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546B1 -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546B1
KR102323546B1 KR1020190152686A KR20190152686A KR102323546B1 KR 102323546 B1 KR102323546 B1 KR 102323546B1 KR 1020190152686 A KR1020190152686 A KR 1020190152686A KR 20190152686 A KR20190152686 A KR 20190152686A KR 102323546 B1 KR102323546 B1 KR 10232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palm
eco
palm mat
warp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958A (ko
Inventor
배은숙
Original Assignee
㈜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무들 filed Critical ㈜나무들
Priority to KR102019015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5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는, 외줄 또는 두줄로 이루어진 야자로프 날실(50,60)과 씨실(70)이 직조되어 구성된 야자매트(10)와; 상기 야자매트(10)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친환경 부직포(20)와; 상기 야자매트(10)와 친환경 부직포(20)를 재봉실을 이용하여 재봉하여 상호 고정하는 재봉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야자매트의 하부에 친환경 부직포가 설치되어 있고, 특히 공장에서 부직포가 야자매트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방초 역할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작업자가 하나의 롤만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eco-friendly weed proof mat}
본 발명은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 및 이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자로프 날실과 씨실이 서로 직조되어 형성된 야자매트의 일면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어 씨실과 날실 사이의 틈으로 잡초가 야자매트를 뚫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 및 이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주변의 토목공사, 건축공사, 환경공사 등의 공사에서는 다양한 매트(mat)가 사용된다. 이러한 매트는 통상 고분자막이나 비닐막에 소정의 재료가 매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매트는 콘크리트, 고무칩, 폐타이어 등과 같은 인공재료만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공재료를 이용하여 포장이 이루어진 산책로나 등산로 혹은 둘레길 등은 집중 강우가 내릴 경우에 고무칩이나 폐타이어 같은 재료들이 포장로에서 이탈되어 포장로가 패이거나 혹은 일부 포장로에서 침전이 발생할 경우에는 침전된 부위에 빗물이 고이게 되어 포장로의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에 사용되는 재료 자체가 친환경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오랜시간에 걸쳐 햇빛이나 습기에 노출된 경우에 환경 호르몬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하게 되어 등산로나 산책로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산책로나 등산로를 포장 시공시에 별도의 매트를 깔고 그 상면에 고무칩이나 폐타이어 조각 등을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던가 혹은 재료 자체에 고무칩이나 폐타이어 조각 등이 함유된 재료의 경우에는 산책로나 등산로에 균일하게 이러한 재료를 도포한 후에 장시간에 걸쳐서 건조시켜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환경문제, 그린문제, 지구온난화문제 등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성, 친환경성, 그린성, 오염제어성, 신재료성, 폐기물 재활용성 등을 가진 재료를 이용한 매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의 예로 야자로프를 직조하여 제조한 야자매트가 있다.
통상적으로 야자로프를 직조하여 제조한 야자로프는 날실과 씨실이 서로 지그재그로 엮여 있는데, 날실과 씨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잡초가 위로 솟아올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야자 에코 매트"(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5345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는 야자매트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방초매트가 설치되며, 방초매트의 하부층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테레프탈레이트, 면, 견, 모 등의 섬유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소개된 야자매트의 시공은 각각 별도로 제작된 방초매트와 야자매트를 준비한 후 시공 장소에 배치한 다음 시공 장소에서 박음 처리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이처럼 방초매트와 야자매트가 일체를 이루지 않고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는 현장에서 방초매트와 야자매트를 각각 재단하고, 봉합 또는 접착 처리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 처리의 경우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접착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재봉의 경우 현장에서 막대한 재봉 시간을 소요하게 되므로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085345 (2015.07.23)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 및 이의 제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야자매트의 하부에 친환경 부직포가 설치되어 있고, 특히 공장에서 부직포가 야자매트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방초 역할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작업자가 하나의 롤만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려는 것이다.
또, 야자매트의 단부가 오바로크 처리되어 날실 또는 씨실이 풀ㄹ리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재활용 섬유재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턱부가 구성됨으로써 우천이나 강설 환경에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야자매트 직조기에 부직포를 공급하고, 재봉하고, 절단하는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성됨으로써 설비 증설을 최소화하면서도 간편하게 부직포가 부착된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는, 야자매트의 배출부 측에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를 멜트블로운 웹으로 형성하여 분사하여 일체화시키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부직포의 배치, 재봉, 절단 장치 없이 최소한의 장치만으로 부직포가 일체화된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줄 또는 두줄로 이루어진 야자로프 날실(50,60)과 씨실(70)이 직조되어 구성된 야자매트(10)와; 상기 야자매트(10)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친환경 부직포(20)와; 상기 야자매트(10)와 친환경 부직포(20)를 재봉실을 이용하여 재봉하여 상호 고정하는 재봉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야자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단부가 각각 오바로크 처리되어 날실 또는 씨실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풀림방지부(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야자매트(10)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미끄럼 방지턱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 방지턱부(40)는, 폐목재, 펠트, 야자매트 자투리 칩 중 어느 하나의 재활용섬유재와 친환경 바인더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턱부(40)는 야자매트(10)의 상부에 위치한 채 오바로크 처리를 통해 야자매트(10)에 고정되거나, 야자매트(10)의 씨실(70)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홈(12)에 끼워진 채 야자매트(10)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는, 다수의 야자로프 날실을 날실 공급부(100)와; 상기 날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다수의 날실을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로 유지시키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로 구성된 날실 분리부(200)와;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의 위치가 교차하는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의 지점에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씨실을 공급하는 씨실 공급부(250)와; 상기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로 공급된 씨실(70)을 매트 배출부(300)의 방향으로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는 직조 프레임(400)과; 상기 매트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매트의 일면에 친환경 부직포가 겹쳐지도록 공급하는 부직포공급부(500)와; 상기 부직포와 매트를 재봉하는 재봉부(510)와; 재봉부를 통과하면서 부직포가 재봉된 매트를 절단하는 절단부(520)와; 상기 절단된 매트의 양 단부를 오버로크 처리하는 오버로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다수의 야자로프 날실을 날실 공급부(100)와; 상기 날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다수의 날실을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로 유지시키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의 위치가 교차하는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의 지점에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씨실을 공급하는 씨실 공급부(200)와; 상기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로 공급된 씨실(70)을 매트 배출부(300)의 방향으로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는 직조 프레임(400)과; 친환경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원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압출기(600)와; 상기 압출기(600)에서 용융된 원료를 멜트블로운 웹으로 변환하여 방사시키고, 고압가열 공기를 분사시키며, 멜트블로운 웹을 방사하는 분사노즐(611)이 상기 매트 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야자매트(10)의 일측 표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방사기(610)와; 상기 분사노즐(611) 반대편의 매트 타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611)에서 배출되는 멜트블로운 웹에 대해 흡입압을 제공하는 흡입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야자매트의 하부에 친환경 부직포가 설치되어 있고, 특히 공장에서 부직포가 야자매트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방초 역할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작업자가 하나의 롤만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야자매트의 단부가 오바로크 처리되어 날실 또는 씨실이 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재활용 섬유재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턱부가 구성됨으로써 우천이나 강설 환경에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야자매트 직조기에 부직포를 공급하고, 재봉하고, 절단하는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성됨으로써 설비 증설을 최소화하면서도 간편하게 부직포가 부착된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야자매트의 배출부 측에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를 멜트블로운 웹으로 형성하여 분사하여 일체화시키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부직포의 배치, 재봉, 절단 장치 없이 최소한의 장치만으로 부직포가 일체화된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야자매트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미끄럼 방지턱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야자매트를 직조하는 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 5의 장치에 이어 야자매트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도 5의 장치에 이어 야자매트에 부직포를 일체로 성형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8은 도 7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 및 이의 제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는 야자매트(10), 친환경 부직포(20) 및 재봉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야자매트(10)는 외줄 또는 두줄로 이루어진 야자로프 날실(50,60)과 씨실(70)이 직조되어 구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통상의 야자매트 직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5의 야자매트 직조기는 날실 공급부(100), 날실 분리부(200), 씨실 공급부(250), 직조 프레임(400) 및 매트 배출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날실 공급부(10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두 롤러 사이로 각각의 실패에 권취되어 있는 다수의 야자로프 날실(50,60)가 끼워져 롤러의 회전에 의해 날실(50,60)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날실 분리부(200)는 상기 날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다수의 날실을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로 유지시키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형 프레임의 내부에 전, 후 방향으로 각각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이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두 프레임(210, 220)에는 체인과 같은 길이부재가 연장되어 상호 연결되며, 체인의 중간은 스프로켓과 같은 권취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로켓에는 모터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을 상향 이동시키면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이 하향 이동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에는 각각 수직 방향의 다수의 격살이 형성되어 각 격살 사이로 낱개 또는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복수 개의 날실이 배치된다.
따라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중 어느 하나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다른 하나는 제2 가이드 프레임(220)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다수의 날실이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구분짓게 된다.
씨실 공급부(9250)는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0)의 위치가 교차하는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의 지점에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 즉, 날실의 진행 방향과 직교한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 씨실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씨실의 공급 방식은 종래의 다양한 직조기에서 취하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직조 프레임(400)은 엑츄에이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인접한 날실들을 구분짓는 수직 방향의 격살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로 공급된 씨실(70)을 매트 배출부(300)의 방향으로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매트 배출부(300)는 날실 공급부(100)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그 사이로 직조 프레임(400)을 통해 직조된 매트(10)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매트 직조기의 구성은 일반적인 직조기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야자매트(10)는 전술한 직조기 외에도 날실과 씨실을 이용하여 직조하는 직조기라면 다양한 공지의 직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친환경 부직포는 상기 야자매트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친환경 부직포의 예로는 폴리유산과 같은 생분해성 원료로만 제조되거나, 생분해성 원료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고분자가 일부 포함되어 제조되거나, 식물성 원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하지 않고 제조되어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내부에 풍부한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세 공극을 통해 수분 및 공기는 상하로 통과가 가능한 반면, 식물의 줄기는 통과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친환경 부직포가 전술한 야자매트의 하부에 설치되게 되면, 야자매트의 날실과 날실, 날실과 씨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식물의 줄기가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여 방초 기능이 강화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재봉부(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야자매트와 친환경 부직포를 재봉실을 이용하여 재봉하여 상호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재봉부는 야자매트(10)의 좌우에 두 개소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사이 공간에도 선택적으로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재봉부(30)를 야자매트(10) 제조 공정에 연계하여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크게 부직포공급부(500), 재봉부(510), 절단부(520) 및 오버로크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우측에는 전술한 매트 배출부(300)가 위치하게 된다.
도면을 보면 부직포공급부(500)는 부직포(20)가 권취되어 있는 부직포권취롤(501)로부터 야자매트(10)에 부직포(20)를 중첩되게 배치하기 위해 야자매트(10)의 상하부에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봉부(510)는 부직포(20) 상부에 위치한 미싱(511)과, 상기 미싱(511)의 하부측에 야자매트(1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대(512)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봉부(510)는 야자매트(10)의 양측에 기본적으로 배치되며, 중앙에도 재봉 처리를 하고자 할 경우 야자매트(10)의 중앙에 낱개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롤투롤 방식으로 야자매트(10)와 부직포(20)가 겹쳐진 상태로 이동하면서 재봉부(510)가 재봉을 함에 따라 야자매트(10)와 부직포(20)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절단부(520)는 재봉부(510)를 통과하면서 부직포가 재봉된 매트를 절단하는 것으로 공지의 절단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표기된 커팅받침대가 하부를 지지해 주게 된다.
오버로크부(530)는 절단부(520)에서 야자매트(10)가 절단된 경우 단부의 날실(50,60)들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 바, 쉽게 풀릴 수 있기 때문에 단부를 오버로크 박음 처리함으로써 날실들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오버로크부는 통상의 오버로크 장치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야자매트 진행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기호 '531'은 오버로크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531)이다.
도 1에는 상기 야자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단부가 전술한 오버로크부(530)를 통해 각각 오바로크 처리되어 날실 또는 씨실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풀림방지부(11)로 이루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야자매트(10)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미끄럼 방지턱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 방지턱부(40)는 폐목재, 펠트, 야자매트 자투리 칩 중 어느 하나의 재활용섬유재와 친환경 바인더가 혼합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턱부(4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야자매트(10)의 상부에 위치한 채 오바로크 처리나 접착을 통해 야자매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위치는 날실(50,60)보다는 씨실(7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야자섬유 로프는 다수의 야자섬유 가닥이 엮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실의 진행 방향으로 결이 형성되며, 야자매트(10)는 시공시 길이 방향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날실보다는 씨실에 형성되는 것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미끄럼 방지턱부(40)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의 구성은 야자매트(10)의 씨실(70) 일부를 절단하여 홈(12)을 형성한 후 이 홈(12)에 미끄럼 방지턱부(40)를 끼우고, 접착 또는 박음 처리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구성은 기성 부직포를 롤에 권취한 후 직조되어 배출되는 야자매트(10)에 겹친 후 박음 처리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다수의 롤러와 재봉 장치를 다수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와 야자매트의 고정 위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면적에서는 야자매트와 부직포는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취하는 바, 박음된 부분이 뜯어질 결우 부직포와 야자매트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현상을 저감시키고, 보다 간편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안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구성에서 야자매트를 제조하는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직조기를 적용하면 된다.
도 7의 구성은 도 5의 구성에 압출기(600), 방사기(610) 및 흡입기(620)가 추가로 설치된 구성이다.
압출기(600)에는 친환경 부직포(20)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원료, 예를 들어 생분해성 원료인 폴리유산과 같은 원료가 공급되며, 이를 미도시된 히터 등을 통해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내부에 장착된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스크류에서 압출된 원료는 필터를 통과하고, 기어펌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기어펌프는 점도가 높은 균질의 액체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용융된 원료를 일정 속도로 방사기(610)로 이동시켜 방사노즐에서의 방사 속도에 적합한 이송 압력을 제공한다.
방사기(610)는 상기 압출기(600)에서 용융된 원료를 멜트블로운 웹으로 변환하여 방사시키고, 고압가열 공기를 분사시키며, 멜트블로운 웹을 방사하는 분사노즐(611)이 상기 매트 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야자매트(10)의 일측 표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기(610)의 하부에는 고압 가열 공기를 분사하는 한 쌍의 공기노즐과, 두 공기노즐 가운데에 설치되어 멜트블로운 웹을 방사하는 분사노즐(611)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는 분사노즐(611)로부터 방사되는 멜트블로운 웹이 일정한 영역 범위 내로 방사될 수 있도록 그 분사방향이 설정된다.
흡입기(620)는 상기 분사노즐(611) 반대편의 매트 타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611)에서 배출되는 멜트블로운 웹에 대해 흡입압을 제공하도록 흡입펌프와 연결된다.
흡입기(620)는 분사노즐(611)에서 분사되는 멀티블로운 웹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야자매트(10)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야자매트(10)는 날실(50,60)과 씨실(70)의 중앙 부분과, 서로가 만나는 부분의 공극이 서로 균일하지 못하다.
즉, 흡입기(620)에서 가해지는 흡입압이 야자매트(10) 상의 빈 공간이 있는 부분에는 강하게 발생하고, 그렇지 못한 부분에는 흡입 압이 적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야자매트(10)에 멜트블로운 웹이 보다 고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620)의 상부에는 망상 구조의 판(62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방사기(610)의 분사노즐(611)을 야자매트(10)의 폭방향에 걸쳐 전체적으로 형성하고자 할 경우 공기노즐에 압을 가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컴프레셔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사기(610)가 야자매트(10)의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방사기(610)와 압출기(600)는 플렉서블한 관으로 연결되고, 야자매트(10)의 진행 방향 양측에 두 개의 수직프레임(630)이 설치되고, 두 수직프레임(630)을 연결하는 수평 레일부재(631)가 구비되고, 이 수평 레일부재(63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640)가 구비되는 한편, 이동부재(640)에는 엑츄에이터와 같은 상하이동장치(650)가 구비되고, 이 상하이동장치(650)에 방사기(610)를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640)는 미도시된 엑츄에이터나 체인 연결 방식을 통해 수평 레일부재(631)를 타고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방사기(610)가 야자매트(10)의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멜트블로운 웹을 야자매트(10) 표면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망상 판(621)은 이러한 구성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이 가능하게 해준다.
더하여, 방사기(610)가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었는데, 이를 통해 분사노즐과 야자매트(10)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멜트블로운 웹이 야자매트에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멜트블로운 웹이 야자매트에 도포되면 냉각이 이루어져 굳어지면서 야자매트(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바, 별도의 접착제나 재봉 방식 없이도 간편하게 부직포가 일체로 결합된 야자매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보도, 등산로 등에 설치되어 방초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공원에 설치되어 방초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과수원이나 밭 등 다양한 방초 기능이 부여되는 곳에 설치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야자매트 11 : 풀림방지부
12 : 홈 20 : 부직포
30 : 재봉부 40 : 미끄럼 방지턱부
50 : 제1 날실 60 : 제2 날실
70 : 씨실 100 : 날실 공급부
200 : 날실 분리부 210 : 제1 가이드 프레임
220 : 제2 가이드 프레임 230 : 구동부
250 : 씨실 공급부 400 : 직조 프레임
500 : 부직포공급부 510 : 재봉부
511 : 미싱 512 : 지지대
520 : 절단부 530 : 오버로크부
531 : 지지대 600 : 압출기
610 : 방사기 611 : 분사노즐
620 : 흡입기 621 : 판
630 : 수직프레임 631 : 레일부재
640 : 이동부재 650 : 상하이동장치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야자로프 날실을 날실 공급부(100)와;
    상기 날실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다수의 날실을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로 유지시키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21)과 제2 가이드 프레임(22)의 위치가 교차하는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의 지점에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씨실을 공급하는 씨실 공급부(200)와;
    상기 제1 날실(50)과 제2 날실(60) 사이로 공급된 씨실(70)을 매트 배출부(300)의 방향으로 밀착시켜 매트를 직조하는 직조 프레임(400)과;
    친환경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원료를 용융 및 압출시키는 압출기(600)와;
    상기 압출기(600)에서 용융된 원료를 멜트블로운 웹으로 변환하여 방사시키고, 고압가열 공기를 분사시키며, 멜트블로운 웹을 방사하는 분사노즐(611)이 상기 매트 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야자매트(10)의 일측 표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방사기(610)와;
    상기 분사노즐(611) 반대편의 매트 타측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611)에서 배출되는 멜트블로운 웹에 대해 흡입압을 제공하는 흡입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기(620)의 상부에 망상 구조의 판(6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기(610)와 압출기(600)는 플렉서블한 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야자매트(10)의 진행 방향 양측에 두 개의 수직프레임(6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수직프레임(630)을 연결하는 수평 레일부재(6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 레일부재(63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6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640)에는 상기 방사기(610)와 연결된 상하이동장치(650)가 연결되어,
    방사기(610)가 야자매트(10)의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KR1020190152686A 2019-11-25 2019-11-25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KR10232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6A KR102323546B1 (ko) 2019-11-25 2019-11-25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6A KR102323546B1 (ko) 2019-11-25 2019-11-25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58A KR20210063958A (ko) 2021-06-02
KR102323546B1 true KR102323546B1 (ko) 2021-11-09

Family

ID=7637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6A KR102323546B1 (ko) 2019-11-25 2019-11-25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69B1 (ko)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101671145B1 (ko)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KR102030589B1 (ko) 2018-06-04 2019-10-10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648A (ko) * 2001-01-30 2002-08-05 세이노 쓰도무 식생매트
KR20100007153U (ko) * 2009-01-02 2010-07-12 조춘남 오바록재봉 카페트
KR20150085345A (ko) 2014-01-15 2015-07-23 주식회사 에코피아 야자 에코 매트
KR20160034628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요철형 천연섬유 노면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69B1 (ko)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101671145B1 (ko)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KR102030589B1 (ko) 2018-06-04 2019-10-10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58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47B1 (ko) 고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보강공사 방법
RU2166019C2 (ru) Текстильная сетка для армирования слоев, связанных с помощью битумов (варианты)
CN104995446B (zh) 绝热可伸缩羽绒片材及其制造方法
CN101338543B (zh) 如人造草皮的铺地材料的衬底、人造草皮及其制造方法
US4389434A (en) Permeable grass-like sport surface with fused glass membrane
RU2007107346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собо мягкого и трехм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изготовл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CA2886444C (en) Method of making a semifinished product and semifinished product for making a composite molded part
US5174228A (en) Non-woven reinforcement structure
CN1867274A (zh) 钩状紧固件及制造方法
CN100588360C (zh) 一次性清洁工具
CN106906710A (zh) 一种聚丙烯土工布/土工格栅复合土工材料的制备方法
BRPI0809181B1 (pt) Processo para laminar um substrato poroso
CN101023211A (zh) 制备非织造纤维素结构的方法及相应的非织造纤维素结构
WO2006019491A2 (en) Synthetic turf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US20170058451A1 (en) Fibers and other constructs treated with diatomite particles
JP4320103B2 (ja) 土木構築資材用プラスチック製格子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20120301637A1 (en) Method for Forming an Artificial Grass Layer and Artificial Grass Product for Use Therein
CA2953904A1 (en) Drainable weather resistive barrier
RU2429318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легкая прошивная основа для тафтинг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WO2017160300A1 (en) Fibers and other constructs treated with diatomite particles
KR101259738B1 (ko) 배수성과 내구성을 증진시킨 인조잔디 제조방법
KR102323546B1 (ko) 친환경 방초 야자매트의 제조 장치
CN101786293A (zh) 一种混凝土浇注用模板布及其制造方法
JP2019039231A (ja) 人工芝
US20230145157A1 (en) Artificial tur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