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223B1 -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223B1
KR102332223B1 KR1020200016921A KR20200016921A KR102332223B1 KR 102332223 B1 KR102332223 B1 KR 102332223B1 KR 1020200016921 A KR1020200016921 A KR 1020200016921A KR 20200016921 A KR20200016921 A KR 20200016921A KR 102332223 B1 KR102332223 B1 KR 10233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mical liquid
porous material
od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653A (ko
Inventor
박천상
이규화
곽동창
김철규
남병현
Original Assignee
박천상
이규화
곽동창
김철규
남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상, 이규화, 곽동창, 김철규, 남병현 filed Critical 박천상
Priority to KR102020001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2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653A/ko
Priority to KR1020210152682A priority patent/KR2021015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연추출물(natural essential oil)을 악취가스 제거의 흡수제(absorbent)로 사용하여 흡수(ab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고, 미세 다공성 흡착제를 악취가스 제거의 흡착제(adsorbent)로 사용하여 흡착(ad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액션 챔버(100), 약액분사시스템(200), 송풍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는 본체부(110), 분진여과부(120), 약액분사부(130), 충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액션 챔버(100)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상 오염 물질이 리액션 챔버에 유입되는 과정(1과정),
기체상 오염 물질이 분진여과부에서 여과하는 과정(2과정),
상기의 여과 과정을 거친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분사부에서 분사된 흡수액과 반응하고 흡수되는 과정(3과정),
기체상 오염물질이 충진부에서 흡착되는 과정(4과정),
을 포함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4과정은 3과정에서 약액분사를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4과정에서 충진부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과정(4-1과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약액분사부 또는/및 충진부에 기체상 오염 물질을 균등하게 유입되게 하는 과정(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an odor removing equipment using both natural essences oils and porous medias and the odor removing method}
본 발명은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연추출물(natural essential oil)을 악취가스 제거의 흡수제(absorbent)로 사용하여 흡수(ab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고, 미세 다공성 흡착제를 악취가스 제거의 흡착제(adsorbent)로 사용하여 흡착(ad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하게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이 근접하게 되고 제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방지시설을 운영하여 제거하고 있으나 주거지역 및 인근공장에서 악취에 대한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여 생산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악취방지 및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 흡수, 흡착, 연소, 여과 등의 방법으로 방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기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른 적용방법과 효율성, 경제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처리장 등의 악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로는 고농도의 암모니아, 황화합물, 지방산류, 아민류, 탄화수소,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등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제거기술은 크게 흡착법, 흡수법, 소각법, 약액 세정법, 활성슬러지법, 바이오 필터 등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여러 처리기술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흡착법, 소각법과 같은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한 악취 가스 제거기술은 제거효율이 높으나, 시설비와 재료비 및 조업비가 많이 소요되고, 낮은 농도의 악취가스를 배출허용기준까지 저감시키는데 비경제적이며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생물학적 처리 방법 중 바이오필터 방식은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자연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한다는 점과 악취성분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전화되어 제거됨으로 2차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점에서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악취가스 제거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활성슬러지법은 전체 방법의 압력손실이 높고, 장치의 단위면적당 처리가능한 폐가스의 양이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바이오필터는 악취가스가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담체로 채워진 충전탑에 악취가스를 유입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충전탑 속의 미생물은 악취가스의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와 소량의 영양분에 의해 성장이 유지된다. 즉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하여 악취성분이 분해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악취물질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특성이 모두 달라 물리적인 탈취기술인 흡착법, 스크러버 등, 화학적 탈취기술인 약액세정, 생물학적인 탈취기술인 바이오필터 등 어느 하나의 탈취기술로는 악취물질을 모두 제거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악취 처리방법으로“물리적 탈취방법”(수세법, 흡착법,
냉각법),“생물학적처리방법”(토양탈취법, 바이오탈취법),“화학적탈취방법”(산화법, 약액세정법,연소법)이 있어 각 악취성분에 따라 각각의 적절한 탈취방식을 선정하여 설치하였으나, 여러 가지 복합악취탈취에는 처리가 잘되지 않아서 별도로 탈취설비를 설치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경비의 과다로 인한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13623282호(복합 악취 처리 탈취장치, 이하 선행기술)은 "포집한 악취가스가 바이오필터를 통과하기 전에 각 공정에서 흡입된 각종 이물질과 고농도의 산성 및 알칼리성 악취를 중화함으로써, 바이오필터 탈취장치에 생육하는 미생물이 최적의 환경에서 생육할 수 있도록 하고, 순환수 저장탱크 하부에 폭기장치를 구비하여 유용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 성장을 촉진함으로 탈취효율을 높이고, 바이오필터를 통과한 미처리 악취를 후단에서 화학적 탈취방식을 거쳐 복합악취를 완벽하게 처리하고, 또한 심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천연방향제를 토출구에 분사하여 주변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악취를 처리하는 탈취장치"를 제공한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악취방지 및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 흡수, 흡착, 연소, 여과 등의 방법으로 악취 또는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기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른 적용방법과 효율성, 경제성에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에는 입자상물질과 기체상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입자상물질의 경우 수분량, 입경, 밀도, 유분포함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방법을 적용하며, 기체상 오염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은 연소, 흡수, 흡착의 방법을 개별 적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여 적용한다.
즉, 일반적인 기체상 오염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들의 처리에는 연소, 흡착, 흡수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연소의 경우 전, 후단에 전처리 및 후처리 시설이 필요 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소요되어 특별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흡착, 흡수의 방법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다.
상기한 흡착 방법의 경우에는 다공성물질(흡착제)의 기공에 오염물질을 흡착시키며, 다공성물질의 흡착능 이상(이하 “파과”)이 되면 흡착제를 교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흡착제의 파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입농도, 전처리(분진, 수분, 유분 등의 포함)여부, 편류 등이 있으며, 파과 시점이 지나도 흡착제를 교체하지 않고 운전 할 경우 처리 전 농도 보다 처리 후 농도가 높게 나와 환경기준치를 초과 할 수도 있으므로 파과시점(흡착제 교체 시점)을 놓치지 말아야 하며, 편류가 발생 할 경우 일부의 흡착제만 사용되어 효율과 경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수의 경우 순수한 물만 사용 하거나 물에 목적에 맞는 약액을 첨가하여 수막이나 미스트를 형성시켜 액상과 기상의 접촉을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과도한 물을 분사하거나, 약액을 과량 투입하고, 체류시간과 접촉시간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충진제를 도입하고 설비가 과도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체상 오염 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 중 특히 악취 유발 물질 처리를 위해 적용되는 흡착법과 흡수법이 접촉시간, 체류시간, 편류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접촉시간, 체류시간, 편류 등의 인자들을 극복 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악취제거장치 및 악취제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액션 챔버(100), 약액분사시스템(200), 송풍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는 본체부(110), 분진여과부(120), 약액분사부(130), 충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액션 챔버(100)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상 오염 물질이 리액션 챔버에 유입되는 과정(1과정),
기체상 오염 물질이 분진여과부에서 여과하는 과정(2과정),
상기의 여과 과정을 거친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분사부에서 분사된 흡수액과 반응하고 흡수되는 과정(3과정),
기체상 오염물질이 충진부에서 흡착되는 과정(4과정),
을 포함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4과정은 3과정에서 약액분사를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4과정에서 충진부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과정(4-1과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약액분사부 또는/및 충진부에 기체상 오염 물질을 균등하게 유입되게 하는 과정(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기체상 오염 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 중 특히 악취 유발 물질 처리를 위해 적용되는 흡착법과 흡수법이 접촉시간, 체류시간, 편류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 및 악취제거방법은 이러한 접촉시간, 체류시간, 편류 등의 인자들을 극복 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악취를 제거 효율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종래의 기술 및 선행기술은 기체상 오염물질을 설치된 방지시설내로 유입하여 처리 할 경우 접촉확률과 체류시간을 높이기 위해 과도한 물과 약액을 분사하여야 하며, 또한 유속을 극복하기 위해 유입되는 DUCT 용량의 5~10배 정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방지시설이 운전되는 동안 계속해서 물 또는 약액을 과량분사 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보이고 있는 실정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 및 악취제거방법은 약액분사부에서 물, 흡수액 또는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을 기체상 오염 물질에 4~20분 정도 간헐적 분사를 하고 충진부를 통과하게 되면 기체상 오염물질의 악취의 농도가 2~3시간 이상 낮아지는 기능과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바, DUCT 용량을 현저히 줄여 시설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나고 방지시설이 운전되는 동안 계속해서 물 또는 약액을 과량분사 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 및 악취제거방법은 약액분사부에서 사용하는 흡수액으로 식물, 허브(herb), 약초 등과 같은 천연의 식물들로 추출한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기체상 오염 물질 중 특히 악취 유발 물질과 반응되어 제거효율이 현저히 높고 더불어 액상으로서 악취 유발 물질을 흡수하여 악취 제거 효율을 더욱더 높이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이러한 약액이 충진부의 다공성 물질에 도포되는 기능으로 기체상 오염 물질이 다공성 물질 사이의 공극에 흡착되는 효능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다공성 물질 흡착제가 파과가 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공성물질 사이의 공극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이 수행되어 계속하여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는 기능과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구조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가스에 가압을 하는 유입가스 가압형 횡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구조도.
도 1c는 본 발명에 횡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리액션 챔버의 일 실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구조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가스에 가압을 하는 유입가스 가압형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구조도.
도 3은 악취제거장치의 충진부의 다공성 물질 파과 실험결과를 보여 주는 자료.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에센스 오일)을 5분간 분사하고 악취제거장치를 가동하여 악취농도를 테스트한 결과.
도 4는 및 도 4b는 전문기관에 본 발명에 따른 약액(에센스 오일)을 5분간 분사하고 60분에 시료채취 후 복합악취 측정결과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리액션 챔버(reaction chamber)(100), 약액분사시스템(200), 송풍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의 구성 및 특징에 있다.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악취방지 및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 흡수, 흡착, 연소, 여과 등의 방법으로 악취 또는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기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른 적용방법과 효율성,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에는 입자상물질과 기체상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입자상물질의 경우 수분량, 입경, 밀도, 유분포함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방법을 적용하며, 기체상 오염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은 연소, 흡수, 흡착의 방법을 개별 적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체상 오염물질의 처리에 효율성과 경제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처럼, 일반적인 기체상 오염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들의 처리에는 연소, 흡착, 흡수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연소의 경우 전. 후 단의 전. 후 처리시설이 필요 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커 특별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흡착, 흡수의 방법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다.
흡착의 경우에는 다공성물질(흡착제)의 기공에 오염물질을 흡착시키며, 다공성물질의 흡착능 이상(이하 “파과”)이 되면 흡착제를 교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흡착제의 파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유입농도, 전처리(분진, 수분, 유분 등의 포함)여부, 편류 등이 있으며, 파과 시점이 지나도 흡착제를 교체하지 않고 운전 할 경우 처리 전 농도 보다 처리 후 농도가 높게 나와 환경기준치를 초과 할 수도 있으므로 파과시점(흡착제 교체 시점)을 놓치지 말아야 하며, 편류가 발생 할 경우 일부의 흡착제만 사용되어 효율과 경제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다공성 물질 흡착제가 파과가 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다공성물질 사이의 공극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이 수행되어 계속하여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흡수 방법은 순수한 물만 사용 하거나 물에 목적에 맞는 약액을 첨가하여 수막이나 미스트를 형성시켜 액상과 기상의 접촉을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과도한 물을 분사하거나, 약액을 과량 투입하고, 체류시간과 접촉시간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충진제를 도입하고 설비가 과도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기체상 오염 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 처리를 위해 적용되는 종래의 흡착법과 흡수법은 접촉시간, 체류시간, 편류 등과 같은 인자가 오염 물질 처리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이 인자들의 영향을 배제하고 극복 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과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리액션 챔버(100)는 기체상 오염 물질(VOC’S, 악취, THC, 특정유해물질 등)이 유입되어 악취 오염 물질이 제거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리액션 챔버(100)는 본체부(110), 분진여과부(120), 약액분사부(130), 충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에 기체상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상기한 기체상 오염 물질은 통상의 대기오염 물질을 포함한 배기가스, 악취 오염 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리액션 챔버(100)의 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악취 오염 물질 등의 기체상 오염 물질이 제거되는 기능이 수행되게 하는 장치 또는 반응조를 의미한다.
본체부(110)는 상단부에 가스유입부(111), 하단부에 가스유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가스유입부(111)는 기체상 오염 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장치 또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가스유출부(112)는 유입된 기체상 오염 물질이 처리되어 배출되는 가스가 나오는 기능이 수행되는 장치 또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분진여과부(120)는 기체상 오염 물질 속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분진여과부(120)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의 분진을 여과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분진여과부(120)는 통상의 필터가 장착되어 있어서 기체상 오염 물질 속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과 같은 분진을 여과하게 된다.
분진여과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가스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상 오염 물질 속에 포함된 분진을 먼저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약액분사부(130)의 기능과 작용에 있다.
국내의 종래기술로서의 대기오염방지시설은 대부분 국소배기장치와 DUCT로 연결되어 운전 중에 있다.
이 경우 DUCT 내의 기체유속은 약10~30m/sec정도로 설계되는데, 오염물질 처리를 위해 DUCT내에 약액을 직접 분사하는 처리법을 적용할 경우 유속의 영향으로 오염물질과 약액이 제대로 접촉 할 수 없으며, 설사 접촉 한다고 해도 접촉확률이 현저히 저하되어 약액을 과다하게 투입되어 사용하므로 약액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고, 방지시설이 운전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약액을 투입해야 하므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대단히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악취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상 오염물질을 현재 설치된 방지시설내로 유입하여 처리 할 경우 접촉확률과 체류시간을 높이기 위해 과도한 물과 약액을 분사하여야 하고 기체상 오염 물질의 유속을 극복하여야 하는바 악취 오염 물질 처리르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DUCT(악취제거 장치를 의미, 스크러버 등)의 크기가 현재의 DUCT 용량의 5~10배 정도가 되도록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방지시설이 운전되는 동안 계속해서 물 또는 약액을 과량분사 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액분사부(130)에서 물, 흡수액 또는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을 기체상 오염 물질에 약 4~20분 정도를 분사(간헐적 분사)를 하고 충진부를 통과하게 되면 기체상 오염물질의 악취의 농도가 2~3시간 이상 낮아지는 기능과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약액분사부(130)는 물, 흡수액 또는 약액이 기체상 오염 물질에 포함된 악취 가스 또는 대기 오염 물질과 반응하고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 또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약액분사부(130)에서 분사하는 흡수제로 식물, 허브(herb), 약초 등과 같은 천연의 식물들로 추출한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을 사용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은 상기한 식물 , 허브(herb), 약초 등과 같은 천연의 식물에서 추출한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물과 혼합하여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약액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약액을 추출하기 위한 원료인 식물 , 허브(herb), 약초 등을 혼합한 것에 대하여 수증기증류법, 용매추출법, 압착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약액을 추출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 용매추출법의 경우 약액을 추출하기 위한 원료인 식물 , 허브(herb), 약초 등을 혼합한 것을 알코올, 벤젠, 에테르, 헥산 등과 같은 휘발성용매 또는 비휘발성 용매를 사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약액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추출법은 약액의 수확량이 많아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천연의 식물은 라임과 같은 과일 재료, 솔잎 등과 같은 향기 나는 나무잎 또는 향기가 나는 식물인 다양한 종류의 허브(herb)를 의미한다.
상기한 허브(herb)는 정향, 라벤더, 페퍼민트, 레몬밤, 바질, 캐모마일, 재스민, 로즈마리, 보리지, 시계초, 클라리세이지, 아니카, 스파티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약액은 하기할 바와 같이, 악취를 유발하는 이산화황,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과 반응 및 흡수하여 냄새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일반 대기 오염 물질(SOx, NOx 등)과도 및 흡수하여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약액은 [CH2CCHO]+ 기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약액의 농도는 [CH2CCHO]+ 가 0.00001~3.0 mol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액을 추출하기 위한 원료의 일 실시예는 라임, 솔잎, 회향 씨(aniseed), 정향(clove), 시더우드(cederwood)를 혼합한 것을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임 100중량부에 솔잎 50~200중량부, 회향 씨(aniseed) 50~200중량부, 정향(clove) 50~200중량부, 시더우드(cederwood) 50~20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약액분사부(130)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과 반응하고 흡수되는 과정이 수행된다.(3과정)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약액분사부(130)는 분진여과부(120)의 다음에 구성되어 있으며 약액이 분사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약액분사부(130)에 약액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약액분사시스템(200)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액분사시스템(200)은 약액저장탱크부(210), 약액공급펌프부(220), 분사노즐부(230), 분사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액저장탱크부(210)는 약액을 저장해 놓는 탱크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약액저장탱크부(210)에는 약액(에센스 오일, essence oil)이 저장되어 구성되 있다.
본 발명의 약액공급펌프부(220)는 약액저장탱크부(210)에서 제공하는 약액에게 압력을 가하여 분사노즐부(230)에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약액공급펌프부(220)는 통상의 분사 펌프, 액체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부(230)는 약액분사부(130)에 장착되어 있으며 약액분사부(130)에 약액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분사노즐부(230)는 통상의 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액분사부(130)의 공간의 중간부근에서 장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한 분사제어부(240)는 약액분사시스템(200)의 약액을 분사하는 시간과 양을 조절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사제어부(240)는 상기한 약액공급펌프부(220)와 분사노즐부(230)를 제어하여 약액분사부(130)에서 약액의 분사하는 시간과 양을 조절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분사제어부(240)는 통상의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MCU, CPU, 전자회로장치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있고, 메모리, 정보입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구비되고,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약액분사부(130) 다음에 충진부(140)를 구비하여 약액분사부에서 제공한 약액이 기체상 오염 물질과 반응하여 악취 물질과 반응을 일으킨 것을 충진부(140)에서 제거하고 더불어 나머지 잔여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현저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점에 있다.
기체상오염물질 중 대표적인 악취유발 물질들이 본 발명의 약액( [CH2CCHO]+ 기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짐, essence oil)과 반응하는 메카니즘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14775819-pat00001
Figure 112020014775819-pat00002
Figure 112020014775819-pat00003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악취유발 물질들이 약액(essence oil)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기작을 볼 수 있으나 이 반응들이 즉시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접촉 후 요구되는 반응시간이 수초에서 수십 분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반응설비를 요구되는 반응시간에 맞춰 제작하거나 DUCT(악취제거장치)나 STACK(굴뚝)을 무한정 크게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진부(140)에 기체상 오염 물질과 약액에 요구되는 반응시간과 접촉시간, 체류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성물질을 충진시키고, 다공성물질의 기공과 충진된 다공성물질들의 사이 공간에 약액과 반응하는 기체상 오염 물질을 통과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한다.
또한 다공성물질이 충진된 충진부(140)의 전단에서 물이나 약액을 분사하여 기체가 물이나 약액을 다공성물질 충진부로 이송하게 하여 다공성물질 기공과 다공성물질 사이 공간에서 액상과 기상의 충분한 접촉과 반응시간을 확보케 하고, 다공성물질의 충진부(140)에 잉여로 남아있는 물이나 약액을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운전 중에 일정 시간 물이나 약액을 분사하고 일정기간 휴지기를 지나 오염물질의 관리기준농도에 다다르면 이때 다시 일정시간 분사하고 휴지기를 하는 것을 반복하여 효율적으로 기체상 오염 물질 특히 악취 유발을 제거하는 효과와 약액을 계속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제성이 현저히 확보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분사제어부(240)에는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악취 농도 측정장치(도면 미도시)가 부가되어 있어, 이러한 악취 농도 측정장치에서 상기한 휴지기(약액 분사 휴지기)에서 오염물질의 관리기준농도에 다다르면 다시 약액을 분사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진부(140)는 기체상 오염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충진부(140)는 카본,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 다공성 세라믹 등과 같은 다공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충진부(140)에서 기체상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과정이 수행된다.(4과정)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천연 추출물인 약액(essence oil)을 악취가스 제거의 흡수제(absorbent)로 사용하고, 흡수(ab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다는 점과, 이차적으로 다공성 물질을 악취가스 제거의 흡착제(adsorbent)로 사용하여 흡착(ad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를 이중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갖게 되어 기체상 오염 물질의 악취 제거에 현저히 높은 효율을 보이는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은 약액분사시스템(200)의 분사제어부(240)에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약액분사를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으로 수행하고 충진부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1과정)
본 발명은 상기한 3과정의 약액분사부(130)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약액과 반응하고 흡수시키는 과정 및 상기한 4과정의 충진부(140)에서 기체상 오염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칙시키는 과정을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은 상기한 약액분사부(130)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유입하고 약액을 일정시간 분사하여 반응 및 흡수시키고 충진부(140)에서 흡착을 하게 한 후, 약액을 분사시키지 않으면서(이를 "약액 분사 휴지기"라고 함) 기체상 오염 물질을 충진부(140)의 흡착과정만을 일정시간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으로 악취 오염물질을 현저히 제거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점이다.
상기한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은 약액분사시스템(200)의 분사제어부(24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은 먼저 기체상 오염 물질을 리액션 챔버(100)에 유입시키면서 분진여과부를 통과시키고 약액분사부(130)에서 분사노즐부(230)를 통하여 기체상 오염 물질이 5~15m3/min으로 유입되는 것을 기준으로 흡수액 바람직하게는 약액(essence oil)을 100~1000㎖/min으로 분사를 3~10분간 수행하면서 기체상 오염 물질과 약액을 반응 및 흡수시킨후 충진부(150)에서 흡착시켜 기체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간헐적 약액 분사에서 약액의 농도는 [CH2CCHO]+ 0.000001~3.0mol로 포함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01~0.01mol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한 약액의 분사량(q)은 다음과 같은 (식 1)식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q=(1~10)×10-5 ×Q ------(식 1)
여기서,
q : 약액의 분사량(m3/min)
Q : 리액션 챔버에 유입되는 기체상 오염 물질 유입량(m3/min)
그리고, 약액분사부(130)에서 약액 분사를 중지한 후 1~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시간 정도의 약액 분사 휴지기를 가지면서 분진여과부를 통과시킨 기체상 오염 물질를 충진부(150)에서 흡착시키는 과정만 수행하게 한다.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은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다시 상기한 약액 분사 휴지기를 끝내고 기체상 오염 물질을 리액션 챔버(100)에 유입시키면서 분진여과부를 통과시키고 약액분사부(130)에서 분사노즐부(230)를 통하여 흡수액 또는 약액(essence oil)의 분사를 3~10분간 수행하면서 기체상 오염 물질과 약액을 반응 및 흡수시킨후 충진부(150)에서 흡착시켜 기체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약액분사부(130)에서 흡수액 또는 약액 분사를 중지한 후 2~3시간 동안 약액 분사 휴지기를 가지면서 분진여과부를 통과시킨 기체상 오염 물질를 충진부(150)에서 흡착시키는 과정만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간헐적 약액분사 방법을 통하여 높은 악취 제거 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고비용의 약액을 소량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악취 제거 효율이 나타나게 되어 약액의 운용 비용을 현저히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충진부(150)에 기체상 오염 물질이 균등하게 유입되도록 즉 편류(偏流)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진부 앞 또는/및 뒤에 디퓨저(diffuser, 150)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3과정의 약액분사부(130)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약액과 반응하고 흡수시키는 과정 또는/및 상기한 4과정의 충진부(140)에서 기체상 오염물질이 포함된 악취 가스의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디퓨저(diffuser, 150)를 부가하여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분사부(130) 또는/및 충진부(140)에 균등하게 유입하게 하는 과정이 수행되게 한다.(4-2과정)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디퓨저는 액체의 유속을 원활하게 줄이고 정압(靜壓)을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확대관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퓨저로 기체상 오염 물질이 충진부로 유입되는데 충진부에 균등하게 유입되게 하고 채널링(channeling)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디퓨저(150)는 충진부(140)의 앞에 장치되는 디퓨저(150) 또는/및 충진부(140)의 뒤에 장치되는 디퓨저(151)로 장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에 유입되는 기체상 오염 물질의 유입 및 처리되는 가스의 배출에 드라이브(drive, 흡입 또는 배출을 도와주는 힘)를 제공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부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장치를 부가하여 리액션 챔버(100)에 유입되는 기체상 오염 물질의 유입 및 처리되는 가스의 배출에 드라이브(drive)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3과정)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송풍장치(300)는 팬과 모터부를 구비한 통상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송풍장치는 리액션 챔버(100)의 가스유출부(112)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된 가스의 배출을 도와주게 된다.
또한 상기한 송풍장치는 리액션 챔버(100)의 가스유입부(111)의 전단에 설치하여 리액션 챔버(100)에 유입되는 기체상 오염 물질의 유입을 도와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를 횡형(橫形)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를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라고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는 처리전 가스(처리전 기체상 오염 물질)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처리되며 하부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송풍장치가 가스유출부(112)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된 가스의 배출을 도와주게 되는 배출가스 가압형 횡형(橫形)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보여준다.
도 1b는 송풍장치가 리액션 챔버(100)의 가스유입부(111)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어 유입가스에 가압을 하는 유입가스 가압형 횡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송풍장치가 가스유출부(112)의 후단에 설치하여 처리된 가스의 배출을 도와주게 되는 배출가스 가압형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보여준다.
도 2b는 송풍장치가 리액션 챔버(100)의 가스유입부(111)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어 유입가스에 가압을 하는 유입가스 가압형 수직형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PILOT TEST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PILOT TEST>
1.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의 PILOT PLANT(횡형)
(1) 리액션 챔버의 사양(도 1c, 일반 악체제거장치의 1/20 정도)
- 가스유입부 직경(I) : 150mm
- 직경(D) : 300mm
- 총길이(L) : 1000mm
- 약액분사부 길이(S) : 500mm
- 충진부길이(카본 충진)(A) : 300mm
(2) 약액의 분사량 : 500㎖/min 노즐사용
- 약액의 제조
라임 100g, 솔잎 100g, 회향 씨(aniseed) 100g, 정향(clove) 100g, 시더우드(cederwood) 100g 혼합한 것을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을 물(증류수)에 혼합하여 희석하여 사용함.
- 약액의 농도는 [CH2CCHO]+ 가 0.0005~0.1mol로 구성될 수 있으며 0.0001mol을 주로 사용함.
(3) 기체상 오염 물질 유입량(배출가스) : 10~15 m3/min
- 악취 민원이 심한 제조업체의 배출가스에 적용
(4) 실험방법
실질적으로 기체상 오염 물질의 악취 물질과 약액에 의한 반응 흡수 및 다공성 물질에의 흡착에 협력에 의한 악취 물질 제거 효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TEST 전 다공성물질의 흡착능으로 오인 될 것을 우려하여 사전에 다공성 물질에 기체상 오염 물질을 유입시킨 후 파과(break through)시켜서 실험을 함.
(5) 악취농도 테스트 방법
1) 관능테스트
악취농도(강도)를 5단계로 정함.
-악취농도(강도) 판정단 : 10명 참여
- 취기 농도에 이견이 있을 경우 다수결로 판단.
2) 공인측정기관 의뢰
(6) 악취제거장치의 가동방법
1) 제조업체의 배출가스를 악취제거장치의 리액션 챔버(100)에 10~15 m3/min로 유입시킨다.
2) 약액분사부(130)에서 약액(에센스오일)을 500㎖/min * 5min = 2,500㎖를 분사 한 후 약액 분사를 멈춘다.
3) 2시간 동안 약액 분사 휴지기를 가지면서 분진여과부를 통과시킨 기체상 오염 물질를 충진부(150)에서 흡착시키는 과정만 수행하게 한다.
4) 5분 간격으로 2시간 정도 악취강도를 TEST한다.
2. 실험결과
(1) 악취농도 테스트 방법 중 관능테스트의 결과
1) 도 3은 악취제거장치의 충진부의 다공성 물질 파과 실험결과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약액 분사 없이 약 15시간 동안 운전하여 약액 처리 전 후의 악취 농도를 같게 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다공성 물질은 약 12시간 후에는 악취 물질이 더 이상 흡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 것이다.
2) 도 3b는 약액(에센스 오일)을 5분간 분사하고 악취제거장치를 가동하여 악취농도를 테스트한 결과이다.
약액을 5분간 분사하고 약액 분사 휴지기를 가지면서 충진부에만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시키는 경우에도 120분까지는 악취강도가 2정도로 낮게 나왔고, 120분이후 170분까지는 악취강도 3정도로 나왔는바 현저한 악취제거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악취농도 테스트 방법 중 공인측정기관 의뢰
1) 도 4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5분 분사 후 60분에서 시료채취 후 복합악취 측정결과 약74% 제거율을 보였으며, 약 2시간 정도 비슷한 농도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3) 경제성 및 효율성 결과
상기한 결과는 악취제거장치를 가동하는 동안 약액을 약 57,500ml(=500ml/min × 115min)를 절약하는 효과를 보여 경제성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있음은 물론, 더불어 악취 제거 효과도 현저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4) 본 발명의 악취제거 메카니즘의 특수성
1) 이러한 결과는 파과된 다공성 물질에 기체상 오염 물질이 흡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과 반응 및 흡수가 된 것이 다공성 물질 사이의 공극에 흡착되는 원리로 기체상 오염 물질이 현저히 제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약액(natural essential oil)을 악취가스 제거의 흡수제(absorbent)로 사용한다는 점, 따라서 흡수(ab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다는 점과 미세 다공성 흡착제를 악취가스 제거의 흡착제(adsorbent)로 사용하여 흡착(adsorption)에 의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다는 점이 있어,
위 두 가지 재료를 동시에 사용함에 흡수(absorption)와 흡착(adsorption)을 동시에 실현하는 수착(sorption) 기능을 갖게 하여 물리화학적으로 흡착제거효율을 현격히 높인다는 점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VOC’S, 악취(이산화황,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 THC, 특정유해물질 등의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체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기체상 오염 물질 중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장치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리액션 챔버(100),
본체부(110), 가스유입부(111), 가스유출부(112),
분진여과부(120), 약액분사부(130), 충진부(140),
약액분사시스템(200),
약액저장탱크부(210), 약액공급펌프부(220), 분사노즐부(230), 분사제어부(240),
송풍장치(300).

Claims (5)

  1. 리액션 챔버(100), 약액분사시스템(200), 송풍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한 리액션 챔버(100)는 본체부(110), 분진여과부(120), 약액분사부(130), 충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약액분사부(130)는 분사하는 흡수제로 식물, 허브(herb) 또는 약초에서 추출한 약액을 사용하되,
    상기한 약액은 [CH2CCHO]+ 기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충진부(140)는 카본,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 또는 다공성 세라믹의 다공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약액분사시스템(200)은 약액저장탱크부(210), 약액공급펌프부(220), 분사노즐부(230), 분사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리액션 챔버(100)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4. 기체상 오염 물질이 리액션 챔버에 유입되는 과정(1과정),
    기체상 오염 물질이 분진여과부에서 여과하는 과정(2과정),
    상기의 여과 과정을 거친 기체상 오염 물질이 약액분사부에서 분사된 흡수액과 반응하고 흡수되는 과정(3과정)을 수행하되,
    상기한 약액분사부는 분사하는 흡수제로 식물, 허브(herb) 또는 약초에서 추출한 약액을 사용하되,
    상기한 약액은 [CH2CCHO]+ 기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기체상 오염물질이 충진부에서 흡착되는 과정(4과정)을 수행하되,
    상기한 충진부는 카본,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 또는 다공성 세라믹의 다공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4과정은 3과정에서 약액분사를 간헐적 약액 분사 방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4과정에서 충진부에서 기체상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과정(4-1과정)으로 수행하고,
    상기한 약액분사부 또는/및 충진부에 기체상 오염 물질을 균등하게 유입되게 하는 과정(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KR1020200016921A 2020-02-12 2020-02-12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233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21A KR102332223B1 (ko) 2020-02-12 2020-02-12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20210152682A KR20210155791A (ko) 2020-02-12 2021-11-09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921A KR102332223B1 (ko) 2020-02-12 2020-02-12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682A Division KR20210155791A (ko) 2020-02-12 2021-11-09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653A KR20210102653A (ko) 2021-08-20
KR102332223B1 true KR102332223B1 (ko) 2021-11-26

Family

ID=774667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921A KR102332223B1 (ko) 2020-02-12 2020-02-12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20210152682A KR20210155791A (ko) 2020-02-12 2021-11-09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682A KR20210155791A (ko) 2020-02-12 2021-11-09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22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05Y1 (ko) 2000-06-12 2000-11-15 이동일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KR100481202B1 (ko) 2003-12-11 2005-04-07 허관 대기오염(악취) 물질 제거용 목(죽)초액 탈취제의 생산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703900B1 (ko) 2016-02-03 2017-02-08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장치
KR101850956B1 (ko) * 2017-09-06 2018-04-20 박홍규 탈취장치
KR101872411B1 (ko) 2017-12-05 2018-06-29 (주)에스에스에코텍 탈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970A (ko) * 2001-06-02 2001-11-08 이동일 습식 세정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KR100540217B1 (ko) * 2003-02-10 2006-01-10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0941828B1 (ko) * 2008-04-29 2010-02-11 이태권 식물성 추출액을 이용한 차량용 공기정화 에어컨
KR101383917B1 (ko) * 2012-02-01 2014-04-08 박종섭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05Y1 (ko) 2000-06-12 2000-11-15 이동일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KR100481202B1 (ko) 2003-12-11 2005-04-07 허관 대기오염(악취) 물질 제거용 목(죽)초액 탈취제의 생산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703900B1 (ko) 2016-02-03 2017-02-08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장치
KR101850956B1 (ko) * 2017-09-06 2018-04-20 박홍규 탈취장치
KR101872411B1 (ko) 2017-12-05 2018-06-29 (주)에스에스에코텍 탈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653A (ko) 2021-08-20
KR20210155791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316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모듈형 악취제거장치
KR100938497B1 (ko) 유해성 악취 및 가스를 처리하는 탈취장치
KR101033291B1 (ko) 살균기능을 겸하는 악취제거 탈취탑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243849B1 (ko) 고농도 악취가스 탈취방법과 탈취장치
CN101259367A (zh) 一种同时去除多种混合气体恶臭的工艺及装置
CN103341318A (zh) 恶臭污染物废气的处理设备及处理方法
KR100930987B1 (ko) 오존발생부가 내장된 고효율 탈취 조합 스크러버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형 악취처리장치
KR100967343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0581675B1 (ko)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KR20080057808A (ko) 생화학 악취가스처리부를 갖는 악취가스처리장치
KR20140068537A (ko)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
CN203540330U (zh) 恶臭污染物废气的处理设备
KR100481202B1 (ko) 대기오염(악취) 물질 제거용 목(죽)초액 탈취제의 생산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CN201564831U (zh) 生化-物化组合式除臭装置
KR200205816Y1 (ko) 유기성 악취물질 제거장치
KR102332223B1 (ko)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CN206463758U (zh) 一种移动式组合功能除臭装置
KR20140102932A (ko)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CN208260511U (zh) 再生橡胶废气净化装置
CN110694467A (zh) 用于处理生物制药菌渣产生废气的净化设备
KR100320742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CN110394042A (zh) 再生橡胶废气净化装置及方法
CN208574472U (zh) 一种高效污水除臭装置
Gandu et al. Air pollution control by using different types of techniques and sorbents
Lebrero et al. Air biofiltration applied to odo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