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527B1 -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527B1
KR102323527B1 KR1020210017634A KR20210017634A KR102323527B1 KR 102323527 B1 KR102323527 B1 KR 102323527B1 KR 1020210017634 A KR1020210017634 A KR 1020210017634A KR 20210017634 A KR20210017634 A KR 20210017634A KR 102323527 B1 KR102323527 B1 KR 10232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device
fire extinguishing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면희
김영섭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영승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영승이엔에스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527B1/ko
Priority to KR1020210107109A priority patent/KR2022011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06Extinguishants produced by combus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발화제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따르면,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의 상태를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므로, 점화열선의 고장으로 인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오동작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Apparatus and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by using Solid-Aerosol}
본 발명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화열선의 상태를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소화장치의 작동 불능을 관리할 수 있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와 외부 화재수신기 간의 간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신기의 연결과 상관없이 독립적인 형태의 소화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감지기와 외부 수동기동 스위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내장하고 있어 독립적인 소화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는 화재신호를 감지하는 유리밸브형 화재 감지기, 화재 감지에 따라, 기폭을 위한 전기신호를 인가하며, 전기신호에 의해 기폭제가 폭발되며, 기폭제의 폭발에 의해 발화제가 발화한다. 발화제의 발화에 의해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이 연소되고, 연소되는 과정에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외부로 방출하며, 소화 가스는 냉각제를 통과하면서 연소열은 냉각되고 소화가스는 외부로 방출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029호는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시에 발생된 열 또는 불꽃에 반응하는 열감지선이 원통형의 소화 몸체와 결합되므로, 열에 매우 민감한 열감지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히 열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소화 장치를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025호는 기폭장치에 사용되는 전선이 합선되더라도 케이블 어셈블리의 퓨즈셋이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제어부의 기폭신호 출력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기폭장치 내에 바이메탈 스위치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폭 장치의 온도 상승을 감지함으로써, 기폭 장치의 작동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전기식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많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가 설치되고 있으나, 관리 측면에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동작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미리 알 수 있는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현한 소화기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를 외부 화재수신기에 연결해야 하지만, 각각의 케이블을 모두 외부 화재수신기에 연결해야 하므로, 케이블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029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0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열선의 상태를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오동작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와 외부 화재수신기 간의 연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발화제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화재감지신호,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 전달되는 발화신호,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온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온도상태신호 및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습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습도상태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화재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열선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점화열선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1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방출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2온도 이상 상기 제1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습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습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정상을 나타내는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방출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방출을 나타내는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비정상을 나타내는 제3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 및 제4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은 외부 화재수신기 및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발화제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화재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열선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점화열선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제1선 및 제2선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 및 제4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따르면,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제공하므로, 외부 화재수신기와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사이에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모듈을 이용하여,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으며, 화재감지 스위치(수동기동)를 더 포함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의 상태를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므로, 점화열선의 고장으로 인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오동작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대한 점화열선의 상태, 온도 상태, 습도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LED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LED 색상만으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제1선 및 제2선 또는 제1선 내지 제4선을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와 외부 화재수신기 간의 연결을 제1선 및 제2선 또는 제1선 내지 제4선만을 이용하여 간소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많은 전선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설치 시간 및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는 유리밸브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기폭선에 인가되는 기폭 전류를 통하여 기폭제를 발파하여 발화제를 연소시키고,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소화기의 방출 여부를 판단하며, 모든 기능은 공통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화재수신기와는 각각의 소화기마다 적어도 4개 회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발화제(110)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140);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15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7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180); 및 외부 화재수신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화제(110)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을 연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점화열선(150)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상기 발화제(110)가 연소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을 연소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은 상기 발화제(110)에 따라, 연소되며,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소화가스)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은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외부 화재 감지기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과 외부 수동기동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이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면서,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면서,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은 화재감지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감지 스위치는 수동기동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하는 비상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인위적인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미도시) 작동으로도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160)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습도센서(170)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점화열선(150)은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외부 화재수신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140), 상기 점화열선(150), 상기 온도센서(160), 상기 습도센서(170) 및 상기 LED표시모듈(180)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서 기폭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상적인 기폭이 되지 않아서 발화제(110)를 연소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상기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15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지 못하는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점화열선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예를 들면, 1mA 미만)를 사용하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상기 발화제(110) 연소는 발생하지 아니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60)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1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방출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2온도 이상 상기 제1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온도를 섭씨 100도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온도를 섭씨 50도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100도 이상이면,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정상적인 방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50도 이상이면서 10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방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50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습도센서(170)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습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습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미리 정해진 습도를 30%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과다한 습기로 인하여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이 정상적으로 연소되기 어려울 것이므로,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이 정상적으로 연소될 수 있는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와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미도시) 간에 전달하는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화재감지신호,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 전달되는 발화신호,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온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온도상태신호 및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습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습도상태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LED표시모듈(180)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이 정상을 나타내는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방출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이 방출을 나타내는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이 비정상을 나타내는 제3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색상을 초록색으로, 상기 제2색상을 빨간색으로, 상기 제3색상을 주황색으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에서 초록색을 켜거나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상태임을 간편하게 알릴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방출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에서 빨간색을 켜거나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정상적인 방출에 따르는 후속조치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비정상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180)에서 주황색을 켜거나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점검이 필요함을 간편하게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191) 및 제2선(192)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191)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150)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193)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193)은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192)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193)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선(191)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3선(193)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기 제2선(192)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194)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193) 및 제4선(194)은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을 통하여,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선(191)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3선(193) 및 상기 제4선(194)을 이용하게 될 수 있다. 통신을 위한 회선과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회선을 분리하면 서로에게 인가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은 외부 화재수신기 및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에 있어서, 발화제(110)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120)을 포함하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140);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15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70);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180);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미도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이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면서,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면서,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은 화재감지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감지 스위치는 수동기동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모듈(14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하는 비상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인위적인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미도시) 작동으로도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에서 기폭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상적인 기폭이 되지 않아서 발화제(110)를 연소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점검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150)의 상태를 미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지 못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점화열선(150)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상기 발화제(110) 연소는 발생하지 아니할 것이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13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191) 및 제2선(192)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191)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150)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110)를 연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제1선(191) 및 제2선(192)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가 모두 외부 화재수신기와 독립적인 회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소화 시스템 설치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은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제1선(191) 및 제2선(192)을 통하여 모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므로,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의 설치 부담이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193)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193)은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192)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193)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선(191)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3선(193)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기 제2선(192)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194)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193) 및 제4선(194)은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을 통하여,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1선(191) 및 상기 제2선(192)을 이용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점화열선(150)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3선(193) 및 상기 제4선(194)을 이용하게 될 수 있다. 통신을 위한 회선과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회선을 분리하면 서로에게 인가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은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상기 제1선(191), 제2선(192), 제3선(193) 및 제4선(194)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100)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191), 제2선(192), 제3선(193) 및 제4선(194)을 이용하여 연결되므로, 상호 회선 간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1000)의 설치 부담이 역시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110: 발화제
120: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
130: 제어부
140: 화재감지모듈
141: 화재감지선 142: 공통선
150: 점화열선 151: 점화열선 연결선
160: 온도센서 161: 온도센서 연결선
170: 습도센서 171: 습도센서 연결선
180: LED표시모듈
191: 제1선 192: 제2선
193: 제3선 194: 제4선
1000: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Claims (22)

  1. 발화제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습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습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화재감지신호,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로 전달되는 발화신호,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온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온도상태신호 및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습도 상태를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습도상태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화재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열선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열선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1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방출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제2온도 이상 상기 제1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정상을 나타내는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방출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방출을 나타내는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LED표시모듈이 비정상을 나타내는 제3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 및 제4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13. 외부 화재수신기 및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발화제 및 발화제에 의하여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모듈;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점화열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표시모듈; 및 외부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 점화열선,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LED표시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습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습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체 에어로졸 화합물의 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 장착된 유리밸브형 화재감지센서 및 반도체형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거나, 외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화재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 스위치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설정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열선의 정상상태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점검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점검전류가 정상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점화열선의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점화열선에 인가되는 점검전류는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지 아니하는 수준의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수행을 위한 상기 제1선에 인가된 통신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열선을 가열하여 상기 발화제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제1선 및 제2선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및 제2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3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선은 통신 및 점화열선 가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외부 화재수신기와 제4선을 더 추가하여 연결되며, 제3선 및 제4선은 상기 점화열선 가열을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상기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을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는 외부 화재수신기와 상기 제1선, 제2선, 제3선 및 제4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 시스템.
KR1020210017634A 2021-02-08 2021-02-08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10232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34A KR102323527B1 (ko) 2021-02-08 2021-02-08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1020210107109A KR20220114458A (ko) 2021-02-08 2021-08-13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34A KR102323527B1 (ko) 2021-02-08 2021-02-08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09A Division KR20220114458A (ko) 2021-02-08 2021-08-13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527B1 true KR102323527B1 (ko) 2021-11-09

Family

ID=784871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34A KR102323527B1 (ko) 2021-02-08 2021-02-08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1020210107109A KR20220114458A (ko) 2021-02-08 2021-08-13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09A KR20220114458A (ko) 2021-02-08 2021-08-13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35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29Y1 (ko) 2008-10-30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200447025Y1 (ko) 2008-11-21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20100023361A (ko) * 2008-08-21 2010-03-04 랜스(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JP6279302B2 (ja) * 2013-12-06 2018-02-14 モリタ宮田工業株式会社 電池式自動消火装置
KR102213265B1 (ko) * 2020-07-08 2021-02-04 김춘식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361A (ko) * 2008-08-21 2010-03-04 랜스(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200447029Y1 (ko) 2008-10-30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200447025Y1 (ko) 2008-11-21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JP6279302B2 (ja) * 2013-12-06 2018-02-14 モリタ宮田工業株式会社 電池式自動消火装置
KR102213265B1 (ko) * 2020-07-08 2021-02-04 김춘식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58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869A (en) Gas sensing signaling system
US3993138A (en) Fire prevention system
US9400159B2 (en) Precision pyrotechnic display system and method having increased safety and timing accuracy
US9539450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diagnostic methods
JP2019192205A (ja) 付加機能拡張型火災感知器
US11694532B2 (en) Fire alarm equipment
EP4230268A1 (en) Addressing optical firing cartridge using chromatic aberration
KR102323527B1 (ko)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102473381B1 (ko) 센서 확장형 복합 화재 감지기
US3139143A (en) Fire protection system
CN112880472B (zh) 灭火系统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573236B1 (ko) 화재 검출 시스템
KR100927385B1 (ko) 파장대역 감지를 이용한 자체점검기능을 갖는 차량용 화재감지기
US20070001865A1 (en) Smoke detector
KR102089079B1 (ko) 유도탄 폭발계통의 점화저항 측정 장치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KR102436651B1 (ko) 전기 화재 초기 소화 기능과 절연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005427B1 (ko)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20230086202A (ko) 배터리 내장형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US8939082B2 (en) Blasting arrangement
JPH11183376A (ja) 原子吸光光度計
KR20210117519A (ko)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 점검 기능을 구비한 정온식 감지기
US20230264058A1 (en) Optical firing cartridge for fire extingu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