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13B1 -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 Google Patents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013B1
KR101912013B1 KR1020160147859A KR20160147859A KR101912013B1 KR 101912013 B1 KR101912013 B1 KR 101912013B1 KR 1020160147859 A KR1020160147859 A KR 1020160147859A KR 20160147859 A KR20160147859 A KR 20160147859A KR 101912013 B1 KR101912013 B1 KR 10191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tube portion
tube
present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044A (ko
Inventor
위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e.g. slots, flaps, valves, cuffs, apertures, notches, grooves or rapid exchange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4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ircumfer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61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eparate inflations tubes, e.g. coaxial tubes or tubes otherwise arranged apart from the catheter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with perfusion means for enabling blood circulation while the balloon is in an inflated state or in a deflated state, e.g. permanent by-pass within catheter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은, 혈관 내에 배치되는 제1관부와 상기 제1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1팽창부를 구비하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팽창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도관의 제1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관부와, 상기 제2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관부와의 사이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2팽창부를 구비하는 제2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Double type fogarty catheter}
본 발명은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내로의 반복적인 진입을 원활하게 하여 혈전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에 관한 것이다.
포가티 도관은, 혈관 내에 카테타(도관)를 삽입시킨 다음, 풍선(balloon)을 팽창시킨 이후 그대로 견인함으로써 색전 또는 혈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혈관 내의 색전이나 혈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종래기술에 의한 포가티 도관을 혈관 내에 진입시킨 후에 풍선을 확장하여 혈관 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행위가 어러 차례 반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혈관은 직선이 아닌 곡선형 또는 구불구불형 등 불규칙적인 라인을 따라 형성되고, 혈관내벽의 동맥경화증 등의 병변이 진행되는 경우에 흔하여서 도관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전한 혈전 제거를 위해서, 도관을 혈관 내에 진입시키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와 시술자 모두에게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관의 혈관 내의 반복적인 진입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은, 혈관 내에 배치되는 제1관부와 상기 제1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1팽창부를 구비하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팽창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도관의 제1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관부와, 상기 제2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관부와의 사이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2팽창부를 구비하는 제2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도관의 제2관부는, 상기 제1관부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관부의 외주면 중 일부는 노출시키고 나머지만 감싸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관은, 상기 제2도관의 제2관부가 상기 제1팽창부 측으로 접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팽창부의 후단과 상기 제2관부의 선단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은, 제1도관을 혈관 내에 진입시켜 놓은 상태에서 제2도관을 제1도관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혈전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술자가 큰 어려움 없이 혈관 내 혈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와, 제2도관을 이용하여 목표량만큼 충분히 혈전제거가 완료된 경우, 마지막으로 제1도관을 이용하여 잔존 혈전까지 완전히 제거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가티 도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과 제2도관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2도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가티 도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과 제2도관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2도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제1도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은, 혈관 내에 삽입되어 색전이나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제1도관(10)과 제2도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관(10)은, 도 7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 내에 배치되는 제1관부(12)와 상기 제1관부(1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1팽창부(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팽창부(14)는, 인체에 무해한 얇은 비닐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부(12)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관부(12)의 내부와 소통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도관(20)은,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부(12)를 감싸고 환형의 공간(23)을 가지는 제2관부(22)와, 상기 환형의 공간(23) 중 일부 노출된 부위를 폐쇄시키도록, 그 제2관부(22)에 결합되는 제2팽창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관부(22)는, 상기 제1팽창부(14)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도관(10)의 제1관부(1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12)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부(22)는 상기 제1관부(1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혈관 내에서의 반복적인 이동이 상기 제1관부(12)에 의해 안내되어 가능해진 것이다.
상기 제2팽창부(24)는, 상기 제2관부(22)의 환형의 공간(23) 중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제2관부(22)에 결합됨으로써, 도 6의 (a)와 같이 상기 환형의 공간(23)을 통해 식염수가 유입됨으로써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은, 제1도관(10)과 제2도관(20)을 함께 혈관 내에 진입시켜 놓은 상태에서 제2도관(20)을 도 6의 (b)와 같이 제1도관(10)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혈전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술자가 큰 어려움 없이 혈관 내 혈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도관(20)을 이용하여 목표량만큼 충분히 혈전제거가 완료된 경우, 마지막으로 도 8와 같이 제1도관(10)의 제1팽창부(14)를 이용하여 잔존 혈전까지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관(20)의 관부는 결합부(22a)와 분리부(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2a)는, 상기 제1관부(1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도관(20)의 제1도관(10)에 대한 안정적인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분리부(22b)는, 상기 제1관부(12)의 외주면 중 일부는 노출시키고 나머지만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시술자가 상기 제1도관(10)을 파지하고 제2도관(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시술자가 제1도관(10)을 파지하고 제2도관(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첫째, 제2도관(20)의 이동시에 제1도관(10)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과, 둘째, 본 실시예에 의한 포가티 도관을 혈관 내로 진입시키기 위한 환부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고 가까운 위치에서도, 제2도관(20)을 이용한 반복적인 시술행위를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관(10)은, 상기 제1관부(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팽창부(14)의 후단과 상기 제2관부(22)의 선단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16)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토퍼(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2도관(20)이 혈관 내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그 제2도관(20)의 제2관부(22)가 상기 제1도관(10)의 제1팽창부(14) 측으로 접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관부(22)에 의한 제1팽창부(14)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의 미설명부호 A,B는, 각각 제1도관(10)과 제2도관(20)에 식염수를 주입시켜 주기 위한 주입수단이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제1도관 12:제1관부
14:제1팽창부 16:스토퍼
20:제2도관 22:제2관부
22a:결합부 22b:분리부
23:환형의 공간 24:제2팽창부

Claims (3)

  1. 혈관 내에 배치되는 제1관부와 상기 제1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1팽창부를 구비하는 제1도관; 및
    상기 제1팽창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도관의 제1관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관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관부와, 상기 제2관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관부와의 사이로 유입된 식염수에 의해 팽창되는 제2팽창부를 구비하는 제2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관의 제2관부는, 상기 제1관부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관부의 외주면 중 일부는 노출시키고 나머지만 감싸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관은, 상기 제2도관의 제2관부가 상기 제1팽창부 측으로 접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술자가 상기 제1도관을 파지하고 제2도관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도관이 혈관 내로 진입될 때, 제2관부에 의한 제1팽창부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팽창부의 후단과 상기 제2관부의 선단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7859A 2016-11-08 2016-11-08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KR10191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59A KR101912013B1 (ko) 2016-11-08 2016-11-08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859A KR101912013B1 (ko) 2016-11-08 2016-11-08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44A KR20180051044A (ko) 2018-05-16
KR101912013B1 true KR101912013B1 (ko) 2018-10-25

Family

ID=6245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859A KR101912013B1 (ko) 2016-11-08 2016-11-08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63A (ko) 2019-10-24 2021-05-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KR20220010794A (ko) 2020-07-20 2022-01-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피 탄성막 고정형 양방향 동맥 도관
KR20230025997A (ko) 2021-08-17 2023-02-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동맥 도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666A (ja) * 2006-03-09 2007-09-20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医療用チューブ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666A (ja) * 2006-03-09 2007-09-20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医療用チューブセ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63A (ko) 2019-10-24 2021-05-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
KR20220010794A (ko) 2020-07-20 2022-01-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피 탄성막 고정형 양방향 동맥 도관
KR20230025997A (ko) 2021-08-17 2023-02-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동맥 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44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244B2 (en) Object capture device
KR101912013B1 (ko) 이중관 타입의 포가티 도관
EP3057516B1 (en)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with proximal occlusion
EP2851016B1 (en) Clot retrieval system with inverted sleeve
CN101292917B (zh) 支架插入设备
BR112015011796B1 (pt) Filtro de trombo
CA2681923A1 (en) Spiral balloon catheter
US11812981B2 (en) Vasculature obstruction capture device
CN105873527B (zh) 取石篮型把持钳子
CN105578974A (zh) 取石篮型把持钳子
US20220378463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CN113081382B (zh) 一种栓塞保护装置及回收方法
WO2023087455A1 (zh) 血管开通装置
US20170246431A1 (en) Medical instrument
KR20190114886A (ko) 분할형 벌룬 보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2163846B1 (ko) 리포지셔닝이 가능한 클립, 클립 어셈블리 및 결찰 장치
US20170056091A1 (en) Surgical cutting device
EP4228531A1 (en) Thrombus aspir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525579B1 (ko) 조직 박리 장치
KR20190114887A (ko) 벌룬 보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CN211094480U (zh) 一种机械式可解脱取栓装置
CN212547090U (zh) 一种一次性使用的结石封堵器
CN215780897U (zh) 输尿管球囊扩张导管
CN115068162B (zh) 血栓清除装置及血栓清除系统
JP7004487B1 (ja) 医療装置をカテーテル内に装填する装置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