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98B1 - 차량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98B1
KR102329998B1 KR1020180155860A KR20180155860A KR102329998B1 KR 102329998 B1 KR102329998 B1 KR 102329998B1 KR 1020180155860 A KR1020180155860 A KR 1020180155860A KR 20180155860 A KR20180155860 A KR 20180155860A KR 102329998 B1 KR102329998 B1 KR 10232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mirror
vehicle
sun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917A (ko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60J3/0282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a courtesy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52Sun vi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미러의 사용크기를 최대화하고, 조명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차량 외부를 시인할 수 있어서, 차량운행시 선바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신호등이나 보행자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운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가 제안된다. 본 차량용 선바이저는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유닛; 차광유닛(110)의 사용자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 미러유닛으로서,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미러기능을 상실하는 제1미러부,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가변부 및 제2미러부를 포함하는 미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Sun vi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의 사용크기를 최대화하고, 조명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차량 외부를 시인할 수 있어서, 차량운행시 선바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신호등이나 보행자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운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사용되는 선바이저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앞에 부착되어 차실 내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선바이저는 직사광선에 의한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눈부심을 방지해 주는 것으로,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코너 등에 정면 또는 측면 윈도우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량용 선바이저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미러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미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야간사용시 실내조명만으로는 미러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차량용 선바이저는 통상 조명을 수반한다. 그런데, 차량용 선바이저에 부착된 조명은 사용자의 정면에서 조명광을 방출하게 되므로 운전시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사용자가 차량용 선바이저를 사용할 때는, 차량으로 태양광이 과도하게 유입되거나, 여름과 같이 태양광 유입시 직사광선의 직접 조사가 사용자의 차량운행을 방해하는 경우에 선바이저를 최대한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각도를 갖도록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선바이저에 의한 태양광의 차단효과는 높을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운전시야확보에는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에 선바이저를 정면 윈도우를 가리도록 위치시키는 경우, 신호등의 신호가 바뀐 경우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교차로 진입시 신호가 바뀌는 경우를 인지하지 못해 교차로 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의 사용크기를 최대화하고, 조명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차량 외부를 시인할 수 있어서, 차량운행시 선바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신호등이나 보행자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운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는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유닛; 차광유닛의 사용자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 미러유닛으로서,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미러기능을 상실하는 제1미러부,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가변부 및 제2미러부를 포함하는 미러유닛;을 포함한다.
제1미러부는 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시키는 하프미러일 수 있다.
미러유닛은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1미러부를 통해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제1미러부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는 전압인가시 색이 변하여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것일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는 전압미인가시 투명하여 차량외부를 시인가능하고, 투과도가변부의 배면에는 차광유닛이 투명하거나 없을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는 전압인가시 검정색으로 변색되어 광이 투과하지 않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제2미러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명부; 조명부로부터 발광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하프미러부; 및 하프미러부의 배면에 위치하여,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어 하프미러의 미러기능을 조절하는 투과도가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선바이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용 선바이저에 조명을 부착시 조명으로부터의 광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고, 조명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방출하므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운행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선바이저에 조명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차량용 선바이저의 외관이 미려하고 조명 배치의 방식의 자유도가 높아져 원하는 성능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차량용 선바이저에 투과도가변부 구성을 추가하여, 전압인가를 조절하여 차량 외부를 쉽게 시인할 수 있어서 차량운행시 사용자의 안전운행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에 사용되는 하프미러에 조명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 및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 및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투과도가변부에 전압이 인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유닛(110); 차광유닛(110)의 사용자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 미러유닛으로서, 발광부(140), 발광부(140)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미러기능을 상실하는 제1미러부(120),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가변부(150) 및 제2미러부(130)를 포함하는 미러유닛;을 포함한다.
차광유닛(110)은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한다. 차광유닛(110)은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태양광에 의한 변색이나 온도상승에 의한 조직변화가 적은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차광유닛(110)은 제1미러부(120), 투과도가변부(150) 및 제2미러부(130)와 접하는 영역으로 구분된 제1차광부(111), 제2차광부(112) 및 제3차광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미러유닛은 차광유닛(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미러유닛은 사용자가 미러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에 대양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러유닛은 제1미러부(120), 투과도가변부(150) 및 제2미러부(130)를 포함한다. 이 중, 제1미러부(120) 및 제2미러부(130)는 각각 미러기능을 수행하고, 투과도가변부(150)가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변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경우, 투과도가변부(150)도 미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미러부(120), 제2미러부(130) 및 투과도가변부(150)가 모두 미러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전면에 미러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보다 넓은 미러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유닛은 제1미러부(120) 및 제2미러부(130) 이외에 발광부(140)를 포함한다. 발광부(140)는 발광소자(141)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이를 제1미러부(120)로 전달한다. 제1미러부(120)는 발광부(140)로부터 광이 전달되면 미러기능을 일부 또는 전부 상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140)는 사용자를 위한 조명으로서 기능할 때, 발광소자(141)로부터 발광된 광을 직접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제1미러부(120)로 전달하여 광은 제1미러부(12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사용자는 발광부(140)에서 직접 방출된 광이 아닌 제1미러부(120)를 통해 방출된 광의 영향을 받는데, 야간 운전시 직접 방출된 광에 의한 시력약화나 순간적인 시력 상실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다.
제1미러부(120)는 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시키는 하프미러일 수 있다. 하프미러는 광반사와 광투과가 동시에 발생하는 미러를 의미하는데, 하프 미러는 파장에 따라서도 반사율과 투과율이 변화하며, 광을 흡수하는 미러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하프미러는 광반사와 광투과가 50:50인 경우 이외의 미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미러부(120)는 광의 30 내지 50%를 투과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미러부(110) 이외에 투과도가변부(150)를 포함한다. 투과도가변부(150)는 광투과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투과도가변부(150)를 통해 사용자는 화살표 방향으로 차량 외부를 시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과도가변부(150)의 배면의 제2차광부(112)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투과도가변부(150)는 제1미러부(120) 및 제2미러부(1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운전석의 위치나, 차량용 선바이저(100)가 운전석 또는 운전석 이외의 좌석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미러부(120)의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미러부(130)의 우측에 위치하거나, 제1미러부(120) 및 이의 상측 또는 하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사용자에 외부시인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태양광의 차광을 위해 차량용 선바이저(100)를 사용하나,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사용자가 운행 중 보행자나 신호등을 시인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투과도가변부(15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차량 외부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인가에 따라 투명하거나, 투명도가 낮아지게 되어 투명한 경우 사용자의 외부시인기능을 제공하고, 투명도가 낮아지는 경우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도 가변소자로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istal), 부유형 입자(SP, Suspended particle) 또는 전기변색소자(EC device, electrochromic device)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 PDLC는 인가전압이 약 100V이고, SPD는 수십V이며, 전기변색소자는 약 1V미만인데, 차량내부에 사용될 수있는 전압은 약 10V이므로 이들 중 전기변색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용 선바이저(100)에 사용되는 인가전압은 0.1V 내지 12V일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는 전압을 인가하면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색이나 광투과도를 변화시키는 소자이다. 전기변색소자는 메모리 기능이 있어 계속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변화된 광투과도가 유지되어 전력절감에 유리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에 사용될 수 있는 하프미러에 전원을 연결하여 조명을 적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하프미러의 좌측에 조명이 적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프미러의 우측은 미러기능을 수행하나, 조명이 적용된 좌측은 조명이 하프미러를 통해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하프미러가 조명과 함께 하나의 조명부를 이룬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 및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의 제1미러부(120)는 발광부(140)과 인접하여 형성되며, 발광부(140)에서 광이 발광되면 미러기능을 상실한다. 또한, 차량용 선바이저(100)의 미러유닛은 발광부(140)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1미러부(120)를 통해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도광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40)의 발광소자(141)는 발광부(140) 내에서 전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데, 이에 의해 광이 효과적으로 제1미러부(120)를 향하지 못하고 소실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140)는 전원을 높이거나 다수의 발광소자(141)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차량 내부에서는 정해진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 때문에 조명의 밝기가 어두울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40)로부터의 광을 효과적으로 제1미러부(120)에 전달하기 위하여, 발광부(140)와 제1미러부(120) 사이에 도광판(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160)은 발광부(140)의 발광소자(141)로부터의 광방출면에 부착되어, 발광된 광을 상부의 제1미러부(120)측으로 가이드한다. 따라서, 제1미러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부(140)로부터 방출될 광은 도광판(160)에 의해 전면광을 변환되어 제1미러부(120)를 통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발광부(140)는 제1미러부(120)에 광을 공급하므로, 제1미러부(120)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40)는 제1미러부(120)의 2이상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140)는 제1미러부(120)에 광을 공급하므로 제1미러부(120)의 크기와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41)의 갯수, 또는 발광소자(141)의 발광량 등을 고려하여 미러유닛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에서 미러유닛은 도광판(160) 이외에 확산판(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도광판(160)은 발광부(140)로부터의 광을 제1미러부(120)측으로만 가이드하게 되나 발광소자(141)로부터 출발한 광이 도광판(160)내에서 여러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계면 반사등을 통해 소실되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진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미러유닛이 확산판(미도시)을 더 포함하면, 발광부(140)로부터의 광을 균일하게 제1미러부(120)에 전달하고, 균일한 광이 제1미러부(12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눈의 피로감이 감소되고, 보다 편안한 느낌의 조명감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제1미러부 및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40)는 제1미러부(120)의 배면에 위치한다. 도 3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140)가 제1미러부(120)의 뒷면에 위치하고 있다.
발광부(140)가 제1미러부(12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와 달리 본 실시예의 발광부(140)의 발광소자(141)가 발광하는 광은 제1미러부(120)를 향하여 진행한다. 따라서, 발광소자(141)로부터의 광은 손실없이 제1미러부(120)로 전달되고, 낮은 전력과 적은 수의 발광소자로도 원하는 수준의 광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차량용 선바이저(100)에 전압이 인가되면 투과도가변부(150)는 광투과도가 가변된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색이 변하여 광투과도가 변할 수 있고, 광이 반사되어 미러기능을 나타낼 수도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이 인가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검정색으로 변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인가의 시간에 따라 명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검정색, 짙은 회색 또는 흐린 회색 등 다양한 명도로 광투과도가 변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투명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외부를 볼 수 있었던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도 5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하여 광투과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면, 투과도가변부(150)가 검정색으로 변색되어 광이 투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제1미러부(120)와 제2미러부(130) 사이에는 검정색의 투과도가변부(150)가 위치하여 발광부(140)로부터의 광이 제2미러부(130)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광이 제1미러부(120)에서 새어나와 제2미러부(130)에 영향을 미치는 '빛샘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에 편리한 미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인가시간을 조절하여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인가로 광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압인가시간에 따라 투과도를 조절하여 차단하고자 하는 태양광의 세기에 따라 사용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에서 투과도가변부(150)는 일단에 위치한다. 투과도가변부(150)는 전압미인가시 투명하여 차량 외부를 시인하게 하므로, 배면의 차광유닛(110)은 제3차광부(11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차광을 위해서는 투과도가변부(150)에 전압을 인가하여 검정색으로 변화시키면 차광가능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투과도가변부(150)를 통해 차량외부를 시인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선바이저의 투과도가변부에 전압이 인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조명부(140); 조명부(140)로부터 발광된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하프미러부(120); 및 하프미러부(120)의 배면에 위치하여,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어 하프미러의 미러기능을 조절하는 투과도가변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선바이저(100)는 하프미러부(120)의 배면 전체에 투과도가변부(150)를 포함하여, 전압미인가시 후면이 투명하고, 전압인가시 도 8에서와 같이 후면이 검정색이 되거나 또는 광을 반사하게 되어 하프미러부(120)의 미러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차량용 선바이저
110: 차광유닛
111: 제1차광부
112: 제2차광부
113: 제3차광부
120: 제1미러부
130: 제2미러부
140: 발광부
141: 발광소자
150: 투과도가변부
160: 도광판

Claims (8)

  1.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유닛;
    차광유닛의 사용자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 미러유닛으로서,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면 미러기능을 상실하는 제1미러부, 전압인가에 따라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투과도가변부 및 제2미러부를 포함하는 미러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선바이저로서,
    투과도가변부는 전압인가시 검정색으로 변색되어 광이 투과하지 않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제2미러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여, 광이 제1미러부에서 새어나와 제2미러부에 영향을 미치는 빛샘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미러부는 광의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는 반사시키는 하프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3.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러유닛은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1미러부를 통해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발광부는 제1미러부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5. 청구항 1에 있어서,
    투과도가변부는 전압인가시 색이 변하여 광투과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6. 청구항 1에 있어서,
    투과도가변부는 전압미인가시 투명하여 차량외부를 시인가능하고,
    투과도가변부의 배면에는 차광유닛이 투명하거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7. 삭제
  8. 삭제
KR1020180155860A 2018-12-06 2018-12-06 차량용 선바이저 KR10232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860A KR102329998B1 (ko) 2018-12-06 2018-12-06 차량용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860A KR102329998B1 (ko) 2018-12-06 2018-12-06 차량용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917A KR20200068917A (ko) 2020-06-16
KR102329998B1 true KR102329998B1 (ko) 2021-11-23

Family

ID=7114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860A KR102329998B1 (ko) 2018-12-06 2018-12-06 차량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59A (ja) 2003-08-05 2005-03-03 Tnk Incubation:Kk 車両付設用ミラー
JP2008284917A (ja) * 2007-05-15 2008-11-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室内鏡
WO2018198329A1 (ja) * 2017-04-28 2018-11-01 河西工業株式会社 サンバイ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59A (ja) 2003-08-05 2005-03-03 Tnk Incubation:Kk 車両付設用ミラー
JP2008284917A (ja) * 2007-05-15 2008-11-2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室内鏡
WO2018198329A1 (ja) * 2017-04-28 2018-11-01 河西工業株式会社 サンバ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917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2214T3 (es) Vehículo autónomo que minimiza las reacciones humanas
JP5577038B2 (ja) 高輝度ディスプレイを含む車両リアビューアセンブリ
US3199114A (en) Device for eliminating the glare of automobile headlights
CN107089182B (zh) 光线控制系统和交通工具
WO2016138731A1 (zh) 后视镜
WO2014124592A1 (en) Shading device, vehicle and glass shading method
US9302568B2 (en) Sun tracking tint visor
BR112020019269A2 (pt) Impressão óptica aprimorada de um painel de veículo de pdlc por meio de uma combinação de pilhas interna e externa escuras
US20190351821A1 (en) Vehicle part comprising a lighting system
CN114103800B (zh) 车窗透光件发光组件和车辆
KR100905345B1 (ko) 빛 눈부심 방지 장치
CN107848461A (zh) 电子镜装置
KR20210097983A (ko) 광변색 스마트 윈도우와 이를 구비하는 차량 및 건축 구조물
KR102329998B1 (ko) 차량용 선바이저
CN112874439B (zh) 后视镜、后视镜模组及其防眩方法
US201403624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photochromic materials within a vehicle
US11884213B2 (en) Anti-glare apparatus and mirror having lens assembly with controlled optical axis direction
WO2014123453A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глаз водителя при ослеплении светом фар встре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330002B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100579980B1 (ko)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시스템
CN207274550U (zh) 一种防眩光防反光后视镜
CN205395725U (zh) 一种汽车遮光板智能液晶滤光屏
CN219715873U (zh) 一种防眩目lcd镜及汽车后视镜
KR20200068918A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120117256A (ko) 윈도우 틴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