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08B1 -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08B1
KR102324108B1 KR1020197027433A KR20197027433A KR102324108B1 KR 102324108 B1 KR102324108 B1 KR 102324108B1 KR 1020197027433 A KR1020197027433 A KR 1020197027433A KR 20197027433 A KR20197027433 A KR 20197027433A KR 102324108 B1 KR102324108 B1 KR 10232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maximum power
temperature parameter
power
allo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515A (ko
Inventor
융리 쑨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4Compensating for temperature chan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making use of a thermal sensor, e.g. thermistor, heated by the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Power Sour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검출하는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CN 201811280592.1이고 출원일자가 2018년 10월 30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스마트 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를 통해 다양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어 다른 회로와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사회의 발달 및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은 생활의 간편함과 편안함을 추구하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의 삶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대에 따라 다양한 전기화 제품이 등장하고, 따라서 사용되는 콘센트도 갈수록 더 많아져 복수개의 소켓을 구비한 멀티탭은 갈수록 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콘센트는 점차적으로 우리 생활의 필수품으로 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멀티탭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멀티탭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검출하는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제3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멀티탭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며;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탭의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자동 조정하여, 최대 전력 조정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멀티탭이 고전력 전기기구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열량이 제때에 발산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멀티탭 및 가전용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되는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를 한정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개시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사용 시나리오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개시와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현재, 멀티탭은 기본적인 전원 공급 수요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안전 제어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알다시피, 가전용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멀티탭 자체는 일정한 열량을 발생시키며, 동일한 가전용 전기기구를 연결한 경우에 있어서, 멀티탭의 현재 처한 환경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열 발산 효과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이 경우 멀티탭의 안전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며;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탭의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자동 조정하여, 최대 전력 조정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멀티탭이 고전력 전기기구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열량이 제때에 발산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멀티탭 및 가전용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멀티탭 또는 단말기에 응용되고, 하기와 같은 단계101 ~ 단계104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102에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한다.
단계103에서,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104에서,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멀티탭에 의해 공급되는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크지 않게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멀티탭 또는 단말기 내의 제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는 멀티탭 주변의 환경 온도와 멀티탭 자체에서 발생된 열량에 의해 종합적으로 생성된 실시간 온도를 가리키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가 높을수록, 그 열 발산 환경은 갈수록 떨어지고, 멀티탭의 안전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크다. 이 경우, 멀티탭의 안전한 사용을 확보하고, 지나치게 많은 열량이 발생하여 멀티탭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멀티탭에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최대 전력이 갈수록 작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멀티탭 자체는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본 기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멀티탭 자체에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멀티탭이 전원에 연결된 이후(일반적으로 방 실내의 전원 공급 소켓에 연결됨),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전압 신호와 같은 사용 가능한 전력 신호로 전환될 수 있는 센서를 가리키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는 전압 신호 등과 같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물론, 온도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는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다음, 제어 장치는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표시하는 온도가 클수록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갈수록 작아지는 규칙에 따라,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탭에 전력 검출 회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전력 검출 회로는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전력을 자동 검출하여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가 멀티탭에 설치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직접 전력 검출 회로를 통해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검출하여 얻을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되면 상기 제어 장치는 멀티탭에 의해 송신된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가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한 후,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이 경우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멀티탭 현재 감당하는 전력의 상한을 초과하였음을 의미하고, 이 경우, 멀티탭 사용 상의 안전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총 전력을 감소시켜 지나치게 많은 열량이 발생되어 멀티탭이 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 장치가 멀티탭에 설치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직접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되면, 상기 제어 장치는 멀티탭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탭 상의 모든 소켓은 하나의 스위치로만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멀티탭은 상기 유일한 스위치를 제어하여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탭 상의 모든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물론, 상기 멀티탭에 복수개의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고, 이 경우, 상기 멀티탭은 그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차단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전원이 공급된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멀티탭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물론, 모든 스위치를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멀티탭의 모든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며;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자동 조정하여, 최대 전력 조정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멀티탭이 고전력 전기기구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열량이 제때에 발산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멀티탭 및 가전용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에 따른 단계102는 하기 단계A1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계A1에서,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 내에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의 대응 관계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온도 파라미터가 (a, b]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대응되는 최대 전력은 c 등 대응 관계일 수 있다. 이처럼 제어 장치는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 e가 (a, b]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획득하였을 때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c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으로, 상기 대응 관계는 선형 정비례의 대응 관계일 수 있다. 최대 전력 = k × 현재 온도 파라미터 + n이고, 여기서 k와 n은 구체적인 멀티탭에 따라 설정된 상수이다. 이처럼 제어 장치는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한 경우, 상기 선형 정비례 공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하고, 결정 방식은 빠르고 정확하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에 따른 단계102는 하기 단계A2와 A3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계A2에서,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며, 멀티탭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한다.
단계A3에서,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한다.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이 하향 조정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보다 하강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이 상향 조정되는 방식도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탭은 주기적으로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1도씩 높아진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200와트 하향 조정된다. 이처럼 멀티탭 사용 과정에서, 제어 장치는 일정한 시간마다 온도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즉 양자가 표시하는 온도가 동일하거나 온도 차이값이 1도보다 작을 경우, 이는 환경 온도 변화가 매우 작음을 의미하므로 제어 장치는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이 변화되지 않게 유지되도록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즉 양자가 표시하는 온도 차이값이 1도보다 큰 경우, 이는 환경 온도 변화가 비교적 큼을 의미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 결과, 환경 온도가 1도 상승한 경우, 이는 현재 환경의 온도가 높고, 열 발산 효과가 떨어짐으로 인정하여 이 경우, 제어 장치는 멀티탭이 허용하는 최대 전력 상한을 자동으로 200와트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도 파라미터 결과, 환경 온도가 2도 상승한 경우, 멀티탭이 허용하는 최대 전력 상한을 자동으로 400와트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멀티탭이 허용하는 최대 전력은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제어 장치에는 첫번째 결정된 최대 전력, 예를 들면 2000와트와 그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예를 들면 실온 25도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가 미리 저장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온도 차이값이 비교적 큰 경우에만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여 불필요하고 번거로운 조정을 감소시킨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에 따른 단계104는 하기 단계B1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계B1에서,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탭 중 각 소켓마다 대응되는 하나의 스위치가 설치될 경우, 멀티탭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크면,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으로 인하여 멀티탭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멀티탭이 현재 감당할 수 있는 전력 상한을 초과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이때 멀티탭 사용상의 안전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멀티탭이 감당하는 총 전력을 이전의 최대 전력을 초과하지 않았을 때의 수준으로 감소시켜, 멀티탭에 삽입되어 통전된 전기기구의 전력이 지나치게 큼으로 인해 멀티탭이 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멀티탭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멀티탭이 감당하는 총 전력을 이전의 최대 전력을 초과하지 않았을 때의 수준으로 감소시켜, 멀티탭에 삽입되어 통전된 전기기구의 전력이 지나치게 큼으로 인해 멀티탭이 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C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C1에서,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에도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환경 온도가 너무 높고 멀티탭에 연결된 전기기구가 너무 많습니다” 등 음성을 출력하여 상기 멀티탭에 의해 현재 전원의 공급되는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멀티탭의 안전 사용 상한을 초과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프롬프트 정보를 인지한 후,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다른 전원 공급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멀티탭에 버저(buzzer)가 설치되며,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또한 비프음일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버저를 통해 상기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멀티탭의 각 소켓에 대응되는 큐라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또한 큐라이트의 조명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어느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 대응되는 큐라이트를 턴오프할 수 있는 등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다른 전원 공급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여러 실시예를 통해 구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 또는 멀티탭 등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계201 ~ 단계205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202에서,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단계203에서,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204에서,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한다.
단계205에서,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한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 또는 멀티탭 등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계301 ~ 단계305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302에서,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한다.
단계303에서,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한다.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단계304에서,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305에서,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방법의 사용 시나리오 개략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40)이 현재 공기청정기(41), 세탁기(42) 및 TV(43)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검출된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25도이고,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1300와트라고 가정할 경우,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공기청정기(41)의 전력은 100와트, 세탁기(42)의 전력은 1100와트, TV(43)의 전력은 300와트이고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은 1500와트임을 획득하며, 이 경우, 멀티탭은 상기 각 전기기구 중 TV(43)에 대한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차단한 후 전원이 공급된 총 전력이 1200와트로써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1500와트보다 크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본 개시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전자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501);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502);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검출하는 제2 획득 모듈(503);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504)을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된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또한 결정 모듈(502)을 제1 결정 서브 모듈(502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결정 서브 모듈(5021)은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된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또한 결정 모듈(502)을 제2 결정 서브 모듈(5022)과 제3 결정 서브 모듈(5023)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결정 서브 모듈(5022)은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한다.
제3 결정 서브 모듈(5023)은 상기 멀티탭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한다.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된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또한 결정 모듈(504)을 제어 서브 모듈(504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 서브 모듈(5041)은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한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된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또한 출력 모듈(50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모듈(505)은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 중의 장치에 있어서, 그 중 각 모듈이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해 상기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멀티탭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000)는 일 단말기 또는 멀티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장치(1000)는 처리 컴포넌트(1011)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012)가 대표하는 메모리 리소스를 포함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이 처리 컴포넌트(1011)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2) 중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각각 한 그룹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처리 컴포넌트(1011)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어 방법을 실행한다.
장치(1000)는 장치(10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하나의 전원 컴포넌트(1013), 장치(10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14) 및 하나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10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0)는 메모리(1012)에 저장된 조작 시스템에 기반하여 조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시스템이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어가 장치(10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장치(1000)가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하기와 같은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개시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가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며;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탭의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자동 조정하여, 최대 전력 조정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또한 현재 상기 멀티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이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상기 멀티탭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멀티탭이 고전력 전기기구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열량이 제때에 발산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멀티탭 및 가전용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한다.

Claims (12)

  1. 멀티탭의 제어 방법으로서,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는 상기 멀티탭 주변의 환경 온도와 상기 멀티탭 자체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종합적으로 생성된 실시간 온도를 가리킴;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 및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하강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증가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하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방법은,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prompting)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방법.
  6. 멀티탭의 제어 장치로서,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는 상기 멀티탭 주변의 환경 온도와 상기 멀티탭 자체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종합적으로 생성된 실시간 온도를 가리킴;
    상기 현재 온도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각 전기기구의 총 전력을 검출하는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임을 결정하는 제2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주변 환경의 현재 온도 파라미터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기설정된 조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조정하는 제3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방식은,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상승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이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감소되는 조정 방식, 및 현재 온도 파라미터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대응되는 온도 파라미터에 비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값만큼 하강한 경우,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은 지난번 결정된 최대 전력에 비해 기설정된 전력값만큼 증가되는 조정 방식을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기설정된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현재 온도 파라미터 조건 하에, 상기 멀티탭의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을 결정하는 제1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파라미터와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 사이의 대응 관계는 음의 상관 관계를 형성하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 전기기구 중 최근에 통전된 전기기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멀티탭을 제어하는 제어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멀티탭의 제어 장치는,
    상기 총 전력이 상기 현재 사용하도록 허용된 최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멀티탭이 감당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높음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
  11. 멀티탭의 제어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탭의 제어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탭의 제어 장치.
  12.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탭의 제어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97027433A 2018-10-30 2019-03-28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24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80592.1 2018-10-30
CN201811280592.1A CN109450005A (zh) 2018-10-30 2018-10-30 插排的控制方法及装置
PCT/CN2019/080236 WO2020087853A1 (zh) 2018-10-30 2019-03-28 插排的控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15A KR20200051515A (ko) 2020-05-13
KR102324108B1 true KR102324108B1 (ko) 2021-11-08

Family

ID=655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433A KR102324108B1 (ko) 2018-10-30 2019-03-28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75523B2 (ko)
EP (1) EP3648280A1 (ko)
JP (1) JP6916892B2 (ko)
KR (1) KR102324108B1 (ko)
CN (1) CN109450005A (ko)
RU (1) RU2727181C1 (ko)
WO (1) WO2020087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0005A (zh) 2018-10-30 2019-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插排的控制方法及装置
US20240154417A1 (en) * 2022-11-08 2024-05-0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rchestrated load shed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34B1 (ko) *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CN103513668A (zh) 2012-06-29 2014-01-15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温度控制电路、方法以及充电系统
CN206349593U (zh) 2017-01-18 2017-07-21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插排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0771A (en) * 1995-04-25 1997-07-22 Lee; Chung-Cheng Electrical socket with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operating conditions
JPH10234133A (ja) * 1997-02-18 1998-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負荷削減方式
US20050036258A1 (en) * 2003-08-11 2005-02-17 Ma Xlu Juan Power strips with embedded controllers
TW200745833A (en) 2006-06-09 2007-12-16 Channel Well Technology Co Ltd Power supply unit with smart control on cooling device
ITTO20060447A1 (it) * 2006-06-16 2007-12-17 Indesit Co Spa Utenza elettrica, particolarmente un elettrodomestico, e sistema includente tale utenza
US20080265677A1 (en) * 2007-04-26 2008-10-30 Wei-Yuan Chiang Multi-outlet safety power strip
US7786618B2 (en) * 2008-04-02 2010-08-31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UPS
US9318917B2 (en) * 2009-04-09 2016-04-19 Sony Corporation Electric storage apparatus and power control system
US9013060B2 (en) * 2010-04-30 2015-04-21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US9001484B2 (en) * 2010-11-01 2015-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20140248802A1 (en) * 2011-08-08 2014-09-04 Nitto Denko Corporation Smart tap
WO2013161342A1 (ja) * 2012-04-26 2013-10-31 ソニー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消費機器
JP6002502B2 (ja) * 2012-08-07 2016-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190748A1 (en) * 2014-09-11 2016-06-30 TrickleStar Ltd. Power Strip with External Networking Accessory Devices
US10326247B2 (en) * 2015-05-12 2019-06-18 Ran Roland Kohen Smart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CN108475939B (zh) * 2015-11-16 2022-03-08 莫列斯有限公司 功率充电模块及其使用方法
JP6707989B2 (ja) * 2016-05-27 2020-06-10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気機器接続用具、電気機器接続用具と外部制御装置のセットおよび遠隔監視管理システム
KR20180003964A (ko) * 2016-08-12 2018-01-10 이경록 스마트 전원 단자함
US10175748B2 (en) * 2017-01-05 2019-01-08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ed regulation of an electrical device's consumption of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CN207098186U (zh) * 2017-06-16 2018-03-13 康为同创集团有限公司 一种电源插排及电源插排控制系统
US10601187B2 (en) * 2017-06-20 2020-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verload prevention in a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electrical power outlet sockets
CN107390534B (zh) * 2017-07-11 2021-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及其控制方法、插座、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8092099B (zh) * 2017-12-12 2019-06-04 潘光燕 智能安全插排
CN108335176A (zh) * 2018-02-12 2018-07-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转让共享物品的使用权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207925833U (zh) * 2018-03-20 2018-09-28 重庆房慧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载保护的自关闭节能插座
CN109450005A (zh) * 2018-10-30 2019-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插排的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34B1 (ko) *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CN103513668A (zh) 2012-06-29 2014-01-15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温度控制电路、方法以及充电系统
CN206349593U (zh) 2017-01-18 2017-07-21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插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7181C1 (ru) 2020-07-21
EP3648280A1 (en) 2020-05-06
WO2020087853A1 (zh) 2020-05-07
CN109450005A (zh) 2019-03-08
JP6916892B2 (ja) 2021-08-11
KR20200051515A (ko) 2020-05-13
JP2021509217A (ja) 2021-03-18
US20200136396A1 (en) 2020-04-30
US11075523B2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108B1 (ko) 멀티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90020205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device
CN105249948A (zh) 基于睡眠监测的电器控制系统及方法
CN104881014A (zh) 一种控制方法和智能家居控制设备
WO2016155552A1 (zh) 一种基于智能家居系统的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05307352B (zh) 智能照明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802677B (zh) 一种智能终端的温度控制方法及系统
CN210951735U (zh) 空调设备
KR20180114326A (ko) 전열 침구류 제어장치
KR10111691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US11650608B2 (en) Timing for power-stealing circuits in smart-home devices
WO2018195739A1 (zh) 一种网络接入方法和系统
CN215071764U (zh) 一种自动调节充电功率的充电装置
CN215420105U (zh) 自适应检火电压产生电路及检火设备
WO2019169606A1 (zh) 智能插座及智能插座组
KR102088231B1 (ko) 인버터의 제어 장치
KR101536112B1 (ko) 전압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4089823B (zh) 过热下电保护系统及方法
US11585551B2 (en) Dynamic input selection for power-stealing smart-home devices
CN104546354B (zh) 育婴箱及其功率设备工作状态检测方法
CN113364299A (zh) 自适应检火电压产生电路及检火设备
KR20160110785A (ko) 패턴분석형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424121B1 (ko) 유도무기의 전원 제어 장치
CN115459571A (zh) 磁环过热保护方法、系统、装置、设备及介质
JP2019161896A (ja) 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