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54B1 - 커서 정보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커서 정보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54B1
KR102325954B1 KR1020200050871A KR20200050871A KR102325954B1 KR 102325954 B1 KR102325954 B1 KR 102325954B1 KR 1020200050871 A KR1020200050871 A KR 1020200050871A KR 20200050871 A KR20200050871 A KR 20200050871A KR 102325954 B1 KR102325954 B1 KR 10232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information
calculating
period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460A (ko
Inventor
강대웅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으로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된다.

Description

커서 정보 계산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CURSOR INFORMATION}
본 발명은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하여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를 조작한다. 이와 같은 입력 기기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객체들 중 선택된 객체를 향하여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후, 선택된 객체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후속 조작에 따라 해당 객체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함에 있어서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른 커서 좌표의 계산 및 화면 갱신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영 체제 내에서 이동 메시지가 발생하는 모든 시점에 커서 좌표의 계산 및 화면 갱신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등의 점유율이 최대로 되는 등 과다한 부하가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적인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6-0005943 A
본 발명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으로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른 이동 메시지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동 메시지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의 커서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를 발생시키는 과정; 및 상기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의 커서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메시지와 상기 타이머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동하기 위한 서로 다른 함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산된 커서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커서가 계산된 커서 좌표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의하면,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으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하여 커서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갱신을 위한 연산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를 조작하여 선택된 객체를 향하여 커서(C)를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 화면(S) 즉 윈도우(CWnd)에서 마우스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S)을 구동하기 위하여 윈도우(CWnd)에 포함된 마우스 이벤트 함수는 이벤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하게 되면, 마우스 이벤트 함수는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를 발생시킨다.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게 되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는 모든 시점에 커서(C) 좌표의 계산 및 화면 갱신을 수행하였다. 즉,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는 마우스 이벤트 함수에 의하여 예를 들어 10ms 이하의 주기(T)로 연속적으로 발생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는 10ms 이하의 주기(T)마다 커서(C) 좌표의 계산과 같은 커서(C) 정보의 계산 및 화면 갱신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등의 점유율이 최대로 되는 등 과다한 부하가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적인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커서(C)의 정보 계산을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는 시점마다 수행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우스 이벤트 함수에 의하여 제1 주기(T1)로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게 되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하되,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은 별도의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제1 주기(T1)와 다르게 설정된 제2 주기(T2)에 따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하게 되면, 마우스 이벤트 함수는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의 발생은 제1 주기(T1)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여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을 마우스 이벤트 함수와 별도로 마련된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호출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은 윈도우 타이머 함수는 상기 제1 주기(T1)와 상이한 제2 주기(T2)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 타이머 함수에 의하여 제2 주기(T2)에 따라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기(T2)는 제1 주기(T1)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을 위한 연산 횟수를 감소시키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S)에 전시되는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으로서, 상기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커서(C)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S)에 전시되는 커서(C)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100) 및 상기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S200)을 포함하고, 상기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T2)는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T1)와 다르게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화면(S)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윈도우(CWnd)를 의미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 기기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 디스플레이 화면(S) 내에서 커서(C)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마우스에 의하여 커서(C)가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입력 기기에 의하여 커서(C)가 이동하는 경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100)은 디스플레이 화면(S)에 전시되는 커서(C)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우스와 같은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의 확인은 마우스 이벤트 함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100)은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른 이동 메시지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110) 및 상기 이동 메시지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S) 내의 커서(C)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의 확인은 마우스 이벤트 함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마우스가 이동하게 되면, 마우스 이벤트 함수는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하게 되면 마우스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커서(C)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S120)은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화면(S) 내의 커서(C) 좌표를 저장한다. 커서(C) 좌표의 저장은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한 시점에 디스플레이 화면(S) 내의 커서(C) 좌표뿐만 아니라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커서(C)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서(C)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S120)은 다음의 처리 코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20043229590-pat00001
이와 같은, 이동 메시지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110) 및 커서(C)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S120)은 마우스 이벤트 함수에 의하여 제1 주기(T1)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1 주기(T1)는 10ms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S200)은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한다.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S200)은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를 발생시키는 과정(S210) 및 상기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S) 내의 커서(C)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S22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를 발생시키는 과정(S210)은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하여 설정된 주기를 가지는 타이머를 발생시킨다. 타이머는 윈도우 타이머 함수에 의하여 구동되는 윈도우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제2 주기(T2)로 설정될 수 있다.
커서(C)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S220)은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S) 내의 커서(C) 좌표를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는 제2 주기(T2)로 설정될 수 있는 바, 커서(C)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S220)은 제2 주기(T2)로 커서(C)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제2 주기(T2)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주기(T1)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으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제2 주기(T2)는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주기(T1)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주기(T1)가 10ms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제2 주기(T2)는 2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제2 주기(T2)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주기(T1)보다 길게 설정하는 경우,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을 위한 연산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과정(S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회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300) 및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과정(S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기기의 이동이 없어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이전 커서(C) 좌표와 동일한 경우 커서(C) 좌표의 계산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이전 커서(C) 좌표와 동일한 경우가 복수 회로 반복되면 CPU 부하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마우스 이벤트 함수와 별도로 구동되는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종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종료시켜 타이머를 종료한다. 이 경우,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다시 발생하기까지 커서(C) 정보의 계산은 중지되며, 마우스 이동 메시지(WM_MOUSEMOVE)가 다시 발생하게 되면, 다시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호출하여 커서(C) 정보를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윈도우 타이머 함수를 종료하는 과정(S400)은 하기의 처리 코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20043229590-pat0000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회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300)에서 계산된 커서(C) 좌표가 설정된 회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지 않는 경우, 커서(C)가 계산된 커서(C) 좌표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S)을 갱신하는 과정(S5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S)을 갱신하는 과정(S500)은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S200)과 동일하게 윈도우 타이머 함수에 의하여 제2 주기(T2)로 수행되며, 이에 의하여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S200)에서 계산된 디스플레이 화면(S) 상의 커서(C) 좌표에 마우스의 이동에 따른 커서(C)가 전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커서 정보 계산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처리 코드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20043229590-pat0000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정보 계산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화면(S)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으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커서(C)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를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하여 커서(C)의 정보 계산 및 디스플레이 화면(S)의 갱신을 위한 연산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으로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2.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와 다르게 설정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는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기기의 이동에 따른 이동 메시지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동 메시지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의 커서 좌표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를 발생시키는 과정; 및
    상기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내의 커서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메시지와 상기 타이머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동하기 위한 서로 다른 함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산된 커서 좌표가 설정된 횟수 만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커서가 계산된 커서 좌표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커서의 정보를 계산하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수행되는 커서 정보 계산 방법.
  10. 삭제
KR1020200050871A 2020-04-27 2020-04-27 커서 정보 계산 방법 KR10232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71A KR102325954B1 (ko) 2020-04-27 2020-04-27 커서 정보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71A KR102325954B1 (ko) 2020-04-27 2020-04-27 커서 정보 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60A KR20210132460A (ko) 2021-11-04
KR102325954B1 true KR102325954B1 (ko) 2021-11-12

Family

ID=7849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871A KR102325954B1 (ko) 2020-04-27 2020-04-27 커서 정보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9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42A (ja) 2008-08-28 2010-03-11 Oki Electric Ind Co Ltd カーソル表示装置、カーソル表示方法、カーソル表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195A (ja) * 1993-03-10 1994-09-16 Oki Electric Ind Co Ltd カーソル表示位置通知回路
JPH07160416A (ja) * 1993-12-06 1995-06-2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H09222983A (ja) * 1996-02-14 1997-08-26 Kyocera Corp 表示装置におけるカーソル表示方法
KR100605627B1 (ko) 2004-07-14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한된 디스플레이화면의 커서이동관리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42A (ja) 2008-08-28 2010-03-11 Oki Electric Ind Co Ltd カーソル表示装置、カーソル表示方法、カーソル表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60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2150B2 (en) Calculating device, graph display method of calcula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retaining graph display program
US20130314352A1 (en) Predictive virtual keyboard
CN113821290A (zh) 用于窗口布局管理的应用窗口分隔器控件
KR102027879B1 (ko)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10620974B2 (en) Gallery control with dynamically determined control template replica sizes
CN112465466B (zh) 流程任务执行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168281B (zh) 计算机可读介质、电子装置和方法
CN111190589A (zh) 一种可视化的编程方法及终端设备
EP3066550B1 (en) Two step content selection
CN113641260A (zh) 触控轨迹预测方法、相关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70111297A (ko)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US20220358258A1 (en) Computer-aided design methods and systems
KR102325954B1 (ko) 커서 정보 계산 방법
CN108604142B (zh) 一种触屏设备操作方法及触屏设备
US20180090027A1 (en) Interactive tutorial support for input options at computing devices
CN112578961B (zh) 应用标识显示方法及装置
CN114518819A (zh) 图标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30139085A1 (en) Operation Support Computer Program, Operation Support Computer System
CN111857917A (zh) 一种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925953B1 (ko) 텍스트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웹 서버
US20150130723A1 (en) Two step content selection with trajectory copy
CN107885414B (zh) 一种控制光标定位的方法及装置
CN112685279A (zh) 脚本录制方法、装置、终端设备
CN109343712B (zh) 终端设备的触觉反馈方法、触觉反馈装置及终端设备
CN114475578B (zh) 车辆停泊策略的生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