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49B1 -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 Google Patents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49B1
KR102200049B1 KR1020200113638A KR20200113638A KR102200049B1 KR 102200049 B1 KR102200049 B1 KR 102200049B1 KR 1020200113638 A KR1020200113638 A KR 1020200113638A KR 20200113638 A KR20200113638 A KR 20200113638A KR 102200049 B1 KR102200049 B1 KR 10220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eating tank
cover
heating
undilut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종
Original Assignee
김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종 filed Critical 김수종
Priority to KR102020011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가열하여 원액을 추출하는 원액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간접 방식으로 가열하여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고농축의 순수 원액을 추출하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는 측벽에 온수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열탱크; 상기 가열탱크 내부에 놓이는 수집통; 상기 가열탱크의 개구부를 덮고, 내면에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집수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가열탱크의 공간에 담긴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Undiluted solution extractor with los temperature and indirect heating type}
본 발명은 식물을 가열하여 원액을 추출하는 원액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간접 방식으로 가열하여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고농축의 순수 원액을 추출하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원액 추출기는 쑥, 죽순 등의 약용식물과 허브 등 식물을 가열하여 식물의 유효성분인 원액을 추출한다.
원액 추출기는 식물이 담긴 가열탱크에 고온의 수중기를 투입하여 식물을 직접가열하는 방식과, 외부에서 가열탱크를 가열하여 식물을 간접가열하는 방식이 있다.
수증기를 이용한 직접가열는 방식은 식물에서 추출되는 원액에 수증기가 응결한 물이 포함되어서, 원액의 농노와 순도가 떨어지고 수증기의 불순물이 원액에 함유될 수 있다.
간접가열방식은 가열탱크를 전기 열선이나 가스 화력으로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는데, 고온으로 가열하면 추출되는 원액의 유효성분들 중 일부가 파손되어 효능이 떨어진다.
참고로, 식물의 원액 추출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0421283 "건강식품(健康食品) 및 보약(補藥)의원액추출(原液抽出)용 증숙기(蒸孰器)", 등록특허 10-0820344 "식물체의 정유 추출 장치"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가열탱크의 측벽 공간에 담긴 온수를 이용해 식물을 저온으로 간접가열함으로써, 추출되는 원액의 순도와 농노가 높고,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아서 식물의 효능이 그대로 녹아든 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가열탱크와 커버의 밀폐력을 높여 추출 효율이 뛰어나고 커버를 가열탱크에 간편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는
측벽에 온수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열탱크;
상기 가열탱크 내부에 놓이는 수집통;
상기 가열탱크의 개구부를 덮고, 내면에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집수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가열탱크의 공간에 담긴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열탱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에 가압되어서 상기 가열탱크와 커버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쿼드링을 사용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홈에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커버에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유닛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가열탱크에 구비되고 다른 케이싱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이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이 상기 끼움홈에 내삽되어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가 상기 승하강봉돌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는 약초 등의 식물을 저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추출되는 원액에서 유효성분의 파괴를 예방하고, 간접가열방식으로 추출되는 원액의 순도와 농도가 높고, 커버가 가열탱크에 긴밀하게 밀폐되어서 추출효과가 우수하고, 커버를 가열탱크에 간편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다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에서 커버를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도1의 단면구조도.
도 4 는 밀폐링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체결블록유닛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는 가열탱크(10), 수집통(20), 커버(30), 히터(40), 냉각팬(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탱크(10) 내부에는 원액을 추출하고자 하는 식물이 투입된다. 식물은 가열탱크(10) 내부에 직접 투입될 수 있고, 가열탱크(10) 내부에 망구조물을 넣고, 망구조물 위에 식물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상기 가열탱크(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측벽에는 온수가 담기는 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탱크(10)의 외면에는 단열재(12)가 구비되어서 온수의 열손실을 줄여준다.
상기 가열탱크(10)의 바닥에는 이동편의를 위해 바퀴(14)가 달린 다리(13)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탱크(10)의 상부 외면에는 커버(30)를 고정시키기 위해 힌지핀(15)과 조임구(16)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15)은 상기 가열탱크(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임구(16)는 상기 힌지핀(15)의 단부에 스크류결합되어서 힌지핀(15)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다.
상기 커버(30)의 테두리에는 상기 힌지핀(15)이 회전하여 사이에 개재되는 한 쌍의 고정편(35)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15)이 한 쌍의 고정편(35)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구(16)를 돌리면 조임구(16)가 힌지핀(15)을 따라 전진하여 고정편(35)에 가압고정되어서, 커버(30)를 고정시킨다.
상기 조임구(16)는 상기 커버(30)를 가열탱크(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지만, 조이고 푸는데 손이 많이 가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상기 조임구(16) 등을 대신하여 커버(30)를 가열탱크(10)에 간편신속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체결블록유닛(B)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가열탱크(10)의 상부면에는 안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7)에는 밀폐링(R)이 안착된다. 상기 밀폐링(R)은 상기 커버(30)에 의해 가압되어서 가열탱크(10)와 커버(30)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링(R)의 밀폐력을 높이고, 탄성이 장기간 유지되어 밀폐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상기 밀폐링(R)은 쿼드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부재(E)가 구비된다. 상기 쿼드링 구조의 밀폐링(R)와 탄성 변형부재(E)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수집통(20)은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 중앙에 놓여서, 식물에서 추출되는 원액이 수집된다.
상기 히터(40)는 상기 가열탱크(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온수를 가열하여 가열탱크(10)의 측벽 공간에 공급한다. 상기 히터(40)는 가열탱크(10)의 공간에 담긴 온수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30)는 가열탱크(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커버(30)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10)에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 부위의 반대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3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손잡이(31)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0)의 테두리 곳곳에서 고정편(35)이 구비되어서 상기 힌지핀과 조임구(16)에 의해 가열탱크(1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커버(30)의 내면에는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집수면(33)이 형성된다. 식물에서 증기로 추출된 원액을 상기 집수면(33)에 접촉하여 응결되고, 응결된 원액 물방울은 집수면(33)을 타고 흐르게 되고, 흐르는 원액 물방울은 집수면(33)의 꼭지점에서 낙하되어 집수통(20)을 담기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외면에는 중공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37)에는 냉매가 채워져서 커버(30)의 집수면(33)에 접촉되는 원액의 증기가 보다 신속하게 응결되도록 할 수 있다.
냉매를 대신하여 상기 커버(30)에는 냉각팬(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0)은 외부 저온 공기를 상기 커버(30)의 중공부(37)를 송풍하고, 내부의 고온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중공부(37)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켜서, 커버(30)의 온도를 낮춘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가열탱크(10)와 커버(30)의 결합 틈새를 보다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밀폐링(R)으로 쿼드링(R)과 탄성 변형부재(E)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쿼드링(R)은 고무나 실리콘 등처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부가 상기 가열탱크(10)에 형성된 안착홈(17) 표면 위로 돌출되어서, 커버(30)에 눌려 가압되어 팽창되면서 결합 틈새를 탄성으로 밀폐한다.
밀폐링으로 주로 사용되는 오링은 반복 사용에 따라 마모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탄성력이 자연적으로 약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쿼드링(R)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부재(E)를 도입하여서, 쿼드링(R)의 마모와 탄성력 약화에도 접촉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쿼드링(R)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R1)들과, 상기 립부(R1)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R2)과, 상기 끼움공(R2)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R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끼움공(R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E1)와, 상기 탄성링부(E1)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R3)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E2)와, 상기 연결부(E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R1)보다 돌출되게 연결되며 안착홈(17)의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E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탱크(10)의 안착홈(17)에 안착된 상기 쿼드링(R)의 돌출부위가 상기 커버(30)에 가압되면, 상기 안착홈(17)의 바닥이 상기 누름부(E4)를 누르면서 상기 탄성링부(E1)가 벌어져, 안착홈(17) 밖으로 돌출된 립부(R1)가 확장되면서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보다 강력하게 가압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부(E4)가 눌리면, 'X'자형으로 교차된 연결부(E2)가 탄성링부(E1)를 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쿼드링(R)은 도4를 기준으로 상부가 가압되어 눌리면 좌우 옆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안착홈(17)(22)에 안착된 상기 쿼드링(R)은 안착홈(17)의 벽면에 막혀 옆으로 눌어나지 못하고, 오히려 상기 쿼드링(R)은 옆으로 눌리는 힘이 안착홈(17)(22)의 벽면에 막혀 오무려지는 힘으로 작용하여서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삽입홈(R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탄성 변형부재(E)의 두 연장부(E3)도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탄성링부(E1)는 직경이 확장된다. 탄성링부(E1)의 직경이 확장되면 그 만큼 안착홈(17) 밖에 있는 립부(R1)도 확장된다.
상기 쿼드링(R)은 일측 립부(R1)들 사이의 오목부의 외면이 상기 삽입홈(R3)으로 절개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R2)을 중심으로 립부(R1)들이 벌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R3)은 상기 끼움공(R2)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쿼드링(R)과 대응하는 원형 링 형상의 탄성링부(E1)가 파이프 형태로 상기 끼움공(R2)에 끼워져 장착되며, 이때 탄성링부(E1)를 따라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는 끼움공(R2)의 내주면과 립부(R1)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E3)로 연결되어 있어, 탄성 변형부재(E)를 쿼드링(R)의 끼움공(R2)에 장착하면 삽입홈(R3)으로 노출되는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되어서, 도4를 기준으로 상부의 립부(R1)를 가압하는 때에 쿼드링(R)은 일시적으로 하강할 수 있지만, 눌림에 의해 하부의 립부(R1)가 오무려지고 탄성링부(E1)에 의해 상부의 립부(R1)가 확장됨에 의해 상부의 립부(R1)가 승강하는 범위가 더 크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가열탱크(10)와 커버(30)를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커버(30)가 가열탱크(10)에 간편하며 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도5를 기준으로 하여 커버(30)의 테두리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가열탱크(10)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도5a의 [A]는 상기 체결블록유닛(B)이 설치되는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5a의 [B], [C], 도5b의 [D], [E], [F]는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결합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명세서 보기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5a에만 도시하였으며,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도면부호는 도5a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5a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탱크(10)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하 개방된 인입홀(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홀(B21)에는 양측으로 끼움홈(B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이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홀(B21)에는 상기 제1블록(B1)이 내삽 되는 것으로, 도5a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B1)은 커버(3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30)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커버(30)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가 상기 인입홀(B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상기 제1블록(B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분체 및 하분체의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이동공간부(B11)는 승하강봉돌(B13)이 승하강하는 공간이고,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는 후술하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멈춤턱(B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복귀부재(B16)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팔(B14)은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팔(B14)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날개(B14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날개(B141)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B143)이 구비되어 도5a의 [B]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팔(B14)의 내측 상부에는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B1)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풀업손잡이(B122)에는 후술하는 풀업라인(B124)이 결합되는 라인결합부(B12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B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풀업부재(B12) 및 풀업라인(B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탄성힌지부(B154) 또한 도5a의 [B]의 형상과 같이 상기 풀업부재(B12)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에는 복귀부재(B1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귀부재(B16)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진입뾰족부(B131)가 내삽 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뾰족부수용홈(B161a)이 형성된 복귀몸체(B161)와,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복귀핸들(B162) 및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서 상기 복귀핸들(B162)을 외삽 하도록 구비되는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핸들(B162)의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핸들홀딩부(B16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블록유닛(B)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5a의 [B]와 같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풀업부재(B12)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블록(B1)을 인입홀(B21)에 끼워 넣은 후, 도5a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풀업손잡이(B122)를 잡고 풀업부재(B1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멈춤턱(B111)에 의해 상승이 불허되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와 승하강블록이 멀어져 자성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풀업라인(B124)이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다리(B152)가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게 되나,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도5a의 [C]와 같은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승하강봉돌(B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진입뾰족부(B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진입안내경사부(B14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제1블록(B1) 양측으로 전진시켜 도5b의 [D]와 같이,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2블록(B2)에 끼움홈(B22)에 내삽 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승하강봉돌(B13)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후퇴를 불허하여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면 도5b의 [D]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조금 하강시킨 후, 상기 도5b의 [E]와 같이 중력가속도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에 상기 회전스토퍼(B15)의 스토핑다리(B152)가 밀착되어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도5b의 [D]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도5a의 [C]와 같이 접혀진 스토핑다리(B152)가 다시 펼쳐지는 공간이 확보되고, 도5b의 [E]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5b의 [F]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몸체(B161) 하단이 하부단턱부(B112)에 밀착될 때 까지 상기 복귀핸들(B162)을 잡고 당기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사용자가 복귀부재(B1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위로 타격시키며, 승하강봉돌(B13)이 상승하다가 상기 풀업부재(B12)의 마그넷몸체(B121)와 자력에 의해 붙어 앞서 도4커버(30)의 [B]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되어 제1블록(B1)을 손쉽게 제2블록(B2)으로부터 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보다 손쉽게 결합, 고정유지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가열탱크 11 : 측벽 공간
12 : 단열재 13 : 다리
14 : 바퀴 15 : 힌지핀
16 : 조임구 17 : 안착홈
20 : 수집통 30 : 커버
31 : 손잡이 33 : 집수면
35 : 고정편 37 : 중공부
40 : 히터 50 : 냉각팬
B : 체결블록유닛 R : 쿼드링
E : 탄성 변형부재

Claims (4)

  1. 측벽에 온수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열탱크;
    상기 가열탱크 내부에 놓이는 수집통;
    상기 가열탱크의 개구부를 덮고, 내면에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집수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가열탱크의 공간에 담긴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상기 커버에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유닛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가열탱크에 구비되고 다른 케이싱에 구비되는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이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이 상기 끼움홈에 내삽되어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가 상기 승하강봉돌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에 가압되어서 상기 가열탱크와 커버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링은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와, 립부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쿼드링을 사용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와, 상기 탄성링부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보다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홈에 바닥에 놓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4. 삭제
KR1020200113638A 2020-09-07 2020-09-07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KR10220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38A KR102200049B1 (ko) 2020-09-07 2020-09-07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38A KR102200049B1 (ko) 2020-09-07 2020-09-07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049B1 true KR102200049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38A KR102200049B1 (ko) 2020-09-07 2020-09-07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04B1 (ko) * 2020-10-07 2021-11-23 주식회사 백조씽크 주방용 식기 건조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44B1 (ko) * 2006-10-19 2008-04-07 주식회사 파인엠 식물체의 정유 추출 장치
KR101756705B1 (ko) * 2017-01-24 2017-07-11 곽영주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44B1 (ko) * 2006-10-19 2008-04-07 주식회사 파인엠 식물체의 정유 추출 장치
KR101756705B1 (ko) * 2017-01-24 2017-07-11 곽영주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04B1 (ko) * 2020-10-07 2021-11-23 주식회사 백조씽크 주방용 식기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049B1 (ko) 저온 간접가열식 원액 추출기
ES2218244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jeringa de inyeccion.
CN205925061U (zh) 植物精华提取机
CN101632620B (zh) 香薰按摩磁疗温灸棒
KR102172289B1 (ko) 식물 유효성분 추출용 증숙기
CN201880008U (zh) 黑陶温灸炉
KR101336277B1 (ko) 한약 재탕기
CN206314300U (zh) 滇重楼防倒伏支架
CN203107707U (zh) 用于中药的蒸煮装置
KR200221567Y1 (ko) 쑥뜸기
KR100421283B1 (ko) 건강식품(健康食品) 및 보약(補藥)의원액추출(原液抽出)용 증숙기(蒸孰器)
Leung et al.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of Chinese medicinal herbs against duck hepatitis B virus
CN107260545B (zh) 一种方便掌握火候的中药罐
KR200266684Y1 (ko) 건강식품(健康食品) 및 보약(補藥)의원액추출(原液抽出)용 증숙기(蒸孰器)
CN207100211U (zh) 胡蜂取毒器
KR960007592Y1 (ko) 다용도 중탕 요리기
CN101848665B (zh) 具有深褐色釉面的陶器的萃取器及用其进行萃取的方法
CN111514219A (zh) 一种可提高自体抗病能力中药配方
CN204521526U (zh) 熏蒸仪
CN109792979A (zh) 可快速拔插的电热液体蚊香加热器
KR200326280Y1 (ko) 홍삼탕기의 용기뚜껑 연결장치
KR200236168Y1 (ko)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CN207654436U (zh) 中药煎壶
KR20180009492A (ko) 한약재 추출용 주머니
CN209048416U (zh) 一种烧伤科临床救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