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248B1 -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 Google Patents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248B1
KR102327248B1 KR1020197037747A KR20197037747A KR102327248B1 KR 102327248 B1 KR102327248 B1 KR 102327248B1 KR 1020197037747 A KR1020197037747 A KR 1020197037747A KR 20197037747 A KR20197037747 A KR 20197037747A KR 102327248 B1 KR102327248 B1 KR 10232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rt
peripheral device
power
port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427A (ko
Inventor
브래들리 알란 램버트
마이클 에이. 코스트
가네쉬 사리팔리
그레고리 씨. 얀시
Original Assignee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port policy management)를 위한 방법은 유효 전력 연결이 주변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유효 전력 연결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관계에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주변 디바이스,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전력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 관계에 매칭(matching)시키기 위해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 및 주변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능동 충전이 전력 관계에 의해 지원되면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enabl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한 없이, 무선 전화들 및 미디어 플레이어들과 같은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회로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이 널리 퍼져 있고 매일 사용된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통신 버스 프로토콜들을 활용하여 더 일관되거나 표준화된 방식으로 서로 통신하고 전력을 송신/수신할 수 있다. 애플의 라이트닝(Lightning)® 버스 연결기들을 위한 버스 프로토콜과 같은, 독점적 버스 통신 프로토콜들 뿐만 아니라,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와 같은, 범용 버스 통신 프로토콜들이 존재하고 잘 알려져 있다.
USB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잘 알려진 산업 버스 통신 프로토콜이다. USB는 전자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잘 정의된 표준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USB 1.x, USB 2.0, USB 3.0, USB 3.1과 같은, 다양한 버전들의 USB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USB-C 및 USB-PD 프로토콜들은 전력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능력을 부가한다. 애플사는 디바이스들이 애플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서로 전력을 각각 제공/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애플사의 라이트닝 버스 연결기와 호환가능하고 그것에 따르는 그 자신의 독점적 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확립했다.
버스 통신 프로토콜 연결기들(USB-C 또는 라이트닝 연결기들과 같은)을 구현하는 많은 휴대용 호스트들이 특정 조건들 하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전력을 공급하거나 둘 모두를 위해 유용한 단일 포트만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허브들 및 도크(dock)들은 단일 포트 제한을 해결하고 전자 디바이스 및 휴대용 호스트에 전력을 제공하는 능력을 갖는 다수의 포트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허브들 및 도크들 둘 모두는 단일 포트 제한 및 전력 공급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복잡성과 비용을 부가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하향 포트(DFP)를 갖는 허브들 및 포트들(USB-C 허브들 및 포트들과 같은)은 인증을 위해 추가 테스트(예로서, USB-C 인증)를 요구한다.
허브들 및 도크들과 인증 요구조건들의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버스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패스스루 충전(passthrough charging)(또는 패스-스루 충전)이 채택되고 이용되어 왔다. 패스스루 충전은 전원에 그리고 호스트에 결합되는 전자 디바이스가 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호스트 사이의 정상적인 동작들을 허용하고, 또한 전하가 디바이스를 통과하여 호스트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호스트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전하를 수신하고, 호스트는 결과적으로, 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충전한다. 패스스루 충전은 전원이 전자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충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항상 호스트가 먼저 패스스루 전력/전하를 수신하고, 그 다음 두번째로 결과적으로, 호스트가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고/충전하기 위해 그것의 전원을 사용한다. 패스스루 충전은 디바이스들이 적어도 하나의 DFP를 갖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a 및 도 1b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패스스루 충전 특징을 제공하는 일 예시적인 애플 라이트닝 호환가능한 헤드폰 디바이스(10)(또는 일반적인 주변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a는 헤드폰 디바이스(10)의 외부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전력 충전기(PW CHG)(11) 및 호스트(14)와 인터페이싱(interfacing)된 헤드폰 디바이스(10)를 묘사하는 블록도의 일 예시이다. 예시적인 호스트들(14)은 스마트 폰들, 태블릿들, 및 개인용 컴퓨터들을 포함하지만 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헤드폰 디바이스(10)는 라이트닝 포트(12B) 및 라이트닝 호스트 포트(16)를 통해 호스트(14)에 결합될 수 있다. 라이트닝 포트들(12B 및 16)의 제 1 접촉부들은 헤드폰 디바이스(10)와 호스트(14) 사이의 헤드폰 디바이스(10)의 헤드폰 데이터 블록(HP DATA)(15) 및 호스트(14)의 데이터 블록(DATA)(19)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정상적인 동작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충전기(11)가 라이트닝 포트(12A)를 통해 헤드폰 디바이스(10)에 결합될 때, 전하는 패스스루 라인(PT)을 통해 헤드폰 디바이스(10)를 통과하여, 라이트닝 포트(12A) 내지 라이트닝 포트(12B)로부터 라이트닝 호스트 포트(16)까지의 호스트(14)로 이동될 수 있다. 라이트닝 포트들(12B 및 16)의 제 2 접촉부들은 호스트(14)와 헤드폰 디바이스(10) 사이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14)는 그것의 배터리(BATT)(17)에서 전하를 수신할 수 있다(예로서,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는 결과적으로, 그것의 전력(PWR) 블록(18)으로부터 헤드폰 전력 블록(HP PWR)(13)으로 전하를 제공함으로써 전하를 헤드폰 디바이스(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충전기(11)는 결코 헤드폰 디바이스(10)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충전할 수 없고, 헤드폰 디바이스(10)를 위한 전력/충전은 또한, 헤드폰 디바이스(10)를 통과하여 호스트(14)로 이동되어야 할 수 있으며, 호스트(14)는 결과적으로, 헤드폰 디바이스(10)에 전력을 공급/충전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폰 디바이스(10)의 일례는 파이오니어 레이즈 플러스®(Pioneer Rayz Plus®) 라이트닝 헤드폰들/이어버드(earbud)들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전하가 전자 디바이스를 통과하여 호스트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패스스루 충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와 호스트 사이의 전자 디바이스 동작들을 허용할 수 있고 호스트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충전을 허용할 수 있는 일 예시적인 어댑터 디바이스(20)를 도시한다. 도 2a는 버스 통신 포트들(22A, 22B, 및 22C)을 가지는 어댑터 디바이스(20)를 묘사한다. 버스 통신 포트들(22A, 22B, 22C, 12C, 및 14A)은 라이트닝 포트들, USB-C 포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버스 통신 포트들일 수 있다. 포트들(22A, 22B, 22C, 12C, 및 16A)은 임의의 유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 암형(female type) 및/또는 수형(male type)일 수 있다. 호스트(14)와 유사하게, 예시적인 호스트들(14A)은 스마트 폰들, 태블릿들, 및 개인용 컴퓨터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제 도 2b를 참조하면, 헤드폰 디바이스(10A)는 포트들(12C 및 22B)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고, 호스트(14A)는 포트들(16A 및 22C)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트들(16A, 22C, 및 12C)의 제 1 접촉부들은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해 헤드폰 디바이스(10A)의 헤드폰 디바이스 데이터 블록(HP DATA)(15A) 및 호스트(14A)의 데이터 블록(DATA)(19A)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정상적인 동작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충전기(11)가 포트(22A)를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될 때, 전하는 패스스루 라인(PT)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과하여 전력 충전기(11)로부터, 22A 내지 포트(22C)로부터 호스트 포트(16A)까지의 호스트(14A)로 이동할 수 있다(예로서, 패스스루 충전). 포트들(22C 및 16A)의 제 2 접촉부들은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14A)는 그것의 배터리(BATT)(17A)에서 전하를 수신할 수 있다(예로서,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는 결과적으로, 포트들(16A, 22C, 및 22A)을 통해 호스트(14A)의 전력(PWR) 블록(18A)으로부터 헤드폰 전력 블록(HP PWR)(13A)으로 전력/전하를 제공함으로써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해 전하를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충전기(11)는 결코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충전할 수 없고, 헤드폰 디바이스(10A)를 위한 전력/충전은 또한, 먼저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과하여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로 이동되어야 할 수 있으며, 그 다음 호스트(14A)는 결과적으로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전력을 공급/충전해야 할 수 있다.
이제 도 2c를 참조하면, 헤드폰 디바이스(10A)는 대신에, 포트들(12C 및 22A)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고, 호스트(14A)는 포트들(16A 및 22C)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트들(16A, 22C, 및 12C)의 제 1 접촉부들은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해 헤드폰 디바이스(10A)의 헤드폰 디바이스 데이터 블록(HP DATA)(15A) 및 호스트(14A)의 데이터 블록(DATA)(19A)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정상적인 동작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충전기(11)가 포트(22B)를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에 결합될 때, 전하는 패스스루 라인(PT)을 통해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과하여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포트(22B) 내지 포트(22C)로부터 호스트 포트(16A)까지의 호스트(14A)로 이동될 수 있다(예로서, 패스스루 충전). 포트들(22C 및 16A)의 제 2 접촉부들은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14A)는 그것의 배터리(BATT)(17A)에서 전하를 수신할 수 있다(예로서,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는 결과적으로, 포트들(16A, 22C, 및 22B)을 통해 호스트(14A)의 전력(PWR) 블록(18A)으로부터 헤드폰 전력 블록(HP PWR)(13A)으로 전하를 제공함으로써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해 전하를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충전기(11)는 결코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충전할 수 없고, 헤드폰 디바이스(10A)를 위한 전력/충전은 또한, 먼저 어댑터 디바이스(20)를 통과하여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A)로 이동되어야 할 수 있으며, 그 다음 호스트(14A)는 결과적으로 헤드폰 디바이스(10A)에 전력을 공급/충전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 디바이스(20)의 일례는 벨킨 인터내셔널사의 라이트닝 오디오 + 충전 록스타™ 어댑터이다. 또한,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 디바이스(20)의 또 다른 예는 패스스루 충전 능력을 갖는 수동 아날로그 오디오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는 USB-C 어댑터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USB-C 어댑터는 3개의 포트들(22A, 22B, 및 22C)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포트들(22A 및 22B)은 각각의 헤드폰(예로서, 데이터) 포트 및 전력 포트일 수 있고 포트(22C)는 호스트 포트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USB-C 어댑터 디바이스는 최소 디폴트 전력(예로서, 500 밀리암페어)으로 제한되고, 따라서 호스트의 충전 시간들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댑터는 고정된 기능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따라서, USB 표준(예로서,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정의된 다른 기능들 중 임의의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허브 또는 도크 또는 어댑터 디바이스(20)와 같은 어댑터 디바이스가 아니다. 주변 디바이스는 정보를 호스트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패스스루 충전에 대한 기존의 접근법들의 하나의 핵심 단점은 전력 충전기를 통해 제공된 전력이 관리되고 호스트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에 분할되어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패스스루 충전에 대한 기존 접근법들의 이 단점을 묘사하는 일 예시적인 고 레벨 블록도를 도시한다. 기존의 접근법들을 사용하는 패스스루 충전은 전력 충전기로부터의 전력이 직렬로 제공되도록, 직렬로 행해질 수 있다. 전력이 직렬로 제공되기 때문에, 호스트 및 주변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전력량은 그에 따라 분할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력 충전기(11)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량은 호스트(14)가 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블록도는 전력 충전기(11)가 12 와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묘사한다. 전력 충전기(11)에 의해 제공된 12 와트는 패스스루 라인(PT)을 통해 주변 디바이스(10)를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고 호스트(14)에 의해 먼저 수신될 수 있다. 호스트(14)가 결과적으로, 주변 디바이스(10)에 3 와트(3W)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14)는 나머지 9 와트(9W = 12W - 3W)만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 다른 핵심 단점은, 호스트(14)가 주변 디바이스(10)에 결합되지 않으면, 기존의 접근법들을 사용하여, 전력 충전기(11)가 주변 디바이스(10)를 직접적으로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 디바이스(10)가 전혀 충전될 수 없다는 것이다. 주변 디바이스(10)가 무선 헤드폰/헤드셋/이어버드들와 같은, 독립형 또는 무선 디바이스이어야 한다면 이러한 직접 충전 특징은 중요하고 이롭다.
본 발명의 교시들에 따르면, 주변 디바이스를 통해 능동 충전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단점들 및 문제들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port policy management)를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방법은 유효 전력 연결이 주변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유효 전력 연결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관계에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주변 디바이스,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전력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 관계에 매칭(matching)시키기 위해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 및 주변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능동 충전이 전력 관계에 의해 지원되면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enabl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를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신하고 수신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디바이스에 결합된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는 단계 및 전력이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와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 사이의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는 주변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로서,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에 통합될 수 있고, 주변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해 포트 정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유효 전력 연결이 주변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유효 전력 연결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통신 포트와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관계에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전력 관계를 결정하고, 전력 관계에 매칭시키기 위해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 및 주변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며, 능동 충전이 전력 관계에 의해 지원되면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는 주변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로서,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에 통합될 수 있고, 주변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해 포트 정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디바이스에 결합된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고 전력이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와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 사이의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들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들, 설명 및 청구항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들 및 장점들은 적어도 청구항들에서 특히 지적된 요소들, 특징들, 및 조합들에 의해 실현되고 성취될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 둘 모두가 예들이고 설명적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된 청구항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 및 그의 장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결부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패스스루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일 예시적인 애플 라이트닝 호환가능한 헤드폰 디바이스(10) 또는 주변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패스스루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일 예시적인 벨킨 인터내셔널 사의 라이트닝 오디오 + 충전 록스타™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패스스루 충전의 일 예시적인 고 레벨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 충전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고 레벨 블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 및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을 허용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의 일 예시적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 및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링(disabling)하기 위해 임계 전압들을 이용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진입을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USB-C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진입을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USB-C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임계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 및 전력 충전기에 결합된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 및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 전원에 결합된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가 제 2 통신 포트에 결합되고 어떤 것도 제 1 통신 포트에 결합되지 않은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의 블록도.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적인 충전 시에 포트 정책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호스트 및 전력 충전기는 주변 디바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 호스트, 전력 충전기, 및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각각의 포트들은 통신 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고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USB 프로토콜들(USB-C 및 USB-PD 프로토콜들)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들, 또는 애플 라이트닝 버스 연결기를 지원하고 그것과 호환가능하며/그것에 따르는 독점적 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독점적 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 충전을 위한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고 레벨 블록도를 도시한다. 직렬 방식을 통해 충전을 수행하는 패스스루 충전에 대한 기존의 접근법들과 반대로, 도 4에 묘사된 시스템에서, 능동 충전은 전력이 주변 디바이스 및 호스트 둘 모두에 병렬로 제공되도록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전력이 병렬로 제공되기 때문에, 호스트 및 주변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전력량은 기존의 접근법들(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의해 요구되는대로 분할될 필요가 없다. 도 4의 예에서, 전력 충전기(11)는 도 3의 종래 기술 시스템에서 제공된 12 와트와 반대로 15 와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충전기(11)에 의해 제공된 15 와트 중 12 와트는 호스트(14)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주변 디바이스(101)를 통과하여 이동되지 않는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또한, 전력 충전기(11)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그리고 호스트(14)가 전력을 관리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을 주변 디바이스(101)에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력 충전기(11)로부터 호스트(14)로 제공되는 전력의 임의의 손실 또는 감소 없이 전력 충전기(11)로부터 3 와트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에 대한 이러한 직접 충전 특징은 주변 디바이스(101)가 무선 헤드폰/헤드셋/이어버드들과 같은, 독립형 또는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기 때문에 이롭다. 능동 충전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은 호스트의 존재 없이 주변 디바이스가 충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101), 제 1 통신 포트(102), 제 2 통신 포트(104), 및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를 가지는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를 도시한다.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는 도 5a에 도시된 방식으로 결합된 스위치들(108, 110, 및 112)을 가질 수 있다. 단지 제 1 통신 포트(102)가 유효 전력 연결을 제공할 때, 스위치(108)는 활성화될 수 있고 스위치들(110 및 112)은 비활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전력은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주변 디바이스(101)로 단지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들(110 및 112)이 비활성으로 유지됨으로써, 제 2 통신 포트(104)는 주변 디바이스(101) 및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단지 제 2 통신 포트(104)가 유효 전력 연결을 제공할 때, 스위치(112)는 활성화될 수 있고 스위치들(110 및 108)은 비활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력은 제 2 통신 포트(104)로부터 주변 디바이스(101)로 단지 제공된다. 스위치들(110 및 108)이 비활성으로 유지됨으로써, 제 1 통신 포트(102)는 주변 디바이스(101) 및 제 2 통신 포트(104)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가 논리적으로 그리고 동작가능하게 동등할 수 있고, 따라서, 포트들 중 하나의 포트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기의 설명이 적절하게 또 다른 하나의 포트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b는 제 1 통신 포트(102)(제 1 USB-C 포트(102)), 제 2 통신 포트(104)(제 2 USB-C 포트(104))를 갖는 USB-C 디바이스 어셈블리에서 USB-C 디바이스로서 구현된 주변 디바이스(101),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해 임계 전압들(VTH1 및 VTH2)을 사용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의 또 다른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도 5b가 주변 디바이스(101)를 임계 전압들(VTH1 및 VTH2)을 사용하는 USB-C 디바이스로서 묘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모든 중요한 면들에서 도 5a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101)에 대한 진입을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방법(200A)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은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의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200A)에 대한 바람직한 초기화 지점 및 방법(200A)을 포함하는 단계들의 순서는 선택된 구현에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200)은 단계(2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가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방법(200A)은 그러한 결정이 행해질 때까지 단계(206)에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101)가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방법(200A)은 단계(208A)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도 5a의 주변 디바이스(101)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도 7a는 단계(208A)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묘사한다. 단계(21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능동 충전이 주변 디바이스(101)에서 인에이블링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능동 충전이 인에이블링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방법(200A)은 단계(206)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능동 충전이 인에이블링된다고 결정하면, 방법(200A)은 단계(216)에서 종료될 수 있다.
도 6a가 방법(200A)에 대해 취해질 특정한 수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0A)은 도 6a에서 묘사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단계들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6a가 방법(200A)에 대해 취해질 특정 순서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0A)을 포함하는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완료될 수 있다.
방법(200A)은 주변 디바이스(101), 그의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200A)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200A)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USB-C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101)에 대한 진입을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방법(200B)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은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의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200B)에 대한 바람직한 초기화 지점 및 방법(200B)을 포함하는 단계들의 순서는 선택된 구현에 의존할 수 있다. 방법(200B)은 상기 설명된 방법(200A)과 많은 중요한 면들에서 유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명확성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방법(200B)과 방법(200A) 사이의 단지 중요한 차들이 하기에 논의될 수 있다. 방법(200B)에서, 단계(204)는 단계들(202 및 206) 사이에 부가될 수 있고, 단계(214)는 단계들(210 및 216) 사이에 부가될 수 있으며, 단계(208B)는 단계(208A)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방법(200B)에서, 단계(20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임계 전압(VTH1)으로 하여금 제 2 임계 전압(VTH2)과 동일하게 되게 할 수 있어서 임계 전압들 둘 모두가 USB-C 사양에 따라 USB 디폴트 전압 값과 동일하게 된다. 단계(2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가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방법(200B)은 그러한 결정이 행해질 때까지 단계(206)에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101)가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면, 방법(200B)은 단계(208B)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도 5b의 주변 디바이스(101)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도 7b는 단계(208B)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묘사한다. 단계(21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능동 충전이 주변 디바이스(101)에서 인에이블링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능동 충전이 인에이블링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방법(200B)은 단계(206)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능동 충전이 인에이블링된다고 결정하면, 방법(200B)은 단계(21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21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임계 전압 조정으로 하여금 행해지게 할 수 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도 8은 단계(214)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묘사한다. 단계(214)의 완료 후에, 방법(200)은 단계(216)에서 종료된다.
도 6b가 방법(200B)에 대해 취해질 특정한 수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0B)은 도 6b에서 묘사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단계들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6b가 방법(200B)에 대해 취해질 특정 순서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0B)을 포함하는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완료될 수 있다.
방법(200B)은 주변 디바이스(101), 그의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200B)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200B)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101)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8A)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은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의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208A)에 대한 바람직한 초기화 지점 및 방법(208A)을 포함하는 단계들의 순서는 선택된 구현에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208A)은 단계(7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2개의 포트들(예로서,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이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모두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208A)은 단계(704)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7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2개의 포트들 중 하나(예로서, 제 1 통신 포트(102) 또는 제 2 통신 포트(104))가 전력 충전기(예로서, 전력 충전기(11))에 결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중 어느 것도 전력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 방법(208A)은 단계(706)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중 하나가 전력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208A)은 단계(71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7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단계(70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버스 통신 프로토콜과의 통신을 위해 제 2 통신 포트(104)를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단계(708)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A)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력을 제공하는 포트(예로서, 전력 포트)가 전력 충전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전력 포트가 전력 충전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208A)은 단계(71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71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력 충전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전력 포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단계(71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또 다른 하나의 포트(예로서, 비 전력 포트)를 버스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하기 위한 호스트 포트로서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단계(71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주변 디바이스(101)에 결합된 호스트의 충전을 인에이블링하기 위해 전력 충전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전력 포트로부터 호스트 포트로 능동 충전을 시도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단계(716)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A)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71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력 충전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전력 포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주변 디바이스(101)는 버스 통신 프로토콜과의 통신을 위해 동일한 포트를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주변 디바이스(101)에 결합된 호스트로부터 또 다른 하나의 포트(예로서, 비 전력 포트)로 능동 충전을 시도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단계(720)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A)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도 7a가 방법(208A)에 대해 취해질 특정한 수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8A)은 도 7a에서 묘사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단계들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a가 방법(208A)에 대해 취해질 특정 순서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8A)을 포함하는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완료될 수 있다.
방법(208A)은 주변 디바이스(101), 그의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208A)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208A)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USB-C 디바이스로서 구현된 주변 디바이스(101) 내의 포트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8B)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은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의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208B)에 대한 바람직한 초기화 지점 및 방법(208B)을 포함하는 단계들의 순서는 선택된 구현에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208B)은 단계(304)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2개의 포트들(예로서,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이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모두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06)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2개의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16)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USB-C 포트(104)가 전력 역할 교환(power role swap)을 기꺼이 수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USB-C 포트(104)가 전력 역할 교환을 기꺼이 수용할 의사가 없다면, 방법(208B)은 단계(308)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USB-C 포트(104)가 전력 역할 교환을 기꺼이 수용하면, 방법(208B)은 단계(3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원들로서 작용하는 제 1 USB-C 포트(102) 및 제 2 USB-C 포트(104) 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단계(308)의 완료 후에, 방법(208B)은 단계(328)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USB-C 포트(104)에 전력 계약(power contract)을 제공할 수 있다(예로서, 전력 계약이 협의(negotiate)됨). 단계(31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USB-C 포트(104)가 전력 계약을 수용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USB-C 포트(104)가 전력 계약을 수용하지 않으면, 방법(208B)은 단계(310)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USB-C 포트(104)가 전력 계약을 수용하면, 방법(208B)은 단계(31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1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단계(314)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B)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전원이 USB 충전기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전원이 USB 충전기가 아니라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18)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전원이 USB 충전기라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2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1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USB-C 포트(102) 및 제 2 USB-C 포트(104) 둘 모두로 하여금 업스트림 페이싱 포트들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USB-C 포트(102)로 하여금 통신에서 데이터 역할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단계(320)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B)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2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USB-C 포트(102)로 하여금 업스트림 페이싱 포트로서 동작하고 제 2 USB-C 포트(104)로 하여금 듀얼 레이트 포트로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단계(32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USB-C 포트(102)로 하여금 통신에서 어떠한 데이터 역할도 갖지 않게 할 수 있다. 단계(32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방전된 배터리가 제 2 USB-C 포트(104)에 결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방전된 배터리가 제 2 USB-C 포트(104)에 결합된다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14)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101)가 방전된 배터리가 제 2 USB-C 포트(104)에 연결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방법(208B)은 단계(328)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할 수 있다. 단계(328)의 완료 후에, 방법(200)의 단계(208B)는 방법(200)의 단계(210)로 진행할 수 있다.
도 7b가 방법(208B)에 대해 취해질 특정한 수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8B)은 도 7b에서 묘사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단계들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b가 방법(208B)에 대해 취해질 특정 순서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08B)을 포함하는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완료될 수 있다.
방법(208B)은 주변 디바이스(101), 그의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208B)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208B)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USB-C 디바이스로서 구현된 주변 디바이스(101)와 연관된 임계 전압(VTH)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214)의 일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임계 전압(VTH)은 도 5b에 도시된 제 1 임계 전압(VTH1)과 제 2 임계 전압(VTH2) 사이의 관계에 기초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은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의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214)에 대한 바람직한 초기화 지점 및 방법(214)을 포함하는 단계들의 순서는 선택된 구현에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214)은 단계(404)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임계 전압(VTH2)을 공급 계약 최소치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단계(40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임계 전압(VTH1)을 전압 저장된 전압 강하 크기 및 제 2 임계 전압(VTH2)의 합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압이 제 2 임계 전압(VTH2)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압이 제 2 임계 전압(VTH2) 미만이 아니라면, 방법(214)은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압이 제 2 임계 전압(VTH2) 미만일 때까지 단계(408)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압이 제 2 임계 전압(VTH2) 미만이면, 방법(214)은 단계(41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주변 디바이스(101)가 더 낮은 전력 모드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더 낮은 전력 모드를 가지면, 방법(214)은 단계(412)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가 더 낮은 전력 모드를 갖지 않으면, 방법(214)은 단계(41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1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그것의 더 낮은 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412)의 완료 후에, 방법(214)은 단계(408)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14)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력이 USB 디폴트 전력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력이 USB 디폴트 전력량보다 크지 않으면, 방법(214)은 단계(416)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 2 USB-C 포트(104)에서의 전력이 USB 디폴트 전력량보다 크면, 방법(214)은 단계(418)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16)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더 낮은 소스 전력 계약을 협의할 수 있다. 단계(416)의 완료 후에, 방법(214)은 단계(408)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18)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임계 전압(VTH1)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420)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포트 전압이 임계 전압(VTH1) 미만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포트 전압이 임계 전압(VTH1) 미만이 아니면, 방법(214)은 단계(408)로 다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 1 포트 전압이 임계 전압(VTH1) 미만이면, 방법(214)은 단계(422)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422)에서, 주변 디바이스(101)는 능동 충전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422)의 완료 후에, 방법(200B)의 단계(214)는 단계(216)로 진행할 수 있다.
도 8이 방법(214)에 대해 취해질 특정한 수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14)은 도 8에서 묘사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단계들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8이 방법(214)에 대해 취해질 특정 순서의 단계들을 개시할지라도, 방법(214)을 포함하는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완료될 수 있다.
방법(214)은 주변 디바이스(101), 그의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214)을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214)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서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통신 포트(102) 및 배터리(51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512)를 통해 전력 충전기(504A)에 결합된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101)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호스트(512)는 제 2 통신 포트(104)를 통해 결합된다. 주변 디바이스(101)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를 통한 동작을 통해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을 인에이블링하고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해 포트 정책 관리에 의해 관리되고 동작될 수 있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를 포함한다. 포트 정책 관리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 내에서 또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 외부의 별개의 블록(도시되지 않음)로서 제어될 수 있다. 포트 정책 관리는 유효 전력 연결이 주변 디바이스(101)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a에서, 유효 전력 연결이 존재하고 제 1 통신 포트(102)에서 검출될 수 있는데, 이는 전력 충전기(504A)의 포트(506A)를 통해 전원(502A)에 결합되는 전력 충전기(504A)가 제 1 통신 포트(102)에 결합되기 때문이다.
유효 전력 연결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통신 포트(102)와 제 2 통신 포트(104) 사이의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a에서, 제 1 통신 포트(102)는 그것이 전력 충전기(504A)에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전원(502A)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력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제 2 통신 포트(104)는 이 경우에, 호스트(512)가 배터리(510)에 의해 구동되는 포트(508)를 통해 제 2 통신 포트(104)가 호스트(512)에 결합되더라도, 전력 역할을 맡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력 관계가 제 1 통신 포트(102)가 전력 역할을 갖고 제 2 통신 포트(104)가 전력 역할을 갖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되기 때문에, 주변 디바이스(101)는 제 1 통신 포트(102)와 제 2 통신 포트(104)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협의할 수 있어서 제 1 통신 포트(102)에 전력 역할이 할당될 수 있고 제 2 통신 포트에 전력 역할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주변 디바이스(101)가 전력 역할을 협의한 후에,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는 전력 계약에 매칭시키기 위해 제 1 통신 포트(102), 제 2 통신 포트(104), 및 주변 디바이스(101)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01)는 또한, 주변 디바이스(101)의 전류를 나타내는 전력 및 제 2 통신 포트(104)의 최대 전력의 합이 제 1 통신 포트(102)와의 전력 계약 이하가 되도록 제 2 통신 포트(104)와 전력 계약을 협의할 수 있다.
전력 계약에 의존하여,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를 통한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 뿐만 아니라, 주변 디바이스(101) 그 자체의 직접 충전을 각각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a에 의해 나타내지고 전력 계약에 기초한 실시예들에 대해,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는 스위치(112)가 비활성화되는 동안(예로서, 오프됨, 디스에이블링됨, 개방됨) 스위치들(108 및 110)이 활성화되도록(예로서, 온됨, 인에이블링됨, 폐쇄됨) 제어될 수 있다. 활성화된 스위치(108)는 제 1 통신 포트(102)를 통해 주변 디바이스(101) 자체를 직접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활성화된 스위치(110)는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제 2 통신 포트(104)로 주변 디바이스(101)를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을 허용할 수 있어서 전원(502A)에 의해 구동된 전력 충전기(504A)가 또한, 호스트(512)의 배터리(510)를 충전하게 한다. 스위치(112)는 호스트(512)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호스트(512)가 전력 역할을 갖고 전력 계약 상태에 있는 것을 방지되게 할 수 있도록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a에 의해 나타내진 실시예들에 대해, 유효 전력 연결은 단지 제 1 통신 포트(102)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단지 제 1 통신 포트(102)가 전력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력 계약은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제 2 통신 포트(104)로의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를 통한 능동 충전(능동-충전)을 허용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502B)에 의해 구동된 전원(504B) 및 또 다른 배터리(51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512)에 결합된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10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제 1 통신 포트(102)가 배터리(502B)에 의해 구동된 전원(504B)에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모든 중요한 면들에서 도 9a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은 임의의 방식으로 특정 전원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전원, 전원을 구동하는 배터리, 또는 주변 디바이스(101)에 전력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소스에 의해 구동된 전력 충전기일 수 있다.
도 9a에 의해 나타내진 실시예들에서 전원(502A)으로부터 분리되는 전력 충전기(504A) 또는 도 9b에 의해 나타내진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분리되거나 완전히 방전되는 배터리(502B)와 같은, 유효 전력 연결이 분리되고 제 1 통신 포트(102)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100)를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지 배터리(51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은 호스트(512)가 제 2 통신 포트(104)에 결합되고 어떤 것도 제 1 통신 포트(102)에 결합되지 않은 일 예시적인 주변 디바이스(10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9c는 제 1 통신 포트(102)에서의 디바이스(들)가 그 포트로부터 결합되지 않거나 분리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도 9a 또는 도 9b에 대해 모든 중요한 면들에서 유사할 수 있다.
도 9c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유효 전력 연결이 제 2 통신 포트(104)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유효 전력 연결이 제 2 통신 포트(104)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포트 정책 관리는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제 2 통신 포트(104)로 전력 역할을 교환할 수 있고 전력이 제 2 통신 포트(104)로부터 주변 디바이스(101)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력 계약을 또한 전환할 수 있다. 도 9c에서의 주변 디바이스(101) 및 호스트(512)의 USB-C 구현에서, 전력 역할 교환은 제 1 통신 포트(102)(예로서, 제 1 USB-C 포트)로부터 제 2 통신 포트(104)(예로서, 제 2 USB-C 포트)로 빠른 역할 교환을 시그널링하는 포트 정책 관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9c에서, 유효 전력 연결이 제 2 통신 포트(104)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더 낮은 전원 계약은 제 2 통신 포트(104)와 선택적으로 협의될 수 있거나 주변 디바이스(101)의 전류 인출(current draw)이 감소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임계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214)으로 논의된 바와 같이, 유효 전력 연결은 버스 전압을 제 1 임계 전압(VTH1)과 비교함으로써 제 1 통신 포트(102)(예로서, 제 1 USB-C 포트)에서 검출될 수 있고, 유효 전력 연결은 버스 전압을 제 2 임계 전압(VTH2)과 비교함으로써 제 2 통신 포트(104)(예로서, 제 2 USB-C 포트)에서 검출될 수 있다. 제 1 임계 전압(VTH1)은 제 2 임계 전압(VTH2)보다 높을 수 있고, 제 2 임계 전압(VTH2)은 전력 계약에 대한 최소 유효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제 1 임계 전압(VTH1)과 제 2 임계 전압(VTH2) 사이의 차는 제 1 통신 포트(102)(예로서, 제 1 USB-C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104)(예로서, 제 2 USB-C 포트)로부터 주변 디바이스(101)(예로서, USB-C 디바이스)의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 동안 제 1 통신 포트(102)와 제 2 통신 포트(104) 사이의 전압 강하 이상일 수 있다. 전압 강하는 주변 디바이스(101)(예로서, USB-C 디바이스)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물리적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에서 검출될 때, 제 1 임계 전압(VTH1)이 증가될 수 있다.
전압 강하는 주변 디바이스(101)(예로서, USB-C 디바이스)에 의해: 1) 제 1 통신 포트(102)(예로서, 제 1 USB-C 포트)에서 전압을 측정하고; 2) 제 2 통신 포트(104)(예로서, 제 2 USB-C 포트)에서 전압을 측정하고; 3) 전력 결합 네트워크(106), 즉 능동 충전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며; 4) 제 1 통신 포트(102)와 제 2 통신 포트(104)(예로서, 제 1 USB-C 포트 및 제 2 USB-C 포트) 사이의 저항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전원들은 전원 또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에 결합된 전력 충전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는 도 9a, 도 9b, 및 도 9c의 호스트(512)와 같은 호스트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중 하나에서 유효 전력 연결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의 일례는 전력 충전기가 전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배터리가 호스트로부터 분리되거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거나 더 이상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거나 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의 전력이 없을 때일 수 있다. 유효 전력 연결이 주변 디바이스(101)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주변 디바이스(101)의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이 디스에이브링될 수 있다.
유효 전력 연결은 또한,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유효 전력 연결이 제 1 통신 포트(102) 및 제 2 통신 포트(104) 둘 모두에 존재할 때, 포트 정책 관리는 2개의 통신 포트들 중 어느 포트가 전력 역할을 가져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주변 디바이스(101) 내에서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의 방향, 즉 동작을 통한 능동 충전(또는 능동-충전)이 제 1 통신 포트(102)로부터 제 2 통신 포트(104)로인지 대안적으로 제 2 통신 포트(104)로부터 제 1 통신 포트(102)로인지를 결정하는 전력 계약을 또한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것으로서 언급될 때, 이러한 용어는 이러한 2개 이상의 요소들이 적용가능하다면, 개입 요소들을 갖거나 이들이 없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든 아니든 전자적 통신 또는 기계적 통신 중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해할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들, 대체들, 변형들, 개조들, 및 수정들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적절한 경우, 첨부된 청구항들은 당업자가 이해할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들, 대체들, 변형들, 개조들, 및 수정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응되거나, 배열되거나, 수행할 수 있거나, 구성되거나, 인에이블링되거나, 동작가능하거나, 동작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 또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언급은, 그 장치,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가 그렇게 적응되거나, 배열되거나, 할 수 있거나, 구성되거나, 인에이블링되거나, 동작가능하거나, 동작하는 한, 그 특정 기능이 활성화되든, 턴 온되든, 아니면 잠금해제되든 그 장치,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예들 및 조건부 언어는 본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및 본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 및 본 발명을 판독자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학적 목적들을 위해 의도되며,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 대체들, 및 개조들이 그에 대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4)

  1.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전력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관계에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능동 충전이 상기 전력 관계에 의해 지원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enabl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에 대한 협의된 전력 역할(negotiated power role)을 선택적으로 협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에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에 기초하여, 수행될 이하의 단계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될 이하 단계들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draw)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인,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만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질 때: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이 단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부터 전달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충전을 디스에이블링(disabling)하는 단계;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충전가능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다시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만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질 때: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이 단지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부터 전달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충전가능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다시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대한 더 낮은 전력 역할을 협의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전력 인출을 감소시키는 단계 중 하나의 수행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둘 모두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어느 것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져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인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 이루어질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는 제 1 USB-C 포트이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제 2 USB-C 포트이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USB-C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은 USB-PD 명시적 계약 및 USB-C 전력 사양에 따라 전력의 크기 및 방향을 제공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1 USB-C 포트 및 상기 제 2 USB-C 포트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USB-C 포트 및 상기 제 2 USB-C 포트 중 또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USB-C 포트와의 빠른 역할 교환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버스 전압을 제 1 임계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USB-C 포트에서 검출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버스 전압을 상기 제 1 임계 전압보다 작고 전력 계약(power contract)을 위한 최소 유효 전압과 동일한 제 2 임계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2 USB-C 포트에서 검출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 전압과 상기 제 2 임계 전압 사이의 차는 상기 제 1 USB-C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USB-C 포트로의 상기 USB-C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동안 상기 제 1 USB-C 포트와 상기 제 2 USB-C 포트 사이의 전압 강하 이상인,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 전압과 상기 제 2 임계 전압 사이의 차는 상기 USB-C 디바이스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USB-C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임계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SB-C 디바이스의 전류를 나타내는 전력 및 최대 포트 전력의 합이 상기 제 1 USB-C 포트와의 상기 전력 계약 이하가 되도록 상기 USB-C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USB-C 포트와 상기 전력 계약을 협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라이트닝(Lightning)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는 라이트닝 통신 포트이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라이트닝 통신 포트이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라이트닝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은 상기 라이트닝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의 크기 및 방향을 제공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원은 배터리 및 전력 충전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력 충전기가 그 자신의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
    상기 배터리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없는 것 중 하나에 응답하여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원은 통신 프로토콜 호스트의 배터리인,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상기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손실들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제 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제 2 전압을 측정하고;
    능동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저항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31.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고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결합된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 사이의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상기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전력 손실들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제 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제 2 전압을 측정하고;
    능동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저항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되는,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한 포트 정책 관리 방법.
  33.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는 주변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 내에 있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는: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로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해 포트 정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전력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관계에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며;
    능동 충전이 상기 전력 관계에 의해 지원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에 대한 협의된 전력 역할을 선택적으로 협의함으로써 상기 전력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링함으로써,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에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포트,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에 기초하여, 수행될 이하의 단계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행될 이하의 단계들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단계인, 주변 디바이스.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만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질 때: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며;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이 단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부터 전달되도록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 교환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충전가능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다시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만 존재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만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질 때: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이 단지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1 접촉부로부터 전달되도록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 교환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도록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충전가능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다시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접촉부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대한 더 낮은 전력 역할을 협의하는 것;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전력 인출을 감소시키는 것 중 하나의 수행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둘 모두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어느 것이 상기 전력 역할을 가져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 또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 이루어질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범용 직렬 버스(USB)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는 제 1 USB-C 포트이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제 2 USB-C 포트이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USB-C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은 USB-PD 명시적 계약 및 USB-C 전력 사양에 따라 전력의 크기 및 방향을 제공하는, 주변 디바이스.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1 USB-C 포트 및 상기 제 2 USB-C 포트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USB-C 포트 및 상기 제 2 USB-C 포트 중 또 다른 하나로 전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을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2 USB-C 포트와의 빠른 역할 교환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버스 전압을 제 1 임계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USB-C 포트에서 검출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버스 전압을 상기 제 1 임계 전압보다 작고 전력 계약을 위한 최소 유효 전압과 동일한 제 2 임계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2 USB-C 포트에서 검출되는, 주변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 전압과 상기 제 2 임계 전압 사이의 차는 상기 제 1 USB-C 포트로부터 상기 제 2 USB-C 포트로의 상기 USB-C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동안 상기 제 1 USB-C 포트와 상기 제 2 USB-C 포트 사이의 전압 강하 이상인, 주변 디바이스.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임계 전압과 상기 제 2 임계 전압 사이의 차를 상기 USB-C 디바이스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물리적 연결이 상기 제 1 USB-C 포트에서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임계 전압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53.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USB-C 디바이스의 전류를 표현하는 전력 및 최대 포트 전력의 합이 상기 제 1 USB-C 포트와의 상기 전력 계약 이하가 되도록 상기 USB-C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2 USB-C 포트와 상기 전력 계약을 협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5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라이트닝 통신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1 통신 포트는 라이트닝 통신 포트이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라이트닝 통신 포트이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라이트닝 디바이스인, 주변 디바이스.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협의된 전력 역할은 상기 라이트닝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의 크기 및 방향을 제공하는, 주변 디바이스.
  5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 존재하고;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기 에너지원이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 존재하는, 주변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원은 배터리 및 전력 충전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은:
    상기 전력 충전기가 그 자신의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
    상기 배터리가 충분한 양의 전력을 상기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없는 것 중 하나에 응답하여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 주변 디바이스.
  59.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원은 통신 프로토콜 호스트의 배터리인, 주변 디바이스.
  6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유효 전력 연결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디스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6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상기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제 1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제 2 전압을 측정하고;
    능동 충전을 위해 이용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저항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전력 손실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63. 통신 프로토콜에서 동작하는 주변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 내에 있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 어셈블리는:
    제 1 통신 포트;
    제 2 통신 포트로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는 각각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제 1 전기 접촉부 및 전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제 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위해 포트 정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제 2 통신 포트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결합된 호스트를 충전하는 것과 연관된 전력 손실들을 추정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제 1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의 제 2 전기 접촉부 사이의 상기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을 통해 상기 호스트에 제공되고 있을 때 상기 전력 손실들을 설명하도록 구성되는, 주변 디바이스.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손실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에서 제 1 전압을 측정하는 것;
    상기 제 2 통신 포트에서 제 2 전압을 측정하는 것;
    능동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결합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는 것; 및
    상기 제 1 통신 포트와 상기 제 2 통신 포트 사이의 저항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변 디바이스.
KR1020197037747A 2017-05-23 2018-05-23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KR102327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0004P 2017-05-23 2017-05-23
US62/510,004 2017-05-23
US15/937,152 2018-03-27
US15/937,152 US10579119B2 (en) 2017-05-23 2018-03-27 Active charge through of a peripheral device
PCT/US2018/034108 WO2018217874A2 (en) 2017-05-23 2018-05-23 Active charge through of a peripher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427A KR20200010427A (ko) 2020-01-30
KR102327248B1 true KR102327248B1 (ko) 2021-11-17

Family

ID=6358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747A KR102327248B1 (ko) 2017-05-23 2018-05-23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9119B2 (ko)
KR (1) KR102327248B1 (ko)
CN (1) CN110832470B (ko)
WO (1) WO20182178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6034A (zh) * 2016-01-15 2018-08-31 索尼公司 发送器、发送方法、接收器和接收方法
US10955888B2 (en) * 2018-01-29 2021-03-23 Via Labs, Inc.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defining a power source or sink status for downstream facing ports
US10320180B1 (en) * 2018-04-24 2019-06-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urrent control and protection for universal serial bus type-C (USB-C) connector systems
US10317969B1 (en) * 2018-04-27 2019-06-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VCONN swapping in dual-powered type-C cable applications
JP2019213325A (ja) * 2018-06-04 2019-12-1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7082926B2 (ja) * 2018-08-27 2022-06-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10936032B2 (en) * 2018-12-11 2021-03-02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ual charger power balancing and fast role swapping
CN109862457A (zh) * 2018-12-25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转接器及充电方法
US11016919B2 (en) * 2019-02-22 2021-05-25 Seagate Technology Llc Intelligent switching peripheral connector
TWI705325B (zh) * 2019-02-27 2020-09-21 同星科技股份有限公司 具雙電源之usb擴展裝置及雙電源供電方法
US11029939B1 (en) * 2020-01-06 2021-06-08 Capital One Services, Llc Dual-core ATM
US11372462B2 (en) * 2020-03-24 2022-06-28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Protected power and data bus connection of peripheral device and host device
US11169584B2 (en) * 2020-03-31 2021-11-0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ual-connecto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power and memory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US11294438B2 (en) * 2020-04-29 2022-04-0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ower from one portion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to another portion of th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11493972B2 (en) * 2020-06-23 2022-11-08 Google Llc Hardware architecture for USB-C port power
CN114691570A (zh) * 2020-12-25 2022-07-01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设备及信号的切换方法
US20230116682A1 (en) * 2021-09-29 2023-04-13 Tigris Clemons Multiple Interface External Hard Driv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045A (ja) 2012-04-27 2013-11-14 Toshiba Corp 電子機器、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045A (en) * 1992-04-15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management in portable computers
US20060179165A1 (en) * 2005-02-01 2006-08-10 Ming-Chun Chen Multipurpose charging system with transmission function
CN102388520B (zh) * 2009-02-27 2015-01-21 飞兆半导体公司 外围装置主机充电
US8458376B1 (en) * 2012-01-19 2013-06-04 I/O Interconnect Inc. USB peripheral device with automatic mode switch
US20160378704A1 (en)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configure connection modes on a system based on host device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045A (ja) 2012-04-27 2013-11-14 Toshiba Corp 電子機器、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7874A2 (en) 2018-11-29
CN110832470A (zh) 2020-02-21
KR20200010427A (ko) 2020-01-30
US10579119B2 (en) 2020-03-03
CN110832470B (zh) 2021-08-24
WO2018217874A3 (en) 2018-12-20
US20180341310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248B1 (ko) 주변 디바이스를 통한 능동 충전
US10097022B2 (en) Mobile terminal and rapid charging method
JP6083878B2 (ja) 電力供給の方向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10110038B2 (en) Mobile terminal and rapid charging method
CN108351677B (zh) 具有供电合约协商能力的端口控制器
US7863856B2 (en)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 for coupled electronic devices
KR101891976B1 (ko) 쾌속 충전 방법, 전원 어댑터 및 모바일 단말기
US9588563B2 (en) Protocol for managing a controllable power adapter accessory
US75081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a portable device from energy storage of another portable device
JP5821126B2 (ja) 逆方向ローカルデータ伝送接続を介して電力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921314B2 (en) Providing power over ethernet cables
US8949631B2 (en) USB power supply method and device, and end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US8437695B2 (en) Power bridge circuit for bi-directional inductive signaling
US10320128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ulti-purpose connector guide pin structure
US10936034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ultiple port power source management
WO2015113465A1 (zh) 终端、电源适配器和充电异常的处理方法
CN103176938A (zh) 通用串行总线主机及其电能管理方法
TW201725821A (zh) 快速充電方法、移動終端和轉接器
US20210234393A1 (en) Multimode usb-c power transmission and conversion supporting improved battery charging
CN101853970A (zh) 一种通过通用串行总线接口充电的方法和装置
US20090210621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system, and access device
US20170222457A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Reversible Charge Port and Magnetic Charge Connector
CN112166422B (zh) 一种移动终端
JP7082926B2 (ja) 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EP2457306B1 (en) Power bridge circuit for bi-directional inductive power and data signal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