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589B1 - 이동식 버스정류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버스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589B1
KR102326589B1 KR1020200024820A KR20200024820A KR102326589B1 KR 102326589 B1 KR102326589 B1 KR 102326589B1 KR 1020200024820 A KR1020200024820 A KR 1020200024820A KR 20200024820 A KR20200024820 A KR 20200024820A KR 102326589 B1 KR102326589 B1 KR 10232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ne dust
energy storage
duct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790A (ko
Inventor
황민선
Original Assignee
황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민선 filed Critical 황민선
Priority to KR102020002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에너지를 생산 및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은 모듈형태로 제작된 모듈형하우징에 의해,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은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른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기를 유입시켜 버스대기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편의 제공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및 저장하면서,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 전동장치 등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버스정류장{Easy movable bus sta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에너지를 생산 및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은 버스가 정차하도록 지정된 장소로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편의를 위해 햇빛이나 비 또는 눈을 피할 수 있도록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정류장을 밝게 하거나 LED 조명을 이용하여 조명과 광고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은 개방감을 강화하고 각종 사고를 막기 위해서 강철 재질의 얇은 기둥과 강화유리 재질의 얇은 투명 벽체로 구성되고, 천정의 재질은 철판이나 강화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며, 구조물 조립시 태풍과 폭우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프레임간 연결부위는 주로 용접 결합되고 연결 브라켓을 덧댈 수 있는 부분은 넓은 브라켓과 다수의 구조용 볼트로 단단히 체결된다.
이러한, 버스 정류장 설치 시, 다수의 작업자가 버스정류장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이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재의 운반, 가공에 따른 소음 및 분진의 발생으로 보행자는 물론 작업자 보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필요한 장소에 현장시공을 통해 시공해야 하는 건축시설물의 개념으로서, 한번 시공을하게 되면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시공된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기는 버스정류장의 공간을 밝게 하거나 광고홍보를 위한 조명에 주로 사용되고 있어, 활용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805호 : 태양광 버스 정류장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형태로 제작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른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기를 유입시키는 등 버스대기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편의 제공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및 저장할 수 있는 이동식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에너지를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어 자체 생산된 에너지의 활용도가 향상된 이동식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 정류장은 일시 정차하는 버스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모듈형 하우징과, 상기 모듈형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외부전원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전원을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전기충전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에너지 저장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상기 태양광발전으로부터 발생된 전원공급 및 외부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유닛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형 하우징은 도로의 연장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수직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단에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장착되는 지붕과,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충전부는 충전을 위한 상기 전기자동차가 인접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형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며,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장착되어 지면아래로 매립되거나, 상기 전기충전부에 인접하게 상기 모듈형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부의 상기 내부공간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지붕의 하면에 도로를 따라 길이연장된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의 하면에 하방으로 각각 개구되며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분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기덕트 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온도 저감을 유도하는 미스트분사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스트분사유닛은 상기 메인덕트를 따라 연장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서 각 상기 분기덕트 내로 분기된 복수의 미스트공급분기관과, 상기 분기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하부측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과, 상기 메인관과 연결되며 미스트 발생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트와 상기 메인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탱크 내의 물을 상기 메인관으로 펌핑하는 미스트공급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송풍덕트의 일측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구획하되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관통공이 형성된 구획틀과, 상기 구획틀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다수의 다공성 부재가 적셔지면서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상기 다공성 부재에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획틀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은 모듈형태로 제작된 모듈형하우징에 의해,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은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른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기를 유입시켜 버스대기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편의 제공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및 저장하면서,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 전동장치 등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은 다수의 다공성 부재가 내장된 구획틀에 물을 분사하여 송풍덕트 내로 유입되는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다공성 부재에 흡착됨으로써 미세먼지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터부의 세척이 용이하므로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버스정류장의 냉난방유닛과 미세먼지제거유닛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미세먼지제거유닛을 확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의 미세먼지제거유닛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 정류장(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 정류장(10)은 일시 정차하는 버스(미도시)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12)을 갖는 모듈형 하우징(11)과, 모듈형 하우징(11)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부(20)와, 태양광 발전부(2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외부전원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30)와, 에너지저장부(30)에 저장된 전원을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전기구동장치(미도시)에 공급하는 전기충전부(40)와, 에너지저장부(40)의 에너지 저장량을 모니터링하여 에너지저장부(40)에 상기 태양광 발전으로부터 발생된 전원공급 및 외부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내부공간(12)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71)을 포함하며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유닛(70)과, 송풍팬(71)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100)을 구비한다.
모듈형 하우징(11)은 설치장소에 하부만 지면에 고정하면 설치 완료될 수 있게, 공장에서 일체 형태로 제작된다.
모듈형 하우징(11)은 도로(3)의 연장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지면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부(13)와, 베이스부(13)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수직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5)과, 복수의 수직프레임(15)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15)과 함께 내부공간(12)을 형성하며 상단에 태양광 발전부(20)가 장착되는 지붕(17)과, 상호 인접하는 수직프레임(15)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18)과, 격벽(19)을 구비한다.
태양광발전부(20)는 태양광모듈(21)의 기울기가 고정된 구조가 적용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태양광모듈(21)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에너지저장부(30)는 태양광발전부(2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베터리(미도시)와, 다수의 베터리가 수용되는 베터링 하우징(31)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이 적용된 것으로서, 베터리는 리튬이온베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너지저장부(30)는 베이스부(13)의 하면에 장착되어 지면 아래로 매립설치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베터리 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기충전부(40)에 인접하게 모듈형하우징(11)의 길이방향 일측부의 내부공간(12)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에너지저장부(30)는 베이스부()에 대응되게 길이연장되어 지면 아래로 매립됨으로써 모듈형 하우징(11)이 강풍이나 태풍 시에도 안전하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중량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에너지저장부(30)는 한전과 같은 외부전원공급부(91)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다수의 베터리에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외부전원공급부(91)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변환기(93)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에너지저장부(30)에 저장된다.
전기충전부(40)는 에너지저장부(30)로부터 전기자동차(미도시)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제1전기충전케이블(41)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자동차로 충전에너지를 공급한다. 전기충전부(40)는 도시되지않았으나, 전기자동차 외에도 전동 킥보드와 같이 전동으로 구동되는 전동구동장치나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단부에 충전잭 또는커넥터가 마련된 제2 및 제3전기충전케이블(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기충전부(40)는 충전을 위한 전기자동차가 인접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모듈형하우징(11)의 길이방향 일측부에 내부공간(12)의 외측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냉난방유닛(70)은 송풍팬(71)과, 송풍덕트(72)와, 외기 냉각을 위한 냉각부(80)와, 외기 가열을 위한 난방부(85)와, 온도감지센서(88)와, 복수의 인체감지센서(89)와, 미스트분사유닛(130)을 구비한다.
송풍팬(71)은 메인덕트(73)의 일단에 결합되어 외기를 메인덕트(73) 내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시로코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송풍덕트(72)는 지붕(17)의 하면에 도로를 따라 길이연장된 메인덕트(73)와, 메인덕트(73)의 하면에 하방으로 각각 개구되며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분기덕트(74)를 구비한다. 메인덕트(73)는 도 3을 참고하면 일측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절곡된 부분 없이 일단과 타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직선 연장될 수도 있다.
냉각부(80)는 메인덕트(73)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팬(71)을 통해 유입된 외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에어컨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냉각부(80)는 증발기(81)가 메인덕트(73)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압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 팽창밸브(미도시) 등의 구성이 메인덕트(73) 외측에 위치되게 적용될 수 있다. 냉각부(80)의 압축기와 팽창밸브는 제어부(50)와 연결된다.
난방부(85)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일반적인 히터가 적용되는데, 자체적으로 적정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PTC 히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감지센서(88)는 모듈형 하우징(11)의 내부공간(12) 측에 위치되어 모듈형 하우징(11)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전달한다.
복수의 인체감지센서(89)는 분기덕트(74)에 각각 설치되어, 인체 감지 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한다. 인체감지센서(89)는 인체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미스트분사유닛(130)은 분기덕트(74) 측에서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여 모듈형 하우징(11)의 내부공간(12)의 온도 저감을 유도한다.
미스트분사유닛(130)은 메인덕트(73)를 따라 연장된 메인관(131)과, 메인관(131)에서 각 분기덕트(74) 내로 분기된 복수의 미스트공급분기관(133)과, 미스트공급분기관(133) 단부에 설치되어 내부공간(12) 하부측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135)과, 메인관(131)과 연결되며 미스트 발생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37)와, 물저장탱크(137)와 메인관(131) 사이에 설치되어 물저장탱크(137) 내의 물을 메인관(131)으로 펌핑하는 미스트공급펌프(139)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온도감지센서(88)에 전달된 온도값이 설정된 최저 온도 값 이하일 경우 난방부(85)를 구동시키고, 온도감지센서(88)에 전달된 온도값이 설정된 최고 온도값 이상일 경우 냉각부(8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인체감지센서(89)로부터 감지신호 전달 시에만, 미사트공급펌프(139)를 구동시켜 미스트가 내부공간(12)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50)는 도 2를 참고하면, 태양광발전부(20)와 에너지저장부(30)와 연결되어, 태양광발전부(20)의 발전량과, 에너지저장부(30)의 베터리 충전량을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세먼지제거유닛(100)은 송풍팬(71)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메인덕트(73)의 일측 내에 설치되어 메인덕트(73)를 구획하되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관통공(103)이 형성되며 내부공간(104)을 갖는 구획틀(102)과, 구획틀(102)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다공성 부재(105)를 포함하는 필터부(101)와; 다수의 다공성 부재(105)가 적셔지면서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다공성 부재(105)에 흡착될 수 있도록 송풍팬(71)과 구획틀 (102)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110)를 구비한다.
다공성 부재(105)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며, 수분흡수를 위한 다공성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다.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110)는 메인관(131)에서 분기되어 송풍팬(71)과 구획틀(102) 사이의 메인덕트(73) 내로 메인덕트(7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1)과,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1)의 외주면에 구획틀(102)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수분분사노즐(113)과, 메인관(131)과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 사이에 설치되는 제1밸브(114)를 구비한다.
제1밸브(114)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메인관(131)과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가 연통되거나 연통해제되도록 한다.
제1밸브(114)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으로도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세 방향으로 유체흐름이 가능한 삼방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동절기와 같이 내부공간(12)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없을 때에는 미스트공급분기관(133)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11)으로만 물이 공급되어 미세먼지만 제거할 수 있도록 제1밸브(114)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덕트(73)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내부에 구획틀(102)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76)이 장착되고, 필터부(101)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구획틀(102)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된 필터부장착공(77)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덕트(73)의 필터부장착공(73a)이 형성된 측에 필터부장착공(73a)을 덮을 수 있으며, 메인덕트(73)에 탈착가능한 덮개판(78)이 장착된다.
제어부(50)는 모듈형 하우징(11)의 일측에 장착되는 미세먼지감지센서(109)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값이상이 전달되면 미세먼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제1밸브(114)를 제어하여 메인관(131)과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이 연통되도록 한다.
미세먼지감지센서(109)는 한정되지 않으나,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공기 투명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부에서는 빛이 발광되고 수광부에서는 이 빛을 검출하는데, 수광부로 투과되는 빛의 양에 따라 미세먼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에 설정된 값보다 수광부에 투과되는 빛이 적으면, 제어부는 미세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10)은 모듈형태로 제작된 모듈형하우징(11)에 의해,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10)은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른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기를 유입시켜 버스대기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편의 제공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 및 저장하면서,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 전동장치 등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10)은 다수의 다공성 부재가 내장된 구획틀에 물을 분사하여 송풍덕트(72) 내로 유입되는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다공성 부재에 흡착됨으로써 미세먼지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필터부의 세척이 용이하므로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버스정류장(2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버스정류장(210)은 미세먼지제거유닛(2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버스정류장(10)의 구조와 동일하다.
미세먼지제거유닛(200)은 필터부(101)와,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210)를 구비한다.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210)는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과, 수분분사노즐(113)과, 증발기(8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포집부(215)와, 응축수포집부(215)에서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으로 연장된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217)과, 응축수포집부(215)에 포집된 응축수가 메인덕트(73) 내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공급펌프(219)와,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과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217) 사이에 설치되는 제2밸브(221)를 구비한다.
응축수포집부(215)는 증발기(8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포집되도록 상방이 개방된 포집공간이 형성되는 응축수 받이(218)와, 응축부 받이(218)의 상면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증발기(81)를 메인덕트(73)에 대해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지다리(216)를 구비한다.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217)은 응축수 받이(218)에 포집된 응축수가 내부로 유입되게 상단이 응축수 받이(218)의 하부를 관통한다.
제2밸브(22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과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217)이 연통되거나 연통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210)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먼지제거용수분공급관(111)과 수분분사노즐(113) 없이, 응축수포집부(215)와, 응축수포집부(215)에서 송풍팬(71)과 구획틀(102) 사이의 메인덕트(73) 내로 메인덕트(7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과, 응축수포집부(215)에 포집된 응축수가 메인덕트(73) 내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공급펌프(219)와,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217) 사이에 설치되는 제2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버스정류장(210)은 주로 냉각부(80)가 구동되는 하절기에, 미세먼지 제거에 필요한 수분을 냉각부(8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로 공급함으로써, 물저장탱크(137)에 저장된 물의 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이동식 버스 정류장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식 버스정류장 11 : 모듈형 하우징
20 : 태양광 발전부 30 : 에너지저장부
40 : 전기자동차충전부 50 : 제어부
70 : 냉온풍유닛 71 : 송풍팬
72 : 송풍덕트 100 : 미세먼지제거유닛
101 : 필터부 105 : 다공성 부재
110 :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 130 : 미스트분사유닛

Claims (6)

  1. 일시 정차하는 버스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모듈형 하우징과,
    상기 모듈형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외부전원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전원을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전기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전기충전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에너지 저장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상기 태양광발전으로부터 발생된 전원공급 및 외부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듈형 하우징에 장착된 송풍덕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유닛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지붕의 하면에 도로를 따라 길이연장된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의 하면에 하방으로 각각 개구되며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분기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기덕트 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온도 저감을 유도하는 미스트분사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분사유닛은
    상기 메인덕트를 따라 연장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서 각 상기 분기덕트 내로 분기된 복수의 미스트공급분기관과,
    상기 분기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하부측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과,
    상기 메인관과 연결되며 미스트 발생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트와 상기 메인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탱크 내의 물을 상기 메인관으로 펌핑하는 미스트공급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하우징은
    도로의 연장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수직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단에 상기 태양광 발전부가 장착되는 지붕과, 상호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충전부는
    충전을 위한 상기 전기자동차가 인접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형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며,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장착되어 지면아래로 매립되거나, 상기 전기충전부에 인접하게 상기 모듈형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부의 상기 내부공간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송풍덕트의 일측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구획하되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관통공이 형성된 구획틀과, 상기 구획틀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다수의 다공성 부재가 적셔지면서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상기 다공성 부재에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획틀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는
    상기 메인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획틀 사이의 상기 메인덕트 내로 상기 메인덕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와,
    상기 수분공급관의 외주면에 상기 구획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수분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6. 일시 정차하는 버스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모듈형 하우징과,
    상기 모듈형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거나 외부전원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저장된 전원을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전기구동장치에 공급하는 전기충전부와,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에너지 저장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에 상기 태양광발전으로부터 발생된 전원공급 및 외부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듈형 하우징에 장착된 송풍덕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유닛과,
    상기 송풍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제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미세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상기 송풍덕트의 일측 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덕트를 구획하되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외기관통공이 형성된 구획틀과, 상기 구획틀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다공성 부재와, 다수의 다공성 부재가 적셔지면서 외기 내의 미세먼지가 상기 다공성 부재에 흡착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획틀 사이로 물을 분사하는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세먼지제거용 수분공급부는
    상기 냉온풍유닛에서 외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포집부와, 상기 응축수포집부에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획틀 사이의 상기 메인덕트 내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제2먼지제거용 수분공급관과, 상기 응축수포집부에 포집된 응축수가 상기 메인덕트 내로 분사되도록 펌핑하는 응축수공급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20200024820A 2020-02-28 2020-02-28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232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20A KR102326589B1 (ko) 2020-02-28 2020-02-28 이동식 버스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20A KR102326589B1 (ko) 2020-02-28 2020-02-28 이동식 버스정류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90A KR20210109790A (ko) 2021-09-07
KR102326589B1 true KR102326589B1 (ko) 2021-11-12

Family

ID=7779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820A KR102326589B1 (ko) 2020-02-28 2020-02-28 이동식 버스정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79569B (zh) * 2024-03-29 2024-09-10 中品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化除尘装置及除尘方法
CN118810502B (zh) * 2024-09-18 2024-11-15 珠海市贡峰新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主动防水型户外电动车充电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157B1 (ko) * 2019-02-07 2019-06-25 신헌정 쿨링 휴계 시설물
KR101988299B1 (ko) * 2018-11-27 2019-09-30 주식회사 디에이피 공기여과수단을 갖는 버스정류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05B1 (ko) 2010-04-08 2012-05-18 (주)퓨쳐 라이팅 태양광 버스 정류장
KR102081441B1 (ko) * 2017-11-17 2020-02-25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99B1 (ko) * 2018-11-27 2019-09-30 주식회사 디에이피 공기여과수단을 갖는 버스정류장
KR101992157B1 (ko) * 2019-02-07 2019-06-25 신헌정 쿨링 휴계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90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403B1 (ko) 전력공급수단을 갖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KR200465196Y1 (ko) 버스 쉘터
CA1215280A (en) Solar heating system
KR102326589B1 (ko)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1033231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공조장치
US20100186734A1 (en) Solar air heater for heating air flow
CN108608881B (zh) 一种新能源汽车的移动式充电桩
JP2002536948A (ja) 電気車輌光起電充電システム
CN211473524U (zh) 可自动降温的公交站台
US20200173691A1 (en) Reflective mirror defogger
KR2010011992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10007573A (ko) 공간 활용성을 높인 태양광 발전 시설물
CN105649198A (zh) 一种建筑节能光伏系统
JP2000028176A (ja) 太陽光発電利用空気調和機
JP4737232B2 (ja) ハイブリッド発電システム
KR102080068B1 (ko) 옥외용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고정식 그늘막
KR101384519B1 (ko) 소방서 친환경 에너지 관리시스템
CN211037993U (zh) 一种光伏建筑一体化的智能厂房
CN107471964A (zh) 汽车停车制冷装置
JP2005241073A (ja) パッシブ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CN111779332A (zh) 一种智能停车系统
JP5379758B2 (ja) 二重屋根増設構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省エネ型屋根または消雪屋根
US11742794B2 (en) Frame with plenum for supporting a photovoltaic array
CN221779125U (zh) 一种公交站点感应亭棚
CN212786854U (zh) 一种基于太阳能储能的高速公路除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