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32B1 -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32B1
KR102328532B1 KR1020130149535A KR20130149535A KR102328532B1 KR 102328532 B1 KR102328532 B1 KR 102328532B1 KR 1020130149535 A KR1020130149535 A KR 1020130149535A KR 20130149535 A KR20130149535 A KR 20130149535A KR 102328532 B1 KR102328532 B1 KR 102328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screen
image
image output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618A (ko
Inventor
조주웅
박상태
허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출력 화면과,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젤들이 서로 접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로 연결되는 상기 베젤들의 상면에 놓여서, 빛을 굴절 및 전반사 시키는 베젤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 화면은,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멀티 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저면에서 상기 베젤의 상은 상기 베젤 제거 장치를 통과하면서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으로 굴절 및 전반사되어 허상을 형성하고,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베젤 제거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전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멀티 스크린이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일의 영상 화면으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관이나 전시를 위한 대형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크기에 맞추어 단일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드는데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고, 기술적으로 만들 수 있다 하더라도 제조 단가가 높아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어,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단일 영상으로 통합하여, 하나의 스크린을 가지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단일의 영상이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속되게 출력되도록 하더라도,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가장자리 부분, 즉 베젤 영역에서 영상이 단절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한다. 이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여 하나의 영상이 다수 개로 분할되어 출력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부분 위에 거울 반사 기능을 구비하는 반사 부재를 설치하여, 베젤이 화면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베젤 근처의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하여 베젤 영역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개술에 의하면 거울 면 형성을 위한 비용과, 베젤 제거를 위한 장치 구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양산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063466호(2012.03.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출력 화면과,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젤들이 서로 접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로 연결되는 상기 베젤들의 상면에 놓여서, 빛을 굴절 및 전반사 시키는 베젤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 화면은,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멀티 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저면에서 상기 베젤의 상은 상기 베젤 제거 장치를 통과하면서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으로 굴절 및 전반사되어 허상을 형성하고,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베젤 제거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전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멀티 스크린이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일의 영상 화면으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 제거 장치는, 상측으로 함몰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 제거 장치는, 상기 멀티 스크린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 1 광학 부재와, 상기 제 1 광학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멀티 스크린 화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멀티 스크린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제 2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저면부는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베젤들의 전체 폭 보다 넓고,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의 상은 상기 저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상면부 쪽으로 굴절되고, 상기 상면부에서 측면부 쪽으로 전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부재의 근처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광학 부재의 측면부를 통하여 상기 상면부 쪽으로 굴절되고, 상기 상면부에서 재차 굴절되어 사용자의 눈에 맺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베젤로부터 램버시안 형태로 방출되는 빛이 베젤 제거 장치의 표면에서 전반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방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서는 베젤이 보이지 않고,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이미지가 상기 베젤 제거 장치를 통과하면서 굴절 및 전반사되어 스크린의 전방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젤을 인식하지 못하고 연속된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에 의하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양산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광학 부재에서 일어나는 광학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베젤 제거 장치가 없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접하여 배열되는 형태를 이루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부 가장자리는 베젤(bezel)(16)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또한,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20)가 놓이는데, 상기 베젤 제거 장치(2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하는 가장자리부의 전면에 놓인다. 즉,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최외곽부를 제외하고 내측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베젤 영역을 따라 놓인다. 상기 베젤 제거 장치(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굴절율 1.4 이상 2.8 이하의 실리콘, 플라스틱, 유리, 폴리머, 고굴절 폴리머(high refractive index polymer),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ZrO2)를 성분으로 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되는 베젤 제거 장치(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20)는, 상대적으로 짧은 직선 형태의 제 1 광학 부재(21)와, 상대적으로 긴 직선 형태의 제 2 광학 부재(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광학 부재(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광학 부재(22)의 측면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광학 부재(2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광학 부재(2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광학 부재(22)의 측면에 이르는 길이로 두 개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와 제 2 광학 부재(22)는 동일한 형태이되 길이만 다르게 형성되므로, 제 1 광학 부재(21)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20)는 빛의 굴절과 전반사 현상에 의하여 베젤 부분이 스크린의 측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베젤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1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16)이 맞닿게 연결되고, 베젤이 맞닿는 부분에 상기 베젤 제거 장치(20)가 놓인다.
상세히,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백커버(15)와, 상기 백커버(15)의 내부 바닥면에 놓이는 기판층(14)과, 상기 기판층(14)에 실장되며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다수의 광원(17)과, 상기 기판층(14)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광원(17)을 감싸서 상기 광원(17)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확산되도록 하는 도광층(13)과, 상기 도광층(13)의 상면에 놓이는 광학 시트(12)와, 상기 광학 시트(12)의 상면에 놓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지고 상기 백커버(15)의 상면에 결합되는 베젤(16)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베젤(16)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16)이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제 1 광학 부재(21)가 놓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광학 부재에서 일어나는 광학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학 부재(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리즘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이루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연결되는 단면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제 1 광학 부재(2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함몰되어 삼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저면부(211)와, 상기 저면부(2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212)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함몰되어 삼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부(211)의 중심과 상기 상면부(213)의 중심은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L) 상에 놓이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211)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면부(211)에서 매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저면부(211)에 조사되는 빛은 소정 각도로 굴절된다. 이러한 빛의 성질에 의하여, 상기 베젤(16)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저면부(211)를 통과하면서 굴절된다.
도면에서 베젤의 어느 지점 a에서 출발하는 상은 화살표 a1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세히, 상기 베젤(16)의 상(image)은 상기 저면부(211)에 입사된 다음, 상기 광학 부재(21)의 측면부 쪽으로 굴절되어 상기 상면부(213)에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13)에 부딪힌 빛은 상기 측면부(212) 쪽으로 전반사(total reflection)되며, 상기 측면부(212) 쪽으로 전반사되는 빛은 상기 측면부(212)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방향으로 조사되어 허상을 만든다. 이러한 광학 원리에 의하여,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에 서 있는 사람에게는 상기 베젤(16)이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정면에서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바라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측면부(212)를 통과하여 맺히는 상기 베젤(16)의 허상이 보일 수 있다. 상기 베젤(16)의 허상이 보이는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212)에 표면 처리(polishing)를 하여 상기 측면부(212)를 통과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베젤(16)의 허상이 또렷이 보이지 않고 희미하게 분산됨으로써, 관찰자의 눈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근처에 해당하는 지점 b에서 출발하는 빛은 화살표 b1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어느 지점 a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는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측면부(212)에서 굴절되어 상기 저면부(211)에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211)에 부딪히는 빛은 상기 상면부(213) 쪽으로 전반사되고, 상기 상면부(213)에서 굴절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저면부(212)에서 전반사되는 빛이 상기 제 1 광학 부재(21)의 상면부 쪽,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플래이 패널(11)의 전방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 서 있는 관찰자의 눈에는 상기 제 1 광학 부재(21)를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출력되는 영상 이미지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관찰자는 상기 베젤(16)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붙여서 이루어지는 상기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이 단일의 화면으로 인식되며, 단일의 화면에서 하나의 연속된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베젤 제거 장치가 없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경우, 베젤(16)에 의하여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획되며, 멀티 스크린에 구현되는 화면 영상이 베젤(16)에 의하여 구획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 제거 장치가 구비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6)이 보이지 않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Claims (6)

  1. 영상출력 화면과,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젤들이 서로 접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로 연결되는 상기 베젤들의 상면에 놓여서, 빛을 굴절 및 전반사 시키는 베젤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영상출력 화면은,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멀티 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베젤 제거 장치는
    상측으로 함몰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저면에 위치한 상기 베젤의 상은 상기 저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상면부로 굴절되고, 상기 상면부에서 상기 측면부로 전반사되어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으로 허상을 형성하고,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측방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상기 측면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면부로 굴절되고, 상기 상면부를 통과하여 상기 영상출력 화면의 전방으로 굴절되어,
    상기 멀티 스크린이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일의 영상 화면으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제거 장치는,
    상기 멀티 스크린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 1 광학 부재와,
    상기 제 1 광학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멀티 스크린 화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멀티 스크린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제 2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제거 장치의 저면부는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베젤들의 전체 폭 보다 넓고,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30149535A 2013-12-03 2013-12-03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8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35A KR102328532B1 (ko) 2013-12-03 2013-12-03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35A KR102328532B1 (ko) 2013-12-03 2013-12-03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18A KR20150064618A (ko) 2015-06-11
KR102328532B1 true KR102328532B1 (ko) 2021-11-18

Family

ID=5350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535A KR102328532B1 (ko) 2013-12-03 2013-12-03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887B1 (ko) * 2015-07-17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405121B1 (ko) 2015-11-13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8195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7023B1 (ko) * 2018-11-29 2024-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CN111583781B (zh) * 2019-02-18 2022-12-27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荧幕显示装置
CN111696446B (zh) * 2019-03-14 2023-08-04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荧幕显示装置
CN112509477A (zh) * 2020-12-04 2021-03-1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5508945A (zh) * 2021-06-22 2022-12-23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导光构件、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2999A (ja) 2008-01-07 2009-07-23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2145843A (ja) 2011-01-13 2012-08-02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50366A (ja) 2011-01-20 2012-08-09 Sharp Corp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94491A (ja) 2011-03-17 2012-10-11 Sharp Corp 額縁被覆部材
JP2012226090A (ja) 2011-04-19 2012-11-15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252231A (ja) 2011-06-03 2012-12-20 Sharp Corp 額縁被覆部材
US20130235560A1 (en) * 2011-10-12 2013-09-12 Michael Etienne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56B1 (ko) * 2008-02-19 2014-09-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패널 표시장치
US20110242845A1 (en) * 2010-03-30 2011-10-06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Light redirecting bar with diffusion features
JP5622498B2 (ja) 2010-09-14 2014-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129708A (ko) * 2011-05-20 2012-11-28 노재민 반사부를 갖는 멀티 비젼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2999A (ja) 2008-01-07 2009-07-23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2145843A (ja) 2011-01-13 2012-08-02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50366A (ja) 2011-01-20 2012-08-09 Sharp Corp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94491A (ja) 2011-03-17 2012-10-11 Sharp Corp 額縁被覆部材
JP2012226090A (ja) 2011-04-19 2012-11-15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252231A (ja) 2011-06-03 2012-12-20 Sharp Corp 額縁被覆部材
US20130235560A1 (en) * 2011-10-12 2013-09-12 Michael Etienne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18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532B1 (ko)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TWI577922B (zh) Optical device
JP4861180B2 (ja) 3dディスプレイ装置用バックライト
KR102372085B1 (ko) 2차원/3차원 전환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
WO2017164117A1 (ja) 表示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4512574A (ja) 光学的誘導デバイス及びかかる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4029356A (ja) 光源デバイスおよび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TWI499800B (zh) 顯示裝置及其發光模組
US10750159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JP2013069498A (ja) 面状照明装置
JP6778916B2 (ja) 表示装置
KR20110069590A (ko) 3d 영상 디스플레이용 도광판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36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6100342A (ja) 導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144617A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KR101749443B1 (ko) 입체 표시 장치
US20130088891A1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10132282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67515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제조방법
KR102186241B1 (ko) 반사형 스크린
KR20160059783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제조방법
US20160245995A1 (en) Optical seam reduction
JP7340793B2 (ja) 表示装置
KR20140096348A (ko)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서의 모아레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리즘 어레이
CN107610590A (zh) 多功能广告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