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255B1 -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255B1
KR102329255B1 KR1020210072274A KR20210072274A KR102329255B1 KR 102329255 B1 KR102329255 B1 KR 102329255B1 KR 1020210072274 A KR1020210072274 A KR 1020210072274A KR 20210072274 A KR20210072274 A KR 20210072274A KR 102329255 B1 KR102329255 B1 KR 10232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
caterpillar
elastic plate
enveloping
un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에프앤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7179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292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앤비준 filed Critical (주)에프앤비준
Priority to KR102021007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She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or with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의료용 트랜스퍼 시트가 인장강도가 약하고, 시트에 천공된 천공형 손잡이부를 감아 쥐고 환자를 들어서 이송할 때, 시트가 외압에 의해 잘 찢어져서 환자의 낙상사고로 인해 2차 부상이 자주 발생되고, 이송 중 환자의 혈액, 땀, 기타 체액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됨에 따라 주변이 오염되어 2차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과, 기존 도막시트공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막 방수재의 휘발성분이 시트를 투과하지 못하고 도막 방수층과 시트 방수층에 잔류하여 장기적으로 시트를 용융시키는 하자와 누유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애벌레형 몸체(10),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30),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로 구성됨으로서,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일회용 들것 시트에 실은 후 환자를 양끝단 손잡이를 통해 들어서 옮겨 이동시킬 수 있어, 코로나사태로 인해 코로나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시 대량이동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이송시 환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아 보호하는 감싸안음애벌레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낙하사고 및 혈액, 땀, 체액으로 인한 감염사고로부터 기존에 비해 60%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트의 표면에 접착제를 그리비아 롤(롤 코터)방식으로 도포하여 붙이는 콜드글루 공법으로 3중 구조의 플레이트부(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합지할 수 있어, 휘발성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플레이트부 층간 부풀음 및 플레이트부 재질간 박리현상을 제거하여 접착효율을 80%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막 방수재의 성능개선으로, 일정한 경화, 숙성시간을 거치면서 기존보다 2배~4배의 강한 접착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Folding and unfolding enveloping caterpillar-type medical stretch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재난사고 또는 코로나사태로 인해 코로나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시,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면서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감염 또는 재난사고발생시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들어서 옮겨 이동시킬때, 일회용 들것 시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3444호에서 부직포 시트, 보강시트,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의료용 트랜스퍼 시트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부직포 원단에 단순 코팅처리를 하거나 PE필름만을 열처리공법에 의해 부착시켜 시트를 제조하기 때문에 원단자체의 인장강도가 약하고, 인장력이 약한 부직포 재질의 시트에 4면 일측에 천공형 손잡이부가 형성됨으로서, 시트에 천공된 천공형 손잡이부를 감아 쥐고 환자를 들어서 이송할 때, 시트가 외압에 의해 잘 찢어져서 환자의 낙상사고로 인해 2차 부상이 자주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찢어진 시트로 인해 해당부위의 방수기능이 떨어지고, 이송 중 환자의 혈액, 땀, 기타 체액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됨에 따라 주변이 오염되어 2차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료용 트랜스퍼 시트의 경우에 기존 도막시트공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막 방수재의 휘발성분이 시트를 투과하지 못하고 도막 방수층과 시트 방수층에 잔류하여 장기적으로 시트를 용융시키는 하자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방수층이 파괴되어 누수가 발생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도막 방수재의 휘발성분이 충분히 굳지 않거나 끈기가 부족하여 균열을 따라 흘러내리는 누유현상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3444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면서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고,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트의 표면에 접착제를 그리비아 롤(롤 코터)방식으로 도포하여 붙이는 콜드글루 공법으로 3중 구조의 플레이트부(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합지할 수 있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는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면서 들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 전체만 개통되어 형성되고, 하단, 측단 둘레가 커버보호막으로 형성되는 애벌레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애벌레형 몸체(10)와,
애벌레형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환자의 몸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 사이에 접착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30)와,
애벌레형 몸체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바닥면(Ground)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되고, "11"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접착시킴과 동시에 시트를 펼쳤을 때 펼침을 유지하도록 뼈대를 형성시키는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일회용 들것 시트에 실은 후 환자를 양끝단 손잡이를 통해 들어서 옮겨 이동시킬 수 있어, 코로나사태로 인해 코로나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시 대량이동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이송시 환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아 보호하는 감싸안음애벌레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낙하사고 및 혈액, 땀, 체액으로 인한 감염사고로부터 기존에 비해 60%이하로 낮출 수 있다.
둘째,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트의 표면에 접착제를 그리비아 롤(롤 코터)방식으로 도포하여 붙이는 콜드글루 공법으로 3중 구조의 플레이트부(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합지할 수 있어, 휘발성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플레이트부 층간 부풀음 및 플레이트부 재질간 박리현상을 제거하여 접착효율을 80%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막 방수재의 성능개선으로, 일정한 경화, 숙성시간을 거치면서 기존보다 2배~4배의 강한 접착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셋째, 접었다가 펼칠 수 있고, 가벼운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로 형성되어, 언제 어디서나, 어느 국가에서든지 대량으로 수출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이 인해, 인도, 브라질과 같이 코로나환자가 기하 급수적으로 발생되는 나라에 수출을 많이 할 수 있어, 국가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수익증대를 80%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형상과 구성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되기 전에,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를 통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접착시킨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되기 전에, 형성된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아 롤 장치를 통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아 롤 장치를 통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를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시키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부착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쪽 끝단에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형성되도록 박음질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고무밴드를 박음질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웨빙테이프가 실제 설치되는 길이방향의 길이, 두께, 두개의 웨빙테이프 사이의 거리,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부 측단부에서 안쪽까지의 거리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의 외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일회용 들것 시트에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실으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테잎손잡이부가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끝단에 형성됨으로서, 환자를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로 들어서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형상과 구성을 도시한 일실시예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애벌레형 몸체(10),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30),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애벌레형 몸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애벌레형 몸체(10)는 상단 전체만 개통되어 형성되고, 하단, 측단 둘레가 커버보호막으로 형성되는 애벌레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면에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가 형성되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하단면에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가 형성되며,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하단면에 바닥접촉플레이트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트윈형 웨빙테잎뼈대부가 형성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윈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끝단에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트윈형 웨빙테잎뼈대부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두께 4mm~10mm 고무밴드(11)가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4mm~10mm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됨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의 일부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쪽으로 말아지면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를 통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즉,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생성시켜, 애벌레형상처럼 쪼그라들게끔 만들어 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는 애벌레형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환자의 몸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추가로, 환자의 혈액, 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기능과 외부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오염방지라는 것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어, 항균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는 100%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생산하는 장섬유 부직포로서,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SMS(스폰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 SMMS(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SSMMS(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제조된다.
이는 뛰어난 촉감 및 유연성, 우수한 통기성 및 여과기능, 높은 단열 및 보온력, 발수성, 항균성, 우수한 내화학성, 난연성, 내약품성, 다양한 색상표현, 용이한 후가공성, 인체무해성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중량은 15~150g/m2이고, 두께는 0.21~0.72mm이며, 인장강도는 23~245 N/mm2이고, 신도는 120~180%를 갖는 특성을 지닌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SS는 원료(주로 PP, PET)를 방사하여 열에 의해 자체 접착하여 웹(Web)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멜트브로운 부직포 MB는 합성고분자를 방사하여 고압열풍에의해 극세 섬유로 되어 균일한 용융섬유 웨브로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SMS(스폰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는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스펀본드 부직포 SS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SMMS(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는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스펀본드 부직포 SS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SSMMS(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는 스펀본드 부직포 SS,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스펀본드 부직포 SS 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는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대신하여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것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4mm~10mm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됨으로서,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의 일부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쪽으로 말아지면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를 통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생성시켜, 애벌레형상처럼 쪼그라들게끔 만들어 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 사이에 접착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 : Linear Density Polyethylene Film)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은 기계적 작업성이 뛰어나고, 수증기 투과성이 낮고 가스 투과성이 높으며, 자외선 투과성이 높고, 무독, 무미, 비교적 저온에서 살균도 가능, 인장력이 좋고, 인열, 파열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특성을 가진다.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LDPE :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은 기계적 작업성이 뛰어나고, 수증기 투과성이 낮으며, 자외선 투과성이 높으며, 투명성이 양호하여 광택이 좋고, 무독, 무미, 비교적 저온에서 살균도 가능, 인장력이 좋고, 인열, 파열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는 애벌레형 몸체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바닥면(Ground)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접촉면 표면을 코팅처리하여 방수기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접촉플레이트부는 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는 100%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생산하는 장섬유 부직포로서,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SMS(스폰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 SMMS(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SSMMS (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제조된다.
그리고, 중량은 15~150g/㎡이고, 두께는 0.21~0.72mm이며, 인장강도는 23~245 N/㎟이고, 신도는 120~180%를 갖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접촉플레이트부는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대신하여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는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의 일부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쪽으로 말아지게 형성시킬 수가 있다.
즉,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생성시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를 통해 애벌레형상처럼 쪼그라들게끔 만들어 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되고, "11"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접착시킴과 동시에 시트를 펼쳤을 때 펼침을 유지하도록 뼈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웨빙테이프 두개가 트윈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웨빙테이프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고정시키는 테이프로서, 이는 나일론을 튜브 형태로 납작하게 짠 것으로 1~30mm 두께를 지니고 있고, 최소 강도는 22킬로뉴턴이며, 같은 굵기의 로프보다 강도는 우수하나 충격을 받았을 때 늘어나지 않는 정적 로프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일예로, 도 11에 도시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웨빙테이프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부 측단부에서 13cm 안쪽으로, 두께 22mm 이상, 길이방향 175cm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개의 웨빙테이프 사이의 거리는 49.4cm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쪽 끝단에 지름 15cm이고,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51)가 일체형으로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즉, 웨빙테이프가 두개이므로, 하나의 웨빙테이프 양 끝단에 하나씩 해서 2개이므로, 총 4개의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웨빙테이프는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길이방향의 길이, 두께, 두개의 웨빙테이프 사이의 거리,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부 측단부에서 안쪽까지의 거리는 다양한 길이, 두께, 거리로 맞춤형으로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한 후,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한다(S10).
여기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은 그라비아 롤 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100a)을 담은 용기(110)에, 용기(110)의 접착제(100a)을 묻혀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의 하단면에 코팅하기 위한 메쉬롤(120)이 형성되어 있고, 메쉬롤(120)의 상부측에는 서로 맞닿음되면서 회전되는 러버롤(130)이 위치되어 있다.
그라비아 롤 코팅의 원리는 메쉬롤(120)의 표면에 있는 수많은 홈(121)에 접착제(100a)를 함침시킨후 러버롤(130)로 눌러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100a)를 묻어나게 한다.
또한, 용기(110)에 담겨져 있는 접착제(100a)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메쉬롤(120)에는 나이프(140)가 형성되어 있어 메쉬롤(120)에 의해 점착되어 올라가는 묽은 접착제(100a)를 긁어내려 적당한 양을 공급한다.
상기 접착제는 밀도(g/㎤) 1.08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밀도(g/㎤) 1.07인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75:25 중량비율로 배합한 복합 폴리아마이드 수지 75~85wt%와,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8~15wt%와,
옻과 전분을 3:7 중량비율로 배합한 천연재료 3~15wt%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의 접착증진제 0.1~1wt%를 35~45℃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이드 수지는 밀도(g/㎤) 1.08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밀도(g/㎤) 1.07인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75:25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 폴리아미이드 수지의 사용량이 75wt% 미만인 경우에는 접합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8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복합 폴리아미이드 수지의 사용량은 접착제 전체 양에 대해 75~8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르펜 수지 또한 상기 복합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배합되어 접착제를 조성함으로써 접착제에 강한 접착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테르펜 수지의 사용량이 8wt% 미만인 경우에는 접합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테르펜 수지의 사용량은 접착제 전체 양에 대해 8~1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재료는 옻과 전분의 적정배합에 의해 접착제에 사용하여 접착기능을 더 강화와 친환경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3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의 접착강도 변화가 미미하고,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접착강도의 상승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천연재료의 사용량은 3~1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은 접착제에 사용하여 접착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강도의 상승이 거의 없고, 1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의 사용량은 0.1~1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도(g/㎤) 1.08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밀도(g/㎤) 1.07인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75:25 중량비율로 배합한 복합 폴리아마이드 수지 80wt%와,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10wt%와,
옻과 전분을 3:7 중량비율로 배합한 천연재료 9.5wt%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의 접착증진제 0.5wt%를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혼합하여 접착제를 조성한다.
이러한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도포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을 중심으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한다.
다음으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한 후,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한다(S20).
여기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은 그라비아 롤 장치(100)에서 이루어진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0cps정도의 묽은 접착제(100a)을 담은 용기(110)에, 용기(110)의 접착제(100a)을 묻혀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코팅하기 위한 메쉬롤(120)이 형성되어 있고, 메쉬롤(120)의 상부측에는 서로 맞닿음되면서 회전되는 러버롤(130)이 위치되어 있다.
그라비아 롤 코팅의 원리는 메쉬롤(120)의 표면에 있는 수많은 홈(121)에 접착제(100a)를 함침시킨후 러버롤(130)로 눌러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100a)를 묻어나게 한다.
또한, 용기(110)에 담겨져 있는 접착제(100a)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메쉬롤(120)에는 나이프(140)가 형성되어 있어 메쉬롤(120)에 의해 점착되어 올라가는 묽은 접착제(100a)를 긁어내려 적당한 양을 공급한다.
상기 접착제는 밀도(g/㎤) 1.08인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밀도(g/㎤) 1.07인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75:25 중량비율로 배합한 복합 폴리아마이드 수지 75~85wt%와,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 8~15wt%와,
옻과 전분을 3:7 중량비율로 배합한 천연재료 3~15wt%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3-aminopropyltrimethoxy silane)의 접착증진제 0.1~1wt%를 35~45℃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도포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을 중심으로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를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시키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부착시킨다(S30).
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웨빙테이프 두개가 트윈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웨빙테이프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부 측단부에서 13cm 안쪽으로, 두께 22mm 이상, 길이방향 175cm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개의 웨빙테이프 사이의 거리는 49.4cm가 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쪽 끝단에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형성되도록 박음질한다(S40).
즉,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쪽 끝단에 지름 15cm이고,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51)가 일체형으로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웨빙테이프가 두개이므로, 하나의 웨빙테이프 양 끝단에 하나씩 해서 2개이므로, 총 4개의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웨빙테잎손잡이부가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끝단에 형성됨으로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를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로 들어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끝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고무밴드를 박음질하여,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이 되도록 형성시켜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를 완성시킨다(S50).
여기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6mm 고무밴드(11)가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즉,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6mm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됨으로서,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일회용 들것 시트에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를 실으면,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의 일부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쪽으로 말아지면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를 통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시트의 표면에 접착제를 그리비아 롤(롤 코터)방식으로 도포하여 붙이는 콜드글루 공법으로 3중 구조의 플레이트부(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합지하고,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를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시키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부착시킴으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1 :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10 : 애벌레형 몸체
20 :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30 :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
40 : 바닥접촉플레이트부
50 :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

Claims (7)

  1. 접었다 펼친 후,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력성 고무밴드로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면서 들어서 이동시키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는
    상단 전체만 개통되어 형성되고, 하단, 측단 둘레가 커버보호막으로 형성되는 애벌레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애벌레형 몸체(10)와,
    애벌레형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고, 환자의 몸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애벌레형상으로 감싸안아 보호하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2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 사이에 접착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와 바닥접촉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30)와,
    애벌레형 몸체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고, 바닥면(Ground)과 접촉되도록 접촉면구조(Plate)로 형성되어, 방수기능을 수행하면서 환자를 들어서 이송시, 접착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와 함께 인장력 및 파열강도를 강화시키는 바닥접촉플레이트부(4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되고, "11"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접착시킴과 동시에 시트를 펼쳤을 때 펼침을 유지하도록 뼈대를 형성시키는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는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두께 4mm~10mm 고무밴드가 박음질되어 형성되어,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웨빙테이프 두개가 트윈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웨빙테이프는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부 측단부에서 13cm 안쪽으로 위치되고, 두께 22mm, 길이방향 175cm 길이로 형성되며, 두개의 웨빙테이프 사이의 거리는 49.4c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50)는
    양쪽 끝단에 지름 15cm이고,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51)가 일체형으로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6.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한 후,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하는 단계(S1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합지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의 하단면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코팅방식으로 도포한 후, 바닥접촉플레이트부를 상온상태에서 합지하는 단계(S20)와,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를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 상단 표면 상에 정위치시키고,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에서 미들브릿지플레이트부를 지나 바닥접촉플레이트부까지 박음질 부착시키는 단계(S30)와,
    "11"자형 웨빙테잎뼈대부의 양쪽 끝단에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웨빙테잎손잡이부가 형성되도록 박음질하는 단계(S40)와,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의 외곽 테두리 둘레를 따라 고탄력 고무밴드를 박음질하여, 고무밴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으로 인해, 환자의 머리, 팔, 다리를 감싸안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애벌레형상이 되도록 형성시켜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를 완성시키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싸안음 탄성플레이트부는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SMS(스폰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 SMMS(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SSMMS(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제조되고, 중량은 15~150g/㎡이고, 두께는 0.21~0.72mm이며, 인장강도는 23~245 N/㎟이고, 신도는 120~1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제조방법.
KR1020210072274A 2021-06-03 2021-06-03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74A KR102329255B1 (ko) 2021-06-03 2021-06-03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274A KR102329255B1 (ko) 2021-06-03 2021-06-03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255B1 true KR102329255B1 (ko) 2021-11-19

Family

ID=7871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274A KR102329255B1 (ko) 2021-06-03 2021-06-03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30U (ja) * 2010-01-29 2010-06-03 株式会社聖林公司 介助用の携帯用担架
JP2011250924A (ja) * 2010-06-01 2011-12-15 Wataboushi Club:Kk 救難シート
JP2012239607A (ja) * 2011-05-18 2012-12-10 Buruneezu Kk 寝袋兼担架
KR20190007633A (ko) * 2017-07-13 2019-01-23 강두성 가림막 및 그 가림막을 이용한 들것
KR20190053444A (ko) 2017-11-10 2019-05-20 구정은 의료용 트랜스퍼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30U (ja) * 2010-01-29 2010-06-03 株式会社聖林公司 介助用の携帯用担架
JP2011250924A (ja) * 2010-06-01 2011-12-15 Wataboushi Club:Kk 救難シート
JP2012239607A (ja) * 2011-05-18 2012-12-10 Buruneezu Kk 寝袋兼担架
KR20190007633A (ko) * 2017-07-13 2019-01-23 강두성 가림막 및 그 가림막을 이용한 들것
KR20190053444A (ko) 2017-11-10 2019-05-20 구정은 의료용 트랜스퍼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2711A (en) Breathable layered materials
JP4271513B2 (ja) 接着性包帯
KR101106392B1 (ko) 구급용 반창고
EP2160166B1 (de) Wundverband
JPH02503298A (ja) 通気性ラミネート
BRPI0516185A (pt) artigos protetores respiráveis
BRPI0619671A2 (pt) processos de fabricação de laminado seletivamente permeável
WO2005070361A1 (en) Scab protecting bandage
US20070049149A1 (en) Chemical-resistant breathable textile laminate
KR101308757B1 (ko) 신축성 화학적 보호 재료
EP0397998A1 (en) Conformable protective padding
KR102329255B1 (ko) 접음펼침식 감싸안음애벌레형 의료용 들것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30645A1 (ja) 被覆用品
WO2018193987A1 (ja) 被覆用品
AU2017401506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extended leg elastics
CN102970940B (zh) 具有粘合性边缘的外科用盖布或毛巾
GB2294426A (en) Lightweight flexible absorbent laminar fabric
JPH10500585A (ja) 医療用バンド体並びにパッキングシステム
US20120302931A1 (en) Splint for orthopedics
CN110267631A (zh) 用于制造具有延伸的腿部弹性件的吸收制品的方法
KR102087273B1 (ko) 근육 및 관절보호와 약물치료 효과가 복합된 피부 부착용 테이프
WO1993008024A2 (en) Protective material
JP2013006305A (ja) 透湿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091833A1 (en) Absorbent head cover
CN206587105U (zh) 一种护脐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62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613

Effective date: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