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55B1 -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55B1
KR102331155B1 KR1020170117519A KR20170117519A KR102331155B1 KR 102331155 B1 KR102331155 B1 KR 102331155B1 KR 1020170117519 A KR1020170117519 A KR 1020170117519A KR 20170117519 A KR20170117519 A KR 20170117519A KR 102331155 B1 KR102331155 B1 KR 10233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ing
furnace
exhaust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581A (ko
Inventor
아츠시 나카자와
다이자부로 야시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29C55/08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in several stretch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5Furnaces with controlled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6Mechan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88Controlling heating or curing of polymers during moulding, e.g. by measuring temperatures or properties of the polymer and regulat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5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molecular weight
    • B29K2023/0683UHMWPE, i.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1Micro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된 연신로를 구비하고, 연신로가 7개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3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3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FILM-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FILM}
본 발명은,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로서,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다공 필름, 또는 해당 미다공 필름을 기재로서 다른 기능층을 적층한 적층 다공질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는, 필름을 세로 연신 또는 가로 연신하여, 세공 구조를 제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필름 연신 장치에 있어서, 연신로 내의 복수의 연신 영역에 있어서의 필름 폭 확대 속도차와 온도차를 특정한 관계로 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기재 다공질 필름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제2013-159750호 공보(2013년 8월 19일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가열에 의해 휘발되어 연신로 내에 충만한 필름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이 연신로 내에서 응축ㆍ석출되어, 필름 상에 적하 또는 낙하함으로써 필름이 손상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은,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신로에 배치되어,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다고 한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에,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다고 한 경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이하의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막을 연신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세퍼레이터는, 폴리올레핀막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적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포에 의해 기능층을 적층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필름의 휘발 성분에 의해 필름이 손상된 부분은 습윤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도료(도공액)의 튐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료의 튐을 방지하여 균일하게 기능층(도공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를 분리하면서,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공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필름의 휘발 성분에 의해 필름이 손상된 부분은 휘발 성분에 의해 구멍이 폐색되어버리기 때문에, 그 부분은 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분적인 구멍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세퍼레이터의 구멍 형성제로서 액상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한 상태에서 연신된다. 휘발된 가소제가 응축되어 적하하면, 적하된 부분의 중합체 농도가 국소적으로 저하되므로, 주위와 다른 구멍 구조가 생기거나, 핀홀의 원인이 되거나 한다. 따라서, 균일한 구멍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각 상태에 있어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다른 구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각 상태에 있어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필름 연신 장치에 의한 연신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필름 연신 장치가 구비하는 연신로의 전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연신로의 예열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연신로에 접속된, 각 급기 덕트를 흐르는 유량(급기량) 및 각 배기 덕트를 흐르는 유량(배기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상기 연신로의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상기 연신로의 반출구에 있어서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슬릿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세퍼레이터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기재가 되는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구성)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그 때문에, 현재,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기기, 자동차,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사용되는 전지로서, 또한 전력의 안정 공급에 이바지하는 정치용 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캐소드(11)와, 세퍼레이터(12)와, 애노드(13)를 구비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외부에 있어서, 캐소드(11)와 애노드(13) 사이에, 외부 기기(2)가 접속된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충전 시에는 방향 A로, 방전 시에는 방향 B로, 전자가 이동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필름)(12)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정극인 캐소드(11)와, 그의 부극인 애노드(13) 사이에, 이들에 협지되도록 배치된다. 세퍼레이터(12)는, 캐소드(11)와 애노드(13) 사이를 분리하면서,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세퍼레이터(12)는 그의 기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등이 사용된다.
도 2의 (a) 내지 (c)는,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각 상태에 있어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는 통상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2의 (c)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에는, 다수의 구멍(P)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리튬 이온(3)은 구멍(P)를 통해 왕래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과충전, 또는 외부 기기의 단락에 기인하는 대전류 등에 의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승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고, 구멍(P)이 폐색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는 수축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왕래가 정지하기 때문에, 상술한 승온도 정지된다.
그러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는 경우, 세퍼레이터(12)는 급격하게 수축된다. 이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3)이, 파괴된 세퍼레이터(12)로부터 누출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3)의 왕래는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온은 계속된다.
(내열 세퍼레이터)
도 3의 (a) 및 (b)는, 다른 구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각 상태에 있어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의 (a)는 통상의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내열층(기능층)(4)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세퍼레이터(12)에, 기능층으로서의 내열층(4)이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세퍼레이터(12)에 내열층(4)이 설치된 필름을, 내열 세퍼레이터(필름)(12a)라 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의 캐소드(11)측의 편면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열층(4)은 세퍼레이터(12)의 애노드(13)측의 편면에 적층되어도 되고, 세퍼레이터(12)의 양면에 적층되어도 된다. 그리고, 내열층(4)에도, 구멍(P)과 동일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3)은 구멍(P)과 내열층(4)의 구멍을 통해 왕래한다. 내열층(4)은 그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고,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도, 내열층(4)이 세퍼레이터(12)를 보조하고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12)의 형상은 유지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P)이 폐색되는 것에 그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왕래가 정지되기 때문에, 상술한 과방전 또는 과충전도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2)의 파괴가 억제된다.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
이어서, 세퍼레이터의 기재가 되는 세퍼레이터 원단의 제조 방법(필름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 원단의 재료로서, 주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4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시되는 제조 플로우는, 열가소성 수지에 고체 또는 액체의 구멍 형성제를 첨가하여 필름 성형한 후, 해당 구멍 형성제를 적당한 용매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제조 플로우는, 혼련 공정 S1, 시트화 공정 S2, 제거 공정 S3, 연신 공정 S4를 순서대로 거치는 제조 플로우가 된다. 또한, 제거 공정 S3, 연신 공정 S4는 순서가 반대여도 된다.
혼련 공정 S1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탄산칼슘 등의 구멍 형성제를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이다. 혼련 공정 S1에서는, 예를 들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분말에 구멍 형성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혼합한 후, 2축 혼련기 등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시트화 공정 S2는, 전공정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이다. 시트화 공정 S2에서는, 예를 들어 혼련 공정 S1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한 쌍의 롤로 압연함으로써,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원료 필름을 얻는다.
제거 공정 S3은, 전 공정에서 얻어진 원료 필름 중에서 구멍 형성제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제거 공정 S3에서는, 예를 들어 원료 필름을 염산 수용액 등에 침지시켜, 탄산칼슘 등의 구멍 형성제를 용해, 제거한다.
연신 공정 S4는, 전 공정에서 얻어진 원료 필름을 연신하여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얻는 공정이다. 연신 공정 S4에서는, 필름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 연신 장치의 연신로 내에서 반송되는 원료 필름을, 원료 필름의 반송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 공정 S4는, 복수의 열 롤로 원료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필름 연신 장치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제조 플로우에서는, 제거 공정 S3에서, 필름 중에 다수의 미세 구멍이 설치된다. 그리고, 연신 공정 S4에 의해 연신된 필름 중의 미세 구멍이, 상술한 구멍(P)이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두께와 투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인 세퍼레이터 원단(12c)이 형성된다.
또한, 세퍼레이터 원단(12c)이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조 플로우에 의해,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제조 방법은, 구멍 형성제를 제거하는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 연신 장치)
이어서, 상기 연신 공정(필름 연신 공정)(S4)을 실시하는 필름 연신 장치(5)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는, 필름 연신 장치(5)에 의한 연신 공정 S4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원료 필름(12d)의 반송 방향 MD 및 폭 방향 TD에 대하여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필름 연신 장치(5)의 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5의 (b)는, 폭 방향 TD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필름 연신 장치(5)의 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필름 연신 장치(5)는 원료 필름(12d)을 텐터 연신법에 의해 연신하는 텐터식 연신 장치이다. 텐터식 연신 장치는, 필름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척이, 연신로의 반입구로부터 반출구를 향해 연속적으로 설치된 텐터 레일 상을 움직이며, 1축 또는 2축으로 필름을 연속적으로 연신하는 기구를 갖는 것이다.
필름 연신 장치(5)는 원료 필름(12d)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로(6)를 구비하고 있다. 연신로(6)는, 원료 필름(12d)을 반입하는 반입구(61), 및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세퍼레이터 원단(12c))을 반출하는 반출구(62)를 갖고 있다. 또한, 연신로(6)의 천장부에는, 후술하는 배기 덕트가 접속되는 배기구(63)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필름 연신 장치(5)는, 반입구(61)로부터 반입된 원료 필름(12d)을 반송 방향 MD로 반송하면서, 텐터 연신법에 의해 원료 필름(12d)을 폭 방향(가로 방향) TD로 연신한다. 그리고, 필름 연신 장치(5)는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인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반출구(62)로부터 반출한다.
연신로(6)는, 원료 필름(12d)의 반송 방향 MD에 따라,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로(6)는, 반입구(6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각 실 중, 전실(6a) 및 후실(6g)은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은, 독립된 풍량 제어 및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의 각 실은, 각각 독립된 풍량 제어 및 온도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각 실(방)의 기능, 흡배기의 유무, 연신의 유무, 및 운전 온도 범위의 일례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89207480-pat00001
전실(6a)은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배기하기 위한 존이다.
예열실(6b)은 연신 전에 원료 필름(12d)의 예열을 행하기 위한 존이다.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은 원료 필름(12d)을 폭 방향 TD로 연신(가로 연신)하기 위한 존이다.
열 고정실(6f)은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의 구조 고정을 행하고, 원료 필름(12d)의 열적 안정성을 높여서 열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존이다.
후실(6g)은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배기하기 위한 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실(6a), 예열실(6b) 및 제1 연신실(6c)의 로 폭(폭 방향 TD로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의 로 폭의 쪽이 길게 설정되어 있다.
연신로(6)에 있어서, 반입구(61)에 연결되는 전실(6a), 및 반출구(62)에 연결되는 후실(6g)은, 배기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전실(6a) 및 후실(6g) 사이에 있는,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은, 급기 및 배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각 실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예열실(6b)은 운전 시의 온도 범위가 115 내지 125℃로 조정된다. 또한,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은 운전 시의 온도 범위가 100 내지 115℃로 조정된다. 추가로, 열 고정실(6f)은 운전 시의 온도 범위가 115 내지 130℃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료 필름(12d)의 연신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최적인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은, 각 실의 천장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배기부)(81a 내지 81g)가 접속되어 있다. 각 배기 덕트(81a 내지 81g)는 집합 덕트에 접속되어 있고, 각 배기 덕트(81a 내지 81g)로부터 도입된 각 실의 배기는, 집합 덕트에 접속된 배기 팬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의 배기량은, 각 배기 덕트(81a 내지 81g)에 설치된 배기 댐퍼로 각각 조정된다.
또한,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은, 각 실의 천장부에 가열 공기 및 냉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덕트(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로의 급기량은, 각 급기 덕트에 설치된 급기 댐퍼, 및 각 실의 천장부에 개별로 설치된 급기 팬의 풍량으로 각각 조정된다.
도 6은, 연신로(6)의 전실(6a)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반송 방향 MD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전실(6a)의 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실(6a) 및 후실(6g)의 주요부 구성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전실(6a)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실(6a)의 천장부에, 전실(6a)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81a)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 덕트(81a)는 집합 덕트(83)에 접속되어 있고, 배기 덕트(81a)로부터 도입된 전실(6a)의 공기는, 집합 덕트(83)에 접속된 배기 팬(84)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실(6a)의 배기량은, 배기 덕트(81a)에 설치된 배기 댐퍼(82a)로 조정된다.
도 7은, 연신로(6)의 예열실(6b)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반송 방향 MD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예열실(6b)의 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및 열 고정실(6f)의 주요부 구성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예열실(6b)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실(6b)의 천장부에, 가열 공기 및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71)가 접속되어 있다. 급기 덕트(71)는, 가열 공기(90 내지 120℃)를 급기하기 위한 가열 급기 덕트(711)와, 공장 내의 분위기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냉각 급기 덕트(712)가 집합된 것이다.
또한, 예열실(6b)의 천장부에는, 급기 팬(72)이 설치되어 있다. 예열실(6b)로의 급기량은, 가열 급기 덕트(711)에 설치된 가열 급기 댐퍼(713), 냉각 급기 덕트(712)에 설치된 냉각 급기 댐퍼(714), 및 예열실(6b)의 천장부에 설치된 급기 팬(72)의 풍량으로 조정된다.
예열실(6b)에서는, 급기 팬(72)의 작용에 의해 급기 덕트(71)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송풍 덕트(73)에 도입하고, 가열된 공기를 원료 필름(12d)을 향해 분출함으로써, 원료 필름(12d)을 가열한다.
구체적으로는, 급기 덕트(71)로부터 예열실(6b)에 공급된 공기는, 급기 팬(72)의 작용에 의해 호퍼(74)로부터 송풍 덕트(73)에 도입된다. 이 때, 호퍼(74)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호퍼(74)에 설치된 히터(75)에 의해 가열된다. 이에 의해, 히터(7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 덕트(73)에 도입된다.
송풍 덕트(73)의 선단측은, 상부 노즐 덕트(731)와 하부 노즐 덕트(732)로 분지되어 있다. 상부 노즐 덕트(731)는 반송되는 원료 필름(12d)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 노즐 덕트(732)는 반송되는 원료 필름(12d)의 하방에 배치된다.
원료 필름(12d)의 표면과 대향하는 상부 노즐 덕트(731)의 대향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원료 필름(12d)의 표면을 향해 가열된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원료 필름(12d)의 이면과 대향하는 하부 노즐 덕트(732)의 대향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원료 필름(12d)의 이면을 향해 가열된 공기가 분출된다. 이에 의해, 원료 필름(12d)의 표면 및 이면을 균등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부 노즐 덕트(731)와 하부 노즐 덕트(732)의 분지 부분에는 송풍 댐퍼(7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풍 댐퍼(733)에 의해, 원료 필름(12d)으로 분출되는 풍량이 조정된다.
또한, 예열실(6b)의 천장부에는, 예열실(6b)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덕트(81b)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 덕트(81b)는 집합 덕트(83)에 접속되어 있고, 배기 덕트(81b)로부터 도입된 예열실(6b)의 공기는, 집합 덕트(83)에 접속된 배기 팬(84)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예열실(6b)의 배기량은, 배기 덕트(81b)에 설치된 배기 댐퍼(82b)로 조정된다.
상술한 구성의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먼저, 폭 W1(예를 들어, 30cm 정도)의 원료 필름(12d)이 텐터 레일(R)의 척(C)에 의해 양단부가 고정되고, 텐터 레일(R) 상에서 척(C)이 반송 방향 MD로 이동함으로써, 원료 필름(12d)이 반입구(61)로부터 연신로(6)에 반입된다. 또한, 반입구(61)의 폭은 원료 필름(12d)의 폭+왕복 분의 텐터 레일(R)이 통과하는 폭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반입구(61)의 높이는 25c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척(C)의 이동에 수반하여 반송 방향 MD로 이동하는 원료 필름(12d)은, 전실(6a)을 통하여 예열실(6b)의 내부에 도입되어, 예열실(6b)에서 가열된다. 예열실(6b)에서는, 원료 필름(12d)을 연신하기 위해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예열실(6b)의 온도는, 115 내지 125℃ 정도이다.
예열된 원료 필름(12d)은, 예열실(6b)로부터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로 순차 도입된다.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에서는, 원료 필름(12d)을 가열하면서 폭 방향 TD로 연신한다.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의 온도는, 100 내지 115℃ 정도이다.
원료 필름(12d)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예열된 원료 필름(12d)을 예열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연신함으로써, 원료 필름(12d)을 한층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두께나 위상차의 균일성이 우수한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원료 필름(12d)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의 온도는, 예열실(6b)의 온도보다도 10 내지 25℃ 정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및 제3 연신실(6e)에 있어서의 원료 필름(12d)의 연신은, 원료 필름(12d)을 고정하는 척(C)을 폭 방향 TD로 넓힘으로써 행해진다. 즉, 척(C)이 반송 방향 MD로 이동하면서 폭 방향 TD로 넓어짐에 수반하여, 원료 필름(12d)이 폭 방향 TD로 인장되어 연신된다. 이에 의해, 원료 필름(12d)은 최종적으로 폭 W1 내지 폭 W2(예를 들어, 5배 정도)로 연신된다. 또한, 연신로(6)에 복수의 연신실(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을 설치함으로써, 연신실 전체의 로 길이(반송 방향 MD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어진다. 원료 필름(12d)을 변형(연신)하는 속도(변형 속도[%/sec])는, 로 길이에 반비례하고, 반송 방향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연신실 전체의 로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변형 속도를 유지한 채 반송 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료 필름(12d)은 연신된 후, 열 고정실(6f)에 도입된다. 열 고정실(6f)에서는, 연신 후의 폭 W2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의 열적 안정성을 높인다. 열 고정실(6f)의 온도는, 115 내지 130℃ 정도이다.
열 고정실(6f)에 있어서 열 고정된 원료 필름(12d)은, 후실(6g)을 통해, 반출구(62)로부터 연신로(6)의 외부로 반출된다. 또한, 반출구(62)의 폭은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폭+왕복분의 텐터 레일(R)이 통과하는 폭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반출구(62)의 높이는 25c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름 연신 장치(5)의 연신로(6)에 있어서 원료 필름(12d)을 폭 방향 TD로 연신함으로써, 세퍼레이터(12)의 기재가 되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원료 필름에 포함되는 실온에서 액체 또는 고체인 성분이 가열에 수반하여 원료 필름으로부터 휘발되어, 연신로의 내부에서 응축ㆍ석출되며 원료 필름 상에 적하 또는 낙하(탈락)함으로써 원료 필름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의 반출구측보다도 반입구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특히, 연신로의 반입구측에서 상기 원료 필름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필름에 포함되는 실온에 있어서 액체 또는 고체인 성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가공 보조제, 산화 방지제 및 그의 변성물, 폴리올레핀 가소제, 석유 유래의 폴리올레핀 가소제에 포함되는 부함물류, 연신 공정 전에 사용되는 롤 및 필름의 세정 용제, 생물의 번식ㆍ부패ㆍ산화ㆍ분해를 억제하는 세정제에 첨가되는 안정화제, 및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상기 혼련 공정 S1, 시트화 공정 S2, 제거 공정 S3 및 연신 공정 S4에 영향을 미치는 1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가공 보조제로서는, 라우르산, 및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및 그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 및 그의 변성물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의 산화 방지제, 및 그들의 변성물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가소제로서는, 유동 파라핀 및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류, 프탈산디옥틸 및 프탈산디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그리고 올레일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폴리올레핀 가소제에 포함되는 부함물류로서는, 올레핀 화합물, 나프텐 화합물, (다핵) 방향족 화합물 등의 유동 파라핀 등의 석유 유래의 폴리올레핀 가소제에 포함되는 부함물류를 들 수 있다. 연신 공정 전에 사용되는 롤 및 필름의 세정 용제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및 헥산 및 헵탄 등의 실온에서 액체인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생물의 번식ㆍ부패ㆍ산화ㆍ분해를 억제하는 세정제에 첨가되는 안정화제로서는,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휘발 성분에 기인하는 원료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크게 하여, 연신로의 내부에서 발생한 휘발 성분을 연신로의 외부로 가능한 한 많이 배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크게 한 경우, 휘발 성분과 함께 가열 공기도 연신로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연신로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연신로(6)에 있어서, 원료 필름(12d)의 반송 방향 MD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반송 방향 M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연신로(6)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로(6)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반출구(62)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커지도록, 연신로(6)에 접속된 배기 덕트에 의한 배기량을 조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연신로(6)가,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의 7개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다(n=3). 이 때문에,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3개의 풍량 제어 존, 즉, 전실(6a), 예열실(6b) 및 제1 연신실(6c)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a 내지 81c)에 의한 총 배기량이, 반출구(62)측에 위치하는 3개의 풍량 제어 존, 즉,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e 내지 81g)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커지도록, 각 배기 덕트(81a 내지 81g)에 의한 배기량을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신로(6)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함으로써, 연신로(6)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신로(6)의 가열 효율을 유지하면서, 연신로(6)의 내부에서 발생한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연신로에 접속된, 각 급기 덕트를 흐르는 유량(급기량) 및 각 배기 덕트(81a 내지 81g)를 흐르는 유량(배기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전실(6a), 예열실(6b) 및 제1 연신실(6c)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a 내지 81c)에 의한 총 배기량이,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e 내지 81g)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입구(61)측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연신로(6)의 내부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반입구(61)에 연결되는 전실(6a) 및 반출구(62)에 연결되는 후실(6g)에서는, 급기를 행하지 않고 배기만을 행하고 있고, 반입구(61) 및 반출구(62)에 대하여, 연신로(6)의 내부측이 대기압보다도 낮은 기압(부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입구(61) 및 반출구(62)에 있어서의 기류는, 연신로(6)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연신로(6)의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휘발 성분이 누출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연신로(6)의 외부에서 응축ㆍ석출된 휘발 성분이 원료 필름(12d)ㆍ세퍼레이터 원단(12c) 상에 적하 또는 낙하함으로써, 원료 필름(12d)ㆍ세퍼레이터 원단(12c)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연신로(6)(전실(6a), 후실(6g))의 내압과 대기압의 차압은 2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Pa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압이 2Pa 미만인 경우에는 거의 등압으로 간주되어, 휘발 성분의 누출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연신로(6)의 내압과 대기압에 상기 차압을 마련함으로써, 연신로(6)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0.5m/sec 이상의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휘발 성분은 연신로(6)의 예열실(6b)로부터의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특히 반입구(61)의 기류는 1.0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전실(6a) 및 후실(6g)에서 배기만을 행함과 함께,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및 열 고정실(6f)에서 급기량보다도 배기량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전실(6a), 예열실(6b) 및 제1 연신실(6c)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a 내지 81c)에 의한 총 배기량이,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에 접속된 3개의 배기 덕트(81e 내지 81g)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커지도록,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연신로(6)의 내부에서 발생한 휘발 성분 및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배기 덕트(81a 내지 81g)로부터 연신로(6)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연신로(6)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의 영향(예를 들어, 연신로(6)의 내부 온도 저하 등)을 억제하면서, 연신로(6)의 내부에서 발생한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연신로(6)의 반입구(61)에 있어서의 기류 AF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연신로(6)의 반출구(62)에 있어서의 기류 AF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폭 방향 TD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필름 연신 장치(5)의 단면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입구(61)에 연결되는 전실(6a)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반입구(61)에 있어서의 기류 AF는, 연신로(6)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출구(62)에 연결되는 후실(6g)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반출구(62)에 있어서의 기류 AF는, 연신로(6)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에 의해,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휘발 성분 VC가 누출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누출된 휘발 성분 VC에 기인하는 원료 필름(12d) 및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필름 연신 장치의 마무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5)는, 원료 필름(12d)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5)이며, 원료 필름(12d)을 반입하는 반입구(61) 및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세퍼레이터 원단(12c))을 반출하는 반출구(62)를 갖는 연신로(6)를 구비하고, 연신로(6)는, 원료 필름(12d)의 반송 방향 MD에 따라,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연신로(6)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반출구(62)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커지도록, 배기량의 밸런스가 제어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5)는, 원료 필름(12d)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5)이며, 원료 필름(12d)을 반입하는 반입구(61) 및 연신 후의 원료 필름(12d)(세퍼레이터 원단(12c))을 반출하는 반출구(62)를 갖는 연신로(6)와, 원료 필름(12d)의 반송 방향 MD에 따라 연신로(6)에 배치되어,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연신로(6)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배기 덕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 덕트에 의한 총 배기량이,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 덕트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커지도록, 배기량의 밸런스가 제어되어 있다.
연신로(6)에서의 가열에 수반하는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6)의 반출구(62)측보다도 반입구(61)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필름 연신 장치(5)에서는, 연신로(6)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연신로(6)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신로(6)의 내부에서 발생한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신로(6)의 내부에 있어서 원료 필름(12d)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원료 필름(12d)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연신 장치(5)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신로(6)의 전실(6a) 및 후실(6g)의 온도 조정을 행하지 않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실(6a) 및 후실(6g)에 대해서도, 독립된 온도 조정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전실(6a) 및 후실(6g)을 가열함으로써, 원료 필름의 휘발 성분 VC가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전실(6a) 및 후실(6g)을 가열함으로써, 전실(6a) 및 후실(6g)의 공기의 밀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배기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이 작아지고, 배기 덕트로부터의 배기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반입구(61) 및 반출구(62)로부터 휘발 성분 VC가 누출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전실(6a) 및 후실(6g)을 독립된 온도 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열 또는 열 고정 시간이 부족한 경우의 대책으로서, 전실(6a) 및 후실(6g)을 원료 필름(12d)의 가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실(6a), 예열실(6b), 제1 연신실(6c), 제2 연신실(6d), 제3 연신실(6e), 열 고정실(6f) 및 후실(6g)의 각 실에 1개씩 배기 덕트가 배치되고, 연신로(6) 전체에서 합계 7개의 배기 덕트가 구비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실에, 반송 방향 MD와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 TD)에 따라 복수의 배기 덕트가 배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에, 반송 방향 MD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2개씩 배기 덕트가 배치되고, 연신로(6) 전체에서 합계 14개(n=7)의 배기 덕트가 구비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연신실(6d)에 구비된 2개의 배기 덕트 중 어느 한쪽 배기 덕트를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7개째 배기 덕트라 간주하고, 다른 쪽 배기 덕트를 반출구(62)측에 위치하는 7개째 배기 덕트라 간주하여, 반입구(61)측에 위치하는 7개의 배기 덕트에 의한 총 배기량이, 반출구(62)측에 위치하는 7개의 배기 덕트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료 필름(12d)을 가로 방향(폭 방향 TD)으로 연신하는 1축 연신 장치의 구성예로서 필름 연신 장치(5)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원료 필름(12d)을 세로(길이) 방향(반송 방향 MD)과 가로 방향(폭 방향 TD)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2축 연신 장치여도 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얻어진 세퍼레이터 원단을 기재로 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필름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도 10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세퍼레이터는, 기재가 되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기능층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기능층으로서는, 내열층이나 접착제층이 예시된다.
세퍼레이터 원단(12c)으로의 기능층의 적층은,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기능층에 대응하는 도료(재료) 등을 도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도 10에서는, 기능층이 내열층(4)인 경우의, 내열 세퍼레이터(12a)의 제조 플로우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되는 플로우는, 내열층(4)의 재료로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를 사용하고, 그것을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적층하는 플로우의 일례이다.
이 플로우는, 제1 검사 공정 S11, 도공 공정 S12, 석출 공정 S13, 세정 공정 S14, 건조 공정 S15, 제2 검사 공정 S16 및 슬릿 공정 S17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상기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제조 플로우에 이어지는 각 공정 S11 내지 S17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 검사 공정 S11)
제1 검사 공정 S11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얻어진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도공에 앞서,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검사를 행하는 공정이다.
(도공 공정 S12)
도공 공정 S12는, 제1 검사 공정 S11에서 검사한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내열층(4)의 도료(재료)를 도공하는 공정이다. 도공 공정 S12에서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의 한쪽 면에만 도공을 행해도 되고, 양면에 도공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공 공정 S12에서는,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내열층용 도료로서, 아라미드의 NMP(N-메틸-피롤리돈) 용액을 도공한다. 또한, 내열층(4)은 상기 아라미드 내열층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열층용 도료로서, 알루미나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물의 현탁액을 도공해도 된다.
도료를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도공하는 방법은, 세퍼레이터 원단(12c)을 균일하게 웨트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바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원단(12c)에 도공되는 내열층(4)의 재료의 막 두께는, 도공 웨트막의 두께, 및 도료의 고형분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석출 공정 S13)
석출 공정 S13은, 도공 공정 S12에서 도공한 도료를 고화시키는 공정이다. 도료가 아라미드 도료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공면에 수증기를 부여하여, 습도 석출에 의해 아라미드를 고화시킨다. 이에 의해, 내열층(4)이 형성된 세퍼레이터 원단(12c)인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도 11 참조)이 얻어진다.
(세정 공정 S14)
세정 공정 S14는, 석출 공정 S13에서 도료를 고화시킨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세정하는 공정이다. 내열층(4)이 아라미드 내열층인 경우에는, 세정액으로서, 예를 들어 물, 수계 용액, 알코올계 용액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세정 공정 S14는,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회의 세정을 행하는 다단 세정이어도 된다.
또한, 세정 공정 S14 후, 세정 공정 S14에서 세정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탈수시키는 물기 제거 공정을 행해도 된다. 물기 제거의 목적은, 다음 공정의 건조 공정 S15에 들어가기 전에,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부착된 물 등을 제거하여, 건조를 쉽게 하고, 또한 건조 부족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건조 공정 S15)
건조 공정 S15는, 세정 공정 S14에서 세정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건조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된 롤에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열풍을 분사하는 방법 등, 각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검사 공정 S16)
제2 검사 공정 S16은, 건조 공정 S15에서 건조시킨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검사하는 공정이다. 이 검사를 행할 때, 결함 개소를 적절히 마킹함으로써,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에 결함이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슬릿 공정 S17)
슬릿 공정 S17은, 제2 검사 공정 S16에서 검사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소정의 제품 폭으로 슬릿(절단)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공정 S17에서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리튬 이온 이차 전지(1) 등의 응용 제품에 적합한 폭인 제품 폭으로 슬릿한다.
도 11의 (a) 및 (b)는 슬릿 공정 S17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공정 S17은,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슬릿하는 슬릿 장치(9)에 의해 행해진다.
슬릿 장치(9)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기둥 형상의, 권출 롤러(91), 롤러(92 내지 95) 및 복수의 권취 롤러(96)를 구비한다. 슬릿 장치(9)에는, 도시하지 않은 날이 복수 설치된다. 권회체(10)는 권출 롤러(91)에 끼워진다. 권회체(10)는, 코어(97)의 외주면에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을 중첩적으로 감은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의 권체이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통상,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그 폭이 제품 폭 이상이 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일단 제조된 후에,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제품 폭으로 슬릿되어 내열 세퍼레이터(12a)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공정 S17에서는,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코어(97)로부터 경로 U 또는 L로 권출된다. 권출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롤러(92ㆍ93)를 경유하여, 롤러(94)로 반송된다. 반송되는 공정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은, 반송 방향 MD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슬릿된다. 이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 원단(12b)이 제품 폭으로 슬릿된 복수의 내열 세퍼레이터(12a)가 제조된다.
제조된 복수의 내열 세퍼레이터(12a)는 각각, 권취 롤러(96)에 끼워진 코어(98)에 권취된다.
〔보충]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연신로에서의 가열에 수반하는 필름의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의 반출구측보다도 반입구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신로에 있어서,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이,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함으로써,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신로의 내부에서 발생한 필름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연신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신로에 배치되어,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연신로에서의 가열에 수반하는 필름의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의 반출구측보다도 반입구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이,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신로에 있어서,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기부의 총 배기량이,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기부의 총 배기량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함으로써,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신로의 내부에서 발생한 필름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연신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상기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상기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연신로의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기 때문에, 필름의 휘발 성분이 연신로의 반입구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연신로의 반입구로부터 외부에 누출된 휘발 성분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상기 반입구에 대하여 상기 연신로의 내부측이 부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입구에 대하여 연신로의 내부측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를,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하는 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신로의 반입구로부터 휘발 성분이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상기 반출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상기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연신로의 반출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기 때문에, 필름의 휘발 성분이 연신로의 반출구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신로의 반출구로부터 외부로 누출된 휘발 성분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상기 반출구에 대하여 상기 연신로의 내부측이 부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반출구에 대하여 연신로의 내부측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를,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하는 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신로의 반출구로부터 휘발 성분이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연신로에서의 가열에 수반하는 필름의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의 반출구측보다도 반입구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필름 연신 공정에서,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을,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필름 연신 공정에서,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을,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풍량 제어 존의 총 배기량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이와 같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함으로써,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신로의 내부에서 발생한 필름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하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에,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연신로에서의 가열에 수반하는 필름의 휘발 성분의 발생량은, 연신로의 반출구측보다도 반입구측의 쪽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필름 연신 공정에서,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이,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배기부에 의한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신로에 있어서, 필름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기부의 총 배기량을, 필름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기부의 총 배기량보다도,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이와 같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량의 밸런스를 제어함으로써, 연신로 전체의 총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신로의 내부에서 발생한 필름의 휘발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하면, 연신로의 내부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성분이 응축ㆍ석출되는 것에 기인하는 필름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필름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5: 필름 연신 장치
6: 연신로
61: 반입구
62: 반출구
6a: 전실(풍량 제어 존)
6g: 후실(풍량 제어 존)
12c: 세퍼레이터 원단(필름)
12d: 원료 필름(필름)
81a 내지 81g: 배기 덕트(배기부)
S4: 연신 공정(필름 연신 공정)
AF: 기류
MD: 반송 방향

Claims (8)

  1.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부터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부터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2.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와,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신로에 배치되어,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이,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상기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구에 대하여 상기 연신로의 내부측이 부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구에 있어서의 기류가, 상기 연신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구에 대하여 상기 연신로의 내부측이 부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7.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는,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신로가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부터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풍량 제어 존으로부터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8.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이며,
    상기 필름을 반입하는 반입구 및 당해 필름을 반출하는 반출구를 갖는 연신로에, 상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독립된 풍량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신로에 2n개 또는 2n+1개(n은 자연수)의 상기 배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 필름 연신 공정에서, 상기 반입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을, 상기 반출구측에 위치하는 n개의 상기 배기부에 의해 상기 연신로의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의 총 배기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제조 방법.
KR1020170117519A 2016-09-20 2017-09-14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2331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3182 2016-09-20
JPJP-P-2016-183182 2016-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81A KR20180031581A (ko) 2018-03-28
KR102331155B1 true KR102331155B1 (ko) 2021-11-26

Family

ID=6161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19A KR102331155B1 (ko) 2016-09-20 2017-09-14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28613B2 (ko)
JP (1) JP6928516B2 (ko)
KR (1) KR102331155B1 (ko)
CN (1) CN107839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03B1 (ko) * 2020-09-09 2021-01-07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필름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제조를 위한 필름 연신장치
KR102399283B1 (ko) *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236A (en) 1977-07-20 1983-03-29 Helms Olin 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and smoke from an airstream
JP2009051135A (ja) * 2007-08-28 2009-03-12 Toyobo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80396A1 (en) 2012-09-20 2014-03-20 Siemens Industry, Inc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ume hood sas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240A (ja) * 1996-01-19 1997-07-29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の延伸方法
JP3948824B2 (ja) * 1998-05-12 2007-07-25 帝人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132065B2 (en) * 2003-02-12 2006-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polymeric optical film
WO2006132367A1 (ja) * 2005-06-10 2006-12-14 Fujifilm Corporation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位相差フィルム、光学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7320276A (ja) * 2006-06-05 2007-12-13 Toray Ind Inc テンターオーブン
KR101393754B1 (ko) * 2006-12-28 2014-05-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의 제조 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 복합편광판의 제조 방법, 복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230221B2 (ja) * 2007-04-20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可塑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33691B1 (ko) * 2007-09-21 2014-08-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제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CN101802662B (zh) * 2007-09-21 2012-02-29 住友化学株式会社 相位差膜的制造方法
JP2009196356A (ja) 2008-01-23 2009-09-03 Fujifilm Corp ポリマフィルムの延伸方法
JP5362625B2 (ja) * 2010-03-15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延伸装置及び方法
JP5694971B2 (ja) 2012-02-08 2015-04-01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979843B1 (en) * 2013-03-29 2020-01-08 Toray Industries, Inc. Tenter ov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236A (en) 1977-07-20 1983-03-29 Helms Olin 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and smoke from an airstream
JP2009051135A (ja) * 2007-08-28 2009-03-12 Toyobo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80396A1 (en) 2012-09-20 2014-03-20 Siemens Industry, Inc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ume hood s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81A (ko) 2018-03-28
CN107839207B (zh) 2022-01-21
US10328613B2 (en) 2019-06-25
JP6928516B2 (ja) 2021-09-01
US20180079114A1 (en) 2018-03-22
CN107839207A (zh) 2018-03-27
JP2018047695A (ja)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072B1 (ko)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2331155B1 (ko)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WO2021079580A1 (ja) 塗工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塗工フィルムの製造装置
KR20170059418A (ko) 가열 롤러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2326449B1 (ko)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KR101979538B1 (ko) 필름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및 가소제 제조 방법
US10427904B2 (en) Method for producing film and method for winding off film
JP6333912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
KR20170074830A (ko)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 필름의 제조 장치
KR20170074788A (ko) 필름 제조 방법
KR101889610B1 (ko) 필름의 제조 방법,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JP7262285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システム、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6632501B2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1787288B1 (ko)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가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