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804B1 - 주방용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주방용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804B1
KR102329804B1 KR1020200129072A KR20200129072A KR102329804B1 KR 102329804 B1 KR102329804 B1 KR 102329804B1 KR 1020200129072 A KR1020200129072 A KR 1020200129072A KR 20200129072 A KR20200129072 A KR 20200129072A KR 102329804 B1 KR102329804 B1 KR 10232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ket
frame
elev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조씽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to KR102020012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각종 식기를 올려좋아 건조시키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맞고 튀는 물방울이 건조 중인 식기에 묻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식기에서 흘러내린 물이 싱크볼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기가 담긴 바스켓을 덮어 미관이 깔끔한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와이어 바스켓; 싱크볼 위에 올려져 지지되는 두 횡부와, 상기 두 횡부를 연결하는 종부를 포함하는 'ㄷ'자 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바스켓이 올려지는 수평벽을 형성하고, 상기 두 횡부를 따라 이동 및 횡부의 단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안착된 상기 바스켓의 측면을 가리는 수직벽을 형성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방용 식기 건조대{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주방에서 각종 식기를 올려좋아 건조시키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맞고 튀는 물방울이 건조 중인 식기에 묻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식기에서 흘러내린 물이 싱크볼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기가 담긴 바스켓을 덮어 미관이 깔끔한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 건조대는 싱크볼 안에 거치하는 식기 건조대와 싱크볼 밖에 거치하는 식기 건조대가 있다.
싱크볼 안에 거치되는 식기 건조대의 경우 수전에서 배출되는 물이 싱크볼에 맞고 튀어서 식기 건조대에서 건조된 식기를 적시는 문제가 있고, 싱크볼 밖에 거치되는 식기 건조대는 식기에 묻어있는 물기가 떨어져 주변을 더럽히고 식기 건조대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식기 건조대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1754313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등록특허 10-1318082 "접철식 식기건조대", 등록특허 10-1614836 "주방용 식기 건조대"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싱크볼 안에 거치되어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식기의 물기가 주변을 더럽히지 않으면서, 싱크볼에 맞고 튀는 물방울이 식기에 묻지 않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와이어 바스켓;
싱크볼 위에 올려져 지지되는 두 횡부와, 상기 두 횡부를 연결하는 종부를 포함하는 'ㄷ'자 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바스켓이 올려지는 수평벽을 형성하고, 상기 두 횡부를 따라 이동 및 횡부의 단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안착된 상기 바스켓의 측면을 가리는 수직벽을 형성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싱기 프레임의 횡부 및 종부에는 상기 바스켓의 테두리 와이어가 올려지는 제1단턱과, 상기 덮개판이 올려지는 제2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을 상기 싱크볼에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횡부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싱크볼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이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이 상기 끼움홈에 내삽되어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가 상기 승하강봉돌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커버의 덮개판이 와이어 바스켓의 측면을 가려서 싱크볼에서 튀는 물방울이 식기에 묻지 않고, 식기의 물기는 싱크볼로 낙하되어 주변을 더럽히지 않고, 덮개판은 바스켓의 상부를 덮어 외관이 깔끔하고, 덮개판은 단독으로 드레이너나 조리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다양한 사용 상태도.
도 4 는 체결블록유닛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와이어 바스켓(10),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바스켓(10)은 사각형 모양의 테두리 와이어(11)와, 상기 테두리 와이어(11)에를 연결하고 식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와이어(1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0)는 프레임(21)과 덮개판(27)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은 두 횡부(22)와, 상기 두 횡부(22)의 일측을 연결하는 종부(23)로 구성되어서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횡부(22)는 싱크볼(1) 위에 올려지고, 상기 종부(23)도 싱크볼(1) 위에 올려질 수도 있고 싱크볼(1)의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횡부(22)와 종부(23)에는 제1단턱(24)과 제2단턱(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24)에는 상기 바스켓(10)의 테두리 와이어(11)가 올려지고, 상기 제2단턱(25)에는 상기 덮개판(27)이 올려진다.
상기 횡부(22)에는 상기 덮개판(2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홈(26)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27)은 상기 프레임(21)의 제2단턱(25)에 올려져서 프레임(21)의 상부를 덮는 수평벽을 형성하거나, 상시 프레임(2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놓여서 수직벽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판(27)에서 일측의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21)의 레일홈(26)에 수용되어서 레일홈(2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8)가 형성되고, 타측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잡기 편하도록 하는 파지홈(29)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27)은 가이드돌기(28)를 이용해 상기 프레임(21)의 수평부를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21)의 상부 개구부를 덮거나, 프레임(21)의 수평부 단부에서 아래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21)의 개구부에 안착된 상기 바스켓(10)의 측면을 가린다.
도1을 보면, 바스켓(10)은 싱크볼(1)의 가장자리에 안치되고, 상기 덮개판(27)이 바스켓(10)의 일면을 막아서, 바스켓(10)은 싱크볼(1)의 벽면과 덮개판(27)으로 사방이 가려짐으로써, 싱크볼(1)로 쏟아져서 싱크볼(1)에 맞고 튀는 물방울이 바스켓(10) 내부로 침투하여 바스켓(10)에 담긴 식기에 묻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세척하여 바스켓(10)이 담은 식기에 묻어있는 물기는 싱크볼(1)로 낙하하여 주변을 더럽히지 않는다.
도3a를 보면, 덮개판(27)으로 프레임(21)의 상부를 덮으면 바스켓(10)과 그곳에 담긴 식기를 가려서 미관이 깔끔하고,
도3b를 보면, 덮개판(27)을 프레임(21)의 상부 개구부를 막고, 바스켓(10)을 덮개판(27) 위오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고,
도3c를 보면, 바스켓(10) 없이 커버(20)만을 싱크볼(1) 위에 올려놓아서, 커버(20)를 단독으로 드레이너나 조리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커버(20)의 프레임(21)을 싱크볼(1)에 간편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20)는 와이어 바스켓(10)을 싱크볼(1)에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단독으로 드레이너나 조리대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커버(20)는 싱크볼(1)에 고정되어 설치될 필요가 있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상기 커버(20)를 상기 싱크볼(1)에 고정되도록 체결시키고, 간편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상기 프레임의 수평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싱크볼의 상부면에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도4a의 [A]는 상기 체결블록유닛(B)이 설치되는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4a의 [B], [C], 도4b의 [D], [E], [F]는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결합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명세서 보기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4a에만 도시하였으며,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도면부호는 도4a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4a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21)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하 개방된 인입홀(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홀(B21)에는 양측으로 끼움홈(B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이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홀(B21)에는 상기 제1블록(B1)이 내삽 되는 것으로, 도4a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B1)은 케이스(2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210)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케이스(210)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가 상기 인입홀(B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상기 제1블록(B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분체 및 하분체의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이동공간부(B11)는 승하강봉돌(B13)이 승하강하는 공간이고,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는 후술하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멈춤턱(B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복귀부재(B16)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팔(B14)은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팔(B14)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날개(B14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날개(B141)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B143)이 구비되어 도4a의 [B]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팔(B14)의 내측 상부에는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B1)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풀업손잡이(B122)에는 후술하는 풀업라인(B124)이 결합되는 라인결합부(B12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B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풀업부재(B12) 및 풀업라인(B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탄성힌지부(B154) 또한 도4a의 [B]의 형상과 같이 상기 풀업부재(B12)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에는 복귀부재(B1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귀부재(B16)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진입뾰족부(B131)가 내삽 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뾰족부수용홈(B161a)이 형성된 복귀몸체(B161)와,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복귀핸들(B162) 및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서 상기 복귀핸들(B162)을 외삽 하도록 구비되는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핸들(B162)의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핸들홀딩부(B16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블록유닛(B)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4a의 [B]와 같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풀업부재(B12)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블록(B1)을 인입홀(B21)에 끼워 넣은 후, 도4a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풀업손잡이(B122)를 잡고 풀업부재(B1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멈춤턱(B111)에 의해 상승이 불허되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와 승하강블록이 멀어져 자성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풀업라인(B124)이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다리(B152)가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게 되나,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도4a의 [C]와 같은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승하강봉돌(B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진입뾰족부(B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진입안내경사부(B14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제1블록(B1) 양측으로 전진시켜 도4b의 [D]와 같이,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2블록(B2)에 끼움홈(B22)에 내삽 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승하강봉돌(B13)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후퇴를 불허하여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면 도4b의 [D]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조금 하강시킨 후, 상기 도4b의 [E]와 같이 중력가속도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에 상기 회전스토퍼(B15)의 스토핑다리(B152)가 밀착되어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도4b의 [D]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도4a의 [C]와 같이 접혀진 스토핑다리(B152)가 다시 펼쳐지는 공간이 확보되고, 도4b의 [E]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4b의 [F]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몸체(B161) 하단이 하부단턱부(B112)에 밀착될 때 까지 상기 복귀핸들(B162)을 잡고 당기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사용자가 복귀부재(B1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위로 타격시키며, 승하강봉돌(B13)이 상승하다가 상기 풀업부재(B12)의 마그넷몸체(B121)와 자력에 의해 붙어 앞서 도4케이스(210)의 [B]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되어 제1블록(B1)을 손쉽게 제2블록(B2)으로부터 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보다 손쉽게 결합, 고정유지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스켓 11 : 테두리 와이어
13 : 공간 와이어
20 : 커버 21 : 프레임
22 : 횡부 23 : 종부
24 : 제1단턱 25 : 제2단턱
26 : 레일홈 27 : 덮개판
28 : 가이드돌기 29 : 파지홈
B : 고정블록유닛
B1 : 제1블록 B11 : 이동공간부
B12 : 풀업부 B13 : 승하강봉돌
B14 : 고정팔 B15 : 회전스토퍼
B16 : 복귀부재 B2 : 제2블록
B21 : 인입홀 B22 : 끼움홈

Claims (3)

  1. 와이어 바스켓;

    싱크볼 위에 올려져 지지되는 두 횡부와, 상기 두 횡부를 연결하는 종부를 포함하는 'ㄷ'자 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져 상기 바스켓이 올려지는 수평벽을 형성하고, 상기 두 횡부를 따라 이동 및 횡부의 단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안착된 상기 바스켓의 측면을 가리는 수직벽을 형성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프레임을 상기 싱크볼에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블록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횡부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싱크볼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이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이 상기 끼움홈에 내삽되어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가 상기 승하강봉돌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횡부 및 종부에는 상기 바스켓의 테두리 와이어가 올려지는 제1단턱과, 상기 덮개판이 올려지는 제2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3. 삭제
KR1020200129072A 2020-10-07 2020-10-07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232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72A KR102329804B1 (ko) 2020-10-07 2020-10-07 주방용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72A KR102329804B1 (ko) 2020-10-07 2020-10-07 주방용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804B1 true KR102329804B1 (ko) 2021-11-23

Family

ID=7869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72A KR102329804B1 (ko) 2020-10-07 2020-10-07 주방용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36B1 (ko) * 2023-02-28 2024-01-02 강동희 모듈식 싱크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24Y1 (ko) * 2003-06-26 2003-10-04 주식회사 엔텍 개수대가 일체로 구비된 식기 건조기
JP2004329249A (ja) * 2003-04-30 2004-11-25 Yamaha Livingtec Corp 食器洗浄等機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KR102200049B1 (ko) * 2020-09-07 2021-01-08 김수종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249A (ja) * 2003-04-30 2004-11-25 Yamaha Livingtec Corp 食器洗浄等機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KR200328724Y1 (ko) * 2003-06-26 2003-10-04 주식회사 엔텍 개수대가 일체로 구비된 식기 건조기
KR102200049B1 (ko) * 2020-09-07 2021-01-08 김수종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36B1 (ko) * 2023-02-28 2024-01-02 강동희 모듈식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3455B1 (en) Dishwasher
US20130019974A1 (en) Extendable faucet spout
KR102329804B1 (ko) 주방용 식기 건조대
US20130105423A1 (en) Collapsible dish drying rack
RU2578988C2 (ru) Чайник с крышкой, снабженной убираемым захватным элементом
US20140251930A1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WO2008038320A1 (en) Dishwasher
US7699063B2 (en) Dispenser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9157549B2 (en) Spigot attachment operated with foot control device
US20220354338A1 (en) Dishwasher
CN209003740U (zh) 一种组合式浴室柜
US1817596A (en) Bathing table
CN111956150A (zh) 洗碗机及具有其的洗碗机系统
CN107752843B (zh) 一种安全浴缸
EP1464269A1 (en) Dishwasher basket
CN209331727U (zh) 烹饪器具
JP3175357U (ja) 急須
JP5153229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940002708Y1 (ko) 씽크대용 선반
CN208510890U (zh) 含隐藏式升降置物架的洗手池
JP2000342508A (ja) 食器洗浄乾燥機の構造
KR20090008114U (ko) 다용도 용기 거치 기구
KR200163204Y1 (ko) 싱크대용보조트레이
ITMN20140016U1 (it) Dispositivo elevatore del cestello in una lavastoviglie.
KR101268650B1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