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584B1 -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 Google Patents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584B1
KR102020584B1 KR1020180084963A KR20180084963A KR102020584B1 KR 102020584 B1 KR102020584 B1 KR 102020584B1 KR 1020180084963 A KR1020180084963 A KR 1020180084963A KR 20180084963 A KR20180084963 A KR 20180084963A KR 102020584 B1 KR102020584 B1 KR 10202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ignition devic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8008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62C37/48Thermally sensitive initi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2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incendiary substances producing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Abstract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 약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구비되며, 양단부 중 일측단부은 개구되고 타측단부는 폐쇄되는 몸체(10); 몸체(10)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통하여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20); 몸체(10)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30); 및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점화 약제(20)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40)를 포함하며, 열선보드(40)는 몸체(10)의 폐쇄된 타측단부 또는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IGNITION DEVICE FOR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AND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화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을 소화 약제를 향하여 방시시킬 수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재발생시에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며, 화재는 그 성질에 따라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및 금속화재로 구분되며, 화재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소화기를 선택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소화기는 그 내부에 충전되는 소화약제에 따라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및 가스식 소화기,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등으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고체에어로졸(solid aerosol) 소화장치는 소화장치 내에 소화약제, 냉각제,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화재에 의하여 생기는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에어로졸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에어로졸'이라 함은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의 연소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상태의 소화물질을 말하며, '고체에어로졸화합물'은 과산화물질과 가연성분의 혼합물로서 화재를 소화하는 에어로졸을 만드는 고체화합물을 말한다.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에서의 소화약제는, 예를 들어, 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탄산칼륨(K2CO3) 화합물로 이루어진 고형물로서 점화수단에 의해 발화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이 생성되며, 이때 소화성분과 소화성분과 함께 생성되는 가스 압력에 의해 소화성분이 냉각층을 통과하게 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분사되는 소화성분이 소화가 요구되는 곳으로 분사되어 화재의 원인물질을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는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화가스의 입자 직경이 약 1 ~ 5㎛인 고체형태의 가스로서,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의 소화 성능은 할론 가스 소화기의 약 5배에 이를 정도로 소화 성능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고온 환경에서 불화수소(HF)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소화 작업 동안 산소를 제거하지 않으며 염소, 불소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소화 작업후 잔류물이 남지 않아 소화기 작동 후 오염구역의 청소가 용이함 등의 이점이 있어서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소화장치이다. 또한,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는 물을 사용할 수 없는 화재에 효과가 더욱 우수하여, 공장의 전기패널; EPS, TPS, AD, PS와 같은 전자장비; 통신실; 변전실; 통신장비실 등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에서, 소화 약제를 발화시키기 위하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감지장치에 의하여 전기가 순간 자동 공급되어 점화장치 구성요소중 하나인 텅스텐 와이어 혹은 니크롬선 와이어에서 불꽃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하는 불꽃은 소화 약제를 연소시키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열에너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매우 짧은 순간의 작은 불꽃이다.
따라서 소화 약제를 정상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한 충분한 열 에너지를 갖고 있는 작은 화염이 필요하며 이러한 화염을 만들기 위해 점화장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점화가루(점화약제)가 있어야 하며 점화가루는 순간 공급되는 전기에 의한 텅스텐 와이어 혹은 니크롬선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하여 1차 연소가 되어 화염을 발생시킨다. 점화가루가 연소하면서 발생한 화염은 소화 약제에 옮겨져 붙어서 비로소 소화 약제가 정상적으로 연소하여 소화 가스를 방출한다.
그런데, 한국 특허 제10-1212982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1)에서는 점화장치(2) 내의 점화약제(3)가 통상의 부직포 등과 같은 주머니(4)에 수납된 형태이므로(도 1 및 도 2), 점화약제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화염이 소화 약제(5)를 향하도록 하는 지향성이 구비되지 않아서, 소화 약제(5)의 발화가 지연되거나 불완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화약제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화염이 화염방출구를 통과하여 소화 약제를 향하도록 하는 지향성을 구비하며, 화염방출구를 통과하는 화염의 분출속도를 증가시켜 소화 약제의 발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점화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점화약제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는, 점화 약제, 점화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체 및 점화 약제 내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열선 보드로 이루어지며,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 약제를 점화시키 위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이 구비되며, 양단부가 개구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 개구단부를 덮는 뚜껑들; 상기 몸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화재 감지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불꽃을 발생시켜 상기 점화 약제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 및 상기 몸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를 포함하며, 상기 열선보드는 상기 몸체의 양쪽 개구단부를 덮는 뚜껑 중 일측의 뚜껑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이 구비되며, 양단부 중 일측단부은 개구되고 타측단부는 폐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몸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화재 감지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불꽃을 발생시켜 상기 점화 약제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열선보드는 상기 몸체의 폐쇄된 타측단부 또는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화염 방사구멍은 4개로 이루어지며, 방사상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화염 방사구멍에는 통기성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통기성 테이프의 통기도는 150cc/㎠/sec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열선보드는 텅스텐 와이어 또는 니크롬선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열선보드의 하단부에는 점화장치를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에서는, 상기 뚜껑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따르면, 화염방출구가 구비되어 점화약제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화염이 소화 약제를 향하게 되며, 화염방출구를 통과하는 화염의 분출속도가 증가되고 화염이 전방향으로 멀리 전달될 수 있으므로 소화 약제의 발화를 촉진시킬 수 있어서, 점화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작동 불능상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따르면,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점화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점화약제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서,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점화장치의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서의 점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가 구비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횡단면도로서, 점화장치로부터 화염이 방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점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점화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일반적인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는 점화부, 연소부(또는 발화부), 소화약제부, 배출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점화부는 외부로부터의 화재를 감지하여 에어로졸 소화장치 내에서 전기적, 화학적, 또는 기계적인 발화를 유도하고, 이 유도에 의해 발화제 물질이 연소를 시작하게 되면 소화약제가 소화되면서 인체에 무해한 소화가스를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기적 발화 유도 방식에서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감지장치에 의하여 전기가 순간적으로 자동 공급되어 점화장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열선 보드(예를 들어, 텅스텐 와이어 또는 니크롬선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서 불꽃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하는 불꽃이 열선 보드를 둘러싸고 있는 점화 약제를 발화시켜 점화 약제가 1차로 연소되고, 이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소화 약제를 연소시켜 고체소화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체소화 에어로졸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냉각제 상부 타공망을 지나고, 냉각제를 지나면서 냉각되고, 냉각제 하부 타공망과 방출타공망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 분사된 상기 고체소화 에어로졸은 화재 발생 지역에서 산소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화재의 연쇄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약제부는 산화제로서 질산칼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질산칼륨 이외의 다른 산화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는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브롬화 칼륨(potassium bromide), 염화리튬(lithium chloride), 요오드산칼륨(potassium iodate),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브롬산칼륨(potassium bromate),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과염소산 리튬(lithium perchlorate), AN/KN (ammonium nitrate phase-stabilized with potassium nitrate) 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산화제의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화 약제의 산화제인 질산칼륨의 바인더물질로서 옥수수전분 ((C6H10O5)n)과 페놀 수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 약제의 구성 물질 및 함량은 [표 1]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성 분 분자식 중량비(wt%) 비 고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KNO3 72 - 78 산화제
옥수수 전분(Corn Starch) (C6H10O5)n 3 - 7 바인더
수 지(Phenolic Resin) C6H5OH+HCHO 11 - 17 바인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H3(CH2)16COOH 2 - 8 에이전트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점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가 구비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I선을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횡단면도로서, 점화장치로부터 화염이 방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점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는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100)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약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1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20), 상기 몸체(10)의 일측 또는 양측 개구단부를 덮는 뚜껑(30) 및 상기 점화 약제(20)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화장치(100)의 몸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구비되며, 양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양단부 중 일측단부은 개구되고 타측단부는 폐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몸제(1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의 양단부가 개구된 경우에는, 먼저 일측 개구단부를 뚜껑(30)으로 덮은 다음에, 타측 개구단부를 통하여 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으로 점화 약제(20)가 충전된다. 또한, 몸체(10)의 일측 단부만이 개구된 경우에는, 몸체(10)의 양단부 중 개구측 단부를 통하여 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으로 점화 약제(20)가 충전된다. 또한, 몸체(10)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형성된다. 점화 약제(20)가 발화되어 연소될 때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화염 방사구멍(11)을 통하여 방사된다.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점화 약제(20)가 연소될 때 몸체(10)의 내구 공간부의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는 데, 이 때, 상승 압력을 몸체(10)의 특정 방출구를 통해서만 방출시킬 경우에 방출구를 통과하는 화염의 분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방출되는 화염이 특정한 방향을 향하게 되는 지향성을 가지고 소화 약제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가 이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서 점화장치(100)가 중앙에 배치되고 점화장치(100)의 둘레에 소화 약제(200)가 배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화염 방사구멍(11)은 방사상으로 4개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20)는 바인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화 약제(20)는,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의 일측의 개구단부를 통하여 몸체(10) 내의 수납공간에 충전될 수 있다. 점화장치(100)의 크기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1000) 내에 있는 소화 약제(2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점화 약제(20)의 충전량도 달라질 수 있다. 점화 약제(20)를 몸체(10) 내부 공간에 충전할 때, 점화 약제(20)가 화염 방사구멍(11)을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화염 구멍(11)에 통기성 테이프(12)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테이프(12)는 기체는 관통할 수 있으나 분말은 관통하기 어려울 정도의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성 테이프(12)의 통기도는 150cc/㎠/sec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기성 테이프(12)는 점화 약제(20)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화염에 의해 쉽게 소실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점화장치(100)의 점화 약제(20)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화염이 화염 방사구멍(11)을 통과하는데에 유동저항을 발생시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하다.
몸체(10)의 개구단부를 통하여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점화 약제(20)를 충전한 다음, 몸체(10)의 개구단부를 뚜껑(30)으로 고정시킨다. 뚜껑(30)과 몸체(10)의 개구단부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공지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몸체(10)의 개구단부에 뚜껑(30)을 고정할 때, 뚜껑(30)의 내주면이 몸체(1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뚜껑(30)의 외주면이 몸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화재 감지장치와 전기선으로 연결되는 연결 보드(40)는 화재 감지장치가 공급하는 전기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열선 보드(40)는, 예를 들어, 텅스텐 와이어 또는 니크롬선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선 보드(20)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열선 보드(40)를 둘러싸고 있는 점화 약제(20)를 발화시켜 점화 약제(20)가 1차로 연소되고, 이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소화 약제(200)를 연소시켜 고체소화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고체소화 에어로졸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냉각제 상부 타공망을 지나고, 냉각제를 지나면서 냉각되고, 냉각제 하부 타공망과 방출타공망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 분사된 고체소화 에어로졸은 화재 발생 지역에서 산소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화재의 연쇄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선 보드(40)는 상기 몸체(10)의 폐쇄된 타측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 보드(40)는 상기 뚜껑(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열선보드(40)의 하단부에는 점화장치(100)를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탭(50)이 구비되어, 점화장치(100)를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100)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단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폐쇄된 몸체(10)를 준비한다. 상기 몸체(10)의 폐쇄 단부측에는 텅스텐 와이어 또는 니크롬선 와이어로 이루어진 열선 보드(40)가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선 보드(40)는 상기 몸체(10)의 개구단부에 결합되는 뚜껑(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에, 몸체(10)의 개구단부를 통하여 소정량의 점화 약제(20)를 충전한다. 이 경우에, 상기 몸통(10)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형성되며, 화염 방사구멍(11)은 통기성 테이프(12)가 부착되어 있어서, 점화 약제(20)를 몸통(10)의 내부에 충전하는 동안 점화 약제(20)가 화염 방사구멍(11)을 통하여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통기성 테이프(12)의 통기도는 150cc/㎠/sec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점화 약제(20)가 충전된 상태에서 몸체(10)의 개구단부에 뚜껑(30)을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열선 보드(40)가 점화 약제(20)에 매립된 상태가 되므로, 열선 보드(40)에서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점화 약제(20)가 신속하게 발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100)를 소화 약제(200) 및 냉각제(300)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1000)의 본체에 결합하면 고체에어로졸 소화기(1000)가 완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앞서 설명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러한 수정이나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점화장치의 몸체 11 : 화염 방사구멍
12 : 통기성 테이프 20 : 점화약제
30 : 뚜껑 40 : 열선 보드
50 : 고정탭 100 : 점화장치
200 : 소화약제 300 : 냉각제
1000: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Claims (8)

  1. 점화 약제, 점화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체 및 점화 약제 내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열선 보드로 이루어지며,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 약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구비되며, 양단부가 개구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쪽 개구단부를 덮는 뚜껑들(30);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화재 감지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불꽃을 발생시켜 상기 점화 약제(20)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4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20)를 포함하며,
    상기 열선보드(40)는 상기 몸체(10)의 양쪽 개구단부를 덮는 뚜껑 중 일측의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화염 방사구멍(11)에는 통기성 테이프(12)가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2. 점화 약제, 점화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체 및 점화 약제 내에 매립되어 배치되는 열선 보드로 이루어지며,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 약제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화염 방사구멍(11)이 구비되며, 양단부 중 일측단부은 개구되고 타측단부는 폐쇄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충전되는 점화 약제(20);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30); 및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화재 감지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불꽃을 발생시켜 상기 점화 약제(20)를 연소시키는 열선보드(40)를 포함하며,
    상기 열선보드(40)는 상기 몸체(10)의 폐쇄된 타측단부 또는 상기 몸체의 개구된 일측단부를 덮는 뚜껑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화염 방사구멍(11)에는 통기성 테이프(12)가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테이프(12)의 통기도는 150cc/㎠/sec 이상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보드(40)는 텅스텐 와이어 또는 니크롬선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보드(40)의 하단부에는 점화장치(100)를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탭(50)이 구비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일측단부에 고정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8. 연소에 의해 소화 가스를 발생하는 소화약제 및 상기 소화약제를 연소시키기 위한 점화장치(100)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100)가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화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1020180084963A 2018-07-20 2018-07-20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10202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3A KR102020584B1 (ko) 2018-07-20 2018-07-20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63A KR102020584B1 (ko) 2018-07-20 2018-07-20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584B1 true KR102020584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63A KR102020584B1 (ko) 2018-07-20 2018-07-20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066A (ko) 2021-02-18 2022-08-25 (주)서한에프앤씨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용 기폭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75B1 (ko) * 2014-09-02 2015-03-27 강운공업주식회사 보존형 발전유닛이 구비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75B1 (ko) * 2014-09-02 2015-03-27 강운공업주식회사 보존형 발전유닛이 구비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066A (ko) 2021-02-18 2022-08-25 (주)서한에프앤씨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용 기폭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KR102607245B1 (ko) * 2021-02-18 2023-11-29 (주)서한에프앤씨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용 기폭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US38978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an operat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200447029Y1 (ko) 열감지선을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102020584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101209706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소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92277A (zh) 一种氧烛
JP6984879B2 (ja) 着火装置、及びその着火装置を含むエアロゾル消火装置
US11415318B2 (en) Fire starter
WO2017187792A1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KR20170006459A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RU74461U1 (ru)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и дымовая шашка для него
KR20000065990A (ko) 화재진화용 소화탄
KR20200119548A (ko) 금속화재용 소화장치
KR101214303B1 (ko) 멀티작동 타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CN210512865U (zh) 一种彩色烟幕弹
CN113134194A (zh) 灭火贴
KR20120103216A (ko) 차량용 소화시스템
CN201719729U (zh) 灭火器
KR102607245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용 기폭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RU73954U1 (ru)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и пиротехническая шашка для него
KR102540730B1 (ko) 진공 팩을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WO2017068956A1 (ja) 煙幕発生器
JP6125911B2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KR20140046591A (ko)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CN217593664U (zh) 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