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05Y1 -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05Y1
KR200203605Y1 KR2020000016637U KR20000016637U KR200203605Y1 KR 200203605 Y1 KR200203605 Y1 KR 200203605Y1 KR 2020000016637 U KR2020000016637 U KR 2020000016637U KR 20000016637 U KR20000016637 U KR 20000016637U KR 200203605 Y1 KR200203605 Y1 KR 200203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ist
activated carbon
odor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이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일 filed Critical 이동일
Priority to KR2020000016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의 분리, 흡수 및 흡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물질의 제거효과를 극대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유기성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구조물인 악취 제거탑; 악취 제거탑의 내부로 악취물질을 유입되게 하는 한편, 악취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무해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송풍기; 악취 제거탑의 악취물질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충돌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촉된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형성된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 악취 제거탑 내부의 적소에 설치되어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세정액을 분사하는 수단; 악취 제거탑 내부의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가 제거된 잔량의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소섬유를 주재로 한 활성탄소섬유 필터 및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과 활성탄소섬유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세정액 분사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세정액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HARMFUL MATERIAL EXCLUSION APPARATUS USING RAMELLA SEPARATOR ACTIVATED CARBON FIBER AND WET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을 분리·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며, 이러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기는 물론 수질 또한 그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주유소, 도장공업, 인쇄공업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라 함)을 포함한 이산화황,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 악취물질 등은 심각한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으며, 아울러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국은 대기오염 방지에 따른 제도적·정책적 규제를 대폭 강화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로 접어들면서 환경에 관한 통체적인 보전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산업과 국제환경협약이 체결되기 시작하였으며, 세계적으로 100여개국에 이르는 국가가 이에 가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난 30여년 동안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8.5%에 달하고 있으나, 제한된 전략 부분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불균형 성장을 이루어 왔다.
환경오염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오존층의 파괴,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탄산가스 및 메탄 발생량의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및 사막화 등 지난 20여년 동안 생명종의 15%가 멸종 또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이처럼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대책 중의 하나가 바로 환경산업이며, 국가적 차원에서 국제환경협약의 동향에 신속히 대처하고 경쟁우위의 확보를 위해 환경산업 뿐만 아니라 환경기술의 육성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환경산업체의 주를 이루고 있는 환경오염 방지 시설업은 대기, 수질 및 소음진동 방지시설업 등 3가지로 분류되고 있으며, 업체 등록뿐만 아니라 성장률이 각각 10%를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경산업의 투자규모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학, 제지 및 시멘트 등 에너지 소비적인 업종의 비중 및 설비투자의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어 기술개발, 공정개선 및 사후처리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60%정도 수준이나 오염물질의 발생저감, 저공해 공정 및 무공해제품 개발 등 청정기술 수준은 크게 뒤져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인지하지 못하였던 환경보전의 개념이 서서히 인식됨에 따라 오염된 환경의 정화에 대한 기술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로써 종래의 악취물질 제거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기술의 하나로써 주유소, 도장공업, 인쇄공업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라 함)을 포함한 이산화황,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 세정기를 통해 악취물질 흡수용액과 악취물질을 접촉시켜 흡수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악취물질 제거방법은 악취물질의 분리 및 흡착이 미흡하여 큰 제거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써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촉매제로 활성탄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활성탄은 암모니아 등 악취성분의 흡착율이 매우 낮아 처리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활성탄은 흡착제로서의 충진량이 많아 시설용량이 커져 시설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재생이 어렵고 압력손실이 커져 처리 운영비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다른 기술로써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소섬유를 주재로 한 활성탄소섬유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 등이 제거되지 않아 악취물질의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의 분리, 흡수 및 흡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물질의 제거효과를 극대화 한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취물질 제거시설을 소형화하여 시설비의 절감과 시설면적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손실이 작고, 흡착속도가 빠르며, 재생이 용이한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시설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운영비, 시설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비용 및 재생처리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악취물질 처리시설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지역주민들의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을 불식시켜 님비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유기성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구조물인 악취 제거탑; 악취 제거탑의 내부로 악취물질을 유입되게 하는 한편, 악취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무해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송풍기; 악취 제거탑의 악취물질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충돌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촉된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형성된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 악취 제거탑 내부의 적소에 설치되어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세정액을 분사하는 수단; 악취 제거탑 내부의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가 제거된 잔량의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소섬유를 주재로 한 활성탄소섬유 필터 및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과 활성탄소섬유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세정액 분사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세정액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세정액 분사수단은 세정액을 저수하는 저류조; 저류조에 저수된 세정액을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및 이송펌프에 의해 이송된 세정액을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의 하부로 흘러내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를 저류조로 회수하는 회수용 배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를 보인 종단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악취물질 제거장치 110. 악취 제거탑
120. 송풍기 130.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
140. 세정액 150. 저류조
152. 배관 154. 이송펌프
156. 분사노즐 160. 활성탄소섬유 필터
170. 데미스터 172. 회수용 배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활성탄 및 활성탄소섬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전반적인 이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활성탄(Activated Carbon; 활성탄소라고도 함)은 입자 하나에 무수한 미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 활성화 과정에서 미세공이 잘 형성되어 큰 내부 표면적을 갖게 되는 흡착제로 활성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말 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과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활성탄의 원료로는 톱밥, 야자껍질, 역청탄, 이탄, 갈탄 등 매우 다양하다.
한편,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는 여러 종류의 섬유를 탄화 활성화해서 섬유상 활성탄(활성탄소섬유)으로 제조하지만,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원료로 해서 제품화된 것이 최초이다. 그 후, 아크릴로니트릴(PAN)계 섬유나 페놀계 섬유를 원료로 제품화하는 것 이외에 pitch를 방사해 불융화한 원료로부터 제품화해서 각 섬유의 기능성을 살려 여러 종류의 용도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섬유상 활성탄의 제조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서 발염하거나 열융하므로 이것을 막기 위해 산화성 분위기 속에서 가열해 불융화 또는 내염화 처리를 한다. 이 처리는 활성화 후의 섬유의 형상, 물성의 유지외에 흡착성능의 발휘에도 영향을 미친다. 불융화, 내염화에 이어 불활성가스 중에서 가열해 탄소화하면 탄소섬유가 얻어진다. 불융화 섬유는 탄화한 후 활성화 처리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탄화와 활성화가 동시에 행해지는 일도 있다.
전술한 활성탄소섬유는 흡착용량이 비표면적이 매우 커서 입상활성탄에 비해 1.5배 이상인 평균 흡착량을 갖고 있다. 또한, 흡착속도가 입상활성탄에 비해 10∼100배 정도이고, 섬유상이므로 가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한편, 본 고안의 명치에서 기술되는 라멜라는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를 칭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를 보인 종단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100)는 소정 크기의 구조물인 악취 제거탑(110),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 등의 악취물질을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거나 무해한 상태의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송풍기(120),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를 분리하는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세정액(140)을 분사하는 수단,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가 분리된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소섬유 필터(160), 세정액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어 비산되는 세정액을 제거하는 데미스터(17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악취물질 제거장치(100)는 송풍기(120)를 통해 악취물질을 빠른 속도로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시켜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충돌시킴으로써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를 분리시킨 후,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통과시켜 악취물질을 흡착·제거하는 기술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악취물질 제거장치(100)는 악취 제거탑(110) 내에 세정액 분사수단,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 데미스터(170),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악취물질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서는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분리되도록 하고, 활성탄소섬유 필터(160)에서는 악취물질이 흡착되도록 하여 제거하는 구조의 기술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의 세정액 분사수단은 세정액(140)을 저수하는 저류조(150), 저류조(150)에 저수된 세정액(140)을 배관(152)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154) 및 이송펌프(154)에 의해 이송된 세정액(140)을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분사하는 분사노즐(156)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세정액 분사수단은 분사노즐(156)을 통해 세정액(140)을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분사하여 송풍기(120)에 의해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된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자중에 의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면 흘러내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를 저류조(150)로 회수하는 회수용 배관(172)이 더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악취물질 제거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악취 제거탑(110)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을 유입시켜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 악취 제거탑(110)은 악취물질의 발생용량에 알맞은 용량으로 설치된다.
송풍기(120)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탈취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송풍기(120)는 악취 제거탑(120)의 외측 적소 설치되며, 송풍기(120)에 의해 강제로 이송되는 악취물질은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 데미스터(170) 및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무해한 상태의 가스 상태로 송풍기(120)를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송풍기(120)는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악취물질 제거장치(100)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악취 제거탑(110) 내부로부터 공기를 외기로 배출시킴으로써 악취물질을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무해한 상태의 가스를 외기로 배출시키게 된다.
세정액(140)은 송풍기(120)에 의해 유입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을 통과하는 악취물질을 흡수하기 위한 용액으로, 이 세정액(140)은 세정액 분사수단의 분사노즐(156)을 통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분사되어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를 흡수하여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처럼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를 흡수하여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시킴으로써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는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의해 분리되고, 잔량의 악취물질은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세정액(140)은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분사노즐(156)에 의해 분사된 세정액(140)의 미립자는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부딪혀 더욱 작은 입자로 쪼개지며, 전체 표면적은 더욱 극대화된다.
그리고,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흡수된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은 비산되어 데미스터(170)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잔량의 악취물질만이 데미스터(170)를 통과하게 된다. 즉, 데미스터(170)는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흡수된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이 통과할시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세정액 분사수단은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세정액(140)에 흡수될 수 있도록 세정액(140)을 미립화시키는 것으로, 세정액 분사수단은 세정액(140)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그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의 흡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세정액 분사수단은 세정액(140)을 저수하는 저류조(150), 저류조(150)에 저수된 세정액(140)을 배관(152)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154) 및 이송펌프(154)에 의해 이송된 세정액(140)을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분사하는 분사노즐(156)로 이루어진다.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는 활성탄소섬유의 매우 작은 세공을 통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을 거치면서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제거된 잔량의 악취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것이다.
데미스터(170)는 비산되는 세정액(140)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 데미스터(170)는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흡수된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이 통과할시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회수용 배관(172)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의 하부로 흘러내린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를 저류조(150)로 회수하는 것으로, 이 회수용 배관(172)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된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자중에 의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면 흘러내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를 저류조(150)로 회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악취물질 제거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정액 분사수단의 분사노즐(156)을 통해 세정액(140)을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분사하는 상태에서 송풍기(120)의 구동에 의해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악취물질이 악취 제거탑(110)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악취물질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빠른 속도로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악취물질 중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는 분사되는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에 흡수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에 접촉된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는 자중에 의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흘러내린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는 회수용 배관(172)을 통해 저류조(150)로 회수된다.
그리고, 분사노즐(156)에 의해 분사되어 비산되는 미립자 상의 세정액(140)은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과 활성탄소섬유 필터(160) 사이에 설치된 데미스터(170)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을 거친 잔량의 악취물질은 데미스터(1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잔량의 악취물질이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악취물질은 활성탄소섬유의 미세공에 흡착되고, 결국 악취물질은 무해한 상태로 되어 송풍기(120)를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 제거탑(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과 세정액(140)에 의해 흡수·분리되고, 활성탄소섬유 필터(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무해한 상태의 가스가 되어 송풍기(120)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악취물질 제거과정은 연속적인 흡수, 분리 및 흡착 작용을 통해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취물질 제거장치(100)는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130)과 세정액 분사수단 및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악취물질의 흡수, 분리 및 흡착을 극대화하여 악취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활성탄소섬유를 주재로 한 활성탄소섬유 필터(160)를 사용함으로써 악취물질 제거시설을 소형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시설유지비용 및 시설운영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악취물질의 흡수, 분리 및 흡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물질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악취물질 제거시설을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한 시설비의 절감과 시설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압력손실이 작고, 흡착속도가 빠르며, 재생이 용이한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시설을 운영하기 위한 시설운영비, 시설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비용 및 재생처리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본 고안은 악취물질 처리시설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지역주민들의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을 불식시켜 님비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3)

  1.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포함된 유기성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악취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구조물인 악취 제거탑;
    상기 악취 제거탑의 내부로 악취물질을 유입되게 하는 한편, 악취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무해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송풍기;
    상기 악취 제거탑의 악취물질 유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충돌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접촉된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부로 절곡·형성된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
    상기 악취 제거탑 내부의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 전방에 설치되어 악취물질의 분진이나 점착성 미스트가 상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세정액을 분사하는 수단;
    상기 악취 제거탑 내부의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가 제거된 잔량의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소섬유를 주재로 한 활성탄소섬유 필터;
    상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과 활성탄소섬유 필터 사이에 설치되어 세정액 분사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세정액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사수단은 세정액을 저수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에 저수된 세정액을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및
    상기 이송펌프에 의해 이송된 세정액을 상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탈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 분리판의 하부로 흘러내린 분진 및 점착성 미스트를 상기 저류조로 회수하는 회수용 배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탈취장치.
KR2020000016637U 2000-06-12 2000-06-12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KR200203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37U KR200203605Y1 (ko) 2000-06-12 2000-06-12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37U KR200203605Y1 (ko) 2000-06-12 2000-06-12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05A Division KR20010112081A (ko) 2001-06-02 2001-06-02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05Y1 true KR200203605Y1 (ko) 2000-11-15

Family

ID=1966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637U KR200203605Y1 (ko) 2000-06-12 2000-06-12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8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습식 탈취 장치
KR20210102653A (ko) * 2020-02-12 2021-08-20 박천상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546U (ko) * 1974-09-07 1976-03-18
JPS5191376U (ko) * 1974-12-28 1976-07-21
JPS602222U (ja) * 1983-06-16 1985-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S6090526U (ja) * 1983-07-21 1985-06-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ドレン分離器
JPS62103417U (ko) * 1985-12-19 1987-07-01
JPH0377141A (ja) * 1989-08-18 1991-04-02 Fujitsu Ltd コンパイル処理装置
JPH04913U (ko) * 1990-04-17 1992-01-07
KR19990038335U (ko) * 1998-03-24 1999-10-25 이동일 활성탄소 섬유휠타및 바이오휠타를 이용한복합악취제거탑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546U (ko) * 1974-09-07 1976-03-18
JPS5191376U (ko) * 1974-12-28 1976-07-21
JPS602222U (ja) * 1983-06-16 1985-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S6090526U (ja) * 1983-07-21 1985-06-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ドレン分離器
JPS62103417U (ko) * 1985-12-19 1987-07-01
JPH0377141A (ja) * 1989-08-18 1991-04-02 Fujitsu Ltd コンパイル処理装置
JPH04913U (ko) * 1990-04-17 1992-01-07
KR19990038335U (ko) * 1998-03-24 1999-10-25 이동일 활성탄소 섬유휠타및 바이오휠타를 이용한복합악취제거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98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습식 탈취 장치
KR102253871B1 (ko) * 2019-05-21 2021-05-20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습식 탈취 장치
KR20210102653A (ko) * 2020-02-12 2021-08-20 박천상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2332223B1 (ko) 2020-02-12 2021-11-26 박천상 천연추출물 및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0275B (zh) 一种含硫及粉尘的恶臭废气的处理方法
CN103768929B (zh) 一种垃圾焚烧过程中产生的烟气的净化处理装置及其应用
KR100530770B1 (ko) 습식 미스트 엘리미네이터가 부착된 건식 공기정화장치
CN101829468B (zh) 用于垃圾焚烧的烟气净化方法及系统
CN202237676U (zh) 陶瓷烟气净化装置
CN203750409U (zh) 一种垃圾焚烧过程中产生的烟气的净化处理装置
CN102614731A (zh) 一种喷漆有机废气的净化装置及溶剂回收方法
CN217549391U (zh) 一种挥发性有机废气处理装置
CN207413050U (zh) 一种油漆废气处理装置
KR20010112081A (ko)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CN114259852A (zh) 一种污泥碳化废气处理工艺
CN205760352U (zh) 污泥风干烟气处理系统
CN205461588U (zh) 一种造纸废气处理系统
KR200205816Y1 (ko) 유기성 악취물질 제거장치
CN106039957A (zh) 一种烟气净化系统及烟气净化方法
CN213050101U (zh) 一种适用于煤炭化工的废气处理系统
KR200203605Y1 (ko) 라멜라 분리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KR20010098970A (ko) 습식 세정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CN105920972B (zh) 一种用于轮胎再生胶生产的废气回收净化系统
JP2010142790A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CN215233246U (zh) 一种油泥处置行业废气治理设备
CN208711431U (zh) 一种静电光催化脱汞除尘装置
CN208340422U (zh) 一种可脱水除雾的活性炭组合装置
CN110694466A (zh) 用于净化生产半合成抗生素污水处理后产生废气的设备
KR200197549Y1 (ko) 습식 세정기와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