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265B1 -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265B1
KR102213265B1 KR1020200083990A KR20200083990A KR102213265B1 KR 102213265 B1 KR102213265 B1 KR 102213265B1 KR 1020200083990 A KR1020200083990 A KR 1020200083990A KR 20200083990 A KR20200083990 A KR 20200083990A KR 102213265 B1 KR102213265 B1 KR 10221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ignition
fire extinguisher
electr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김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식 filed Critical 김춘식
Priority to KR102020008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6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containing gas-producing, chemically-reactive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14Portable igniters
    • F23Q7/16Portable igniters with built-in batte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작동상태를 감지기를 이용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감지기의 감지를 통해 화재 사실을 소방기관, 방재센터 등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고, 감지기를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에 내장시켜 화재 등에 의한 열원 및 장기 보관에 의한 노후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감지기의 감지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여러 대의 소화기에 대한 작동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이 발생하고, 상기 전원으로 점화제(111)를 발화시켜 소화약제(122)의 연소를 위한 점화 기능을 하는 점화부(110); 상기 점화부(110)의 점화 기능으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122)가 연소되면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120);로 구성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에 내장되는데, 상기 소화약제(122)의 연소에 의해 단선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1감지부(200)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는데, 화재를 감지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2감지부(300)와;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전기적 연결되어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2감지부(300)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점화부(110)에 전원을 공급시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화재사실을 알리고, 화재진압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상기 제1감지부(200)의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화재 관제 기능을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A system for checking the operation for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using thermal cutoff fuse}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작동상태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 사실을 소방기관, 방재센터 등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온도퓨즈, 바이메탈, 써머커플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기를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에 내장시켜 화재 등에 의한 열원 및 장기 보관에 의한 노후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감지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여러 대의 소화기에 대한 작동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는 물을 사용할 수 없는 화재인 유류 및 전기 화재에 장점이 많은 소화기이며, 선박, 유류시설, 공장, 군사장비 등 특수한 장소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는 내부로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기 본체, 화재가 발생하면 유리벌브 또는 바이메탈이 형태 변형되면서 소화기 본체의 소화약제를 연소시켜 화재를 진압되게 하는 트리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13077호를 살펴보면, 에어로졸 소화기용 자동작동장치에 있어서,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 파열되는 열 감응형 유리벌브; 뇌관을 가격하는 가격 위치와 뇌관을 가격하기 위한 압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자동작동장치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 위치에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격침; 및 상기 유리벌브를 지지하고 상기 격침을 상기 압축 위치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벌브 파열시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상기 격침을 상기 압축 위치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격침이 상기 가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복원력이 상기 뇌관을 가격하는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뇌관을 작동시키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6229호를 살펴보면,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연결된 회전체가 장착되는 장착홀과, 유리벌브의 일단이 지지되는 삽입홀 및 상기 유리벌브의 타단이 지지되는 설치홀이 형성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부;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며, 상기 유리벌브의 파열시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감겨져 구비되며 상기 구속수단이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힘이 제거되면 감겨진 상태가 풀리면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회전시키고 상기 영구자석의 회전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되는 부분에 배치디는 밑판과, 상기 밑판이 상기 코일을 지지한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의 장착홀을 관통한 회전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복수회 감긴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유도기전력 발생에 의해 발생된 전압을 증폭시키는 증폭장치를 포함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가 방호구역 내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화재시 소화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없고, 또한 화재 발생사실 및 화재 진압의 모니터링, 화재경보를 수행할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재발생 상황에서 소화기가 정상작동되지 않으면 화재진압이 지체되어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고, 특히 해당 지역에서 사람이 부재중이거나 무인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사실 및 화재 진압 상황을 알 수가 없어 진압을 위한 현장 도착시간에 비례하여 화재가 번지면서 진화의 어려움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는 화재 발생시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주변 환경에 의한 오염 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장기간 노출에 의한 노후로 오작동이 발생하여 실제 화재시 정상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 발생 정도에 대응하여 감지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설치 장소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보통 여러 대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를 한 장소에 각기 다른 위치로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화재가 발생하면 여러 대의 소화기 중 정상 및 비정상의 소화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13077호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6229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에 온도 퓨즈, 바이메탈 또는 써머커플을 적용하고,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설치장소에 각종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들을 설치함에 따라 화재 발생시 온도 퓨즈, 바이메탈 또는 써머커플의 단선에 의한 신호 및 감지기들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정상 작동 상태 및 화재 사실 및 화재 진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방기관, 방재센서 등에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에 적용된 온도 퓨즈, 바이메탈 또는 써머커플을 내장형으로 적용함에 따라 온도 퓨즈, 바이메탈 또는 써머커플을 주변 환경,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로부터 보호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노후를 방지하도록 하여 실제 화제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도 퓨즈, 바이메탈, 써머커플 및 각종 감지기들을 소화기의 설치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형태에 대응하여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설치장소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대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가 제어부에 연결되어 통합적인 감시를 수행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여러 대의 소화기 중 정상작동되는 특정 소화기 및 그 소화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이 발생하고, 상기 전원으로 점화제를 발화시켜 소화약제의 연소를 위한 점화 기능을 하는 점화부; 상기 점화부의 점화 기능으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연소되면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로 구성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의 점화부에 내장되는데, 상기 소화약제의 연소에 의해 단선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는데, 화재를 감지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전기적 연결되어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2감지부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점화부에 전원을 공급시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화재사실을 알리고, 화재진압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상기 제1감지부의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화재 관제 기능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정상 작동 상태 및 화재 사실 및 화재 진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여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설치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시 소방기관, 방재센터 등에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알릴 수 있어 화재진압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에 따른 소화기의 정상작동 여부 및 소화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온도 퓨즈, 바이메탈 또는 써머커플이 열기로부터 보호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노후를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작동불량 없이 정상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설치장소의 화재 형태에 대응하여 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설치 장소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대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정상작동 상태 및 작동된 소화기의 위치를 통합 제어부에서 통합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화재 위치 및 화재 규모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면서 화재 진압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구성도이다.
이에 따른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화재 진압을 위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작동에 의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제1감지부(200); 화재를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제2감지부(300); 화재 관제 및 통신 기능을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는;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122)를 연소시키면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자동 진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는; 화재 발생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이 발생하고, 상기 전원으로 점화제(111)를 발화시켜 소화약제(122)의 연소를 위한 점화 기능을 하는 점화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화부(110)는 소화부(120)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점화부(11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제어부(400)에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공급된 전원이 점화제(111)를 점화시켜 화염이 발생하면 점화관(112)의 구멍을 통해 화염을 소화부(120) 측으로 방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점화부(110)는 제어부(400)에 전기접속부(1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접속부(113)는 전기접속 기구로 제어부(400)와 전기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커넥터, 어댑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접속부(113)에 적용되는 케이블은 내열 전선을 적용시켜 화재시 전기 접속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점화제(111)는 상기 전기접속부(113)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을 둔감 물질이 감싸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점화제(111)는 전극 사이에 전원이 흐르면서 생성되는 열원에 의해 둔감 물질로 이루어진 점화제(111)가 발화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고, 상기 점화제(111)의 화염이 점화관(112)의 구멍을 통해 소화부(120)의 소화약제(122)가 위치된 측으로 방사되면서 상기 소화약제(122)를 연소시켜 화재 진압을 위한 에어로졸을 분사되게 한다.
이때, 상기 둔감 물질은 붕소와 크롬산 바륨을 주성분으로 벌크 상태의 물질이다.
여기서 상기 점화제(111)는, 둔감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보론 5 내지 40 중량부; 크롬산 바륨 60 내지 9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된다.
또는, 상기 점화제(111)는, 둔감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보론 5 내지 40 중량부; 레드 리드 60 내지 9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된다.
또는, 상기 점화제(111)는, 둔감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 10 내지 50 중량부; 산화납 50 내지 9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된다.
또는, 상기 점화제(111)는, 둔감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망간 10 내지 60 중량부; 크롬산 납 20 내지 80 중량부; 크롬산 바륨 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된다.
또는, 상기 점화제(111)는, 둔감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 10 내지 70 중량부; 과산화납 10 내지 40 중량부; 산화비스무스 5 내지 29 중량부; 산화납 0 내지 40 중량부; 삼황화안티몬 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부(110)의 안쪽에는 점화제(111)에 인접한 측에 제1감지부(200)가 전기 접속되어 내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는; 상기 점화부(110)의 점화 기능으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122)가 연소되면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120)는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본체이며, 화재 예상 지점에 소화부(120)의 에어로졸 분사 측이 향하도록 설치되는데, 통상 여러 대의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설치함으로 다수의 소화부(120)가 점화관(112)의 전기접속부(113)를 통해 제어부(40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소화부(120)는 내부로 수용 공간을 갖고, 하면에 에어로졸이 분사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121)을 갖고, 상기 케이싱(121)은 통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화부(120)는 상기 케이싱(121)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점화부(110)의 주변을 감싸면서 소화약제(122)가 채워져 상기 점화부(110)의 화염에 의해 소화약제(122)가 연소되게 하고, 상기 소화약제(122)는 연소되면 에어로졸을 생성하면서 케이싱(121)의 저면 구멍으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한다.
한편, 상기 소화약제(122)는 연소 과정에서 칼륨 라디칼을 대량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며, 이는 기존의 소화제에 비교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거의 없어 무해하고, 전자장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화재진압 후 잔류물이 처리가 간편한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약제(122)는; 질산칼륨, 염소산칼륨, 탄소, 디부틸프탈레이트, 구리살리실레이트 및 에폭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한 혼합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소화부(120)는 상기 케이싱(121)의 내부로 소화약제(122)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각제는 활성 알루미나, 제오라이트 성형품을 사용하여 소화약제(122)의 연소열을 냉각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부(200)는;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에 내장되는데, 상기 소화약제(122)의 연소에 의해 단선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감지부(200)는;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 내측에 전기 접속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점화부(110)의 발화 열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전기 접속 측이 단절되면서 단절에 의한 전기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온도퓨즈(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퓨즈(210)는 점화부(110)의 점화관(112) 내부로 점화제(111)에 인접한 측에 전기접속되어 전기접속부(113)를 통해 제어부(400)와 연결되고, 상기 온도퓨즈(210)는 일정 이상의 열기가 전달되면 전기 접속 측이 끊어지는 퓨즈이고, 화재 발생에 따라 제어부(400)의 제어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가 작동하면 상기 소화약제(122)의 연소에 의한 열기로 온도퓨즈(210)의 전기 접속 측이 끊어지면서 상기 전기접속부(113)를 통해 제어부(400)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된 온도퓨즈(210)의 전기 신호를 통해 해당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200)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 내측에 전기 접속되어 구비되는데, 화재발생에 따라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에 의한 휨 작용으로 전기 접속 측이 단절되면서 단절에 의한 전기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바이메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메탈()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을 포개어 붙여서 전기 접속되게 하는 스위치 구조의 바이메탈이며, 상기 바이메탈()은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이 포개어 마련된 부분이 평상시 전기접속되어 있고, 화재발생에 따라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이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음으로 휘어지는 작동을 하면서 전기접속 측이 단절되고, 상기 단절에 의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바이메탈()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통해 해당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부(300)는;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는데, 화재를 감지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감지부(3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불꽃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1센싱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센싱부(310)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1센싱부(310)는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시 불꽃을 감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400)에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 접속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센싱부(310)가 화재에 의한 불꽃을 감지하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여 화재 사실을 알리게 하고, 화재 진압 중 불꽃의 변화에 의한 진압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감지부(3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열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2센싱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센싱부(320)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2센싱부(320)는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시 열을 감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400)에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 접속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제2센싱부(320)가 화재에 의한 열을 감지하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여 화재 사실을 알리게 하고, 화재 진압 중 열기의 변화에 의한 진압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감지부(3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3센싱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센싱부(330)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3센싱부(330)는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시 연기를 감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400)에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 접속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제3센싱부(330)가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여 화재 사실을 알리게 하고, 화재 진압 중 열기의 변화에 의한 진압 정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센싱부(310), 제2센싱부(320), 제3센싱부(330)는 화재 중 전기 신호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내열성의 케이블을 사용하고, 제1센싱부(310), 제2센싱부(320), 제3센싱부(330) 자체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전기적 연결되어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2감지부(300)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점화부(110)에 전원을 발생시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화재사실을 알리고, 화재진압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상기 제1감지부(200)의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화재 관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설치 장소로부터 구획된 측에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되는데,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 및 제1감지부(200), 제2감지부(300)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표시부(411)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자동 작동시키는 컨트롤러(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4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Micro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기전자부품이 적용되고, 상기 컨트롤러(410)는 제1감지부(200)의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가 전송되면 화재 발생 상황으로 인식하여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에 전송하면서 화재 진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411)가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411)는 제1감지부(2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LED 등의 빛으로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411)의 경우 다양한 시각화 매체를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를 청각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경보부(412)가 마련되고, 상기 경보부(412)는 스피커의 기능을 하는데, 상기 경보부(412)는 제1감지부(2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특정 소리로 청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주변에 알리기 위해 특정 소리를 청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소리는 서로 다른 소리고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컨트롤러(4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컨트롤러(410)의 데이터를 무선 통신회선을 이용해 외부기관(430)과 유무선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1통신부(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통신부(420)는 컨트롤러(410)에 유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모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통신부(420)는 컨트롤러(410)의 전기 신호를 통신회선을 활용하여 디지털 통신 장비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면서 외부기관(430)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외부기관(430)은 소방기관, 방재센터이며, 상기 제1통신부(420)의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에 의한 화재사실을 상기 외부기관(430)에 자동으로 알리면서 화재진압을 위한 초동대처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통신부(420)는 유선통신회선을 위한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하여 무선 인터넷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인터넷 데이터 통신망의 환경 기반에서 원거리에서 자유롭게 케이블 없이 화재 발생 알림을 자동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상황에 따라 확장할 수 있음을 일 실시 예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기본 실시 예의 구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 중 상기 제어부(400)는; 제1통신부(420)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40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상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제어부(400)를 제어하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한 장소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부(4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합제어부(440)는 다수의 제어부(400)를 동시에 제어하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한 장소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합제어부(440)는 제1통신부(420)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상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제어부(400)를 제어하여 다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를 통합 관리하게 한다.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440)는 모니터가 구비된 컴퓨터이며, 입출력장치 및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합제어부(440)를 부가함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통합제어부(440)가 제1통신부(420)를 이용해 동시에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어 한 장소에서 관리자가 다수를 제어하여 자동 제어 시스템(1)의 수를 늘려도 관리자의 수가 비례하여 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줄고 관리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자동 제어 시스템 100; 소화기
110; 점화부 120; 소화부
200; 제1감지부 210; 온도퓨즈
300; 제2감지부 310; 제1센싱부
320; 제2센싱부 330; 제3센싱부
400; 관제부 410; 메인제어부
420; 제1통신부 430; 외부기관
440; 통합제어부

Claims (6)

  1. 화재 발생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이 발생하고, 상기 전원으로 점화제(111)를 발화시켜 소화약제(122)의 연소를 위한 점화 기능을 하는 점화부(110); 상기 점화부(110)의 점화 기능으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122)가 연소되면서 에어로졸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부(120);로 구성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에 내장되는데, 상기 소화약제(122)의 연소에 의해 단선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1감지부(200)와;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는데, 화재를 감지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2감지부(300)와;
    상기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전기적 연결되어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2감지부(300)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점화부(110)에 전원을 공급시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화재사실을 알리고, 화재진압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며, 상기 제1감지부(200)의 신호를 기반으로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화재 관제 기능을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200)는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점화부(110) 내측에 전기 접속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점화부(110)의 발화 열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전기 접속 측이 단절되면서 단절에 의한 전기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온도퓨즈(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감지부(3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불꽃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1센싱부(310);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열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2센싱부(320); 및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예상 지점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제3센싱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의 설치 장소로부터 구획된 측에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되는데,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 및 제1감지부(200), 제2감지부(300)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표시부(411)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고제 체어로졸 소화기(100)를 자동 작동시키는 컨트롤러(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제1감지부(2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소리로 출력하고, 상기 제2감지부(30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소리를 출력하는 경보부(4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컨트롤러(4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컨트롤러(410)의 데이터를 무선 통신회선을 이용해 외부기관(430)과 유무선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제1통신부(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제1통신부(420)를 이용해 다수의 제어부(40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상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제어부(400)를 제어하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1)을 한 장소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제어부(440)를 더 포함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3990A 2020-07-08 2020-07-08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21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90A KR102213265B1 (ko) 2020-07-08 2020-07-08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90A KR102213265B1 (ko) 2020-07-08 2020-07-08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265B1 true KR102213265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90A KR102213265B1 (ko) 2020-07-08 2020-07-08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2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527B1 (ko) * 2021-02-08 2021-11-0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RU2796978C1 (ru) * 2022-07-28 2023-05-30 Габлия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с термохимическим и электрическим инициированием и управлением
WO2024025437A1 (ru) * 2022-07-28 2024-02-01 ГАБЛИЯ,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77B1 (ko) 2007-09-21 2008-03-14 주식회사 한화 에어로졸 소화기용 자동작동장치
KR20090115338A (ko) * 2008-05-02 2009-11-05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기의 방출확인장치
KR101506575B1 (ko) * 2014-09-02 2015-03-27 강운공업주식회사 보존형 발전유닛이 구비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1576229B1 (ko) 2014-04-30 2015-12-10 (주)강운파인엑스 자가발전형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077B1 (ko) 2007-09-21 2008-03-14 주식회사 한화 에어로졸 소화기용 자동작동장치
KR20090115338A (ko) * 2008-05-02 2009-11-05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기의 방출확인장치
KR101576229B1 (ko) 2014-04-30 2015-12-10 (주)강운파인엑스 자가발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1506575B1 (ko) * 2014-09-02 2015-03-27 강운공업주식회사 보존형 발전유닛이 구비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527B1 (ko) * 2021-02-08 2021-11-0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 에어로졸 소화 장치 및 시스템
RU2796978C1 (ru) * 2022-07-28 2023-05-30 Габлия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с термохимическим и электрическим инициированием и управлением
WO2024025437A1 (ru) * 2022-07-28 2024-02-01 ГАБЛИЯ,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265B1 (ko) 감지부를 이용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자동 제어 시스템
JP5080230B2 (ja) 発煙消火装置
WO2011161792A1 (ja) 防災装置
KR101853919B1 (ko) 다목적 화재 경보기
JP2017004959A (ja) 蓄電装置
KR20120076219A (ko) 이중화된 점화 유니트를 갖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및 그에 사용되는 점화유니트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US20230264055A1 (en) Addressing optical firing cartridge using chromatic aberration
KR101292512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작동장치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213267B1 (ko) 자체 전기 작동방식을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102436651B1 (ko) 전기 화재 초기 소화 기능과 절연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0447025Y1 (ko)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100832703B1 (ko) 폭발력을 이용한 자동소화기 장치
CN113134194A (zh) 灭火贴
AU2011298992B2 (en) Blasting arrangement
CN113509669A (zh) 灭火装置
KR102246200B1 (ko) 선박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
CN212593633U (zh) 灭火贴
CN214596930U (zh) 灭火系统
TR201701594A2 (tr) Yangın söndürme topunu ısı veya elektrik tetiklemesi ile uzaktan otomatik veya manuel olarak patlatma sistemi
RU60369U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автономная модульная адресная
KR100542942B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장치
JPH0999113A (ja) 消火器自作動装置
JP2022148242A (ja) 可動式ブースおよび移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