윈도우 24 : 힌지 유닛
25 : 힌지 26 : 베이스부
27 : 회전 결합부 28 : 힌지 홀더
29 : 부시 30 : 로킹 유닛
31 : 샤프트 32 : 도어 래치
33 : 스프링 34 : 장착 가이드
341 : 연장부 35 : 손잡이
36 : 제2후크 361 : 후크돌기
37 : 제1후크 371 : 후크돌기
38 : 탄성홈 39 : 압착리브
391 : 진입안내면 40 : 연결리브
41 : 지지리브 42 : 보강리브
43 : 충전홈 44 : 넘침홈
45 : 보강리브 46 : 제1후크
461 : 챔퍼 462 : 제1접촉부
47 : 제2후크 471 : 챔퍼
472 : 제2접촉부 48 : 물빠짐 홀
10: body 101: clothing inlet
11: control unit 12: door
13: door frame 14: outer frame
15: flat part 16: curved part
17: plating layer 18: opening
19: inner frame 191: mounting groove
20: windshield 21: light transmitting area
22: opaque area 221: alignment mark
23: door window 24: hinge unit
25: hinge 26: base part
27: rotation coupling unit 28: hinge holder
29: bush 30: locking unit
31: shaft 32: door latch
33: spring 34: mounting guide
341: extension 35: handle
36: second hook 361: hook projection
37: first hook 371: hook projection
38: elastic groove 39: compression rib
391: entrance guide surface 40: connecting rib
41: support rib 42: reinforcement rib
43: charging groove 44: overflow groove
45: reinforcing rib 46: first hook
461: chamfer 462: first contact portion
47: second hook 471: chamfer
472: second contact part 48: water drain hole

Claims (21)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전면과 후면이 원형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에서 상기 직선부로 연장되는 제1곡선부;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제2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곡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상기 장착 가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anel having a clothes inlet formed thereon and a clothes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clothes put in through the clothes inlet;
and a do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The door is
an outer frame having an opening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a windshield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cover the open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nd a mounting guid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shield,
The front glass is formed in a circular flat shape with front and rear surfac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shield is,
The front glass may include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of ;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shield to the straight portion;
and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raight portion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 second curved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aight part ar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guide, and the first curved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gu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직선부를 모두 덮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ounting guide covers all of the straight lin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를 덮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guide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mounting guide covers at least 2/3 of the thickness of the windsh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선부는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곡선부와 대칭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직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에 의해 덮이는 구조로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urved portion extends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from the straight portion toward the rea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and wherein the first curved portion is opened from the mounting guide, and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are covered by the mounting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의 두께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mounting guide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windsh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전하는 접착제 충전부 구비하는 평면부; 및
상기 접착제 충전부와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상기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rame,
a flat part having an adhesive filling part for filling an adhesive for attaching the windshield; and
and a reinforcing rib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a rear surface of the flat part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dhesive fill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shield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made of a glass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충전부는,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홈; 및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넘치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dhesive filling part,
an adhesive filling groove in which the adhesive is filled; and
and a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with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planar portion and receiving the adhesive overflowing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 중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접착제 넘침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reinforcing rib is disposed to overlap an adhesive overflow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 중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접착제 넘침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uter fram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overflow groov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filling groove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adhesive overflow grooves; and a connecting rib disposed to overlap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art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평면부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ribs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and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guide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형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curved surface that increases in diameter from the mounting guide toward the inner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투광 영역;
상기 투광 영역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 형성되는 투광성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indshield is
light transmitting area;
a non-transmissive area formed to surround an outside of the light-transmitting area; and
and a transmissive alignment mark formed in the opaque area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windshiel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접착제 충전부에 충전되는 상기 접착제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lignment mark is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ed in the adhesive filling pa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접착제 충전부를 가리도록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접착제 충전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non-transmissive area is disposed to overlap the adhesive filling part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to cover the adhesive fill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고, 최외곽부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단과 상기 이너 프레임의 내측단 사이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door window cover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frame and having an outermost portion mounted between an inner end of the outer frame and an inner end of the inn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를 감싸는 내측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ounting guide, an inner surface surrounding the windshield is formed parallel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shiel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windsh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후크;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ook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frame toward the inner frame; and
and a second hook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rame toward the outer frame and coupled to the first hook by a force fit.
KR1020200011872A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333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64 2019-02-01
KR20190014064 2019-02-01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en) 2019-02-01 2019-05-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058238 2019-05-17
KR1020190128703 2019-10-16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en) 2019-02-01 2019-10-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160A KR20200096160A (en) 2020-08-11
KR102333383B1 true KR102333383B1 (en) 2021-12-03

Family

ID=7204819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en) 2019-02-01 2019-05-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328A KR102333382B1 (en) 2019-02-01 2019-10-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330A KR102346444B1 (en) 2019-02-01 2019-10-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998A KR102376059B1 (en) 2019-02-01 2019-10-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en) 2019-02-01 2019-10-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00011872A KR102333383B1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00011873A KR102346449B1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10190172A KR102450183B1 (en) 2019-02-01 2021-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en) 2019-02-01 2019-05-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328A KR102333382B1 (en) 2019-02-01 2019-10-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330A KR102346444B1 (en) 2019-02-01 2019-10-14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7998A KR102376059B1 (en) 2019-02-01 2019-10-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en) 2019-02-01 2019-10-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873A KR102346449B1 (en) 2019-02-01 2020-01-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10190172A KR102450183B1 (en) 2019-02-01 2021-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90122B1 (en)
JP (4) JP6894990B2 (en)
KR (8) KR20200096040A (en)
RU (4) RU2726684C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95189A1 (en) 2020-07-31 2023-09-21 Lg Chem, Ltd. Organozin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Chain Transfer Agent, Block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KR102600993B1 (en) * 2021-07-19 2023-11-10 (주) 세명유리 Mounting structure of glass panel
DE102022205165A1 (en) * 2022-05-24 2023-11-30 BSH Hausgeräte GmbH Laundry care device for caring for i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0B1 (en)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8293271U (en) * 2018-03-07 2018-12-2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door body assembly and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206977V0 (en) * 1982-04-16 1982-04-16 Faini Spa PORTHOLE FOR WASHING MACHINES.
JP2528360Y2 (en) * 1992-09-30 1997-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Golf club head
JP2987832B2 (en) * 1996-07-10 1999-12-06 株式会社遠藤製作所 Iron type golf club
IT241577Y1 (en) * 1996-12-02 2001-05-0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HINE FOR WASHING AND / OR DRYING OF LINEN
JP3995177B2 (en) * 1998-11-04 2007-10-24 株式会社エーアンドエーマテリアル Inorganic molded body and stacking method thereof
US7478502B2 (en) *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JP4339098B2 (en) * 2003-12-05 2009-10-07 テルモ株式会社 Guide wire introduction aid
RU2355836C1 (en) * 2005-04-15 2009-05-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Cleaning device, methods of its production and assembly
CN101074531A (en) * 2006-05-19 2007-11-21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Drum washer door
EP1860228A1 (en) * 2006-05-24 2007-11-28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fixing a front panel to a washing machine
KR20110013011A (en)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assembly for a cloth treating apparatus
EP2718781B2 (en)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JP6013932B2 (en) * 2013-02-12 2016-10-25 三甲株式会社 tray
KR20150006264A (en)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CN104975466B (en) * 2014-04-09 2019-02-19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oor body support construction and wash/dryer
JP6318051B2 (en) * 2014-08-28 2018-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Drum washing machine
US10815598B2 (en) * 2015-05-22 2020-10-27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Door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JP6553449B2 (en) * 2015-08-21 2019-07-3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Drum type washer / dryer
KR101708355B1 (en)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5268668A1 (en) * 2015-12-11 2017-06-29 Electrolux Thailand Co., Ltd Lid Assembly
KR101988321B1 (en) * 2016-04-01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8110645A (en) * 2017-01-10 2018-07-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Washing machine
WO2018138946A1 (en) * 2017-01-26 2018-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Door structure for fabric treatment device
KR20180089992A (en) *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68498B1 (en)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KR20180136102A (en)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door thereof
KR20180136095A (en)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cover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0B1 (en)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8293271U (en) * 2018-03-07 2018-12-2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door body assembly and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4490A (en) 2020-08-20
KR20220004610A (en) 2022-01-11
JP6978526B2 (en) 2021-12-08
EP3690122A1 (en) 2020-08-05
RU2726684C1 (en) 2020-07-15
KR102346449B1 (en) 2022-01-03
KR102376059B1 (en) 2022-03-21
EP3690122B1 (en) 2022-03-02
KR20200096160A (en) 2020-08-11
KR20200096040A (en) 2020-08-11
KR20200096078A (en) 2020-08-11
KR20200096076A (en) 2020-08-11
JP7033154B2 (en) 2022-03-09
RU2723054C1 (en) 2020-06-08
JP6894990B2 (en) 2021-06-30
KR102450183B1 (en) 2022-10-06
KR20200096075A (en) 2020-08-11
RU2726686C1 (en) 2020-07-15
JP2020124491A (en) 2020-08-20
KR20200096077A (en) 2020-08-11
KR102333382B1 (en) 2021-12-03
JP2020124488A (en) 2020-08-20
KR102346444B1 (en) 2022-01-05
JP2020124489A (en) 2020-08-20
KR20200096161A (en) 2020-08-11
JP6906074B2 (en) 2021-07-21
RU2734357C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8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9559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2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10233337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3338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120024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234644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1519411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34644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2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EP4353897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AU20202005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0283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