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16B1 - 행거 롤러 - Google Patents

행거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16B1
KR102333216B1 KR1020200028612A KR20200028612A KR102333216B1 KR 102333216 B1 KR102333216 B1 KR 102333216B1 KR 1020200028612 A KR1020200028612 A KR 1020200028612A KR 20200028612 A KR20200028612 A KR 20200028612A KR 102333216 B1 KR102333216 B1 KR 10233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oller
coupling
contact
shaft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934A (ko
Inventor
손태현
Original Assignee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는 수평 설치된 빔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며 크레인 전력 공급을 위한 중량의 케이블을 이송하는 행거 롤러로서, 행거 롤러는 상기 빔에 접촉되며 우레탄 소재로 아우터 몸체와, 상기 아우터 몸체의 내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아우터부, 및 상기 아우터부의 내부에 착탈 고정되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이너 몸체와, 상기 이너 몸체의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내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이너부를 포함한다. 이때, 아우터 몸체의 외주 면을 통해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교환주기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홈이 없어지면 아우터 몸체가 교환주기에 도달했다는 표시로서 식별되어 별도로 마모한계 확인을 위한 측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정비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우천 시 행거 롤러의 이동 중에 수막현상이 유발되어 롤러가 탈선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홈은 수막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행거 롤러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행거 롤러의 고속 이동 시 경로 상에서 열이 발생되는데, 이 홈은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 롤러{HANGER 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행거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이동 중 소음이 저감되고, 아우터 몸체의 필링이 방지되며, 경량화 및 방청 성능이 우수한 행거 롤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크레인(crane) 장치는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려 수평으로 운반하는 기계나 기계장치를 말하며,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과, 들어올린 중량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서로 조합되어 3차원 공간에서 중량물을 취급할 수 있다. 대부분의 크레인 등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구비된다. 그리고 중량의 케이블을 메달아 수평으로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행거 롤러가 이용되고 있다.
행거 롤러는 수평으로 설치된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데, 행거 롤러의 하부에는 케이블을 메달아 이송하는 본체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행거 롤러의 경우 단일의 소재(예: UHMW-PE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행거 롤러의 경우, 롤러 이동 시 소음 발생이 컸으며 마모율이 높고 교체 주기가 짧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단일의 소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행거 롤러보다 개선된 형태로서 이종의 소재(예: Steel과 UHMW-PE 등)를 이용하여 제작된 행거 롤러가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롤러의 이동 중에 소음 발생이 큰 단점이 있었으며, 더운 날씨 조건 하에서 소재 간이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무겁고 쉽게 녹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UHMW-PE 부위가 박리되는 문제와 Steel 부위의 부식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386호(2008.04.30. 공고일)에는 롤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 롤러의 이동 중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아우터 몸체의 필링 오프(peeling 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구현하고 방청 성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행거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는, 수평 설치된 빔(10)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며 크레인 전력 공급을 위한 중량의 케이블을 이송하는 행거 롤러로서, 상기 행거 롤러는, 상기 빔(10)에 접촉되며 우레탄 소재로 아우터 몸체(110)와, 상기 아우터 몸체(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0)를 포함하는 아우터부(100); 및 상기 아우터부(100)의 내부에 착탈 고정되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이너 몸체(210)와, 상기 이너 몸체(210)의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120)가 결합되도록 내입 형성된 결합홈(220)을 포함하는 이너부(200);를 포함한다.
행거 롤러는, 상기 이너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부(200)의 중심을 지지하는 축부(300)와, 상기 이너부(200)와 상기 축부(200) 사이에 접촉 배치되는 베어링(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너부(200)는, 상기 아우터부(100)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으며, 상기 축부(300)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길이(L2)의 직경을 갖는 원판부(211)를 포함하는 이너 몸체(210)와, 상기 이너 몸체(21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축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되, 상기 아우터부(100)보다 소정 길이(L1)만큼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축 방향 연장몸체(230)를 포함한다.
이너 몸체(210)는, 상기 원판부(2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보강부(213)와, 상기 경사보강부(213)의 외측 말단과 상기 축 방향 연장몸체(230)가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축부(300)의 중심방향에 교차하여 상기 이너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400)의 후미 일단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지단차부(215)를 더 포함한다.
축부(300)는, 상기 축 방향 연장몸체(230)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은 외경 사이즈를 갖는 원통형의 축 몸체(310)와, 상기 축 몸체(310)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링(400)과 접촉 배치되는 접촉부(320)와, 상기 접촉부(320)의 후미에서 상기 축 몸체(310)의 외경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400)의 후미 타단을 지지하는 확장부(330)를 포함한다.
아우터 몸체(110)의 외주 면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설정 폭 및 깊이로 내입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몸체(110)의 마모 시 함께 마모되어 상기 아우터 몸체(110)의 마모 상태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마모검사부(130)를 더 포함한다.
마모검사부(130)는 설정 크기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은 교환주기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홈이 없어지면 아우터 몸체(110)가 교환주기에 도달했다는 표시로서 이용 가능하며, 별도로 마모한계 확인을 위한 측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정비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천 시 행거 롤러의 이동 중에 수막현상이 유발되어 롤러가 탈선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홈은 수막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롤러, 즉 아우터 몸체(11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행거 롤러가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경로 상에서 접촉 마찰로 인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홈은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홈의 폭 크기는 깊이보다 2배로 형성되는 행거 롤러의 탈선 방지 및 열 발산하는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결합돌기(120)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돌출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 각각은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면(122, 124)을 구비한다.
결합홈(220)은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가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홈(221, 223)을 포함한다.
복수의 결합홈(221, 223)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123)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결합 띠(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띠(225)는 4개의 원호 형상 띠가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모검사부(130)는 4개의 결합 띠(225) 각각이 위치한 사이마다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띠(225)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12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띠(225)로부터 상기 아우터 몸체(110)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띠 돌출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몸체(110)는 반경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모검사부(130)가 형성되는 제1 아우터 몸체부(111)와, 상기 제1 아우터 몸체부(11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1 아우터 몸체부(111)에 비해 강성이 우수한 제2 아우터 몸체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행거 롤러는 상기 빔(10) 중에서 상기 아우터부(100)가 접촉하여 구름 이동하는 플랜지(11)와의 근접 거리를 계측하여 상기 아우터부(100)의 마모 량을 감지하는 마모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에 의하면 행거 롤러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낮은 교체 주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운 기후 환경 조건 하에서도, 아우터 몸체가 이너 몸체로부터 필링 오프(peeling off) 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몸체의 외주 면에 설정 깊이로 마모 확인용 형상부를 형성하여, 소재 특성 상 장시간 사용 시 마모가 가능한 아우터 몸체의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깊이 계측을 통해 교체 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의 내부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가 빔에 접촉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가 빔에 적용된 모습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행거 롤러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행거 롤러의 내부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가 빔에 접촉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가 빔에 적용된 모습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1000)는 수평 설치된 빔(예: H 빔 등)(10, 도 8 참조)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며 크레인 전력 공급을 위한 중량의 케이블을 이송하는 롤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100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아우터부(100)와 이너부(200)를 포함한다.
아우터부(100)는 빔(10, 도 8 참조)의 플랜지(11, 도 8 참조) 부위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아우터 몸체(110)와 결합돌기(120)를 포함한다.
아우터 몸체(110)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져 기존의 소재(예: UHMW-PE 등)의 행거 롤러에 비해 이동 시 소음 발생이 대폭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결합돌기(120)는 아우터 몸체(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이너부(200)는 이너 몸체(210)와 결합홈(220)을 포함한다.
이너 몸체(210)는 아우터부(100)의 내부에 착탈 고정될 수 있다. 이너 몸체(210)는 아우터 몸체(110)와 달리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steel 소재와 달리 녹이 슬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합홈(220)은 이너 몸체(210)의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120)가 결합되도록 내입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1000)는 축부(300)와 베어링(400)을 더 구비한다. 축부(300)는 회전 축을 형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너부(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축부(300)는 아우터부(100)와 이너부(200)가 회전하며 이동할 때 이너부(200)의 중심을 견고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400)은 이너부(200)와 상기 축부(200) 사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몸체(210)는 아우터부(100)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으며, 축부(300)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길이(L2, 도 2 참조)의 직경을 갖는 원판부(2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너부(200)는 이너 몸체(210)의 외측으로부터 축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축 방향 연장몸체(230)를 더 포함한다.
축 방향 연장몸체(230)는 아우터부(100)보다 소정 길이(L1, 도 2 참조)만큼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우레탄 소재의 아우터부(100)가 빔에 접촉하여 구름 이동할 때 이보다 큰 강성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의 이너부(200)가 더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인 구조적인 강성을 높여 롤러의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축 방향 연장몸체(230)는 축부(300)보다는 짤게 연장됨으로써, 주행 중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너 몸체(210)는 경사보강부(213)와 지지단차부(215)를 더 포함한다.
경사보강부(213)는 원판부(2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진다. 경사보강부(213)는 원판부(211)의 두께에 비해 큰 강성을 갖는 형상을 가지며, 특히 원판부(211)와 축 방향 연장몸체(230) 사이의 모서리 연결부위를 더욱 보강하여 이너부(200)의 반복 사용에도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지단차부(215)는 경사보강부(213)의 외측 말단과 축 방향 연장몸체(230)가 접하는 위치에서 축부(300)의 중심방향에 교차하여 이너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단차부(215)는 베어링(400)의 후미 일단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축부(300)는 원통형의 축 몸체(310)와 접촉부(320)와 확장부(330)를 포함한다. 축 몸체(310)는 축 방향 연장몸체(230)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은 외경 사이즈를 갖는 축 부재를 의미한다. 접촉부(320)는 축 몸체(310)의 후단에 위치하며 베어링(400)과 접촉 배치되는 부위를 말한다.
축부(300)의 후미에는 확장부(330)가 구비된다. 확장부(330)는 접촉부(320)의 후미에서 축 몸체(310)의 외경이 확장 형성되는 부위로서, 지지단차부(215)와 함께 베어링(400)의 후미 타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베어링(400)의 후미 일단 부위는 이너부(200)의 지지단차부(215)에 의해 밀착 지지되고, 베어링(500)의 후미 타단 부위는 축부(300)의 확장부(330)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이너부(200)와 축부(30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행거 롤러의 이동 중 진동 및 소음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1000)는 마모검사부(130)를 더 포함한다.
마모검사부(130)는 아우터 몸체(110)의 외주 면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설정 폭 및 깊이로 내입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아우터 몸체(110)와 구별 가능한 색상의 삽입 물일 수 있다.
홈, 즉 마모검사부(130)는 아우터 몸체(110)의 마모 시 마모되어 사용자의 육안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아우터 몸체(110)의 마모 상태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컨대, 마모검사부(130)가 설정 크기의 폭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홈은 교환주기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홈이 없어지면 아우터 몸체(110)가 교환주기에 도달했다는 표시로서 이용 가능하며, 별도로 마모한계 확인을 위한 측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정비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천 시 행거 롤러의 이동 중에 수막현상이 유발되어 롤러가 탈선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홈은 수막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롤러, 즉 아우터 몸체(11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행거 롤러가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경로 상에서 접촉 마찰로 인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홈은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홈은 폭이 깊이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행거 롤러의 탈선 방지 및 열 발산하는 기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모검사부(130)는 아우터 몸체(110)의 외주 면을 따라 4개가 서로 90도의 중심각을 두고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마모검사부(130)의 폭(L3)과 높이(L4)는 동일한 크기이거나, 폭(L3)이 높이(L4)에 비해 2배 일 수 있다. 폭(L3)이 높이(L4)에 비해 클 경우 탈선 방지 효과 및 열 발산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L4)가 2mm인 경우 폭(L3)은 2~4mm일 수 있다. 행거 롤러(1000)의 폭(L5)은 39~40mm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마모검사부(130)의 높이(L4)는 행거 롤러(1000)의 직경(D1)과 일정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4 : D1은 1 : 65~75의 비율로 정해질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D1이 140mm일 때 L4는 2mm인 것이 좋다. 마모검사부(130)의 높이(L4)는 아우터부(100)의 허용 가능한 마모 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마모검사부(130)가 마모된 경우 아우터부(100)를 신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 롤러(1000)의 경우 결합돌기(120)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돌출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 각각은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면(122, 124)을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홈(220)은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홈(221, 223)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복수의 결합홈(221, 223)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21, 123)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결합 띠(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띠(225)는 이너부(200)의 외주 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이와 다른 실시 형태로서, 결합 띠(225)는 이너부(200)의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4개의 원호 형상 띠가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이때, 마모검사부(130)는 4개의 결합 띠(225: 2251, 2252, 2253, 2254) 각각이 위치한 사이마다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아우터 몸체(110)를 통해 마모검사부(130)와 4개의 결합 띠(225: 2251, 2252, 2253, 2254) 간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아우터 몸체(110)의 국부적인 부피 감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결합 띠(225)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1, 12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결합 띠(225)로부터 상기 아우터 몸체(110)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띠 돌출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띠 돌출부(226)는 이너부(200)의 결합 띠(225)에서 아우터부(100)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부위로서, 아우터부(100)와 아우터부(200)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이종 소재 간의 견고한 밀착을 도모하고, 아우터부(100)의 필링 오프를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몸체(110)는 반경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며 마모검사부(130)가 형성되는 제1 아우터 몸체부(111)와, 제1 아우터 몸체부(111)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121, 123)와 끼워져 고정되며 제1 아우터 몸체부(111)에 비해 강성이 우수한 제2 아우터 몸체부(11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부(100)의 필링 오프를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행거 롤러(1000)는 아우터부(100), 즉 우레탄 소재 부위의 마모 량을 감지하는 마모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모감지부(700)는 빔과의 높이(H1), 더 구체적으로는 행거 롤러(1000)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빔(10, 도 8 참조)의 플랜지(11, 도 8 참조)와 근접 거리를 계측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마모감지부(700)는 연결부재(500)에서 빔(10)을 따라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수평연장부(5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100)는 케이블을 메달이 이동시키는 본체(8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빔(10)의 플랜지(11) 면을 따라 이동한다. 본체(800)와 행거 롤러(100) 사이에는 연결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행거 롤러(100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6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빔(10)을 따라 접촉 이동하는 롤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롤러에 의하면 행거 롤러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낮은 교체 주기를 갖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더운 기후 환경 조건 하에서도, 아우터 몸체가 이너 몸체로부터 필링 오프(peeling off) 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아우터 몸체의 외주 면에 설정 깊이로 마모검사부를 형성하여, 소재 특성 상 장시간 사용 시 마모가 가능한 아우터 몸체의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깊이 계측을 통해 교체 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빔
11: 하부 플랜지
100: 아우터부
110: 아우터 몸체
111: 제1 아우터 몸체부
113: 제2 아우터 몸체부
120: 결합돌기
121: 제1 테이퍼형 결합돌기
122: 제1 테이퍼 면
123: 제2 테이퍼형 결합돌기
124: 제2 테이퍼 면
130: 마모검사부
200: 이너부
210: 이너 몸체
211: 원판부
213: 경사보강부
215: 지지단차부
220: 결합홈
221: 제1 테이퍼형 결합홈
223: 제2 테이퍼형 결합홈
225: 결합 띠
2251: 제1 결합 띠
2252: 제2 결합 띠
2253: 제3 결합 띠
2254: 제4 결합 띠
226: 띠 돌출부
230: 축 방향 연장몸체
300: 축부
310: 축 몸체
320: 접촉부
330: 확장부
400: 베어링
500: 연결부재
510: 수평연장부
600: 가이드부
700: 마모감지부
800: 본체
1000: 행거 롤러

Claims (10)

  1. 수평 설치된 빔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며 크레인 전력 공급을 위한 중량의 케이블을 이송하는 행거 롤러로서,
    상기 행거 롤러는, 상기 빔에 접촉되며 우레탄 소재로 아우터 몸체와, 상기 아우터 몸체의 내주 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아우터부; 및
    상기 아우터부의 내부에 착탈 고정되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이너 몸체와, 상기 이너 몸체의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내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이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 롤러는, 상기 이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부의 중심을 지지하는 축부와, 상기 이너부와 상기 축부 사이에 접촉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너 몸체는, 상기 아우터부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으며, 상기 축부의 외경 사이즈보다 큰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부는, 상기 이너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되, 상기 아우터부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축 방향 연장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몸체는, 상기 원판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보강부와, 상기 경사보강부의 외측 말단과 상기 축 방향 연장몸체가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축부의 중심방향에 교차하여 상기 이너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후미 일단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지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행거 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축 방향 연장몸체의 내경 사이즈보다 작은 외경 사이즈를 갖는 원통형의 축 몸체와, 상기 축 몸체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링과 접촉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후미에서 상기 축 몸체의 외경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후미 타단을 지지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행거 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몸체의 외주 면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설정 폭 및 깊이로 내입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몸체의 마모 시 함께 마모되어 상기 아우터 몸체의 마모 상태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마모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행거 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돌출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단면이 확장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 각각은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 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이퍼형 결합홈을 포함하는 행거 롤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홈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결합 띠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띠는 복수의 원호 형상 띠가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검사부는 상기 복수의 원호 형상 띠 각각이 위치한 사이마다 서로 90도의 중심각으로 이격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롤러.
KR1020200028612A 2020-03-06 2020-03-06 행거 롤러 KR10233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12A KR102333216B1 (ko) 2020-03-06 2020-03-06 행거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12A KR102333216B1 (ko) 2020-03-06 2020-03-06 행거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34A KR20210112934A (ko) 2021-09-15
KR102333216B1 true KR102333216B1 (ko) 2021-11-29

Family

ID=7779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12A KR102333216B1 (ko) 2020-03-06 2020-03-06 행거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626A (ja) 1999-12-08 2001-07-10 Tashiko:Kk ベアリング及びタイヤを備えた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1630B2 (ja) * 1994-07-20 2001-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3507329B2 (ja) 1998-04-03 2004-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踏段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2082B2 (ja) * 2007-12-12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踏板用ローラ
JP3190773U (ja) 2010-01-29 2014-05-29 株式会社Jrc 摩耗度合い診断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987A (ko) * 2004-07-27 2006-02-02 천승희 이중재료 행거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179A (ko) * 2005-01-19 2006-07-24 천승희 엘리베이터용 행어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114B1 (ko) * 2006-10-26 2008-05-27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건설용 리프트용 우레탄 재질의 가이드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3211630U (ja) * 2017-05-15 2017-07-27 克三 風間 ケーブル延線工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630B2 (ja) * 1994-07-20 2001-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3507329B2 (ja) 1998-04-03 2004-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踏段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7626A (ja) 1999-12-08 2001-07-10 Tashiko:Kk ベアリング及びタイヤを備えた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2082B2 (ja) * 2007-12-12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踏板用ローラ
JP3190773U (ja) 2010-01-29 2014-05-29 株式会社Jrc 摩耗度合い診断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34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329B2 (en) Composite brake drum with bands
KR102333216B1 (ko) 행거 롤러
JP2009279392A (ja) 落下防止用安全器
KR20040071276A (ko) 엘리베이터장치
KR20200102511A (ko) 전동체의 평행유지에 사용되는 케이지 및 베어링
CN100451551C (zh) 弹簧设置在电缆卷盘内的缆控位置传感器
JP4814240B2 (ja) 転向滑車装置
CN105929018A (zh) 一种轮式钢丝绳漏磁检测探头
CN104271971A (zh) 环形的滚子轴承
CN203822847U (zh) 一种高铁用密封型调心滚子轴承
US20170081151A1 (en) Elevator installation roller with restraining element
KR101574657B1 (ko) 선박 접안용 로프가이드의 무급유형 유니버셜 롤러
JP2020201250A (ja) ローラフランジの摩耗監視装置
KR101223188B1 (ko) 경하중 고속 회전체용 자동 조심형 에어 롤러
CA2860938C (en) Spoke design for sheaves
JP200804479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エレベータ支持手段、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支持手段を備え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組み立て方法
CN105275980A (zh) 一种圆锥滚子轴承
US7134644B2 (en) Compressed air balancer
CN211765943U (zh) 一种承重能力强的支重轮盖
CN210505154U (zh) 一种导轨润滑装置
CN106553937A (zh) 一种导缆孔
US8425121B2 (en) Rolling bearing with spherical separators
CN104437723B (zh) 一种圆锥破碎机的传动机组
CA2349257C (en) Power transmission and bearing arrangement for a drum
US9708019B2 (en) Track-supporting roller assembly for a crawler chas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