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141B1 - 낚시용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141B1
KR102332141B1 KR1020150016687A KR20150016687A KR102332141B1 KR 102332141 B1 KR102332141 B1 KR 102332141B1 KR 1020150016687 A KR1020150016687 A KR 1020150016687A KR 20150016687 A KR20150016687 A KR 20150016687A KR 102332141 B1 KR102332141 B1 KR 10233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id
bearing
inner ring
magnetic
fluid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118A (ko
Inventor
가즈유키 마츠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5Guiding members on rotor forward of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62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by means of a fluid
    • F16C33/76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by means of a fluid retained in the sealing gap
    • F16C33/765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by means of a fluid retained in the sealing gap by a magnetic fi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베어링 내로의 해수, 이물질 등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악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회전 성능,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이 양호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서는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을 통해 라인 롤러(23)가 지지축(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25)의 자성 유체 시일(40)은 베어링 본체(30)의 양측에 설치된다. 또한, 자성 유체 시일(40)의 자성 유체(45)는 외륜(30b)과 자석(42)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외륜측 자성 유체(45b)와, 내륜(30a)과 보유 지지판(44)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내륜측 자성 유체(45a)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구비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를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성 유체를 사용한 자기 시일 기구를 베어링에 적용하는 낚시용 릴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가 지지축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라인 롤러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의 측부에 자석을 설치하여 외륜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회로를 이용하여 자성 유체를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자기 시일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핸들 조작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낚시용 릴이 개시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9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베어링 시일 구조에서는 베어링의 편측만이 자기 시일되므로, 베어링의 내륜과 지지축의 끼워 맞춤부, 베어링의 외륜과 라인 롤러 사이의 끼워 맞춤부 및 나사 체결부 등을 통해 침입한 해수가 베어링의 내부에 들어가 염분 고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가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되는 낚싯줄 안내부의 지지부의 시일 구조로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베어링 시일 구조에서는 베어링의 측부에 자기 시일 기구가 병설되는 구성이므로, 취급이 번거롭고, 유지 보수성이 나쁘다. 또한, 베어링의 편측만이 자기 시일되어 있는 관계상,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륜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양측에서 덧댄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베어링의 내외륜에 축방향의 전단력이 작용하여, 베어링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고, 따라서, 라인 롤러의 회전이 무거워진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베어링 시일 구조는,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핸들 조작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은 양호하다. 그러나, 핸들의 조작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시일 기술에 그치고, 고속 회전하여 낚싯줄을 당기면서 스풀로 안내 지지하는 라인 롤러의 베어링부를 확실히 시일한다는 착상이 없다. 또한,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베어링의 편측만이 자기 시일되므로, 전술한 특허문헌 1과 동일한 문제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베어링 내로의 해수, 이물질 등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악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회전 성능,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이 양호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터에 설치된 라인 롤러의 안내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에 권회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통해 상기 라인 롤러가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륜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륜과,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개재 삽입되는 전동체를 갖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베어링 본체에 일체로 보유 지지되어,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부를 시일하는 자성 유체 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은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 상기 보유 지지판 또는 상기 자석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자성 유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라인 롤러를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특히, 고속 회전하여 낚싯줄을 당기면서 스풀로 안내 지지하는 라인 롤러에서는 실제 낚시의 반복에 의해 다양한 이물질이나 해수의 고화물 등이 라인 롤러의 지지부 주위에 부착되어 버리므로, 유지 보수성의 향상은 매우 유익함)이 양호해짐과 함께, 고속 회전하여 낚싯줄을 당기면서 스풀로 안내 지지하는 라인 롤러의 베어링부를 확실히 시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유닛형의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에 따르면, 베어링의 설치 스페이스와는 별도로 시일을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로 인해, 작은 스페이스로 시일 및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의 조립과는 별도로 자기 시일 기구를 조립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성(작업성)이 양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즉, 조립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음).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자성 유체 시일이 베어링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구성은, 특히 해수나 이물질 등이 많이 부착된 낚싯줄을 고속 회전하여 당기면서 스풀로 안내한다는 가혹한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라인 롤러에 있어서는 매우 유익하다. 즉, 자성 유체 시일을 베어링 본체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베어링의 내륜과 지지축의 끼워 맞춤부, 베어링의 외륜과 라인 롤러 사이의 끼워 맞춤부 및 나사 체결부 등을 통해 해수 등이 베어링의 내부에 들어가 염분 부식될 가능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용 효과는 자성 유체를 내외륜의 양쪽에 대해 설치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외륜과 보유 지지판 또는 자석과의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외륜측 자성 유체와, 내륜과 보유 지지판 또는 자석과의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내륜측 자성 유체를 설치함으로써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자성 유체 시일이 베어링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베어링 편측 시일 구조와 같이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륜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양측에서 덧댄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어진다[베어링 본체를 지지축의 축방향에서 가압하는 일 없이 지지축 상에(예를 들어, 소정의 축방향 여유도를 갖고) 지지할 수 있음]. 그로 인해, 베어링의 내외륜에 축방향의 전단력을 작용시키지 않아도 되어, 베어링의 회전, 따라서, 라인 롤러의 회전을 가볍게 하여(회전을 매끄럽게 하여), 라인 롤러의 회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자성 유체 시일의 자성 유체와 상기 자성 유체에 대향하는 베일 지지 부재의 대향 부위 사이에, 지지 부재에 대한 자성 유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부재에 자성 유체를 도피시키는 도피부(예를 들어, 홈 등)를 형성하는 등, 간극을 형성하는 형태는 임의이다. 이와 같은 간극을 형성하면, 모세관 현상, 로터 고속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 및 열팽창에 의한 압력 변화 등에 기인하여 자성 유체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를 때에, 그 부풀어 오른 자성 유체가 주위의 부재, 특히 지지 부재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베어링의 자성 유체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시일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내로의 해수, 이물질 등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악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회전 성능,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이 양호한 낚시용 스피닝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 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용 스피닝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1)를 갖는다. 릴 본체(1) 내에는 핸들(3)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어(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에는 피니언이 맞물려 있다. 피니언 내에는 스풀축(도시 생략)이 축방향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스풀축의 선단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축[스풀(5)]은 구동 기어에 결합하는 오실레이팅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구동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의 선단에는 이 피니언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터(7)에는 한 쌍의 지지 아암(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 아암(9)에는 각각 지지 부재(11)를 통해, 베일(13)이 낚싯줄 방출 상태와 낚싯줄 권회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지지 부재(11)와 베일(13)의 단부 사이에는 낚싯줄을 스풀(5)로 안내하기 위한 후술하는 낚싯줄 안내 장치(15)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핸들(3)을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 운동은 구동 기어를 통해 상기 피니언으로 전달되고, 이 피니언을 통해 로터(7)를 회전시킴과 함께, 상기 오실레이팅 기구를 통해 스풀축으로 전달되어, 스풀(5)을 전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 장치(15)를 통해 스풀(5)에 치우치는 일 없이 균등하게 권회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 장치(15)는 한쪽의 지지 부재(11)에 나사(19)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이 나사(19)가 나사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지지축)(17)가 형성된 라인 슬라이더(21)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부(17)는, 도시와 같이 라인 슬라이더(21)에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지지 부재(11)측에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라인 슬라이더(21)에는 베일(13)의 한쪽의 기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낚싯줄 권취 개시 시에 베일(13)을 낚싯줄 권회 상태로 회전시키면, 낚싯줄이, 베일(13)로부터 라인 슬라이더(21)를 통해, 낚싯줄 안내 장치(15)의 일 구성 부재인 라인 롤러(23)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라인 롤러(23)는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후술하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 및 컬러(27)를 통해 지지부(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라인 롤러(23)는 중공의 대략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외주면은 평활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낚싯줄 권취 시에 베일(13)로부터 라인 슬라이더(21)를 통해 안내된 낚싯줄은 라인 롤러(23)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경유하면서 스풀(5)에 권회된다. 또한, 라인 롤러(23)의 외주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컬러(27)의 존재는 유익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을 2개 병설하여 라인 롤러(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면, 자기 시일 기구를 베어링 내부에 내장하는 구성상, 이 부분에서 축방향 치수가 커지지만, 그 중 한쪽을 컬러(27) 대신에, 라인 롤러(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축방향 치수를 짧게 억제할 수 있는 한편, 라인 롤러(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동시에 가능해진다. 이 경우, 컬러(27)는 경량화되어 고속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 밸런스화를 도모하기 위해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해도 상관없다.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 및 컬러(27)는 라인 롤러(23)의 내주면과 지지부(17)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축방향[라인 롤러(23)의 회전축을 따른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병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 및 컬러(27)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내측 단부)는, 모두, 라인 롤러(2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 지지부(29)의 양 단부면에 덧대어져 있다. 그리고, 컬러(27)의 외측 단부는 지지부(17)에 형성된 단차 걸림 지지부(33)와 소정의 간극 c(예를 들어, 0.1 내지 0.2㎜의 간극;특히 도 3 참조)를 통해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고, 한편,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의 외측 단부[구체적으로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의 후술하는 베어링 본체(30)의 내륜(30a)]는 지지 부재(11)에 형성되어 지지부(17)의 단부에 피팅되는 피팅 걸림 지지부(37)에 대해 축방향[지지부(17)의 축방향]의 가압력을 수반하지 않고 덧대어져 있다. 즉,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따라서,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 컬러(27) 및 라인 롤러(23)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은 지지부(17)의 축방향에서 가압되는 일 없이 지지부(17) 상에 축방향 여유도(간극 c)를 갖고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 및 컬러(27)는 소정의 축방향 여유도(간극 c)를 갖고, 각 걸림 지지부(29, 33, 37)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다음에, 낚싯줄 안내 장치(15)에 배치되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은 원통 형상의 내륜(30a)과, 이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외륜(30b)과, 내륜(30a)과 외륜(30b)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복수의 전동체(구름 부재)(30c)를 적어도 갖는 베어링 본체(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륜(30a), 외륜(30b) 및 전동체(30c)는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크롬계 스테인리스(SUS440C)에 의해 형성되지만, 전동체(30c)에 대해서는, 반드시 자성체일 필요는 없다.
내륜(30a) 및 외륜(30b)의 측부 개구측에는 베어링 본체(30)에 일체로 보유 지지됨과 함께 내륜(30a) 또는 외륜(30b)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베어링 본체(30)의 내부를 시일하는 자성 유체 시일(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30a)과 외륜(30b)의 양측의 개구에, 동일한 구성의 자성 유체 시일(4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측의 구성(도 2 및 도 3의 좌측)에 대해 설명한다.
자성 유체 시일(40)은 내륜(30a) 또는 외륜(30b)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된 자석(이하, 자석이라고 칭함)(42)과, 자석(42)의 축방향 외측면에 접하여 배치되는[자석(42)을 보유 지지함] 링 형상의 보유 지지판(극판)(44)과, 자석(4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회로에 보유 지지되는[내륜(30a) 또는 외륜(30b)과 보유 지지판(44) 또는 자석(42) 사이에 보유 지지됨] 자성 유체(45)를 갖고 있고, 이들 부재에 의해, 전동체(30c) 내에, 해수나 이물질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시일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성 유체(45)는 외륜(30b)과 보유 지지판(44) 또는 자석(42) 사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륜(30b)과 자석(42)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외륜측 자성 유체(45b)와, 내륜(30a)과 보유 지지판(44) 또는 자석(42) 사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30a)과 보유 지지판(44)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내륜측 자성 유체(45a)를 갖는다.
자석(42)으로서는, 자속 밀도가 높고, 자력이 강한 영구 자석, 예를 들어 소결 제법에 의해 작성되는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축방향[베어링(25)의 축심 방향]으로 자극(S극, N극)이 향하도록 착자되어 있다. 또한, 자석(42)의 축방향 외측면에는 보유 지지판(44)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보유 지지판(44)은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크롬계 스테인리스(SUS440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자석(42) 및 보유 지지판(44)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접착되어 있지만,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양자를 미리 접착해 둠으로써, 자석(42)의 위치 결정이나 센터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석(42)과 보유 지지판(44)이 유닛화되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외륜측 자성 유체(45a) 및 내륜측 자성 유체(45b)는, 예를 들어 Fe3O4과 같은 자성 미립자를, 계면 활성제에 의해 베이스 오일에 안정된 상태로 분산시켜 구성된 것이고, 점성이 있으며 자석을 접근시키면 반응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성 유체(45a, 45b)는 자석(42)과, 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내륜(30a), 외륜(30b) 및 보유 지지판(44) 사이에서 형성되는 자기 회로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외륜(30b)의 내면에는 자석(42)에 대해 전동체(30c)측에 단차(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60)에 의해, 외륜(30b)은 개구측이 박육 영역(30bA), 전동체측이 후육 영역(30bB)으로 되고, 축방향의 외측의 내외륜 간격이 내측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60)는 자성 유체(45)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간극(단차 간극)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60a)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수직인 면으로 함으로써, 자석(42)을 흡착하여, 위치 결정, 고정할 수도 있음]. 또한, 단차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직인 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42)과의 사이에서 자성 유체(45)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경사 형상(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자석(42)의 위치 결정 및 자성 유체(45)의 보유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30a)의 단부면에도 단차(8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85)는 베어링(25)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86)을 포함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유 지지판(44)은 축방향의 두께의 범위 내{A점[보유 지지판(44)의 폭 방향 외측 단부 테두리]과 B점[보유 지지판(44)의 폭 방향 내측 단부 테두리] 사이}에, 단차(8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에지(80)[단차(85)의 상단부 테두리; 수직인 면(86)의 상부 테두리]가 위치하도록 압입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계단 형상의 단차(85)를 형성한 것에 의해, 자성 유체(45a)는 보유 지지판(44)의 단부면(44a)으로부터 융기되지 않고, 오목한 위치에 있는 수직인 면(85)과의 사이에서 보유 지지되게 된다. 이 경우, 내측 에지(80)의 위치가, B점보다도 베어링 내측으로 들어가 버리면, 보유 지지판(44)과 내륜(30a) 사이에 자성 유체(45a)가 충분히 보유 지지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내측 에지(80)의 위치점이, A점보다도 베어링 외측으로 되어 버리면, 자성 유체(45a)가 융기되어 버려, 외륜(30b) 부분이나 내륜(30a)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했을 때, 손가락에 부착되기 쉬워져 버린다.
상기한 단차(85)의 구성에서는, 그 수직인 면(86)의 직경 방향 두께 D는 보유 지지판(44)의 내주 단부면으로부터 내측 에지(80)까지의 간극 G보다 크게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경 방향 두께 D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거리를 취해 둠(간극 G보다도 크게 설정해 둠)으로써, 자성 유체(45a)의 융기를 억제할 수 있고, 내륜(30a)의 단부 영역에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그 손가락에 자성 유체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유 지지판(44)은 그 외경이 외륜(30b)의 내주면[박육 영역(30bA)의 내주면]에 대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접착한 자석(42)과 함께, 외륜(30b)의 개구측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석(42)을 접착한 보유 지지판(44)은 외륜(30b)에 대해 압입했을 때, 내륜(30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극이 생기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42) 및 보유 지지판(44)의 축방향 길이는 양자가 접착된 상태에서 압입되었을 때, 단차(60)에 의한 수직인 면(60a)에 대해, 간극이 생기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자극이 향하도록 착자되어 있는 자석(42)을 접착한 보유 지지판(44)을 외륜(30b)에 압입하면, 내륜(30a)측 및 외륜(30b)측에서는, 축방향에 대해 대칭이 되는 자속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한 보유 지지판(44)과 내륜(30a) 사이의 간극 및 자석(42)과 외륜(30b) 사이의 간극에 대해서는, 각각 내륜측 자성 유체(45a) 및 외륜측 자성 유체(45b)를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성 유체 시일(40)의 자성 유체(45)[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측 자성 유체(45a)]와 상기 자성 유체(45a)에 대향하는 지지 부재(11)의 대향 부위 사이에는 지지 부재(11)에 대한 자성 유체(45a)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이 간극 s가, 지지 부재(11)에 자성 유체를 릴리프하는, 예를 들어 홈 형상의 릴리프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지만, 간극 s를 확보하기 위한 형태는 어떤 형태이든 상관없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간극 s를 확보하기 위해 지지 부재(11)에 형성되는 홈이 수직면을 수반하는 단차 홈이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1a)를 수반하는 홈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엄격한 실용 조건 하에서도 자성 유체 시일 기능을 확실히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 등에 의해 자성 유체(45)가 비산할 수 있는 방향으로는, 예를 들어 자석(42)의 자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의 라인 롤러(23)의 부위에, 특히 라인 롤러(23)의 단부의 내면에, 비산하는 자성 유체(4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0)가 설치된다. 이 수용부(7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함몰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자성 유체 저류부로서 기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스피닝 릴에 따르면,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에 의해 라인 롤러(23)를 지지부(지지축)(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취급성 및 유지 보수성[특히, 고속 회전하여 낚싯줄을 당기면서 스풀(5)로 안내 지지하는 라인 롤러(23)에서는, 실조의 반복에 의해 다양한 이물질이나 해수의 고화물 등이 라인 롤러(23)의 지지부 주위에 부착되어 버리므로, 유지 보수성의 향상은 매우 유익함]이 양호해짐과 함께, 고속 회전하여 낚싯줄을 당기면서 스풀(5)로 안내 지지하는 라인 롤러(23)의 베어링부를 확실히 시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유닛형의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25)에 따르면, 베어링의 설치 스페이스와는 별도로 시일을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로 인해, 작은 스페이스에서 시일 및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의 조립과는 별도로 자기 시일 기구를 조립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성(작업성)이 양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즉, 조립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음).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자성 유체 시일(40)이 베어링 본체(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특히, 해수나 이물질 등이 많이 부착된 낚싯줄을 고속 회전하여 당기면서 스풀(5)로 안내한다는 가혹한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라인 롤러(23)에 있어서는 매우 유익하다. 즉, 자성 유체 시일(40)을 베어링 본체(30)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베어링(25)의 내륜(30a)과 지지부(17)의 끼워 맞춤부, 베어링(25)의 외륜(30b)과 라인 롤러(23) 사이의 끼워 맞춤부 및 나사(19)의 체결부 등을 통해 해수 등이 베어링(25)의 내부에 들어가 염분 부식될 가능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용 효과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자성 유체(45a, 45b)를 내외륜(30a, 30b)의 양쪽에 대해 설치함으로써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자성 유체 시일(40)이 베어링 본체(30)의 양측에 설치되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베어링 편측 시일 구조와 같이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륜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양측에서 덧댄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제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본체(30)를 지지축의 축방향에서 가압하는 일 없이 지지부(17) 상에[소정의 축방향 여유도 c(도 3 참조)를 갖고] 지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베어링(25)의 내외륜(30a, 30b)에 축방향의 전단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어, 베어링(25)의 회전, 따라서, 라인 롤러(23)의 회전을 가볍게 하여(회전을 매끄럽게 하여), 라인 롤러(23)의 회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자성 유체 시일(40)의 자성 유체(45)와 상기 자성 유체(45)에 대향하는 베일 지지 부재(11)의 대향 부위 사이에, 지지 부재(11)에 대한 자성 유체(45)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극 s를 형성하면, 모세관 현상, 로터 고속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 및 열팽창에 의한 압력 변화 등에 기인하여 자성 유체(45)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를 때에, 그 부풀어 오른 자성 유체(45)가 지지 부재(11)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베어링(25)의 자성 유체(45)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시일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륜측 자성 유체(45b)는 외륜(30b)과 자석(42) 사이에 보유 지지되지만, 외륜(30b)과 보유 지지판(44) 사이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륜측 자성 유체(45a)는 내륜(30a)과 보유 지지판(44) 사이에 보유 지지되지만, 내륜(30a)과 자석(42) 사이에 보유 지지되어도 된다.
3 : 핸들
5 : 스풀
7 : 로터
11 : 지지 부재
17 : 지지부(지지축)
23 : 라인 롤러
25 :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
30 : 베어링 본체
30a : 내륜
30b : 외륜
30c : 전동체
40 : 자성 유체 시일
42 : 자석
44 : 보유 지지판
45a : 내륜측 자성 유체
45b : 외륜측 자성 유체
s : 간극

Claims (5)

  1.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터에 설치된 라인 롤러의 안내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에 권회하는 낚시용 스피닝 릴이며,
    베어링에 자성 유체 시일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통해 상기 라인 롤러가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내륜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륜과,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개재 삽입되는 전동체를 갖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베어링 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보유 지지되어,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 본체의 내부를 시일하는 자성 유체 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은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내륜 또는 상기 외륜과 상기 보유 지지판 또는 상기 자석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어 베일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륜과 상기 보유 지지판 사이의 간극에 보유 지지된 상기 자성 유체와 상기 자성 유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대향 부위 사이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자성 유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내륜의 외측단은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 피팅되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가압력을 수반하지 않고 덧대어져 있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은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낚시용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라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러가 개재되고,
    상기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과 상기 컬러가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병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낚시용 스피닝 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16687A 2014-02-06 2015-02-03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332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1385 2014-02-06
JP2014021385A JP6209096B2 (ja) 2014-02-06 2014-02-06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118A KR20150093118A (ko) 2015-08-17
KR102332141B1 true KR102332141B1 (ko) 2021-11-29

Family

ID=5247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687A KR102332141B1 (ko) 2014-02-06 2015-02-03 낚시용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07752B2 (ko)
EP (1) EP2904900B1 (ko)
JP (1) JP6209096B2 (ko)
KR (1) KR102332141B1 (ko)
CN (1) CN1048239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0233B2 (en) * 2014-12-02 2017-09-05 Shimano Inc. Line roller unit and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6603062B2 (ja) * 2015-07-31 2019-11-06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CN112674049A (zh) 2015-12-18 2021-04-20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6700778B2 (ja) 2015-12-25 2020-05-27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JP6856355B2 (ja) * 2016-11-08 2021-04-07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防水構造
JP6994932B2 (ja) * 2017-12-22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JP7095986B2 (ja) * 2017-12-22 2022-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424820B2 (ja) * 2019-12-24 2024-01-3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4946A (ja) * 2010-08-27 2012-03-08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3228044A (ja) * 2012-04-26 2013-11-07 Globeride Inc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2826A (en) 1982-12-16 1987-09-08 Ferrofluidics Corporation Bearing assembly with integrated ferrofluid seal
DE3824104A1 (de) * 1987-07-17 1989-01-26 Koyo Seiko Co Ferrofluid-dichtung
US5238254A (en) * 1987-07-17 1993-08-24 Koyo Seiko Co., Ltd. Ferrofluid seal apparatus
JPH02102920A (ja) * 1988-10-11 1990-04-16 Toshiba Corp 良熱伝導軸受
US5572078A (en) * 1994-09-20 1996-11-05 Sankyo Seiki Mfg. Co., Ltd. Spindle motor
JP2967913B2 (ja) * 1994-10-28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287389B2 (ja) * 1997-01-31 2002-06-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6227474B1 (en) * 1998-08-27 2001-05-08 Kabushiki Kaisha Johshuya Spinning reel with tension roller for preventing fishing line twist
DE10044106C2 (de) * 1999-09-30 2002-02-28 Prec Motors Deutsche Minebea G Spindelmotor mit Magnetfluiddichtung
US6558042B1 (en) * 2001-12-28 2003-05-06 Sae Magnetics(H. K.) Ltd. Bearing guided ferrofluid seal and seal carrier
TWI315185B (en) * 2003-05-15 2009-10-01 Shimano Kk Drag adjustment knob for a spinning reel
WO2010042718A1 (en) * 2008-10-09 2010-04-15 Rigaku Innovative Technologies, Inc. Magnetic fluid seal with centering of bearing and shaft by compressible member
CN101799075A (zh) * 2010-04-12 2010-08-11 北京交通大学 一种旋转轴组合密封装置
JP5519585B2 (ja) 2011-06-21 2014-06-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930538B1 (ko) * 2010-08-27 2018-12-1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JP5677211B2 (ja) 2011-06-22 2015-02-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739798B2 (ja) * 2011-12-27 2015-06-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およびハンドルノブ
JP6231355B2 (ja) * 2013-11-06 2017-11-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及び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を配設した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4946A (ja) * 2010-08-27 2012-03-08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3228044A (ja) * 2012-04-26 2013-11-07 Globeride Inc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3931B (zh) 2018-05-22
CN104823931A (zh) 2015-08-12
KR20150093118A (ko) 2015-08-17
JP2015146767A (ja) 2015-08-20
US20150216155A1 (en) 2015-08-06
US9307752B2 (en) 2016-04-12
EP2904900B1 (en) 2018-04-04
JP6209096B2 (ja) 2017-10-04
EP2904900A1 (en)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141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338754B1 (ko)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 및 자성 유체 시일이 부착된 베어링을 배치한 낚시용 릴
US9091302B2 (en) Bearing with magnetic fluid seal
KR101930538B1 (ko) 낚시용 릴
CN105532595B (zh) 钓鱼用卷线器
KR102583871B1 (ko) 낚시용 릴
KR102338654B1 (ko) 자성 유체 시일이 구비된 베어링 및 그 베어링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
JP2012019752A (ja) 魚釣用リール
US20180058503A1 (en) Magnet fluid sealed bearing unit and drive motor having the bearing unit
JP5885088B2 (ja) 魚釣用リール
JP6074328B2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7133263B2 (ja) 磁性流体シール装置及び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6074329B2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2016101104A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及び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を配設した魚釣用リール
JP201317265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ラインローラユニット
JP6074468B2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2016031114A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2016183782A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