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65B1 -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65B1
KR102325565B1 KR1020210011315A KR20210011315A KR102325565B1 KR 102325565 B1 KR102325565 B1 KR 102325565B1 KR 1020210011315 A KR1020210011315 A KR 1020210011315A KR 20210011315 A KR20210011315 A KR 20210011315A KR 102325565 B1 KR102325565 B1 KR 10232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route
fire
building
sensor modul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환
김희영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텍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riving an optimal fire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various IoT sensors are u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risk factors such as intra-building temperature, visible distanc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Each risk factor is given an appropriate weight, an optimal escape route is derived for each room, and then an optimal escape route notification is given to an occupant smartphone or the like. The method includes: (a) a step in which a central control server storing corridor area or length for each building floor, emergency exit count, and escape route for each room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iodically receiving detection signals from building room occupant and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and a monitoring sensor module installed at an interval in a corridor and detecting visible distance, temperature, and toxic gas concentration at that point; (b) a step of checking the occupant count for each room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in the event of a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c) a step of calculating a risk factor for each of the visible distance, temperatur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and (d) a step of calculating a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weighting of each risk factor and then deriving the escape route with the minimum risk score as the optimal escape route.

Description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본 발명은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화재 발생시 각종 IoT 센서를 이용해 건물 내부 온도, 가시거리, 유독가스 농도 및 재실자 밀집도 등의 위험도 계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각 위험도 계수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해서 각 방의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한 후 재실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알려주는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In particular, when a building fire occurs, various IoT sensors are u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risk coefficients such as building interior temperature, visible distanc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but each risk coefficient It relates to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that is notified through a occupant's smartphone after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for each room by assigning appropriate weights to

일반적인 건물 화재 경보 시스템은 유선으로 연결된 센서 장치를 통해 화재를 탐지하고 사용자에게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한다. 응급 진화 시스템은 화재를 탐지한 경우에 스프링쿨러와 같은 진화 장비를 가동하여 응급 진화를 수행한다.A typical building fire alarm system detects a fire through a wired sensor device and provides fire alarm information to a user. The emergency extinguishing system performs emergency extinguishing by operating extinguishing equipment such as sprinklers when a fire is detected.

종래의 화재 경보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의 각 노드를 통하여 화재 여부를 인지하고 아파트 단지 거주자에게는 가정 내에 배치된 IPTV 화면을 통하거나 케이블 방송망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알려준다.The conventional fire alarm technology uses a sensor network and a cable broadcasting network. This prior art recognizes whether there is a fire through each node of the sensor network, and promptly informs apartment complex residents of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an IPTV screen placed in the home or through a cable broadcasting network.

그러나 종래의 화재 경보 기술은 단순히 화재 발생 사실이나 비상구 위치 등만을 알려줄 뿐 탈출 경로를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re alarm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suggest an escape route by simply notifying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or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exit.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기 선행기술 1에는 무선 센서/제어 노드의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온도, 불꽃, 연기, 유독가스)와 라우팅 정보(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사용자에게 화재경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단 거리인 이동 경로(예를 들어, 탈출 경로 또는 구조 경로)를 제공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following prior art 1, sensor data (eg, temperature, flame, smoke, toxic gas) and routing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sensor/control node are collect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Disclosed are a fire alarm/route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method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provides a user with a fire alarm as well as a movement route (for example, an escape route or a rescue route) that i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 the event of a fire has been

그러나 선행기술 1은 건물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단의 탈출 경로나 화재 또는 유독가스가 상대적으로 덜한 탈출 경로를 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관련된 하드웨어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재실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prior art 1 is supposed to suggest the shortest escap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or an escape route with relatively less fire or toxic gas, but mainly discloses a technology in terms of hardware related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 specific method for deriving the optimal escap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ccupant.

하기 선행기술 2에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중계기와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한 화재 정보를 기초로 하는 탈출경로 알고리즘 및 건물 맵 정보로부터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한 후에 UDP 통신을 통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표출장치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여 3차원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화재 발생에 따른 3차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rior art 2, after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from building map information and an escape route algorithm based on fir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CP/IP communication with a repeater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a building when a fire occurs, UDP communication A three-dimensional path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that provide a three-dimensional escape route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an expression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through the

구체적으로 선행기술 2에서는 여러 종류의 화재 감지 센서의 감응(동작) 정도에 따라 화재의 규모, 범위 또는 확산 정도 등을 예측하고, 이에 더하여 화재의 발생 정도나 화재 발생 위치에의 근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이동 경로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적 탈출 경로를 산출하고 있다.Specifically, in Prior Art 2, the size, range, or spread of a fire is predi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sponse (operation) of various types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es are predi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ccurrence of a fire or proximity to the location of the fire. The optimal escape route is calculated by giving different weights to the movement routes of .

그러나 선행기술 2에서는 건물 화재 발생시 안전한 탈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탈출 경로 상의 가시거리나 재실자의 밀집도를 탈출 경로 도출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위험 인자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않아서 탈출 경로 도출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Prior Art 2, the visibility distance or density of occupants on the escape route, which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safe escape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are not considered in the escape route derivation process, and appropriate weights are given to various risk factors affecting the human bod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scape route derivation result was lowered.

하기 선행기술 3에서는 여러 종류의 화재 감지 센서를 노드로 하여 각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의 크기에 의해 해당 노드의 웨이트 값을 달리 부여하고 이렇게 부여된 각 노드의 웨이트 값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최단 경로로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In the following prior art 3, different types of fire detection sensors are used as nodes and the weight value of the corresponding node is give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node, and the total sum of the weight values of each node thus assigned is the minimum path. is determined as the shortest route and guides the user.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 3에서는 탈출 경로인 복도(통로)가 아니라 각 실이나 구획 공간 내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의거하여 최단 경로를 산출하기 때문에 최단 경로 산출 결과의 신뢰성이 낮을 뿐 아니라 최단 경로 산출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3 described above, because the shortest path is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inside each room or compartment rather than the corridor (passage), which is the escape path, the reliability of the shortest path calculation result is low, and the shortest path calculation process is relatively There was a problem of complexity.

선행기술 1: 10-0789912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Prior Art 1: 10-078991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Title of the invention: Fire alarm/route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method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선행기술 2: 10-1840560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화재 발생에 따른 3차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10-1840560 (Title of the In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path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선행기술 3: 10-1923151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아이오티 기반 지능형 재난 대피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3: 10-192315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Title of the Invention: IoT-based intelligent disaster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 화재 발생시 각종 IoT 센서를 이용해 건물 내부 온도, 가시거리, 유독가스 농도 및 재실자 밀집도 등의 위험도 계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각 위험도 계수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해서 각 방의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한 후 재실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알려주는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building fire occurs, various IoT sensors are u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risk factors such as building interior temperature, visible distanc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but with appropriate weights for each risk factor After deriving the optimal escape route for each room by giving th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은 건물의 각 층의 복도 면적이나 길이, 비상 탈출구 수 및 각 방의 탈출 경로를 저장하고 있는 중앙 관제 서버가 건물의 방에 설치된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 및 화재감지 센서 모듈, 복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서의 가시거리, 온도 및 유독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센서 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집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 방의 재실자 인원수를 확인하는 (b) 단계; 가시거리, 온도, 유독가스 농도 및 재실자 밀집도 각각에 대한 위험도 계수를 산출하는 (c) 단계 및 각각의 위험도 계수에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에 따라 각 탈출 경로에 대한 위험 점수를 산출한 후 최소 위험 점수를 갖는 탈출 경로를 최적 탈출 경로로 도출하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entral control server storing the area or length of the corridor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emergency exits, and the escape route of each room in the room of the building. It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iodically collecting detection signals from the installed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and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and a monitoring sensor module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hallway to detect the visible distance, temperature, and toxic gas concentration at the point. (a) step; (b) checking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room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fter calculating the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step (c) of calculating the risk coefficient for each of the visibility distance, temperatur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and assigning weights to each risk coefficient, the minimum risk and (d) deriving an escape route having a score as an optimal escape route.

전술한 구성에서, 탈출 방법, 스프링쿨러 또는 비상구 설치 여부를 함께 반영하여 위험도 계수를 산출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isk factor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escape method and whether a sprinkler or an emergency exit is installed.

위험 점수 산출 시에 가시거리, 온도, 유독가스 농도, 재실자 밀집도 및 스프링쿨러 설치 여부 순서로 가중치가 차등 부여된다.When calculating the risk score, different weights are given in the order of visibility, temperature, toxic gas concentration, occupant density, and whether or not a sprinkler is installed.

각 탈출 경로에 대한 위험 점수 산출시 전체 탈출 경로를 단위 구간으로 분할하여 위험 점수를 산출한 후 합산하되, 각 단위 구간은 단위 구간은 모니터링 센서 모듈의 설치 간격에 따라 정해진다.When calculating the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the entire escape route is divided into unit sections and the risk score is calculated and then summed, but the unit section for each unit s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monitoring sensor module.

위험 점수는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1
에 의해 산출되되, W는 가중치를 나타내고, RI는 위험도 계수를 나타내며, L은 전체 탈출 경로에서의 각 단위 구간을 나타낸다.the risk score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1
, where W denotes a weight, RI denotes a risk factor, and L denotes each unit section in the entire escape route.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 따르면, 건물 화재 발생시 각종 IoT 센서를 이용해 건물 내부 온도, 가시거리, 유독가스 농도 및 재실자 밀집도 등의 위험도 계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각 위험도 계수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해서 각 방의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함으로써 탈출 경로 도출 과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할 뿐 아니라 탈출 경로 도출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uilding fire occurs, various IoT sensors are use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risk factors such as building internal temperature, visible distance, toxic gas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but appropriate for each risk factor. By deriving the optimal escape route for each room by assigning weights, the process of deriving an escape route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deriving an escape rout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각 센서 모듈의 배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시스템에서 각 센서 모듈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화재 발생시 밀집도와 이동 방향성 유무에 따른 이동 속도와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서 최적 탈출 경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mal path derivation system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each sensor module in FIG. 1 .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each sensor module in the system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vement direction when a fire occurs.
6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ptimal escape route in 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각 센서 모듈의 배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mal path derivation system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each sensor module in FIG. 1 .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시스템은 크게 건물의 각 구획 공간, 예를 들어 방, 거실, 사무실, 회의실 및 창고 등(이하 총칭하여 '방'이라 한다.)(R)에 설치되어 해당 방(R)의 실내 인원수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100a), 건물의 해당 방(R)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 모듈(100b), 건물의 통로나 복도(P)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해당 지점의 가시거리, 온도 및 일산화탄소 농도 등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센서 모듈(100c), 화재 발생시 각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최적의 탈출 경로를 도출한 후에 이를 건물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400),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및 소방센터 서버(500)에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300) 및 각 센서 모듈(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에 중앙 관제 서버(300)에 전송하는 중계 게이트웨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2, the system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efined in each compartment space of a building, for example, a room, a living room, an office, a conference room and a warehous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room '.) (R) installed to detect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oom (R)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100a), installed in the room (R) of the building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100b), a plurality of monitoring sensor modules (100c)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passage or corridor (P) of the building to monitor the visible distance, temperature,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each sensor module (100) in case of fire After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nd each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400 inside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ire center server 500 After periodicall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module 100 , the relay gateway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

전술한 구성에서,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100a)은, 예를 들어 각 방의 적소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센서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방에 거주하는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통신하여 해당 방의 실내 인원수를 감지한다. 이러한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100a)에는 해당 건물에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ID가 부여, 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각 층 및 각 방의 ID와 매칭되어 있는 고유 ID가 부여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100a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Bluetooth sensor module installed in a proper place in each room, and a user terminal residing in the corresponding room,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t communicates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room to detect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o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100a may be given an ID uniquely identifiable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for example, a unique ID matching the ID of each floor and each room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화재감지 센서 모듈(100b)은 일반적으로 각 방(R)에 배치되어 화재의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 열기 감지 센서 또는 불꽃 감지 센서 등의 자동화재 탐지설비로서, 자동화재 탐지설비 및 시각경보 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의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 센서 모듈(100b)에는 해당 건물에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ID가 부여, 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각 층 및 각 방의 ID와 매칭되어 있는 고유 ID가 부여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00b is generally disposed in each room (R) and is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such as a smok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or a flame detection sensor that automatically detects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And it can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afety standards (NFSC 203) of the visual alarm device.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00b may be given an ID uniquely identifiable in the building, for example, a unique ID matching the ID of each floor and each room of the building.

각각의 모니터링 센서 모듈(100c)은, 예를 들어 가시거리 센서, 온도 센서 및 CO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건물의 각 층의 이동 통로, 즉 복도(P)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가시거리 센서는 공지의 광전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온도 센서 및 CO 센서도 공지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 E1 및 E2는 건물에 설치된 비상구(탈출구)를 나타낸다.Each monitoring sensor module 100c may include, for example, a visible distanc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 sensor. can Since the visible distance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known photoelectric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 sen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known sensor,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FIG. 2 , E1 and E2 denote emergency exits (escape exits) installed in a building.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시스템에서 각 센서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센서 모듈(100)은 통상적으로 해당 센서부(102), 중계 게이트웨이(200)와 통신,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저전력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6), 해당 센서부(102)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고유 ID를 부여하여 통신부(106)를 통해 중계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는 제어부(104) 및 이들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0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each sensor module in the system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each sensor module 100 typically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102 and the relay gateway 200 , for example, Zigbee, Wi-Fi or Bluetooth communication, such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low-power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6 that performs NB-IoT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gives a unique ID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 102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gateway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 104 and a power source 108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se units.

한편, 중앙 관제 서버(300)에는 해당 건물의 층수, 스프링쿨러 또는 비상구 유도등 설치 여부, 각 층의 복도(통로) 면적이나 길이, 비상 탈출구 수 및 각 방의 탈출 경로, 예를 들어 직접 탈출이나 복도를 통한 탈출 등의 탈출 경로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whether sprinklers or emergency exit guidance lights are installed, the area or length of the corridor (passage) on each floor, the number of emergency exits, and the escape route of each room, for example, direct escape or corridor Escape routes such as escaping through are stored, a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store building map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이러한 건물 맵 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복수의 방(R), 탈출구(E) 및 복도(P)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서버(300)는 각 센서 모듈(100)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층별 건물 맵 정보에 의거하여 각 재실자에 대한 최적의 탈출 경로를 도출한 후에 각 재실자의 사용자 단말에 안내 영상이나 안내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is building map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oms (R), exits (E), and corridors (P) information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detects a signal from each sensor module 100 . After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for each occupant based on the building map information for each occupant,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each occupant in the form of a guidance video or voice guidance.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중앙 관제 서버를 주체로 하여 수행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erformed mainly by a central control server.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는 해당 건물에 대한 각종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러한 기본 정보에는 해당 건물의 층수, 스프링쿨러 또는 비상구 유도등 설치 여부, 각 층의 복도(통로) 면적이나 길이, 비상 탈출구 수 및 각 방의 탈출 경로, 예를 들어 직접 탈출이나 복도를 통한 탈출 등의 탈출 경로가 포함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 맵 정보가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n step S100, variou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building is input. Such basic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floors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whether sprinklers or emergency exit guide lights are installed, the area or length of the corridor (passage) of each floor, The number of emergency exits and escape routes of each room, for example, escape routes such as direct escape or escape through a hallway, may be included, and further, building map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may be stored in advance.

다음으로, 단계 S110 및 S120에서는 각 센서 모듈(100)로부터의 주기적인 감지 신호를 중계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수신한 후에 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각 센서 모듈(100)로부터의 감지 신호 수집 주기는 해당 센서 모듈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in steps S110 and S120 , after receiving a periodic detection signal from each sensor module 100 through the relay gateway 200 , 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detection from each sensor module 100 is performed. The signal collection perio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module.

아래의 표 1은 소방시설 등의 성능 위주 설계 방법 및 기준(MPSS, 2016)을 나타낸 표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화재 발생시 호흡 고도 한계는 바닥으로부터 1.8m이고, 온도 한계는 60℃이며, 가시거리 한계는 대략 5m이다.Table 1 below is a table showing performance-oriented design methods and standards (MPSS, 2016) for firefighting facilities, etc. As can be seen from Table 1,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the breathing height limit is 1.8 m from the floor, the temperature limit is 60 °C, and the visibility limit is approximately 5 m.

가스 성분 한계로는 일산화탄소(CO)의 경우 1,400ppm이고, 산소(O2)의 경우 15% 이상이어야 하며, 이산화탄소(CO2)의 경우 5% 이하가 되어야 한다.As a gas component limit, it should be 1,400 ppm for carbon monoxide (CO), 15% or more for oxygen (O 2 ), and 5% or less for carbon dioxide (CO 2 ).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2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2

한편, 건물의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위험도 상승 요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위험도 요인)로는 아래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내부 온도, 일산화탄소(CO) 등의 유독가스 및 가시거리 등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occupants are very diverse, but as can be seen in Table 2 below, the factors (risk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eople in general a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uilding, carbon monoxide (CO), etc. There may be toxic gas and line of sight.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3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3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화재 발생시 내부 온도가 60℃에 이르면, 재실자가 고열로 인해 고통을 받고, 82℃가 지속되면 생존 시간이 49분 정도가 되며, 148℃에 이르면 그 즉시 탈출해야 사망을 면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a building fire reaches 60℃, the occupants suffer from high fever, and if 82℃ continues, the survival time is about 49 minutes. can be avoided

다음으로, 일산화탄소(CO)의 경우 50ppm 이하이면 재실자의 건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50~100ppm이면 재실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100~3,200ppm이면 1시간 이상의 호흡은 가능하지만 그 사이에 의식을 잃을 가능성이 크고, 3,200~12,600ppm이면 30분 이내로 의식을 잃을 가능성이 크며, 12,600ppm이상이면 3분 이내에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Next, in the case of carbon monoxide (CO), if it is 50 ppm or less, it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the health of the occupants, but if it is 50 to 100 ppm, it starts to affect the health of the occupants. If it is 3,200~12,600pp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losing consciousness within 30 minutes, and if it is more than 12,600pp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ath within 3 minutes.

마지막으로, 가시거리의 경우 어두운 곳에서의 최저 이동속도, 자극성 연기가 존재하고 가시거리가 5m일 때의 최저 이동속도 및 비자극성 연기가 존재하고 가시거리가 2.5m일 때의 최저 이동속도는 대략 0.3m/s이다.Lastly, in the case of visible distance, the minimum movement speed in a dark place, the minimum movement speed when irritating smoke exists and the visibility distance is 5m, and the minimum movement speed when non-irritating smoke exists and the visibility distance is 2.5m is approximately 0.3 m/s.

한편, 건물 내부 인원수는 건물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이동속도와 관련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m2당 재실자수로 정의되는 재실자 밀집도는 재실자의 이동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아래의 표 3은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밀집도에 따른 이동속도를 보인 표이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eople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associated with the moving speed of jaesilja building in case of fire, in particular jaesilja density, defined as number jaesilja per m 2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vement speed of the jaesilja. Table 3 below shows the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occupants in the event of a fire.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4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4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재실자 밀집도가 0.8 미만이면 이동속도에 제한이 없어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만, 0.8~1.8이면 이동속도가 1~1.5m/s로 급격히 감소하고, 1.8~4.0이면 이동속도가 0.5~1.0m/s로 이보다 더 감소하며, 4.0 이상이면 거의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As can be seen in Table 3, if the occupant density is less than 0.8,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ovement speed, so you can move freely. It decreases further to ~1.0 m/s, and if it is 4.0 or higher, it becomes almost immobile.

더욱이 건물 화재 발생시 재실자의 이동 속도는 이동 방향성에도 큰 영향을 받는데, 도 5는 화재 발생시 밀집도와 이동 방향성 유무에 따른 이동 속도와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이다.Furthermore, when a building fire occurs, the moving speed of occupants is also greatly affected by the moving direc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and the moving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ving direction when a fire occur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대피)하는 경우에는 3 이상의 밀집도에서 이동속도의 감소가 시작돼서 4 이상의 밀집도에서 이동속도가 급격히 감소하지만, 재실자가 우왕좌왕하는 경우, 즉 방향성 없이 이동(대피)하는 경우에는 2.5 또는 3 정도의 밀집도에서도 이동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occupants move (evacuate) in a certain direction when a building fire occurs, the movement speed starts to decrease at a density of 3 or more, and the movement speed decreases rapidly at a density of 4 or more, but when the occupants move right and left , that is, in the case of moving (evacuation) without direction, the moving speed rapidly decreases even at a density of about 2.5 or 3.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단계 S130에서는 건물 내부의 각 방의 재실자 인원수를 확인하고, 이어지는 단계 S140에서는 가시거리, 온도, 일산화탄소(CO) 농도 및 재실자 밀집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 탈출 경로를 도출하며, 단계 S150에서는 이렇게 도출된 최적 탈출 경로를 재실자 및 관계자 단말(400)에 시청각적으로 통보(안내)함과 함께 소방센터 서버(500)에 통보함으로써 인명구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4 again, in step S130,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room inside the building is checked, and in the subsequent step S140, an optimal escape route is deriv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visibility distance, temperature, carbon monoxide (CO) concentration, and occupant density, step S140 In S150, the optimal escape route derived in this way is audio-visually notified (guidance) to the occupants and the relevant terminal 400, and the fire center server 500 is notified to help save lives.

아래의 표 4는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서 건물 화재 발생시 인체에 영향을 주는 각종 위험 인자를 계수화한 위험도 계수(Risk Index)를 보인 표이다.Table 4 below is a table showing the risk index (Risk Index) obtained by quantifying various risk factors affecting the human body when a building fire occurs in 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5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5

위의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 따른 위험도 계수에는 해당 건물의 제반 변수도 반영되는데, 예를 들어 탈출 방법, 비상구 유도등이나 스프링쿨러의 존재 여부 등이 있을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4 above, various variables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are also reflected in the risk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riving the optimal rou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re may be an escape method, the presence of an emergency exit guide light, or a sprinkler.

먼저 탈출 방법 변수로는 1층 상가와 같이 방에서 직접 탈출, 1층 사무실과 같이 복도를 이용한 탈출, 램프 또는 계단을 이용한 탈출, 2층 이상 상가나 사무실과 같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탈출 등이 있을 수 있다.First, escape method variables include direct escape from a room such as a shopping mall on the first floor, escape using a hallway such as an office on the first floor, escape using a ramp or stairs, and escape using an elevator such as a store or office on the second floor or higher. .

비상구 유도등이 있으면 재실자가 탈출 경로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위험도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부여될 수 있고, 스프링쿨러가 있는 경우에도 온도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켜서 재실자의 생존 시간의 증가에 기여하기 때문에 위험도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부여될 수 있으나 최적 탈출 경로 도출 시에 다른 위험 인자에 비해 그 비중을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is an emergency exit guide light, the risk factor can be given relatively low because it helps the occupants recognize the escape route, and even if there is a sprinkler, it reduces the temperature or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an increase in the occupant's survival time. Although the coefficient can be given relatively low, it is desirable not to increase the weight compared to other risk factors when deriving the optimal escape route.

한편, 최적 탈출 경로 도출 시에 각 위험도 계수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 불합리하기 때문에 가중치(Weight))를 차등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아래의 표 5와 같이 전문가 집단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위험도 요인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의 7단계 리커트 척도를 적용하거나 설문조사 등에 사용되는 심리 검사 응답 척도의 하나인 5단계 척도를 적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it is unreasonable to treat each risk coefficient the same when deriving the optimal escape route, it is desirable to assign different weights). A seven-step Likert scale of weighting may be applied, or a five-step scale, which is one of the psychological test response scales used in surveys, may be applied.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6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6

한편, 건물 화재 발생시 탈출 경로별 위험 점수를 산정할 때 일반적으로 건물 내 한 장소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대피 경로 길이가 중요한데, 선택된 탈출 경로 길이 전체를 이용하여 탈출 시간을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현실에서는 이미 선정된 가장 짧은 탈출 경로에 화재가 확산되거나 탈출 경로를 따른 화재 이동과 같은 불확실성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calculating the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in case of a building fire, the length of the evacuation route from one place in the building to the emergency exit is generally important. It is common to calculate the escape time using the entire length of the selected escape route, but in reality, Uncertainties exist, such as the spread of a fire on the shortest escape route selected or the movement of the fire along the escape route.

이를 감안하여 탈출 길이를 전체 탈출 경로 길이가 아닌 단위 구간으로 분할, 예를 들어 5m 단위로 분할하여 위험 점수를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이러한 단위 구간은 모니터링 센서 모듈(100c)의 설치 간격에 따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risk score by dividing the escape length into unit sections rather than the entire escape route length, for example, by 5m units, and furthermore, these unit sec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monitoring sensor module 100c.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아래의 수학식 1은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서 위험 점수(RS; Risk Score) 산출식이다.Equation 1 below is a risk score (RS) calculation formula in the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7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7

수학식 1에서 W는 가중치를 나타내고, RI는 위험도 계수(Risk Index)를 나타내며, L은 전체 탈출 경로에서의 각 단위 구간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W represents a weight, RI represents a risk index, and L represents each unit section in the entire escape route.

도 6은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에서 최적 탈출 경로 도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임의의 방에서 2개의 탈출 경로가 존재할 때 각 탈출 경로별 위험 점수는 아래의 표 6 및 7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6 is a diagram for exemplarily explaining a process of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in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As shown in FIG. 6 , when two escape routes exist in an arbitrary room of a building, a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may be derived from Tables 6 and 7 below.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8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8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9
Figure 112021010744698-pat00009

표 6 및 7에서 제1 이동 경로(Route 1) 및 제2 이동 경로(Route 2)의 밀집도가 모두 2.0으로 동일하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도 5에 따르면 그 이동속도가 1.37m/s가 됨을 알 수 있다.In Tables 6 and 7, when it is assumed that the densities of both the first moving path Route 1 and the second moving path Route 2 are equal to 2.0 and moving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FIG. 5 , the moving speed is 1.37 m It can be seen that /s becomes

도 6, 표 6 및 7에서 알 수 있듯이, 비록 재실자의 위치에서 제1 비상구(E1)로 이어지는 제1 탈출 경로(Route 1)의 총 거리(탈출 시간)가 제2 비상구(E2)로 이어지는 제2 탈출 경로(Route 2)의 총 거리보다 훨씬 짧더라도 본 발명의 탈출 경로 도출 방법에 따르면 제2 탈출 경로(Route 2)의 위험도 점수가 제1 탈출 경로(Route 1)의 위험도 점수보다 낮기 때문에 제2 탈출 경로(Route 2)가 최적의 탈출 경로로 도출된다.6, Tables 6 and 7, although the total distance (escape time) of the first escape route (Route 1) leading to the first emergency exit (E1) from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is the second leading to the second emergency exit (E2) Even if it is much shorter than the total distance of the second escape route (Route 2), according to the escape route deriv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score of the second escape route (Route 2) is lower than the risk score of the first escape route (Route 1). 2 An escape route (Route 2) is derived as an optimal escape route.

그리고 중앙 관제 서버(300)는 이렇게 도출된 최적 탈출 경로 또는 이에 더하여 각 탈출 경로에 대한 탈출 시간과 위험도 등을 재실자의 스마트폰(400)을 통해 시청각적으로 표출하고, 필요한 경우 소방센터 서버(500)에도 전송한다.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0 audio-visually expresses the optimal escape route derived in this way or, in addition, the escape time and risk level for each escape route through the occupant's smartphone 400, if necessary, the fire center server 500 ) is also transmitted.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deriving an optimal path for escaping from a f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예를 들어 전술한 각종 수치 또는 기준치, 위험도 계수에 대한 가중치 등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various numerical values or reference values, weights for risk coefficient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100: 센서 모듈, 102: 센서부,
104: 제어부, 106: 통신부,
108: 전원, 100a: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
100b: 화재감지 센서 모듈, 100c: 모니터링 센서 모듈,
200: 중계 게이트웨이, 300: 중앙 관제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소방센터 서버
100: sensor module, 102: sensor unit,
104: control unit, 106: communication unit,
108: power, 100a: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100b: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00c: monitoring sensor module,
200: relay gateway, 300: central control server,
400: user terminal, 500: fire center server

Claims (5)

건물의 각 층의 복도 면적이나 길이, 비상 탈출구 수 및 각 방의 탈출 경로를 저장하고 있는 중앙 관제 서버가 건물의 방에 설치된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 및 화재감지 센서 모듈, 복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해당 지점에서의 가시거리, 온도 및 유독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센서 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집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각 방의 재실자 인원수를 확인하는 (b) 단계;
가시거리, 온도, 유독가스 농도, 스프링쿨러 설치 여부 및 재실자 밀집도 각각에 대한 위험도 계수를 산출하는 (c) 단계 및
각각의 위험도 계수에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에 따라 방별로 복도에서의 각 탈출 경로에 대한 위험 점수를 산출한 후 최소 위험 점수를 갖는 탈출 경로를 최적 탈출 경로로 도출하는 (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재실자 감지 센서 모듈은 건물의 각 방에 설치된 블루투스 센서 모듈로 이루어지며,
위험 점수 산출 시에 가시거리, 온도, 유독가스 농도, 재실자 밀집도 및 스프링쿨러 설치 여부 순서로 가중치가 차등 부여되고,
각 탈출 경로에 대한 위험 점수 산출시 전체 탈출 경로를 단위 구간으로 분할하여 위험 점수를 산출한 후 합산하되, 각 단위 구간은 모니터링 센서 모듈의 설치 간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탈출 경로 도출 방법.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ich stores the area or length of the corridor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emergency exits, and the escape route for each room, is installed at a distance in the hallway and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and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room of the building. (a)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iodically collecting a detection signal from a monitoring sensor module that detects the visible distance, temperature, and toxic gas concentration in the ?
(b) confirming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room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c) calculating the risk factor for each visibility distance,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toxic gas, whether sprinklers are installed, and density of occupants; and
Including the step of (d) deriving the escape route with the minimum risk score as the optimal escape route after calculating the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in the hallway for each room according to the result of assigning each weight to each risk coefficient don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odule consists of a Bluetooth sensor module installed in each room of the building.
When calculating the risk score, different weights are given in the order of visibility, temperature, toxic gas concentration, occupant density, and sprinkler installation.
When calculating the risk score for each escape route, the entire escape route is divided into unit sections and the risk score is calculated and then summed, but each unit s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monitoring sensor module. How to derive the optimal escape route.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출 방법 또는 비상구 설치 여부를 함께 반영하여 위험도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탈출 경로 도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deriving an optimal escape route for escaping from a f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sk factor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escape method or whether an emergency exit is insta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위험 점수는
Figure 112021075740404-pat00010
에 의해 산출되되, W는 가중치를 나타내고, RI는 위험도 계수를 나타내며, L은 전체 탈출 경로에서의 각 단위 구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탈출 경로 도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sk score
Figure 112021075740404-pat00010
, wherein W represents a weight, RI represents a risk factor, and L represents each unit section in the entire escape route.
KR1020210011315A 2021-01-27 2021-01-27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KR102325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15A KR102325565B1 (en) 2021-01-27 2021-01-27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15A KR102325565B1 (en) 2021-01-27 2021-01-27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565B1 true KR102325565B1 (en) 2021-11-15

Family

ID=7850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315A KR102325565B1 (en) 2021-01-27 2021-01-27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56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2309A (en) * 2022-04-21 2022-07-12 淮阴工学院 Algorithm for optimal path selection system for people evacuation in building
KR102482392B1 (en) * 2022-08-31 2022-12-29 (주)류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scape room game to provide a publicity experience service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KR20230081826A (en)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guidance light system using hybrid pof(plastic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16905926A (en) * 2023-09-12 2023-10-20 深圳好博窗控技术股份有限公司 Door and window control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12B1 (en)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rver and method for alarming fire and guiding rout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60136856A (en) * 2015-05-21 2016-11-30 최낙훈 Apparatus for alerting fire alarm
KR20180028824A (en) * 2016-09-09 2018-03-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imension path upon fire occurrence
KR101845942B1 (en)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KR101923151B1 (en) 2017-07-17 2018-11-2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IoT based intelligent disaster evacuation
KR20210002946A (en) * 2019-07-01 2021-01-1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DEVICE AND SYSTEM THAT EVACUATION SAFETY USING OCCUPA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evacuating disaster by using an emergency guide ligh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12B1 (en)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rver and method for alarming fire and guiding rout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60136856A (en) * 2015-05-21 2016-11-30 최낙훈 Apparatus for alerting fire alarm
KR20180028824A (en) * 2016-09-09 2018-03-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imension path upon fire occurrence
KR101840560B1 (en) 2016-09-09 2018-03-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imension path upon fire occurrence
KR101845942B1 (en)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KR101923151B1 (en) 2017-07-17 2018-11-2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IoT based intelligent disaster evacuation
KR20210002946A (en) * 2019-07-01 2021-01-1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DEVICE AND SYSTEM THAT EVACUATION SAFETY USING OCCUPANT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evacuating disaster by using an emergency guide ligh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826A (en)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guidance light system using hybrid pof(plastic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2642879B1 (en) * 2021-11-30 2024-03-05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guidance light system using hybrid pof(plastic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14742309A (en) * 2022-04-21 2022-07-12 淮阴工学院 Algorithm for optimal path selection system for people evacuation in building
CN114742309B (en) * 2022-04-21 2024-03-29 淮阴工学院 Method for optimal path selection system for personnel evacuation in building
KR102482392B1 (en) * 2022-08-31 2022-12-29 (주)류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scape room game to provide a publicity experience service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CN116905926A (en) * 2023-09-12 2023-10-20 深圳好博窗控技术股份有限公司 Door and window control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905926B (en) * 2023-09-12 2023-12-15 深圳好博窗控技术股份有限公司 Door and window control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565B1 (en)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JP3446996B2 (en)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CN105561492B (en) Dynamic acquiring terminal,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behavior statistical information
US6873256B2 (en) Intelligent building alarm
KR100696740B1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KR101475134B1 (en) Intelligent escape guide method and apparatus
KR102019438B1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789912B1 (en) Server and method for alarming fire and guiding rout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949883B1 (en)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KR102277968B1 (en)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KR102164449B1 (en) Building firefighting monitor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24067B1 (en) SYSTEM FOR PREDICTING SMOKE SPREADING AND EVACUATION ROUTE USING INTERNET OF THING (IoT) SENSORS, AMD METHOD FOR THE SAME
KR102358776B1 (en)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KR102133442B1 (en) Method of providing fire evacuation service and fire evacu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101902958B1 (en) Module type multi-functional integrated sensor
KR102335676B1 (en)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ovide fire monitoring
KR10242417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guidance with smart direction indicator light using beacon
KR102095986B1 (en) System of early fire detection and safety evacution and method thereof
CN11191582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2312310B1 (en) Fire escape system capable of guidance of evacuation route
TWI442345B (en) Intelligent fire escape system
KR101807265B1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KR102081712B1 (en) Disaster safety integration system
CN112242037A (en) Reconfigurable fire-fighting information sensing system
KR101897757B1 (en) The best path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available fire evacuation analysi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