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93B1 -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93B1
KR102328493B1 KR1020200007500A KR20200007500A KR102328493B1 KR 102328493 B1 KR102328493 B1 KR 102328493B1 KR 1020200007500 A KR1020200007500 A KR 1020200007500A KR 20200007500 A KR20200007500 A KR 20200007500A KR 102328493 B1 KR102328493 B1 KR 10232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tile
guide
easy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644A (ko
Inventor
김형택
Original Assignee
김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택 filed Critical 김형택
Priority to KR102020000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3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04F15/021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by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04F13/088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by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8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similar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벨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Easy to construct Ocher ti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벨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란, 주로 실트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을 말한다.
황토는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크다.
두꺼운 황토층은 두께 1~5m의 황토단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황토단위층은 황토층 또는 황토와 유사한 퇴적층을 협재하고 있으며, 고토양층, 모래층 및 이들과 유사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황토는 우리 민족의 문화·역사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데, 그 중 황토벽과 황토온돌방의 초가집이 우리조상의 황토문화를 대표하며 선조들은 황토를 단순한 흙의 범주를 뛰어넘어 주거와 식생활에까지 이용했고, 건강요법으로도 활용해 왔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황토를 이용해 흙 집을 짓고 살아 왔으며 황토에 농작물을 경작했으며 황토로 그릇을 굽고, 각종 질병 치료에도 활용했고, 최근에는 건축재료와 양어장 정화제, 적조 제거, 가축사료 첨가제, 황토방, 황토침대 등 용도가 더 다양해졌다.
황토 타일은, 황토를 이용한 타일로서 주로 건물 내부의 바닥이나 내부 벽면에 부착된다.
일반적인 타일의 시공방법으로는 떠붙이기, 압착붙이기, 개량압착붙이기, 판형붙이기, 접착붙이기 등이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이 필요한 것으로 일반인들은 쉽게 시도하기 어려운 방법이었다.
황토 타일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8491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황토 흙과 기타 첨가물의 밀도를 높인 황토 타일 겸 구들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일반인이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8491호(2001.10.1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벨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은 막대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전면에 하나 이상으로 부착되고 황토로 형성된 황토 타일부를 포함하는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황토 타일부는 황토로 형성되고 후면에 홈이 구비되는 황토 블럭 및 상기 홈에 구비되는 황토 블럭 접착부를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상기 황토 타일부 및 실내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황토 타일부의 부착을 보조하는 가이드 바; 상기 황토 타일부가 상기 가이드부 전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전면 접착부 및 상기 가이드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실내 내측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후면 접착부를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 간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황토 타일부가 실내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내측면 접착부는 열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은 단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 내측의 축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간격 맞춤 바를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황토 타일부는 상기 황토 타일부의 전면 높이가 후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경사면 및 황토 타일부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분리 홈을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블록은 상기 황토 블럭 일측에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측면 홈 및 상기 황토 블럭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면 돌기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황토 블럭 간에 상기 측면 돌기는 상기 측면 홈과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 (b) 황토 타일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 간 형성되는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황토 타일부를 대칭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부 사이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황토 타일부가 부착된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은 사용자가 황토 타일부가 부착된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황토 타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못 부착한 경우에 용이하게 재부착 가능하고, 황토 타일부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단순 탈부착만으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의 전면 접착부에 황토 타일부를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고, 후면 접착부로 실내 내측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내측면 접착부로 황토 타일부가 보다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황토 타일 시공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쉽게 가이드부 및 황토 타일부를 순서대로 부착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황토 타일부가 부착된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면 가이드부의 적절한 이격 거리를 미리 실내 내측면에 표시하지 않고도 단순 부착만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 기능을 갖는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통해 실내 냉방과 난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 간 거리를 미리 실내 내측면에 표시하지 않고서도 가이드부 간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황토 타일부를 파괴하지 않고도 기 설치된 황토 타일부 하나하나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예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 및 회전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가이드부의 정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측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간격 조절 바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작동 예시도
도 6의 (a),(b),(c),(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타일부의 사시도
도 7의 (a),(b),(c),(d)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타일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은 가이드부(100) 및 황토 타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막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00)는 가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00)가 실내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황토 타일부(200)는 타일의 일 단위에 해당하고, 가이드부(100) 전면에 하나 이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황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황토 타일부(200)는 가이드부(10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 및 후면이 평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황토 타일부(200)가 부착된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황토 타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 및 회전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200)는 황토 블럭(210) 및 황토 블럭 접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황토 블럭(210)은 황토로 형성될 수 있고, 후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직선 홈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후면에 홈이 구비될 수 있다.
황토 블럭 접착부(220)는 황토 블럭(210)의 홈에 구비될 수 있고, 홈의 부피만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황토 블럭 접착부(220)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는 천 같은 것을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딱 붙여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벨크로 타입은 어느 일측면이 벨크로 고리를 형성하면 타측면이 벨크로 걸림 고리를 형성하여야 하고, 반대로 어느 일측면이 벨크로 걸림 고리를 형성하면 타측면이 벨크로 고리를 형성하여 벨크로 고리 및 벨크로 걸림 고리로 양측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접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황토 블럭 접착부(220)는 반드시 벨크로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황토 블록 접착부(220)가 가이드부(100)에 부착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황토 블럭 접착부(220)가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못 부착한 경우에 용이하게 재부착 가능하고, 황토 타일부(200)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단순 탈부착만으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가이드부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가이드부(100)는 가이드 바(110), 전면 접착부(120) 및 후면 접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110)는 황토 타일부(200) 및 실내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황토 타일부(2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함에 있어 이를 보조할 수 있다.
전면 접착부(120)는 가이드 바(1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황토 타일부(200)가 가이드부(100) 전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황토 블럭 접착부(220)가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전면 접착부(120)도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 블럭 접착부(220)가 벨크로 고리로 형성되는 경우 전면 접착부(120)는 벨크로 걸림 고리로 형성되고, 황토 블럭 접착부(220)가 벨크로 걸림 고리로 형성되는 경우 전면 접착부(120)는 벨크로 고리로 형성되어야 서로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벨크로 타입으로 접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황토 블럭 접착부(220) 및 전면 접착부(120)는 다양한 접착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후면 접착부(130)는 가이드 바(1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부(100)가 실내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후면 접착부(130)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후면 접착부(130)의 양면 테이프를 덮고 있는 커버를 제거한 후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양면 테이프가 후면 접착부(130)에 사용되는 경우 보통의 양면 테이프는 열에 취약할 수 있어 시간이 지나면 열에 의해 양면테이프 접착 부분이 녹거나 접착력을 잃을 수 있어 열에 영향이 덜한 내열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접착부(130)는 반드시 양면 테이프에만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100)의 후면이 실내 내측면에 접착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고, 다양한 방법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후면 접착부(130)로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가이드부(100)로부터 실내 내측면을 관통하는 못이 하나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100)의 전면 접착부(120)에 황토 타일부(200)를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고, 후면 접착부(130)로 실내 내측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은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가이드부(100) 간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고, 황토 타일부(200)가 실내 내측면에 접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가이드부(100) 간 형성되는 공간의 전부를 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일부만 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또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크지 않도록 상기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열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은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다.
단열 기능을 위해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가이드부(100) 간 형성되는 공간에 빈 공간이 없도록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로 황토 타일부(200)가 보다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간격 조절 바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작동 예시도이다.
도 5의 (a),(b)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00)는 간격 조절 바(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바(111)은 가이드부(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부(100) 내측의 축을 중심으로 가이드부(100)의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바(111)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인 경우 가이드부(100)의 저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간격 조절 바(111)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인 경우 하측으로 인접하는 가이드부(100)와 간격 조절 바(111)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되어야 할 거리는 황토 타일부(20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100) 간 거리를 미리 실내 내측면에 표시하지 않고서도 간격 조절 바(111)를 통해 가이드부(100) 간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d) 및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블럭(210)은 측면 홈(212) 및 측면 돌기(211)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홈(212)은 황토 블럭(210)의 일 측면에 내측으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측면 돌기(211)는 황토 블럭(210)의 타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황토 타일부(200)는 인접하는 황토 타일부(200)와 측면 홈(212)과 측면 돌기(211)가 양측에서 결합된 채로 가이드부(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의 (a),(b)를 참조하면, 측면 돌기(211)가 바깥쪽으로 넓은 면을 가지는 양각 사다리꼴 기둥형태일 수 있고, 측면 홈(212)이 상기 측면 돌기(211)의 음각 형태일 수 있다.
도 7의 (c),(d)를 참조하면, 황토 타일부(200)가 실내 내측면의 좌측에 설치되는 경우 측면 돌기(211)가 없어야 하고, 실내 내측면의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 측면 홈(212)이 없어야 모서리에 빈 틈이 없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실내 내측면의 좌측 끝단에는 도 6의 (c)와 같은 형태로, 우측 끝단에는 도 6의 (d)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a),(b)를 참조하면, 측면 돌기(211)가 황토 블럭(210)의 세로 방향으로 막대 형태인 양각 사각 기둥일 수 있고, 측면 홈(212)이 상기 측면 돌기(211)의 음각 형태일 수 있다.
도 7의 (c),(d)를 참조하면, 도 6의 (c),(d)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내측면의 양쪽 끝단에는 도 7의 (c),(d)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의 황토 타일부(200)는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 및 황토 타일부 분리 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은 황토 타일부(200)의 전면 높이가 후면 높이보다 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사를 가지는 면일 수 있고, 황토 타일부(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황토 타일부 분리 홈(240)은 황토 타일부(200) 내측으로 깊이를 가질 수 있고, 황토 타일부(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어느 한쪽 면에만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을 포함하는 경우에 다른 한쪽 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황토 타일부(200)가 가이드부(100)에 벨크로 타입으로 부착된 경우 다시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나, 이미 실내 내측면 전체에 부착된 경우에는 황토 타일부(200) 간 촘촘하게 부착되어 있어 황토 타일부(200)를 들어낼 틈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황토 타일부(200)를 파괴하지 않고 용이하게 들어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황토 타일부(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하나 이상이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을 가질 수 있어,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에 힘이 가해지면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이 가이드부(100)와 맞닿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황토 타일부(200)가 들려질 수 있다.
황토 타일부 분리 홈(240)이 구비된 경우 황토 타일부(200)가 들려진 상태에서 황토 타일부 분리 홈(240)을 파지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다.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 9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황토 타일부(200)가 가이드부(100)를 통해 실내 내측면에 부착된 것을 볼 수 있고, 도 9의 (b)에서는 기 부착된 황토 타일부(200) 하나를 황토 타일부 경사면(230)에 힘을 가해 들어낸 후 황토 타일부 분리 홈(240)을 파지하여 분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황토 타일부(200)를 파괴하지 않고도 기 설치된 황토 타일부(200) 하나하나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황토 타일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는 별개의 실시예를 지칭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S10), 황토 타일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부착하는 단계(S20)에 의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는 실내 내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0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는(100)의 이격되는 거리를 줄자 등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여 실내 내측면에 표시하여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보다 더 용이하게는 간격 조절 바(111)를 이용하여 간격 조절 바(111)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 부착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후면 접착부(130)가 실내 내측면과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 접착부(130)는 양면 테이프, 못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S20 단계에서는 황토 타일부(200)를 가이드부(100)에 부착할 수 있다.
황토 타일부(200)의 황토 블럭 접착부(220)와 가이드부(100)의 전면 접착부(120)가 서로 맞닿아 접착될 수 있고, 접착 방법은 벨크로 타입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음은 상기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S10 단계 이후에, 가이드부(100) 간 형성되는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 간 형성되는 공간의 전부를 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일부만 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황토 타일 시공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쉽게 가이드부(100) 및 황토 타일부(200)를 순서대로 부착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황토 타일부를 대칭되도록 부착하는 단계(S100), 상기 가이드부 사이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S200), 상기 황토 타일부가 부착된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S300)에 의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S10 단계에서 실내 내측면에 가이드부(100)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부착하는 과정에서 미리 실내 내측면에 가이드부(100)가 부착될 간격을 표시해야 하는데 제 2 실시예는 이러한 간격 표시 과정 없이 단순 부착만으로 황토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차이가 있다.
S100 단계에서는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기 이전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00)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황토 타일부(200)를 대칭되도록 부착할 수 있다.
황토 타일부(200)의 황토 블럭 접착부(220)에 해당하는 부분이 모두 가이드부(100)의 전면 접착부(120)에 접착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황토 타일부(200)는 가이드부(100)의 전면 접착부(120)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상부 및 하부에 대칭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대칭된다는 의미는 황토 타일부(200)가 가이드부(100)와 접촉하는 상부 및 하부 면적이 대칭된다는 의미이고 가이드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황토 타일부(200)의 배열 자체가 대칭된다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S200 단계에서는 황토 타일부(200) 후면 및 가이드부(100)가 이루는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를 형성시킬수 있다.
황토 타일부(200) 후면 및 가이드부(100)가 이루는 공간은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로 모두 채우고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와 가이드부(100)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S300 단계에서는 황토 타일부(200)가 부착된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실내 내측면 전체에 부착될 황토 타일부(200)가 부착된 가이드부(100)를 한번에 부착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적절한 수의 황토 타일부(200)가 부착된 가이드부(100)를 몇 번에 걸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황토 타일부(200)가 부착된 가이드부(1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면 가이드부(100)의 적절한 이격 거리를 미리 실내 내측면에 표시하지 않고도 단순 부착만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을 시공하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열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은 단열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는 가이드부(100) 간에 형성되어 황토 타일부(200)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접착 기능을 하지만, 단열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어 실내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로부터 빠져나가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단열 기능을 갖는 실내 내측면 접착부(300)를 통해 실내 냉방과 난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가이드부
110 : 가이드 바
111 : 간격 맞춤 바
120 : 전면 접착부
130 : 후면 접착부
200 : 황토 타일부
210 : 황토 블럭
211 : 측면 돌기
212 : 측면 홈
220 : 황토 블럭 접착부
230 : 황토 타일부 경사면
240 : 황토 타일부 분리 홈
300 : 실내 내측면 접착부

Claims (10)

  1. 막대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전면에 하나 이상으로 부착되고 황토로 형성된 황토 타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 내측의 축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간격 맞춤 바를 포함하며,
    상기 황토 타일부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전면 높이가 후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경사면 및
    상기 황토 타일부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분리 홈을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타일부는,
    황토로 형성되고 후면에 홈이 구비되는 황토 블럭 및
    상기 홈에 구비되는 황토 블럭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황토 타일부 및 실내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황토 타일부의 부착을 보조하는 가이드 바;
    상기 황토 타일부가 상기 가이드부 전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전면 접착부 및
    상기 가이드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실내 내측면과 부착되도록 하는 후면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간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황토 타일부가 실내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내측면 접착부는 열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은 단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블럭은,
    상기 황토 블럭 일측에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측면 홈 및
    상기 황토 블럭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면 돌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황토 블럭 간에 상기 측면 돌기는 상기 측면 홈과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8.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
    (b) 황토 타일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 내측의 축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간격 맞춤 바를 포함하며,
    상기 황토 타일부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전면 높이가 후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경사면 및
    상기 황토 타일부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분리 홈을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 간 형성되는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
  10.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황토 타일부를 대칭되도록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가이드부 사이 공간에 실내 내측면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황토 타일부가 부착된 가이드부를 실내 내측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 내측의 축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 간격 맞춤 바를 포함하며,
    상기 황토 타일부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전면 높이가 후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경사면 및
    상기 황토 타일부 내측으로 깊이를 가지는 황토 타일부 분리 홈을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시공 방법.
KR1020200007500A 2020-01-20 2020-01-20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KR10232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00A KR102328493B1 (ko) 2020-01-20 2020-01-20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00A KR102328493B1 (ko) 2020-01-20 2020-01-20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44A KR20210093644A (ko) 2021-07-28
KR102328493B1 true KR102328493B1 (ko) 2021-11-17

Family

ID=7712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00A KR102328493B1 (ko) 2020-01-20 2020-01-20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68B1 (ko) * 2021-08-23 2021-12-09 플레이세이퍼(주) 탄성 매트 고정용 스템을 이용한 실내외 콘크리트면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99Y1 (ko) * 2001-01-04 2001-06-15 김진원 건축용 부착식 마감재
JP3211008B2 (ja) * 1991-07-25 2001-09-2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KR101944212B1 (ko) *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0218B2 (ja) * 1992-12-11 1997-10-29 早川ゴム株式会社 タイルユニット及びタイル施工方法
JPH07217156A (ja) * 1994-01-28 1995-08-15 Inax Corp タイル連結体及びタイル施工方法
KR200238491Y1 (ko) 2001-04-12 2001-10-11 이정운 황토흙 타일겸용 구들장
KR101293436B1 (ko) * 2011-08-22 2013-08-05 심상미 인테리어 패널
JP3211008U (ja) * 2017-04-07 2017-06-15 グローバルストーン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タイ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008B2 (ja) * 1991-07-25 2001-09-2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KR200226499Y1 (ko) * 2001-01-04 2001-06-15 김진원 건축용 부착식 마감재
KR101944212B1 (ko) * 2018-02-09 2019-01-30 채승완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44A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16B2 (en) Tile tray
TWI325914B (en) Floor til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US5922235A (en) Object bracket holder for concrete forms
KR102328493B1 (ko) 시공이 용이한 황토 타일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057677A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EP2664728A2 (en) Tile kit and method
US20130227903A1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685157B2 (ja) 見切り部材セットとその施工方法
WO2013117553A2 (en) Tile
US20100107534A1 (en) Modular layout form for embedding objects in a settable material
US20060005910A1 (en) Template for laying tile
CN201202247Y (zh) 防滑透水抗变形组合地板
CA3143684A1 (en) A covering element for floor and a floor covering
GB2189820A (en) Brick or tile laying spacer aid
US2085899A (en) Building strip and construction
JPS6339294Y2 (ko)
JP4244698B2 (ja) 組積造用接合目地材型枠
CN215978235U (zh) 一种新型防水地板
NL1043569B1 (en) Groove filling device for tile setting
CN209384419U (zh) 一种无机保温砂浆保温板
AU2022204499A1 (en) Improved prefabricated brick inlay panels
JP2005120598A (ja) タイルシート
JPH0320410Y2 (ko)
JP3038334B2 (ja) タイル張り工法
JP3131933U (ja) 敷き込み用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