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69B1 -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 Google Patents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469B1
KR102326469B1 KR1020190133071A KR20190133071A KR102326469B1 KR 102326469 B1 KR102326469 B1 KR 102326469B1 KR 1020190133071 A KR1020190133071 A KR 1020190133071A KR 20190133071 A KR20190133071 A KR 20190133071A KR 102326469 B1 KR102326469 B1 KR 10232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assage
insertion tube
tube po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863A (ko
Inventor
박진한
이재하
김현국
장항제
김효정
박찬선
박봉수
박시형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61B1/2676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09Lu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1Lung or 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2018/02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using an instrument inserted into a body lumen, e.g.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메인 삽입관의 근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내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부와, 상기 메인 삽입관의 원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외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외측관부의 외측 통로에 위치한 카테터가 상기 메인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의 내측 통로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서브 삽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본 발명은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시 내시경과 지혈용 풍선 카테터 간의 간섭 없이 원활한 지혈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폐섬유화증을 포함한 간질성 폐질환(ILD, Interstitial lung disease)을 진단하는데 있어 폐간질의 조직검사가 필요할 경우 전통적으로 흉강경(VATS, video assisted thoracic surgery)이나 개흉술(thoracotomy)을 이용한 폐 쐐기절제술(wedge resection)이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적 방법은 폐기능이 저하된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악화의 위험성과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의 위험성이 있고,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수술의 고위험군인 고령환자에서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져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이 연구되어져 왔다.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cryobiopsy)은 전신마취의 필요성이 없고 수술을 통한 절제보다 회복기간이 짧으며 동시에 유사한 진단율을 보여 최근 시술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수술적 검사에 비해 출혈 시 지혈이 어려워 지혈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었고 두개의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이나 지혈용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for hemostasis, Fogarty catheter)를 사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이 중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직성 기관지 내시경(rigid bronchoscopy)을 이용한 방법과,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수면마취 및 기관삽관용관(endotracheal tube)을 통해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flexible bronchoscopy)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전신마취의 경우 환자의 회복속도가 느리고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어서 주로 일반 기관삽관용관을 이용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한 기관삽관용관을 이용한 시술의 경우, 냉동생검검체(biopsy specime)나 기관지 내시경에 의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가 밀려나올 수 있고, 카테터에 의해 냉동생검검체(biopsy specime)의 소실이 있을 수 있으며, 기관지 내시경관의 마찰로 지혈용 풍선 카테터가 들어가지 않을 수 있으며, 기관지 내시경으로 인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원하는 구역 기관지(segmental bronchus)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566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12013호 일본등록특허 제52640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을 하는 경우에도 지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시술 후 환자의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은,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메인 삽입관의 근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내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부와, 상기 메인 삽입관의 원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외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외측관부의 외측 통로에 위치한 카테터가 상기 메인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의 내측 통로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서브 삽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삽입관은, 상기 외측관부의 외측 통로에 위치된 카테터가 상기 메인 삽입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내측관부의 내측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외측관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 통로 및 내측 통로와 소통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삽입관은 상기 내측관부와 외측관부와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삽입관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내에 상기 서브 삽입관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서브 삽입관과 메인 삽입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은, 메인 삽입관을 통해서 내시경을 기관을 경유하여 기관지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내시경의 이동로인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별도의 경로인 외측 통로와 내측 통로를 통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과 간섭 없이 생검 위치까지 배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검 후 내시경을 후퇴시켜 검체를 운반하는 동안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출혈 즉시 풍선 카테터를 작동시켜 지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폐냉동생검 시술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시술 후 빠른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통로가 넓게 원위(구강) 부위에서는 서브 삽입관의 외측관부가 메인 삽입관의 외측에 위치되게 하여 내시경이 메인 삽입관의 내면과 마찰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통로가 좁아지는 근위부(기관)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서브 삽입관의 내측관부가 메인 삽입관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여 메인 삽입관이 작은 통로를 가지는 성대와 기관 측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의 부분단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의 부분단면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은,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시 사용되는 것으로, 메인 삽입관(1)과 서브 삽입관(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삽입관(1)은, 인체의 기관(A)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C)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도 기관(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삽입관(2)은, 상기 메인 삽입관(1)의 근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메인 삽입관(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관부(21)와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관부(21)에는 상기 메인 통로(10)와 구획되는 내측 통로(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부(22)에는 상기 메인 통로(10)와 구획되는 외측 통로(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부(22)의 근위부 측이 내측관부(21)의 원위부 측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 삽입관(2)은, 상기 외측관부(22)의 외측 통로(22a)에 위치한 카테터(3)가 상기 메인 삽입관(1)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21)의 내측 통로(21a)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터(3)는 지혈을 위해 환부(D) 근처에서 팽창되는 벌룬을 가지는 지혈용 풍선 카테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은, 상기 메인 삽입관(1)을 통해서 내시경(C)을 기관(A)을 경유하여 기관지(B)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내시경(C)의 이동로인 메인 통로(10)와 구획되는 별도의 경로인 외측 통로(22a)와 내측 통로(21a)를 통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3)를 상기 내시경(C)과 간섭 없이 생검 위치까지 배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검 후 내시경(C)을 후퇴시켜 검체를 운반하는 동안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출혈 즉시 풍선 카테터(3)를 작동시켜 지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폐냉동생검 시술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시술 후 빠른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통로가 넓게 형성된 원위(구강)(도시되지 않음) 부위에서는 서브 삽입관(2)의 외측관부(22)가 메인 삽입관(1)의 외측에 위치되게 하여 내시경(C)이 메인 삽입관(1)의 내면과 마찰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통로가 좁아지는 근위부(기관)(A) 측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서브 삽입관(2)의 내측관부(21)가 메인 삽입관(1)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여 메인 삽입관(1)이 작은 통로를 가지는 성대와 기관(A) 측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서브 삽입관(2)은, 상기 외측관부(22)와 내측관부(21)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에 연결되는 가이드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외측 통로(22a) 및 내측 통로(21a)와 소통되는 연결 통로(2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측관부(22)의 외측 통로(22a)에 위치된 지혈용 풍선 카테터(3)가 상기 메인 삽입관(1)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내측관부(21)의 내측 통로(21a)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23)는 상기 내측관부(21) 및 외측관부(22)와는 별개로 제작된 후 상기 서브 삽입관(2)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부(21) 및 외측관부(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브 삽입관(2)은, 상기 내측관부(21)와 외측관부(22)와 가이드부(23)를 일체로 성형한 후, 상기 메인 삽입관(1)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내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메인 삽입관(1)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메인 삽입관(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외측관부(22)와 내측관부(21) 간의 연결로 인해 구부러져 자연스럽게 곡면 형상을 갖게 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기관(A) 삽입시 기관(A) 내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환자의 호흡을 위해 호흡노즐이 연결되는 연결구이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메인 삽입관 10:메인 통로
11:연결구 2:서브 삽입관
21:내측관부 21a:내측 통로
22:외측관부 22a:외측 통로
23:가이드부 23a:연결 통로
3:카테터 A:기관
B:기관지 C:내시경
D:환부

Claims (4)

  1.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메인 삽입관의 근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내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부와, 상기 메인 삽입관의 원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삽입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구획되는 외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외측관부의 외측 통로에 위치한 카테터가 상기 메인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의 내측 통로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서브 삽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삽입관은, 상기 외측관부의 외측 통로에 위치된 카테터가 상기 메인 삽입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내측관부의 내측 통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외측관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 통로 및 내측 통로와 소통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삽입관 및 서브 삽입관의 기관 삽입시 기관 내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메인 삽입관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외측관부와 내측관부 간의 연결로 인해 구부러져 곡면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삽입관은 상기 내측관부와 외측관부와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삽입관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내에 상기 서브 삽입관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서브 삽입관과 메인 삽입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삽입관은, 상기 원위부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 통로와 외부를 소통시키며, 환자의 호흡을 위해 호흡노즐이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지혈용 풍선 카테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KR1020190133071A 2019-10-24 2019-10-24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KR10232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71A KR102326469B1 (ko) 2019-10-24 2019-10-24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71A KR102326469B1 (ko) 2019-10-24 2019-10-24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63A KR20210048863A (ko) 2021-05-04
KR102326469B1 true KR102326469B1 (ko) 2021-11-12

Family

ID=7591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71A KR102326469B1 (ko) 2019-10-24 2019-10-24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4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15A1 (en) * 2012-03-27 2015-03-12 Osaka University Endoscope overtube
WO2015107994A1 (ja) 2014-01-15 2015-07-23 学校法人慶應義塾 処置具挿入補助具
WO2015122474A1 (ja) 2014-02-12 2015-08-20 株式会社工販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4063A (ja) 1992-03-23 1993-10-12 Zexel Corp フラワーバルコニーの取付け装置
US5845634A (en) * 1997-03-18 1998-12-08 Parker Medical Limited Partnership Endoscope viewing system with orotracheal introducing guide
RU2721288C2 (ru) 2014-09-17 2020-05-18 Метэктив Медикал, Инк.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мешотчатых аневризм
KR101912013B1 (ko) 2016-11-08 2018-10-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15A1 (en) * 2012-03-27 2015-03-12 Osaka University Endoscope overtube
WO2015107994A1 (ja) 2014-01-15 2015-07-23 学校法人慶應義塾 処置具挿入補助具
WO2015122474A1 (ja) 2014-02-12 2015-08-20 株式会社工販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63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616B2 (en) Bronchoscopic lung volume reduction method
US9687621B2 (en) Dual lumen endobronchial tube device
US5954636A (en) Pediatric endotracheal tube with bronchial blocker and method for selectively blocking respiratory airflow to a pediatric patient's lung
US7670282B2 (en) Lung access device
US20120053485A1 (en) Catheter Having Needle And Expandable Support Member And Methods Of Use
US8393328B2 (en) Airway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an airway assembly
US10149955B2 (en) Laryngeal mask
US9199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 intubation
JP5611331B2 (ja) 穿孔拡張器
US201900149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bougie and stylet for difficult intubations
Kamra et al. Rigid bronchoscopic placement of Fogarty catheter as a bronchial blocker for one lung isolation and ventil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undergoing thoracic surgery: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of 27 cases
WO2002047748A1 (en) Device for selective bronchial intubation and separate lund ventilation
KR102326469B1 (ko)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Licker et al. Isolation of the lung: double-lumen tubes and endobronchial blockers
CN208582456U (zh) 介入医疗导管
EP3389754B1 (en) A laryngeal mask
JP2011147580A (ja) ガイドワイヤ
JP2004154268A (ja) 気管支鏡挿入式気管支ブロッカー誘導システム
KR20210048267A (ko) 내시경 유도를 통한 흉관 삽관술 장치
GB2515478A (en) A multilumen catheter for multimodal single or double lung jet ventilation
KR20230064508A (ko) 지혈기구를 구비한 기관내 삽관튜브
Patil et al. Double lumen tubes and bronchial blockers
KR100987804B1 (ko)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CN110650668A (zh) 进入中空器官且使中空器官可视化的器械
US20230241339A1 (en) Non-invasively and safely and quickly surgical technique of inserting t-shaped tube into stenotic trach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