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29Y1 -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29Y1
KR200447029Y1 KR20080014531U KR20080014531U KR200447029Y1 KR 200447029 Y1 KR200447029 Y1 KR 200447029Y1 KR 20080014531 U KR20080014531 U KR 20080014531U KR 20080014531 U KR20080014531 U KR 20080014531U KR 200447029 Y1 KR200447029 Y1 KR 200447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olid aerosol
automatic fire
fire extinguishing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4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식
Original Assignee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14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화재시에 발생된 열 또는 불꽃에 반응하는 열감지선이 원통형의 소화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소화몸체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의 상부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마개의 하부에는 개구부와 중첩되는 원통형의 발화제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발화제케이스의 내부에는 발화제가 위치하고, 상기 발화제케이스는 소화몸체 상부의 내부에 위치하되, 연소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인접하고,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하부에는 분리관을 가지고, 상기 분리관의 하부에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연소열을 흡열차단하는 냉각제가 있으며, 상기 냉각제의 하부에는 소화성분의 고체에어로졸이 소화몸체 외부로 방출되는 에어로졸방출구를 가지는 구조로 화재 감지부와 소화약제부가 일체형의 구조로 작동되어지는 원리를 구성한 장치로 상기와 같은 외형 및 내형의 구조를 갖춘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Description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including heat-sensing line}
본 고안은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일단 발생하면 짧은 시간 안에 급속히 번져나가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재는 주로 실내에서 사람이 없는 경우 전기 누전 등에 의해 발생하여, 사람이 화재에 대한 인지가 늦어져 화재 진화를 신속히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부재중이라도, 자동적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 소화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 소화장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자동 소화장치 중에 전기식 자동 소화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여 동작되기까지의 복잡한 과정을 필요로 한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며, 화재수신반은 화재 발생 사실을 경보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0.1 ~ 1 A 정도의 전류가 필요하므로 상기 전기 신호는 이러한 전류량을 가진다.
한편, 보다 간략한 구성으로서, 화재 수신반대신 작동 장치를 가진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작동 장치에 통보하면, 작동장치는 전류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류에 의해 작동한다. 화재 감지기 및 작동장치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자동소화장치까지 함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화재 발생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화재 감지기가 필요하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통보받아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면 상기한 화재 수신반 또는 작동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와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한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자동소화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상기한 요소들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수신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용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장소에 화재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축전지)를 사용해야 하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 배터리 교환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라고 하여도, 화재 발생시의 정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전기식 자동 소화장치가 아닌 새로운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 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신속히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선형구조의 발화제화합물로 제조된 열감지선이 원통형의 소화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소화몸체의 상부에는 중심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의 상부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마개의 하부에는 개구부와 중첩되는 원통형의 발화제케이스가 결합되며, 상기 발화제케이스의 내부에는 발화제가 결합되며, 상기 발화제는 소화몸체 상부의 내부에 위치하되, 연소시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인접하고,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하부에는 분리관을 가지고, 상기 분리관의 하부에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연소열을 흡열차단하는 냉각제가 있으며, 상기 냉각제의 하부에는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이 소화몸체 외부로 방출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방출구를 가진다.
상기 소화몸체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 사이에 개재되는 측면 단열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상부마개 사이에 개재되 는 상부 단열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제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와 중첩되며 상기 상부마개 하부에서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발화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 단열포는 상기 상부마개 하부와 접하는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마개 상부로 돌출되는 몸체 결합부 및 상기 몸체 결합부 상부에 끼워지는 열감지선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감지선은, 상기 발화제와 접하고 상기 개구부를 지나되 상기 몸체 결합부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 열감지선과, 상기 열감지선 결속부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열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열감지선은 방습비닐튜브에 쌓여있을 수 있다.
상기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소화몸체 내부에서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냉각제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관이 있으며, 상기 분리관은 내부에 연소열분리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분리관 사이에 위치하는 소화제타공망이 있으며, 상기 분리관과 상기 냉각제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제 상부타공망 및 상기 냉각제와 상기 방출타공망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제 하부타공망 및 하부지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소화약제는, KNO3, KClO4 및 탄소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소화약제는 이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구리, 산화철, 계면활성제, 디부틸프탈라트,디부틸세바지나트, 아세테이나글리세린, 초산염올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르산디아민디오레아나 레시틴, 에폭시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고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제는 Mg(OH)2, Na2CO3, H3BO3, KClO4, KNO3 및 CaCO4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발화제는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목탄, 연료유, 질소산화물, 과염소산염, 초석 및 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진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열감지선은 선형구조의 실과, 상기 실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실의 외부에 코팅되는 추진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는, 추진제 조성물 성분이 존재하는, 도화선과 같은, 열에 매우 민감한 열감지선과, 상기 열감지선에 접하는 추진제 성분과 같은 발화제, 상기 발화제에 인접하며, 상기 발화제가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 연소되어 소화성분의 고체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을 포함하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히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는 화재감지부 및 소화약제부가 일체형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종래의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와 같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 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구비된 고체에어로졸화 합물이 발생하는 고체에어로졸은 인체에 무해하며, 전자장비에 큰 피해를 가하지 않고, 소화후 약제 잔유물이 없으며, 환경친화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100)는 원통형의 소화몸체(17)를 가진다. 상기 소화몸체(17)는 외부관(20)과, 상기 외부관(20)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관(16), 및 상기 외부관(20)과 상기 내부관(16) 사이에 개재되는 측면 단열포(18)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몸체(17)의 상단부에는 중심부에 개구부(49)를 가지는 상부마개(48)가 결합된다. 상기 소화몸체(17)의 하단부에는 소화성분의 고체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방출구(34)를 가지는 방출타공망(32)이 결합된다. 상기 소화몸체(17)의 상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마개(48)의 개구부(49)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발화제(42)가 위치한다. 상기 발화제는, 추진제 성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목탄, 연료유, 질소산화물, 과염소산염, 초석 및 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하는 추진제 조성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화제는 추진제과 같이 작은 순간적인 불꽃, 마찰열 등에 의해서도 순간적으로 점화 및 연소한다.
상기 소화몸체(17)의 상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화제(42)에 인접하도록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이 위치한다. 상기 고체 에어로졸화합물(40)은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의 고체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에어로졸이란 고체나 액체 상태의 미립자가 기체에 존재할 때 에어로졸이라 한다. 따라서 고체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은 고체의 소화성분 미립자가 기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은, KNO3, KClO4 및 탄소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은 상기 발화제(42)가 발화하게 되면 이 발화열로 인해 연소가 이루어지고 이때, 칼륨(K)화합물을 많이 포함하는 소화용 고체에어로졸 성분이 발생된다. 이는, 종래의 소화약제인 할론, 이산화탄소, 물, 비활성기체등에 비해, 인체에 무해하며, 전자장비에 큰 피해를 가하지 않고, 소화후 약제 잔유물이 없으며, 보다 환경친화적이다.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은 이산화망간, 산화니켈, 산화구리, 산화철, 계면활성제, 디부틸프탈라트,디부틸세바지나트, 아세테이나글리세린, 초산염올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르산디아민디오레아나 레시틴, 에폭시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고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과 상기 상부마개(48) 사이에는 상부단열포(14)가 개재된다. 상기 단열포들(14, 18)은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이 연소될 때,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의 연소열이 상기 소화몸체(17)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거나, 외부의 열이 상기 소화몸체(17)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화몸체(17)의 하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과 이격되도록 냉각제(28)가 위치한다. 상기 냉각제(28)는 Mg(OH)2, Na2CO3, H3BO3, KClO4, KNO3 및 CaCO4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에 고체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냉각제(28)는 도면과 같이 예를 들면 구형의 압출 성형물들로 되어 있어 압출 성형물들 사이에 고체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제(28)는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흡열반응으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화제(42)는 상기 상부마개(48)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49)와 중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발화제 케이스(46) 안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발화제 케이스(46)의 외벽은 상기 상부단열포(14)와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과 접한다. 몸체 결합부(12)는 상기 발화제 케이스(46) 상단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49)를 통해 상기 상부마개(48) 상부로 돌출된다. 몸체 열감지선(44)은 상기 발화제(42)와 접하며 상기 개구부(49)를 지나되, 상기 몸체 결합부(12)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의 양단부들은 각각 매듭이 지어진다. 상기 발화제(42)는 상부로 갈수로 좁하지는 내경을 가지는 형상을 가져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의 하부의 매듭은 상기 발화제(42)의 내부에 끼이게 된다. 상기 몸체 결합부(12)의 내부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의 상부의 매듭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은 꼬인 실과, 상기 실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실의 외부에 코팅되는 추진제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에 묻어있는 추진제 성분은 작은 불꽃이나 마찰열등에 의해서도 쉽게 발화 및 연소되므로 상기 자동소화장치를 운반하는 도중에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이 발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 결합부(12) 상단에는 결속부마개(50)가 끼워진다.
상기 소화몸체(17) 내부에서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과 상기 냉각제(28) 사이에는 연소열분리공간(38)이 위치한다. 상기 연소열분리공간(38)과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 사이에는 소화제타공망(22)이 위치하며, 상기 연소열분리공간(38)과 상기 냉각제(28) 사이에는 냉각제 상부타공망(26)이 위치한다. 상기 냉각제 상부타공망(26)과 상기 소화제타공망(22) 사이는 분리관(24)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냉각제 상부타공망(26)과 상기 소화제타공망(22) 사이의 공간에 의해 상기 연소열 분리공간(38)이 정의된다. 상기 냉각제(28)와 상기 방출타공망(32) 사이에는 냉각제 하부타공망(36)이 위치한다. 상기 냉각제 하부타공망(36)과 상기 방출타공망(32) 사이는 하부지지관(3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타공망들(26,32,36)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상기 구멍은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과 상기 냉각제(28)가 빠져나올 정도의 크기를 가지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결합되는 열감지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감지부(70)는 도 1의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100)의 상기 몸체 결합부(12) 상부에 끼워지는 열감지선 결속부(7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열감지선 결속부(76) 외부로 길게 늘어지는 외부 열감지선(74), 그리고 상기 외부 열감지선(74)을 둘러싸는, 또는 상기 외부 열감지선(74)의 외부에 코팅된 방습비닐튜브(7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열감지선(74)은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와 같이 꼬인 실과, 상기 실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실의 외부에 코팅되는 추진제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열감지선(74)은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의 추진제조성물은 상기 발화제(42)와 유사하거나 같은 성분일 수 있다. 상기 방습비닐튜브(72)는 상기 외부 열감지선(74)가 습기 또는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100)는 포장시 그리고 운반시 도 1과 도 2처럼, 열감지부(70)가 상기 자동소화장치(100)로 부터 분리되고, 상기 자동소화장치(100)에 결속부마개(50)가 씌워진 상태로 포장되고 운반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소화장치(100)가 장착될 장소에서는 상기 자동소화장치(100)의 위치를 고정 및 장착하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자동소화장치(100)에서 상기 결속부마개(50)를 빼고 상기 몸체결합부(12)에 상기 열감지부(70)의 상기 열감지선결속부(76)를 끼운다.
도 3과 같이 상기 열감지부(70)가 상기 자동소화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 4와 같이 상기 외부열감지선(74)이 불꽃이나 열에 의해 순식간에 발화하며, 예를 들면 1초에 30cm의 속도로 타들어가게 된다. 이로써 상기 외부열감지선(74)과 상기 몸체 열감지선(44)이 순식간에 타서 없어지고 이 열(또는 불꽃)은 상기 발화제(42)에 옮겨 붙어 상기 발화제(42)가 순식간에 점화 및 연소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발화제(42)의 연소열이 실선의 화살표를 따라 순식간에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로 전달되고, 이 연소열에 의해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이 연소하게 되며, 칼륨(K)화합물을 많이 포함하는 고체 소화 에어로졸 성분이 점선의 화살표를 따라 발생되고, 상기 냉각제 상부타공망(26), 상기 냉각제(28)을 지나면서 흡열반응으로 냉각되고, 상기 냉각제 하부타공망(36)과 상기 방출타공망(32)을 통해 밖으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 장치(100)는, 추진제 조성물 성분이 존재하는, 도화선과 같은, 열에 매우 민감한 열감지선(74, 44)과, 상기 열감지선(74, 44)에 접하는 추진제 성분과 같은 발화제(42)와 상기 발화제(42)가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 연소되어 소화성분의 고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를 포함하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히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100)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종래의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와 같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 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100)의 고체에어로졸화합물(40)은 인체에 무해하며, 전자장비에 큰 피해를 가하지 않고, 소화후 약제 잔유물이 없으며, 환경친화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결합되는 열감지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열감지부가 결합된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9)

  1. 원통형의 소화몸체;
    상기 소화몸체의 상단부에서 상기 소화몸체와 결합되며 중심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의 상부마개;
    상기 소화몸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소화몸체와 결합되며,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이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방출구를 가지는 방출타공망;
    상기 소화몸체의 상부의 내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상부마개의 개구부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발화제;
    상기 소화몸체의 상부의 내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발화제에 인접하되, 연소시 상기 소화성분의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고체에어로졸화합물;
    상기 소화몸체의 하부의 내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이격되는 냉각제; 및
    상기 발화제와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소화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몸체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 사이에 개재되는 측면 단열포를 포함하며,
    상기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상부마 개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단열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상부마개 하부에서 상기 개구부와 중첩되며,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과 상기 발화제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단열포와 상기 상부마개 하부와 접하는 발화제 케이스;
    상기 발화제 케이스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마개 상부로 돌출되는 몸체 결합부; 및
    상기 몸체 결합부 상부에 끼워지는 열감지선 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감지선은,
    상기 발화제와 접하고 상기 개구부를 지나되 상기 몸체 결합부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 열감지선과,
    상기 몸체 열감지선과 접하되, 상기 열감지선 결속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열감지선 결속부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열감지선은 방습비닐튜브에 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 어로졸 자동소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몸체 내부에서 상기 고체소화약제와 상기 냉각제 사이에 위치하는 연소열분리공간;
    상기 연소열분리공간과 상기 고체에어로졸화합물 사이에 위치하는 소화제타공망;
    상기 연소열분리공간과 상기 냉각제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제 상부타공망; 및
    상기 냉각제와 상기 방출타공망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제 하부타공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소화약제는, KNO3, KClO4 및 탄소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Mg(OH)2, Na2CO3, H3BO3, KClO4, KNO3 및 CaCO4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고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제는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목탄, 연료유, 질소산화물, 과염소산염, 초석 및 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진제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선은 실과, 상기 실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실의 외부에 코팅되는 추진제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20080014531U 2008-10-30 2008-10-30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200447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4531U KR200447029Y1 (ko) 2008-10-30 2008-10-30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4531U KR200447029Y1 (ko) 2008-10-30 2008-10-30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29Y1 true KR200447029Y1 (ko) 2009-12-21

Family

ID=4605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4531U KR200447029Y1 (ko) 2008-10-30 2008-10-30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2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25B1 (ko) * 2010-01-26 2010-09-02 에프피지코리아(주) 이융성 금속형 소화기 작동장치
KR101491808B1 (ko) 2014-01-16 2015-02-11 주식회사 한국슈퍼맥스 화염 및 열 방출 차단을 위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1949151B1 (ko) 2018-05-17 2019-02-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배터리 기동형 연기 감지식 일체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2044368B1 (ko) * 2018-12-21 2019-11-13 케이씨비에스 주식회사 비압력형 자동소화장치
KR20200090534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형 소화기 장치
KR20200090539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 분사식 자동 소화기 장치
KR102323527B1 (ko) 2021-02-08 2021-11-0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6202A (ko) 2021-12-08 2023-06-15 김영섭 배터리 내장형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494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케이스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자동 소화장치
KR20070052964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말타니메탈 카드레이지식 축압 분말 소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494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케이스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자동 소화장치
KR20070052964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말타니메탈 카드레이지식 축압 분말 소화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25B1 (ko) * 2010-01-26 2010-09-02 에프피지코리아(주) 이융성 금속형 소화기 작동장치
KR101491808B1 (ko) 2014-01-16 2015-02-11 주식회사 한국슈퍼맥스 화염 및 열 방출 차단을 위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1949151B1 (ko) 2018-05-17 2019-02-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배터리 기동형 연기 감지식 일체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2044368B1 (ko) * 2018-12-21 2019-11-13 케이씨비에스 주식회사 비압력형 자동소화장치
KR20200090534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형 소화기 장치
KR20200090539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 분사식 자동 소화기 장치
KR102220647B1 (ko) * 2019-01-21 2021-02-26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형 소화기 장치
KR102222327B1 (ko) * 2019-01-21 2021-03-03 주식회사 케이씨비에스 회전 분사식 자동 소화기 장치
KR102323527B1 (ko) 2021-02-08 2021-11-0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14458A (ko) 2021-02-08 2022-08-17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6202A (ko) 2021-12-08 2023-06-15 김영섭 배터리 내장형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029Y1 (ko)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WO2011161792A1 (ja) 防災装置
KR100932097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작동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US20180111014A1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CA2915447C (en) Throwable fire extinguisher
US20100078182A1 (en) Device for generating and storing electrical or mechanical energy, and method for fire avoidance
JP2013006055A (ja) 発煙消火装置
US5915480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JPH11219732A (ja) 電池用充放電装置
US20160278233A1 (en) Method and system to avoid fire of an electrical device
KR100920900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 장치
KR100313597B1 (ko) 화재진화용 소화탄
KR200452293Y1 (ko)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KR101292512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작동장치
EP3329970B1 (en) Safety system for fire suppressant distribution devices
KR101214303B1 (ko) 멀티작동 타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200447030Y1 (ko) 이융성 금속을 포함하는 열 감지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CN206896632U (zh) 一种无人机用消防弹
KR200447025Y1 (ko)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CN106938127A (zh) 一种无人机用消防弹
KR20120103216A (ko) 차량용 소화시스템
CN210512865U (zh) 一种彩色烟幕弹
EP1878471A1 (en) Fire protection system
KR102020584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