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21B1 -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21B1
KR102405121B1 KR1020150159700A KR20150159700A KR102405121B1 KR 102405121 B1 KR102405121 B1 KR 102405121B1 KR 1020150159700 A KR1020150159700 A KR 1020150159700A KR 20150159700 A KR20150159700 A KR 20150159700A KR 102405121 B1 KR102405121 B1 KR 10240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anel
case
display device
display area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772A (ko
Inventor
최진환
서태안
김태웅
박보익
박주찬
설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21B1/ko
Priority to US15/295,713 priority patent/US9947883B2/en
Priority to CN201610973948.4A priority patent/CN106710447B/zh
Publication of KR2017005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분리된 제1,2플렉시블 패널과, 제1,2플렉시블 패널을 각각 지지하는 제1,2케이스 및, 제1,2케이스를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제1,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곡면부가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본체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이를 폴딩 가능한 장치로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유연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도 장기간 계속해서 폴딩 및 언폴딩하며 사용하다 보면, 폴딩부에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보호필름이 박리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분리된 제1플렉시블 패널과 제2플렉시블 패널,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을 지지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을 지지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는 곡면부가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과 그 외측의 비표시영역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배면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둥근 라운드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라운드부에 고정된 부위가 상기 곡면부가 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에는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곡면부 중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 간의 상호 가장 근접한 지점을 기준으로 시청방향인 전면 측에 상기 표시영역이 위치하고 배면 측에 상기 비표시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표시영역이 형성하는 벤딩각은 9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곡면부의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을 합친 전체 벤딩각은 180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곡면부를 시청방향인 상기 전면 측에서 보면 상기 표시영역만 보이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는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요철주름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1케이스 사이 및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각각 점착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을 구동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화면으로서 화상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서로 다른 화면으로서 화상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2케이스는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들어가서 결합되는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은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언폴딩 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미소갭이 생길 수 있으며, 또는 미소갭 없이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서로 맞닿아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폴딩부를 중심으로 플렉시블 패널이 분리되어 있어서 접히는 부분이 아예 없기 때문에 보호필름의 박리나 변형 같은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언폴딩시에는 폴딩부의 비표시영역이 시청방향인 전면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있어서 깨끗한 평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 상태와 폴딩 개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시블 패널의 표시영역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시블 패널의 비표시영역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가능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상태와 결합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100)을 디스플레이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일반적으로 유연한 가요성 기판 위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와 발광소자 및 그들을 덮어서 보호해주는 봉지층 등이 적층된 구조체이며, 단단한 글라스 기판 대신에 유연한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유연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벤딩이 가능하다. 예컨대,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이 플렉시블 패널(100)이 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플렉시블 패널(100)이 단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고, 도면과 같이 서로 분리된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로 구비된다. 즉, 2개로 분리된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화면을 형성하게 되며, 서로 인접한 경계 영역이 바로 접고 펴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폴딩부가 된다. 따라서, 폴딩 상태에서는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도 3b와 같이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서로 대면하도록 접어둘 수가 있다.
상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은 각각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에 폴딩과 언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1플렉시블 패널(110)은 상기 제1케이스(210)의 제1결합홈(211) 안에 부착 결합되며, 제2플렉시블 패널(120)은 상기 제2케이스(220)의 제2결합홈(221) 안에 부착 결합된다. 이하에는, 상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의 양면 중, 상기 제1,2결합홈(211)(221) 안에 부착되는 면을 배면이라 하고, 그 반대측 면인 시청방향 측의 면을 전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케이스(210)(220)는 링크부재(2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링크부재(230)의 양단부가 제1,2케이스(210)(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 시 도 3a와 같은 언폴딩 상태를 만들거나, 또는 도 3b와 같이 폴딩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 제1,2케이스(210)(220)의 폴딩부 즉, 서로 인접한 경계 영역에는 소정 곡률로 둥글게 형성된 라운드부(212)(2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상기 제1,2케이스(210)(220)에 결합될 때 이 라운드부(212)(222) 위에 부착되는 부위는 자연스럽게 라운드부(212)(222)의 곡률을 따라 벤딩되면서 곡면부(113)(12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111)(121)과, 그 외측의 비표시영역(112)(1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영역(111)(121)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비표시영역(112)(122)에는 블랙매트릭스로 가려진 배선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곡면부(113)(123)에도 표시영역(111)(121)과 비표시영역(112)(122)이 같이 있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시청방향인 전면 측(화살표 A방향)에서 곡면부(113)(123)를 바라볼 때 표시영역(111)(121)만 보이고 비표시영역(112)(122)은 보이지 않도록 배치한다. 즉, 비표시영역(112)(122)은 시각적으로 화상이 구현되지 않은 불연속선으로 인지가 되기 때문에, 전면 측에서 이 비표시영역(112)(122)이 보이면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 사이가 끊어져 보이게 된다. 이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은 컨트롤러(300)에 의해 하나로 이어진 화면으로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처럼 중간에 불연속선이 보이면 화면이 잘린 느낌이 들어서 매우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측(화살표 A방향)에서 곡면부(113)(123)를 볼 때 비표시영역(112)(122)이 안 보이도록 배치하면, 비록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이 분리되어 있어도 하나로 이어진 화면처럼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1플렉시블 패널(110)과 제2플렉시블 패널(120)이 가장 근접한 지점인 도 4의 a2 지점을 기준으로 해서 전면 측에 표시영역(111)(121)이 배치되고, 반대측 배면 측에 비표시영역(112)(122)이 배치되게 하면 된다. 즉, 곡면부(113)(123)에서는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서로 가장 근접한 a2 지점까지만 전면 측(화살표 A방향)에서 보이고, a2 지점을 넘어가면 전면 측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표시영역(111)(121)이 적어도 a2 지점까지는 있도록 배치한다.
이것을 각도로 표현하자면, 곡면부(113)(123)가 시작되는 a1 지점부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의 최근접 지점인 a2 지점까지의 벤딩각이 90도 이상이 되도록 하면 된다. 그런데, 표시영역(111)(121)과 비표시영역(112)(122)를 포함한 전체 벤딩각이 180도를 넘으면 비표시영역(112)(122)이 점유하는 데드 스페이스가 너무 넓어지는 셈이므로 180도는 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한 폴딩과 언폴딩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그 전에 상기 플렉시블 패널(100)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제1플렉시블 패널(110)의 표시영역(111) 구조를 개시한 것으로, 제2플렉시블 패널(120)의 표시영역(121)도 이와 같은 구조라고 보면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표시영역(111)에는 박막트랜지스터(101)와 유기발광소자(102)가 구비되어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요성 기판(103)과 인접한 버퍼층(101a) 상부에 활성층(101f)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활성층(101f)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갖는다. 이 활성층(101f)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 또는 하프늄(Hf) 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101f)은 G-I-Z-O[(In2O3)a(Ga2O3)b(ZnO)c](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01f)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01b)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01g)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01g)의 상부에는 소스 전극(101h)과 드레인 전극(101i)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01g)과 소스전극(101h) 및 드레인 전극(101i)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101c)이 구비되어 있고, 소스전극(101h) 및 드레인 전극(101i)과 유기발광소자(102)의 애노드 전극(102a) 사이에는 패시베이션막(101d)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102a)의 상부로는 아크릴 등에 의해 절연성 평탄화막(101e)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화막(101e)에 소정의 개구부(102d)를 형성한 후, 유기발광 소자(102)를 형성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102)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막트랜지스터(101)의 드레인 전극(101i)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공급받는 애노드 전극(102a)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되어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하는 캐소드 전극(102c), 및 이 두 전극(102a)(102c)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발광층(102b)으로 구성된다.
이 발광층(102b)과 인접하여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유기발광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유기발광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적층될 수도 있다.
참고로 발광층(102b)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단위 픽셀을 이루도록 각 화소마다 분리돼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화소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체 화소 영역에 걸쳐서 공통으로 발광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발광층은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다른 색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출된 백색광을 소정의 컬러로 변환하는 색변환층이나, 컬러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 전극(102c) 위에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박막봉지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플렉시블 패널(100)은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제1,2케이스(210)(220)의 라운드부(212)(222) 곡률을 따라 벤딩되면서 곡면부(113)(123)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곡면부(113)(123)의 비표시영역(112)(122)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표시영역(111)(121)에서 연장된 여러 절연층(101a)(101b)(101c)(101d)(101e)들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들 절연층(101a)(101b)(101c)(101d)(101e)에 도면과 같이 요철주름패턴(112a)(122a)을 형성하면 무기막과 같이 연성이 부족한 층도 부드럽게 벤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평평하게 펼쳐진 언폴딩 상태일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10)와 제2케이스(220)가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평하게 펼쳐진 제1,2케이스(210)(220) 상의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을 통해 평면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의 상기 곡면부(113)(123)가 위치한 경계 영역을 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시청방향에서 비표시영역(112)(122)이 안 보이는 상태가 되므로,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을 하나로 이어진 화면으로 해서 끊김이 거의 인식되지 않는 깨끗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는 컨트롤러(300)가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을 한 화면으로 구동시키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분리된 별도의 화면이 되도록 구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는 도 3b와 같이 제1,2케이스(210)(220)를 접어서 폴딩한다. 이때 상기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은 서로 대면하는 상태가 되며 제1,2케이스(210)(220) 안쪽에서 안전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폴딩 상태에서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외력에 의해 손상될 위험은 매우 낮다.
반대로, 이와 같은 폴딩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언폴딩 상태로 펼칠 때에는 제1,2케이스(210)(220)를 링크부재(230)에 대해 회전시켜서 도 3a와 같이 다시 펼치면 되며, 두 개로 분할된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을 사용하고 있어도 끊긴 느낌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평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폴딩과 언폴딩 동작은 상기 제1,2케이스(210)(220)가 링크부재(230)에 대해 회전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은 제1,2케이스(210)(220)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접힘없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폴딩과 언폴딩 동작에 의해 패널 내부에 박리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는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은 그 배면이 제1,2케이스(210)(220)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점착필름(400)을 사이에 개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도 3a의 실시예에서는 언폴딩 시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 사이에 미소갭(g)이 생기는 구조를 예시하였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폴딩 시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갭(g) 없이 서로 맞닿아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 사이에서 끊긴 느낌이 없는 안정적인 평면 화상을 구현하는 데에는 더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제1,2플렉시블 패널(110)(120)이 언폴딩하면서 서로 접촉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접촉 부위에 압력이 가해져서 열화가 촉진될 수도 있으므로, 기기의 안정성이 더 중요한 경우라면 도 3a와 같이 미소갭(g)을 두는 구조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부를 중심으로 플렉시블 패널이 분리되어 있어서 접히는 부분이 아예 없기 때문에 보호필름의 박리나 변형 같은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언폴딩시에는 폴딩부의 비표시영역이 시청방향인 전면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있어서 깨끗한 평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120: 제1,2플렉시블 패널 111,121: 표시영역
112,122: 비표시영역 113,123: 곡면부
210,220: 제1,2케이스 230: 링크부재
300: 컨트롤러 400: 점착필름

Claims (17)

  1. 상호 분리된 제1플렉시블 패널과, 제2플렉시블 패널;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을 지지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을 지지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는 곡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의 비표시영역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둥근 라운드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곡면부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둥근 라운드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곡면부에는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곡면부 중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 간의 상호 가장 근접한 지점을 기준으로 시청방향인 전면 측에 상기 표시영역이 위치하고, 배면 측에 상기 비표시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 및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비표시영역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곡면부의 배면측에 연장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배면은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각각 고정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표시영역이 형성하는 벤딩각은 90도 이상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을 합친 전체 벤딩각은 180도 이내인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를 시청방향인 상기 전면 측에서 보면 상기 표시영역만 보이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보이지 않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는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요철주름패턴이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1케이스 사이 및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각각 점착필름이 개재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을 구동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화면으로서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서로 다른 화면으로서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폴딩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들어가서 결합되는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은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언폴딩 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미소갭이 생기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언폴딩 시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의 상호 인접한 경계 영역에 미소갭이 생기지 않고 상기 제1플렉시블 패널과 상기 제2플렉시블 패널이 서로 맞닿아 있는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59700A 2015-11-13 2015-11-1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00A KR102405121B1 (ko) 2015-11-13 2015-11-1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5/295,713 US9947883B2 (en) 2015-11-13 2016-10-17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1610973948.4A CN106710447B (zh) 2015-11-13 2016-11-04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00A KR102405121B1 (ko) 2015-11-13 2015-11-1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772A KR20170056772A (ko) 2017-05-24
KR102405121B1 true KR102405121B1 (ko) 2022-06-08

Family

ID=5869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00A KR102405121B1 (ko) 2015-11-13 2015-11-13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7883B2 (ko)
KR (1) KR102405121B1 (ko)
CN (1) CN106710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590A1 (en) 2015-09-25 2017-03-30 Intel Corporation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22658S1 (en) 2016-06-30 2018-07-10 Intel Corporation Computer notebook
JP1586458S (ko) * 2016-10-11 2017-12-18
JP1581148S (ko) * 2016-10-11 2018-01-09
US10365692B2 (en) * 2017-08-07 2019-07-3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518312B1 (ko) * 2018-01-05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를 자성체로 활용하는 방법
US11275403B2 (en) * 2019-03-08 2022-03-15 Innolux Corporation Tiled display device
CN112019656B (zh) * 2019-05-29 2022-08-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面板和电子设备
US11277929B2 (en) 2019-11-19 2022-03-15 Intel Corporation Personal computing device covers having stands
KR20210068722A (ko) 2019-12-02 202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USD987622S1 (en) 2020-03-25 2023-05-30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665A1 (en) * 2009-04-30 2010-11-04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714B1 (ko) 1997-11-06 2000-06-01 손욱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구동장치
GB0223883D0 (en) * 2002-10-15 2002-11-20 Seamless Display Ltd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KR100614898B1 (ko) * 2004-06-01 2006-08-25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101563685B1 (ko)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02473363B (zh) * 2009-07-01 2014-08-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1796812B1 (ko)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34585B1 (ko) * 2013-07-09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3379B1 (ko) 2013-11-26 2020-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328532B1 (ko) 2013-12-03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6192B1 (ko) * 2014-03-07 2021-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2980B1 (ko) * 2014-04-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CN104599605A (zh) * 2015-02-13 2015-05-0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挠式显示装置及其系统的拼接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665A1 (en) * 2009-04-30 2010-11-04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7883B2 (en) 2018-04-17
US20170141173A1 (en) 2017-05-18
CN106710447A (zh) 2017-05-24
CN106710447B (zh) 2021-02-05
KR20170056772A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121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359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9568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357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9992881B2 (en) Rollable display
KR10236326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23192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16674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6653796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261641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4743B1 (ko) 연신이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81384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85232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8420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475B1 (ko) 플렉시블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US2014022507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1958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55037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2963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08648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164303B (zh) 可折叠显示装置
KR102500274B1 (ko)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