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929A -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929A
KR20100119929A KR1020090038835A KR20090038835A KR20100119929A KR 20100119929 A KR20100119929 A KR 20100119929A KR 1020090038835 A KR1020090038835 A KR 1020090038835A KR 20090038835 A KR20090038835 A KR 20090038835A KR 20100119929 A KR20100119929 A KR 2010011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air
indoor unit
out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현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929A/ko
Publication of KR2010011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정류장과 같은 시설에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기, 실외기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 공중 전화 부스 또는 이동식 컨테이너와 같은 쉘터 구조에 적용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팽창하도록 하는 팽창 부재 및 상기 팽창 부재를 통과한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외부 온도가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환경에 놓일 수 있는 시설물에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고, 이러한 공기 조화기가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주전원으로 사용하고, 태양 에너지와 같은 무공해 발전 수단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력을 보조 전원으로 사용하여 전력 소비 절감을 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버스 정류장, 공중 전화 부스 또는 이동식 컨테이너와 같은 시설물에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시설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태양 전지에 의하여 생성되는 에너지를 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벽과, 후벽, 측벽, 상벽 및 상기 벽들을 연결하는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벽의 일부를 정의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쉘터; 상기 쉘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쉘터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쉘터 내부의 타측 가장자리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실내팬을 포함하는 실내기; 및 상기 쉘터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냉매 배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토출하는 실외팬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주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 성하는 쉘터; 상기 쉘터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실내기; 상기 쉘터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실외기; 상기 쉘터의 외부 또는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 전지 패널;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원의 전류량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의 세기에 따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의 공급 경로와, 상용 전기의 공급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기 공급 경로에 스위칭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하면, 버스 정류장과 같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 아니라, 외부 공기와의 접촉 빈도가 높은 시설물에 공기 조화기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를 구동하는 전원으로서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 뿐만 아니라 태양 전지를 통하여 생성되는 전원을 병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시설물들 중에서 외부 온도의 영향을 많 이 받을 뿐 아니라, 외부 공기와의 접촉 빈도가 높은 버스 정류장을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공중 전화 부스나 이동식 컨테이너와 같은 시설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일실시예로 제시된 버스 정류장 및 공중 전화 부스 또는 이동식 컨테이너를 모두 통칭하는 시설물에 대하여 쉘터(shelter)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내부에 승객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쉘터(10)와, 상기 쉘터(10) 내부에 장착되는 실내기(20:도 2 참조)와, 상기 실내기(20)와 배관 연결되는 실외기(30) 및 상기 쉘터(10)의 외부 일측 또는 상기 실외기(30)의 외부 일측에 제공되는 태양 전지 패널(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태양 전지 패널(solar panel)(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쉘터(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지붕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쉘터(10)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주(16)가 상측으로 더 연장되고, 연장되는 단부에 태양 전지 패널(40a)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a)은 지구 자전에 따른 태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30)의 상측에 태양 전지 패널(40b)이 별도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쉘터(10)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벽(11), 측벽(12), 후벽(13) 및 상벽(131:도 2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벽(131)의 상측에는 상기 태양 전지 패 널(40)이 설치되어 주간에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터(10)의 전면에는 도어(19)가 설치되어, 승객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9)는 승객이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거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개폐 버튼(161)이 상기 쉘터(10)의 전면벽(11) 일측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 버튼(161)을 누를 때만 열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쉘터(10)의 상벽(131)과 태양 전지 패널(40) 사이의 공간에는 광고판(17)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광고판(17)을 밝히는 백라이트로서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LED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을 통하여 생성된 전기(보조 전원)를 공급받아 온/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주전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쉘터(10)의 근처에 세워진 가로등(P)에도 LED 전등이 적용될 수 있고, 주전원 또는 보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쉘터(10)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서포트 패널(35)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30)가 응축기로 사용될 경우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경우 저온의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3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또는 저온의 공기가 승객이나 행인에게 직접 토출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실외기(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30)는 상기 쉘터(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다. 또한, 상기 실외기(30)가 상기 쉘터(10)의 상단, 즉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 치에 설치될 경우, 바람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즉, 체결 수단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30)가 상기 서포트 패널(35)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서포트 패널(35)과 상기 실외기(30)가 스크류 결합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이 상기 서포트 패널(35)에 제공되고, 상기 실외기(30)의 측면부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쉘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0)가 상기 쉘터(10)의 상벽(131)에 고정되어, 쉘터(10)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쉘터(10)의 상벽(131)에는 승객의 출입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쉘터(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감지 장치(15)와, 상기 쉘터(10) 내부를 밝히는 전등(1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등(1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전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주전원에 해당하는 상용 전기 또는 보조 전원에 해당하는 태양발전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20)가 상기 쉘터(10)의 도어(19) 근처, 즉 전면벽(11)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어, 도어측 공기를 흡입하여 승객용 의자가 배치된 후벽쪽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실내기(20)는 냉매 사이클의 순환 방향에 따라 온풍기로 작동할 수도 있고, 냉방기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쉘터(10) 외부가 고온인 경우, 상기 실내기(20)는 냉방기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쉘터(10) 내부의 온도 분포를 보면, 상기 도어(19) 부근의 공기 온도가 상기 후벽(13) 근처의 공기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19)의 개폐 빈도가 높아지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도어(19) 부근의 실내 공기가 실내 공기와 혼합되면서 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대체적으로 상기 쉘터(10)의 벽들(11,12,13)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후벽(13) 쪽보다 전면벽(11)으로 햇빛이 많이 든다. 따라서, 전면벽(11) 쪽이 후벽(13) 쪽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공기 온도가 높다. 이 경우, 도어측 공기를 흡입하여 후벽(13) 쪽으로 토출하도록 하면, 실내 열평형 시간을 단축하고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반대로, 후벽(13) 쪽 공기를 흡입하여 도어(19) 쪽으로 토출하는 구조의 경우, 상기 실내기(20)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실내기(20)에 부하가 적게 걸리며, 실내기(20)로부터 하향 토출되는 공기가 에어 커튼 효과를 내므로, 도어(19)가 열리는 경우 외부 공기가 쉘터(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실내기(20)의 부하 감소 및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쉘터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천장(18)이 제공되고, 상기 천장(18)에 공기 흡입구(181)와 토출구(1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천장(18)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상기 감 지 장치(15)와 전등(14)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82)에는 루버(18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감지 장치(15)에 의하여 쉘터(10) 내부에 있는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여, 승객 쪽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에는 상기 감지 장치(15)에 의하여 승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전등(14)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는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에 장착된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기(20)에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수용되며, 냉매가 흐르는 실내 열교환기(22)와, 상기 케이스(21)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팬(23)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1)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211:도 5 참조)와, 흡입된 실내 공기 토출을 위한 토출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2)에는 토출 덕트(24)가 결합된다.
상기 실내기(20)의 종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는데, 이는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실내기가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천장에 부착되는 카세트형 실 내기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벽걸이형 실내기 등 모든 종류의 실내기가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0)가 상기 쉘터(10)의 전면벽(11)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도어(19) 부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후벽(13)쪽으로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벽과 천장(18)이 접하는 부위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순환을 유발하기 위하여 곡면 형태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쉘터(10)의 후벽(13) 쪽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승객용 의자가 설치되는 상기 후벽(13) 쪽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도어(19) 쪽으로 하향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와 덕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0)의 토출구(212)에 토출 덕트(24)가 결합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천장(18)에 형성된 토출구(182)를 통하여 쉘터(10) 내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82)에 제공되는 루버(183)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거나, 실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 덕트(24)의 일단은 상기 실내기(20)의 토출구(212)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 연장되며, 어느 지점에서 양 방향으로 나뉘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덕트(24)의 저면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41)는 상기 천장(18)에 형성된 토출구(182)와 연 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내기(20)는 가습기, 제습기, 공기 청정기 또는 환기 장치 등과 같은 부가 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20)의 토출구(212)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덕트(24)의 어느 지점에 상기 부가 장치(50)가 개입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가습, 제습 또는 공기 정화 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 장치(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 덕트(24)의 토출구(241)를 통하여 상기 쉘터(10) 내부로 토출된다. 즉,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20)에 의하여 흡입되어 일차적으로 열교환 과정을 거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다. 2차적으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부가 장치(50)를 거치면서 습도가 증감되거나 공기 정화 과정을 거친 다음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쉘터(10) 내부가 고온 다습한 기후를 가지는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부가 장치(50)로서 제습기를 적용할 수 있으며, 건조한 기후를 가지는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가습기를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쉘터(1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되어 상기 실내기(20)의 동작이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실내팬(23)만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내기(20)로 흡입되 실내 공기는 상기 부가 장치(50)를 통과하면서 가습,제습, 공기 정화 중 어느 하나의 과정만을 거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부가 장치(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여, 쉘터(10) 내부의 환경에 따라 상기 실내기(20)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부가 장치(50)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20) 또는 상기 부가 장치(50)의 동작 여부는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다수의 쉘터(10)를 관할하는 관제소에 구비되는 중앙 제어부에서 일방적으로 이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기의 설치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0)와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실외기(30)가 상기 쉘터(10)의 외부에 설치되고, 덕트 부재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20)는 상기 쉘터(10)의 후측에 설치되고, 배기 덕트(6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30)는 행인에 의한 파손이나 자연 현상에 의한 파손이 차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기(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60)를 따라 상측으로 배출되므로, 고온 또는 저온의 공기가 행인에게 직접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60)의 일면에는 실외 공기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30) 케이스(31) 일측에도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 그릴(31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의 상부면에는 배기 그릴(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내기(20)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36)은 상기 지주(16)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외 기(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20)와 실외기(3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6)이 상기 지주(16)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냉매 배관(36)이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행인에 의한 냉매 배관 파손 해외 또는 태풍이나 비바람과 같은 자연 현상에 의한 냉매 배관 파손 가능성이 제거된다. 따라서, 배관 파손에 의하여 냉매가 누설되거나 누설되는 냉매에 의하여 인체 상해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매 배관(3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쉘터(10) 주변이 깔끔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제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외기(20)가 상기 쉘터(10)의 저면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쉘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객용 의자의 하측 공간에 실외기(20)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쉘터(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쉘터(10)의 후면 하측 부분이 상기 쉘터(10) 내부에 설치된 승객용 의자의 아래쪽으로 만입되도록 하고, 상기 만입되는 공간에 상시 실외기(20)가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30)는 배기 덕트(70)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20)로부터 방출되는 열 또는 냉기가 상기 쉘터(10)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 덕트(70)는 단열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만입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쉘터(10)의 표면을 따라 둘러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실외기(30) 내부에 수용되는 실외 열교환기(32)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쉘터(10) 내부로 전달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30) 내부에 제공되는 실외팬(33)은 상기 쉘터(30)의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쉘터(10)의 측면부, 상세히 상기 실외기(30)가 설치되는 영역의 측면부에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 그릴(12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70)의 개구부는 상기 쉘터(10)의 상벽(131)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하며, 일반 성인의 평균키보다 높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쉘터(10)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 그릴(121)을 통하여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기(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한 다음, 상기 실외팬(33)에 의하여 상기 배기 덕트(70)의 배기구 쪽으로 안내된다. 상기 실외팬(3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실외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70)를 따라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쉘터(10) 주위에 있는 행인 또는 승객에게 배기 공기가 직접 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기(30)가 상기 쉘터(10)의 저면부에 만입되어 설치되므로, 행인이나 승객 또는 자연 현상에 의하여 파손되는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배기 덕트(70)가 단열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실외기(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쉘터(1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처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내기(20)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22)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팬(drain pan:미도시)과, 상기 드레인 팬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20)로부터 연장되는 드레인 호스(25)는 상기 쉘터(10)의 지지주(16) 내부로 매설된 상태로 바닥쪽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쉘터(10)가 설치된 지면으로 소정 깊이 연장되고, 인도와 차도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 맨홀과 같은 배수부(80) 쪽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드레인 팬에 저수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호스(25)를 따라 낙하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배수부(8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레인 호스(25)가 상기 지주(16)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드레인 호스(2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레인 호스(25)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어 응축수가 누설되는 위험성이 제거되며, 쉘터(10)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배수부(80)로 바로 배출되므로, 응축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게 되는 장점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응축수 처리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드레인 호스(25)가 지주(16)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것은 도 1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드레인 호스(25)를 따라 낙하하는 응축수가 배수부(18)로 버려지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32)에 뿌려지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실내 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32)는 응축기로 사용된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32)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므로 표면 온도가 높다. 뿐만 아니라, 상기 쉘터(10)의 외부 공기 온도도 높다. 이러한 조건에서, 온도가 낮은 상기 응축수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2) 표면에 뿌려진다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32)의 응축 효율이 증가될 뿐 아니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32) 표면에 뿌려지는 응축수는 증발하여 공기 중에 흡수된다. 그리고, 응축수를 흡수한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60)를 따라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응축수를 배수부(80)로 배출하기 위하여 드레인 호스(25)를 길게 연장할 필요도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배기 덕트(6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도 낮추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호스(25)의 단부에는 디스펜서(35)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2)의 상부면 형태를 따라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35)는 상기 드레인 호스(25)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32)의 상부면 형상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디스펜서(35)가 상기 드레인 호스(25)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드레인 호스(25)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상기 디스펜서(35)의 단부까지 흘러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디스펜서(35)가 높이 차이 없이 평평하게 연장된다면, 응축수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2) 의 단부까지 골고루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5)의 저면에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응축수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2)의 표면에 골고루 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가 상기 디스펜서(35)의 가장 낮은 단부까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홀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드렁, 상기 드레인 호스(25)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배수홀의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응축수가 상기 디스펜서(35)의 시점부터 종점까지 골고루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쉘터를 통과하는 냉매 배관의 밀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내기(20)는 쉘터(10) 내부에 설치되고, 실외기(30)는 쉘터(10) 외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실내기(20)와 실외기(3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6)은 반드시 상기 쉘터(10)의 벽 또는 지주(16)의 표면을 관통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매 배관(36)이 쉘터(10)의 후벽(13)을 관통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세히, 상기 후벽(13)에는 상기 냉매 배관(36)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131)이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31)의 내주면과 상기 냉매 배관(36)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쉘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틈새를 통하여 쉘터(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외부 공기가 쉘터(10) 내부로 유입되어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31)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 부재(132)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실링 부재(132)는 상기 냉매 배관(36)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벽(13)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132)의 일단, 상세히, 장착시 쉘터(10) 외부에 노출되는 쪽의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벽(13)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링 부재(132)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131) 사이에 틈새가 생기더라도, 이물질이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벽(13)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로 할 수 있다.
상세히, 비 또는 눈이 오는 날의 경우, 상기 쉘터(10)의 상벽 또는 지붕을 형성하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을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쉘터(10)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131)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쉘터(1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220V 또는 110V) 또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이 주전원에 해당하는 상용 전원과 보조 전원에 해당하는 태양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제어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구성(500)은, 교류 형태로 공급되는 상용 전류를 직류 형태의 DC 링크 전압(Vi)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510)와, 태양 전지 패널(40)을 통하여 생성된 전원을 안정된 전압으로 승압하는 DC/DC 컨버터(540)와,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을 통하여 생성된 전원의 세기, 즉 전류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DC/DC 컨버터(540)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전원 공급부(5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상용 전압 중 어느 하나를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원 절환부(520) 및 상기 전원 절환부(5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하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DC 링크 전압은 상기 전원 공급부(510)의 출력단에 위치하는 평활요 콘덴서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전원 절환부(520)는 전류 변환부(521)와, 제어부(522) 및 릴레이(523)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전류 변환부(521)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원의 전류량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522)는 상기 전류 변환부(521)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의 세기에 따라 하나의 전원 공급 경로를 선택하기 위 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523)는 상기 제어부(522)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540) 출력단 또는 상기 DC 링크 전압 출력단 중 하나와 스위칭된다. 이때, 상기 릴레이(523)의 타측은 상기 인버터부(53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530)는 상기 실내기(20) 및 실외기(30)의 팬(22,32)을 구동하는 팬모터(M1)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인버터(531)와, 상기 실외기(30)의 압축기(34)를 구동하는 모터(M2)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인버터(532)와,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의 컨트롤 패널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M3)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인버터(533) 및 상기 쉘터(10) 내부를 밝히는 전등(14)으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4 인버터(533), 상기 광고판(17)을 밝히는 전등으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6 인버터(536) 및 상기 가로등(P)을 밝히는 전등으로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제 5 인버터(5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등으로서 LED 전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LED 전등은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전류의 형태에 따라 회로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522)로부터 송출되는 릴레이 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530)로 상용 전원이 공급되거나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류 변환부(521)에서 감지된 전압값이 설정값보다 낮을 때에는 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를 구동하고,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로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 기(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의 선택은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에 장착된 주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쉘터(10)들을 관장하는 관제소에 구비되는 중앙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용 전기와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되는 전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과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되는 전기의 활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되는 전기와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인버터부(53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20) 또는 실외기(30)에 설치된 주제어부 또는 관제소에 설치된 중앙 제어부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전기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용 전기와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 구성뿐만 아니라, 상용 전기는 상기 실내기(20) 및 실외기(30)로 계속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는 상기 실내기(20) 및/또는 실외기(3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상기 상용 전기는 상기 실내기(20) 및 실외기(30)를 구동하는 데에만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는 상대적으로 적은 전 류를 요하는 상기 LED 전등 쪽으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축전지(C)가 연결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전기의 일부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제어 구성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제안 가능할 것이다.
첫째,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상기 전등(14), 디스플레이(M3), 광고판(17) 및 가로등(P)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도록 하고, 남는 잉여 전력은 상기 실내기(20) 및/또는 실외기(30)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남는 잉여 전력은 상기 축전지(C)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낮시간에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는 상기 축전지(C)에 충전되도록 하여 밤시간에 상기 LED 전등들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남는 잉여 전력은 상기 실내기(20) 및/또는 실외기(30)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전기 사용에 대한 누진 요금이 적용되는 한계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용 전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한계 전력량을 넘어서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로 충당하도록 할 수 있다(PEAK 운전 제어).
다섯째, 심야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지(C)를 충전한 다음, 낮시간 동안 상기 축전지(C)에 충전된 전기와, 상용 전기 및 태양 전지 패널(40)에서 생성된 전기 모두를 상기 실내기(20) 및 실외기(30)를 구동하는데 사용하고, 남는 잉여 전력은 상기 전등들을 켜는데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쉘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쉘터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와 덕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기의 설치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제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처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응축수 처리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쉘터를 통과하는 냉매 배관의 밀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과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되는 전기의 활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Claims (22)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벽과, 후벽, 측벽, 상벽 및 상기 벽들을 연결하는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벽의 일부를 정의하며,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쉘터;
    상기 쉘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쉘터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쉘터 내부의 타측 가장자리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실내팬을 포함하는 실내기; 및
    상기 쉘터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냉매 배관에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토출하는 실외팬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주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부스(booth)와, 이동식 또는 조립식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 공간은 상기 도어측 공간과 상기 후벽측 공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쉘터 내부의 타측 가장자리 공간은 상기 도어측 공간과 상기 후벽측 공간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냉매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쉘터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노출 을 차단하고, 실내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천장과,
    상기 실내기의 토출구와 상기 천장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어느 지점에는, 가습기, 제습기, 공기 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실내기의 흡입구와 직접 연통하고,
    상기 천장의 토출구에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가변하기 위한 루버를 포함하는 가변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과,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천장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인체 및/또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와,
    상기 쉘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쉘터의 후측 하단에 안착되며,
    상기 쉘터의 후벽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배기 덕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착좌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좌 수단이 설치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쉘터의 바닥면은 상기 착좌 수단의 형상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함몰된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를 수용하고, 상기 쉘터의 후벽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함몰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배기 덕트 부분은 단열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제어부에 의 하여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은 상기 쉘터의 지붕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은 상기 쉘터의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바에 설치되고,
    태양의 이동 경로를 따라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쉘터의 지주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로부터 도로변의 배수부까지 연장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레인 호스의 단부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응축수를 분배하는 디스펜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9.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쉘터;
    상기 쉘터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실내기;
    상기 쉘터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실외기;
    상기 쉘터의 외부 또는 상기 실외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 전지 패널;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원의 전류량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의 세기에 따라,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의 공급 경로와, 상용 전기의 공급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전기 공급 경로에 스위칭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 또는 심야에 공급되는 상용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주간에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되는 전기는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고,
    야간에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가 상기 쉘터 내부를 밝히는 전등과, 상기 쉘터의 외부에 설치된 광고판을 밝히는 백라이트 및 상기 쉘터 근처에 설치된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는 상용 전기만을 공급받아서 작동하거나, 상용 전기와 상기 태양 전지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함께 공급받아서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0090038835A 2009-05-04 2009-05-04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00119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835A KR20100119929A (ko) 2009-05-04 2009-05-04 공기 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835A KR20100119929A (ko) 2009-05-04 2009-05-04 공기 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929A true KR20100119929A (ko) 2010-11-12

Family

ID=434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835A KR20100119929A (ko) 2009-05-04 2009-05-04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9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25B1 (ko) * 2011-12-21 2013-07-02 (주)이성텔레콤 옥외용 부스
KR101409507B1 (ko) * 2012-07-25 2014-06-19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 플랜트용 천장형 냉난방기 모듈
KR101695625B1 (ko) * 2016-07-15 2017-01-16 주식회사 현대냉동산업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냉장창고
KR20190073990A (ko) * 2017-12-19 2019-06-27 하관수 미세먼지 차단형 버스정류장 부스
KR20200130995A (ko) 2019-05-13 2020-11-23 신동교 버스정류장 부스
KR20210001871U (ko) 2020-02-11 2021-08-19 황익현 흡입 배출형 온풍기 및 이를 이용한 정류장용 온풍 시스템
US12055320B2 (en) 2019-12-04 2024-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air cleaning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25B1 (ko) * 2011-12-21 2013-07-02 (주)이성텔레콤 옥외용 부스
KR101409507B1 (ko) * 2012-07-25 2014-06-19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 플랜트용 천장형 냉난방기 모듈
KR101695625B1 (ko) * 2016-07-15 2017-01-16 주식회사 현대냉동산업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냉장창고
KR20190073990A (ko) * 2017-12-19 2019-06-27 하관수 미세먼지 차단형 버스정류장 부스
KR20200130995A (ko) 2019-05-13 2020-11-23 신동교 버스정류장 부스
US12055320B2 (en) 2019-12-04 2024-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air cleaning system
KR20210001871U (ko) 2020-02-11 2021-08-19 황익현 흡입 배출형 온풍기 및 이를 이용한 정류장용 온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92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US10006650B2 (en) Energy-saved smart safety cooling/warming wind apparatus for the four seasons
CN105649242B (zh) 一种双层玻璃幕墙智能控制方法
KR10117649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0465196Y1 (ko) 버스 쉘터
KR101033231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공조장치
CN204510881U (zh) 太阳能水空调智能公交候车亭
CN105649198A (zh) 一种建筑节能光伏系统
KR20140104073A (ko) 친환경 다기능 폐열회수형 공조시스템
KR102357403B1 (ko) 전력공급수단을 갖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2326589B1 (ko) 이동식 버스정류장
KR20120124602A (ko) 에어컨 실외기용 커버
KR101218727B1 (ko) 이중창문용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창문의 이격공간 내의 온도조절방법
CN209054705U (zh) 一种新型立式直吹空气处理机组
KR102454148B1 (ko) 야외용 냉난방쉘터
CN101603704A (zh) 嵌入式空调器室内机的照明灯
KR20100002972U (ko) 태양열을 이용한 이동식 초소
KR20150021340A (ko) 냉방기 및 온풍기 기능을 구비한 천정 조명용 램프
KR101205547B1 (ko) 야외 화장실의 자연 채광 장치
KR102013262B1 (ko) 태양에너지와 지열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냉난방 부스
CN107769006B (zh) 一种内部循环散热配电柜
CN208767655U (zh) 一种节能型景观式地埋箱变
CN205373289U (zh) 一种太空能干燥房
CN109056891A (zh) 一种楼层蓄能建筑系统的安装以及使用方法
JP2010189949A (ja) 建物の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