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804B1 -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 Google Patents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804B1
KR100987804B1 KR1020080038978A KR20080038978A KR100987804B1 KR 100987804 B1 KR100987804 B1 KR 100987804B1 KR 1020080038978 A KR1020080038978 A KR 1020080038978A KR 20080038978 A KR20080038978 A KR 20080038978A KR 100987804 B1 KR100987804 B1 KR 10098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nasal
endoscope
endoscopy
extens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095A (ko
Inventor
박운식
Original Assignee
박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식 filed Critical 박운식
Priority to KR102008003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8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는 경비내시경(H)이 통과하는 가이드채널(25)이 형성되고, 비강(C)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개구된 일단에 상기 가이드채널(25)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비내시경(H)이 인체의 비강(C) 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플랙시블한 가이드관(10)의 가이드채널(25)을 통해 삽입된다. 이에 따라, 경비내시경(H)의 선단에 의해 비강(C) 내벽에 상처를 입히거나 출혈이 유발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다 정확한 경로를 따라 경비내시경(H)을 삽입할 수 있어 내시경(H) 검사의 시술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내시경, 경비내시경, 가이드관

Description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A guide tube for transnasal endoscopy}
본 발명은 내시경검사용 가이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도나 위와 같은 장기를 검사하기 위해 내시경을 코안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검사란 내시경과 같은 광학계를 함께 조작할 수 있는 관을 장기(臟器)에 삽입하고 기체 또는 액체로 내강을 부풀게 하면서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사진촬영을 하여 인체의 내장기관을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내시경의 재질로서 유리섬유가 도입되어 지금까지 도달할 수 없었던 부위에까지 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시야도 밝아지는 등 내시경 자체의 기능개량과 함께 내시경검사법도 한층 더 진보되고 있다. 내시경검사 영역은 주로 기관지·식도·위·복강·흉강·요도·방광·대장·직장·자궁·관절 등이며, 근래에는 심장·담도·십이지장·종격동(縱隔洞) 등의 검사에 필요한 내시경도 개발되어, 그 방면의 내시경검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을 통해 삽입되어 위와 같은 장기에 까지 삽입되는데, 최근에는 경비내시경을 통해 장기 검사가 행하여지기도 하고 있 다. 경비(經鼻)내시경 검사란 내시경을 입으로 삽입하는 경구(經口) 내시경 검사와는 달리, 아주 가느다란 내시경을 코를 통해 식도로 삽입하는 시술방법이다.
도 1에는 이러한 경비내시경을 이용하여 장기를 검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비강(C)을 통해 내시경(H)을 삽입하여 식도를 통해 내시경이 위를 비롯한 장기에 이르도록 하여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비내시경(H)은 경구내시경 검사에서 유발되는 구토증상이나 목의 통증, 또는 호흡곤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경비내시경 검사과정에서도 내시경(H)이 비강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시경(H)과 비강 내벽 사이의 접촉에 의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바, 이러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비강(C)의 마취가 동반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경비내시경 검사를 위해서는 내시경(H)을 피시술자의 비강(C)을 통해 삽입해야 하는데, 인체의 비강(C)은 비교적 좁고 코점막이 약하여 내시경(H)의 삽입과정에서 비강(C)의 내벽에 상처를 입히기 쉽고, 심할 경우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시경(H)을 삽입하고 작동하는 과정에서 안구 쪽으로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안구의 통증도 함께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비내시경을 비강 내부로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비강가이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는 경비내시경이 통과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비강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단에 상기 가이드채널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비강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요철부를 차폐하도록 곡면형상의 차폐막이 구비된다.
상기 경비내시경이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내면에는 강화막이 구비된다.
상기 강화막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챔버가 형성된다.
상기 경비내시경이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입구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커지도록 삽입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지지레그가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레그는 각각 연장부와 직교부로 구성된다.
제1연장부는 지지판의 일측에서 지지판과 동일평면상에서 가이드관 몸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직교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반대편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직교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의 선단에는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보다 길이가 길게 구비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비내시경이 인체의 비강 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플랙시블한 가이드관의 가이드채널을 통해 삽입된다. 이에 따라, 경비내시경의 선단에 의해 비강 내벽에 상처를 입히거나 출혈이 유발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다 정확한 경로를 따라 경비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어 내시경 검사의 시술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관의 내면에 보강막이 형성되어, 가이드관의 내면과 경비내시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가이드관이 손상되거나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비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관에 지지레그가 형성되어 가이드관을 코에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경비내시경을 보다 쉽게 비강 내부로 삽입할 수 있어 시술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인체의 비강 내부로 삽입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경비내시경(H) 검사용 가이드관(10)(이하 '가이드관'이라 한다)은 경비내시경(H)(도 7참조)의 사용을 위한 보조구로서, 경비내시경(H)을 비강(C) 내부로 삽입하기에 앞서, 이를 비강(C) 내부에 삽입하여 경비내시경(H)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관(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2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공형의 관(tube)형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가이드관(10)을 비강(C)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가이드관(10)이 비강(C) 내부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관(10)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20)의 외면에는 요철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21)는 상기 몸체(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21)는 상기 몸체(20)가 비강(C)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휘어지고, 휘어진 상태가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20)에는 가이드채널(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5)은 상기 몸체(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비내시경(H)이 실질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채널(25)의 양단은 각각 개구되어 그 일단으로는 경비내시경(H)이 삽입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경비내시경(H)이 통과하여 비강(C) 내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25)의 입구에는 삽입안내면(2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면(25')은 상기 경비내시경(H)이 상기 가이드채널(25)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커지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20)의 타단에는 챔버(27)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27)는 상기 가이드관(10)을 비강(C)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20)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5)의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20)의 일단에는 지지판(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관통된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이드관(10)이 비강(C)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비공(鼻孔)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판(30)에 의해 몸체(20)가 비강(C) 내부로 더 삽입되지 않고 비강(C) 내부의 적당한 깊이에서 안착되는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1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가이드관(110)의 몸체(12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채널(125)의 내면에는 강화막(123)이 형성된다. 상기 강화막(123)은 경비내시경(H)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채널(125)의 내면과 마찰되어 가이드채널(125)의 내면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분진을 발생시켜 비강(C) 내부로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몸체(120)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더욱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막(123)은 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20)의 외면에는 차폐막(140)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막(140)은 상기 몸체(120)의 요철부(121)를 차폐하도록 상기 몸체(120)의 외면에 더 구비되는 것으로, 가이드관(110)이 요철부(121)의 방해 없이, 비강(C) 내부로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관(110)은 상기 몸체(120)와 마찬가지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실시예를 인체의 코에 고정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두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2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관(2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판(230)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가 구비된다.상기 지지레그는 각각 연장부와 직교부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251)는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지지판과 동일평면상에서 바깥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251)의 끝단에서 가이드관의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제1직교부(253)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연장부(261)는 상기 제1연장부의 반대편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직교부(263)는 상기 제2연장부(261)의 끝단에서 상기 가이드관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의 선단에는 걸림돌기(255,265)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는 상기 가이드관(210)이 비강(C)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콧방울에 각각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는 각각 양측 콧방울에 걸어져, 결과적으로 가이드관(210)이 코 주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걸림돌기(255,26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55,265)는 콧방울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가 용이하게 휘어져, 콧망울에 정확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을 이용하여 경비내시경을 비강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을 이용하여 인체의 비강 내부로 경비내시경을 삽입한 모습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비강(C) 내부로 가이드관(210)을 삽입한다. 즉, 상기 가이드관(210)의 선단에 형성된 챔버(247)가 비공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관(210)의 몸체(220)를 비강(C)내부로 삽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몸체(220)는 상기 비강(C) 내부의 형상에 따라 어느 정도 변형되면서 삽입된다. 이는 상기 몸체(220)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또한 상기 몸체(220)의 요철부(221)로 인해 몸체(220)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210)의 몸체(220)가 비강(C)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관(210)의 지지판(230)이 비공 주변에 걸려 더 이상 상기 몸체(220)가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상기 지지판(230)에 구비된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를 파지하고 이를 어느 정도 변형시키면서 피시술자의 콧방울 양측에 걸어준다. 다시 말하면, 제1지지레그의 걸림돌기(255)는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비강쪽의 콧방울에 걸어지게 되고, 제2지지레그의 걸림돌기(265)는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비강의 다른 쪽 콧방울에 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250,26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55,265)가 피시술자의 콧방울에 걸어져, 상기 가이드관(210)이 비강(C) 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시술자의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채널(225) 내부로 경비내시경(H)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210)이 이미 피시술자의 비강(C)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경비내시경(H)이 삽입되면서 비강(C) 내벽에 상처를 입히거나 출혈을 유발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210)은 비강(C) 내부의 형상에 맞추어 휘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경비내시경(H)은 정확한 경로를 따라 비강(C)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마직막으로 시술자는 경비내시경(H)을 통해 전송되는 화면을 통해 피시술자의 장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진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비내시경(H)을 피시술자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순서의 역순 으로 이루어진다. 즉, 시술자는 먼저 상기 경비내시경(H)을 피시술자의 비강(C)을 통해 분리하고, 상기 가이드관(210)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비내시경을 인체의 비강 내부로 삽입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인체의 코에 고정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을 이용하여 인체의 비강 내부로 경비내시경을 삽입한 모습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이드관 20: 몸체
21: 요철부 25: 가이드채널
25': 삽입안내면 27: 챔버
30: 지지판 123: 강화막
140: 차폐막 250,260: 제1 및 제2지지레그
C: 비강 H: 경비내시경

Claims (10)

  1. 양단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는 경비내시경이 통과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비강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단에 상기 가이드채널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판상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비강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콧방울의 양측에 걸어지도록 제1 및 제2지지레그가 각각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레그는 제1연장부와 제1직교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레그는 제2연장부와 제2직교부로 구성되며,
    제1연장부는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과 동일평면상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제1직교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서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의 반대편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직교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서 몸체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직교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레그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상기 요철부를 차폐하도록 곡면형상의 차폐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내시경이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내면에는 강화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막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챔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내시경이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입구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커지도록 삽입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38978A 2008-04-25 2008-04-25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KR10098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78A KR100987804B1 (ko) 2008-04-25 2008-04-25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78A KR100987804B1 (ko) 2008-04-25 2008-04-25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095A KR20090113095A (ko) 2009-10-29
KR100987804B1 true KR100987804B1 (ko) 2010-10-18

Family

ID=4155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978A KR100987804B1 (ko) 2008-04-25 2008-04-25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7971A (zh) * 2019-09-03 2019-11-22 上海市胸科医院 鞘管结构、反式支气管镜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97U (ko) * 1999-06-05 1999-09-06 박운식 내시경용마우스피스
KR20000073911A (ko) * 1999-05-15 2000-12-05 이용진 내시경 마우스피스
JP2004305765A (ja) 2004-07-07 2004-11-04 Olympus Corp 内視鏡用案内管
KR20080010732A (ko) * 2006-07-28 2008-01-31 박운식 경비내시경용 비강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911A (ko) * 1999-05-15 2000-12-05 이용진 내시경 마우스피스
KR19990035197U (ko) * 1999-06-05 1999-09-06 박운식 내시경용마우스피스
JP2004305765A (ja) 2004-07-07 2004-11-04 Olympus Corp 内視鏡用案内管
KR20080010732A (ko) * 2006-07-28 2008-01-31 박운식 경비내시경용 비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095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183B2 (ja) 内視鏡検査装置
ES2689570T3 (es) Cánula endobronquial con sensor de imagen integrado y disposición de boquillas de limpieza
US10149602B2 (en) Endobronchial tube with integrated image sensor and a cleaning nozzle arrangement
ES2424319T3 (es) Todo supragótico para introducir una mascarilla laríngea
JP2002537011A (ja) 移動可能な補助器具を備えた変形可能なファイバスコープ
JPH10504733A (ja) 光ファイバによる挿管が可能なラリンゲルマスクエアウエイ
RU2675356C9 (ru) Воздухо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убации (варианты)
JP2007532279A (ja) 撮像カテーテル
US20030187326A1 (en) Locking mechanism for an endoscopic overtube
RU2728701C2 (ru) Проводник бронхоскопа для неинвазивной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и способ
US20200345214A1 (en) Endoscopy device
KR100987804B1 (ko) 경비내시경 검사용 가이드관
KR102280296B1 (ko) 내시경 유도를 통한 흉관 삽관술 장치
CN110650668B (zh) 进入中空器官且使中空器官可视化的器械
KR20200000638U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US20240122455A1 (en) Air retention device and patch for colonoscopy
KR102280294B1 (ko) 실시간 내시경 유도를 통한 흉관 삽관술 장치
KR101429360B1 (ko) 천자침 가이드
TWI572311B (zh) 咽喉鏡裝置
KR20150003882U (ko) 가이드부를 가지는 내시경 및 캡슐 내시경
IT201900001835A1 (it) Dispositivo orotracheale
KR20200000639U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