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09B1 -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 Google Patents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09B1
KR102323109B1 KR1020210016830A KR20210016830A KR102323109B1 KR 102323109 B1 KR102323109 B1 KR 102323109B1 KR 1020210016830 A KR1020210016830 A KR 1020210016830A KR 20210016830 A KR20210016830 A KR 20210016830A KR 102323109 B1 KR102323109 B1 KR 10232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upport plate
vertical steel
fixing groov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1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발코니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발코니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함체와, 함체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직 강관과, 제1 수직 강관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직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수직 강관과, 제2 수직 강관의 상단에서 제2 수직 강관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측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평 강관과, 제1 수평 강관의 일측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끝단에 지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수평 강관과, 제2 수평 강관에 형성된 지지고리에 연결되는 후크가 외측면에 구비된 조속기와, 조석기를 통과한 상태로 조석기에 권취되어 조석기에 거치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일단이 권취되어 와이어가 권출 또는 권취되는 드럼 및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석부재를 포함하며,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 수직 강관이 제1 수직 강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직 길이가 연장되고,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 수평 강관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평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의 착석 면적이 2배의 면적으로 늘어나도록 착석부재를 펼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인원이 동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Stubborn for fire fighting in building}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건축물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재난 재해 등의 안전 사고에 따른 위험 인지가 높은 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 및 일정 규모 이상의 상가 건물 등 일정 요건에 해당되는 건축물에 완강기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건축물 내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 건축물 내부에 있던 사람이 창문을 통해 건축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 장비이다.
이러한 완강기는 건축물의 창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대 또는 아이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완강기를 연결한 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완강기는 비상시에만 사용되므로 평상시에는 완강기가 보관함이나 보관 주머니에 담겨서 보관되고, 지지대 또한 공간의 점유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해되거나 접혀서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완강기를 사용할 때에는 케이스를 개방한 후 지지대를 전개한 다음 지지대에 완강기를 연결한 후, 사용함에 따라 지지대를 전개하고 완강기를 지지대에 연결하는 과정에 소요된 시간만큼 대피가 늦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완강기는 1인용으로 설비됨에 따라 대피자의 수가 많거나, 사회적 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대피 시간이 더욱 지연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더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급 상황에 따른 보다 간편하게 완강기를 설치하면서, 완강기를 이용한 대피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636호(2017년 05월 02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의 착석 면적이 2배의 면적으로 늘어나도록 착석부재를 펼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인원이 동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착석한 착석부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게 함으로써 연기나 화염으로 부터 대피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로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발코니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상기 발코니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직 강관,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직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수직 강관, 상기 제2 수직 강관의 상단에서 제2 수직 강관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측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평 강관, 상기 제1 수평 강관의 일측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끝단에 지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수평 강관, 상기 제2 수평 강관에 형성된 상기 지지고리에 연결되는 후크가 외측면에 구비된 조속기, 상기 조석기를 통과한 상태로 조석기에 권취되어 조석기에 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권취되어 와이어가 권출 또는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 수직 강관이 제1 수직 강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직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 수평 강관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평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수직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수직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수직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수직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 강관이 상기 제1 수직 강관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결합판이 제2 수직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고,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수직 강관과 제2 수직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는 제1 밴드의 일단과 제2 밴드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착석부재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받침판과 제2 받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은 경첩을 매개체로 하여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받침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받참판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경첩을 축으로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의 상면과 제2 받침판의 상면이 서로 접하되, 상기 제1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이 제1 받침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일방향 회동되어 제1 받침판에 제2 받침판이 접히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고, 손잡이가 제2 받침판을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의 내측에 제2 받침판이 위치되어 손잡이에 의해 제2 받침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코니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향 펌핑하는 모터 펌프, 상기 모터 펌프에 장착되어 모터 펌프의 온오프 가동을 제어하며, 상기 화재센서에 감지되는 화재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제어부, 상기 모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함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장착된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센서에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 펌프가 가동되고, 모터 펌프의 가동에 의해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상기 착석부재를 향해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측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의 착석 면적이 2배의 면적으로 늘어나도록 착석부재를 펼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인원이 동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착석한 착석부재를 향해 물이 분사되게 함으로써 연기나 화염으로 부터 대피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서 착석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서 착석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에서 제어부와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는, 함체(10), 제1 수직 강관(20), 제2 수직 강관(30), 제1 수평 강관(40), 제2 수평 강관(50), 조속기(60), 와이어(70), 드럼(80) 및 착석부재(9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체(10)는,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발코니(B)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미도시)에 의해 발코니(B)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다.
제1 수직 강관(20)은, 장방형이면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수직 강관(20)의 하면이 함체(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제2 수직 강관(30)은, 상술한 제1 수직 강관(20) 보다 폭이 더 좁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수직 강관(30)은, 제1 수직 강관(20)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직 강관(2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즉, 제1 수직 강관(2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 수직 강관(30)이 제1 수직 강관(20)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면서 전체적인 수직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수직 강관(30)의 외측면에는, 제2 수직 강관(30)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31)이 제2 수직 강관(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요홈(31)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3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3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h1)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31)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수직 강관(20)의 상단부에는, 제1 수직 강관(20)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홈(21)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2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홈(21)은 결합판(33)이 제2 수직 강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33)이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부연하면, 제2 수직 강관(30)을 제1 수직 강관(20)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켜 제1 고정홈(32)과 제2 고정홈(22)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 다음, 결합판(33)을 제2 수직 강관(3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판(33)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제1 고정홈(32)과 제2 고정홈(22)을 향해 결합판(33)을 가압하면, 결합판(33)이 힌지축(h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수평 이동되어 결합판(33)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32)과 제2 고정홈(22)의 내측에 삽입된다. 즉, 결합판(33)이 제1 고정홈(32)과 제2 고정홈(22)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1 고정홈(22)과 제2 고정홈(32)에 의해 결합판(33)이 고정되어 제1 수직 강관(20)과 제2 수직 강관(3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제1 수평 강관(40)은, 장방형이면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수평 강관(40)은 제2 수직 강관(30)의 상단에서 제2 수직 강관(30)에 직교한 방향인 제2 수직 강관(30)의 측방향, 즉 발코니(B)의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수평 강관(400의 일측은 발코니(B)의 외측을 향하고, 제1 수평 강관(40)의 타측은 제2 수직 강관(3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2 수평 강관(50)은, 상술한 제1 수평 강관(40) 보다 폭이 더 좁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수평 강관(50)은, 제1 수평 강관(40)의 일측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평 강관(4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 삽입된다.
즉, 제1 수평 강관(4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제2 수평 강관(50)이 발코니(B)의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전체적인 수평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수평 강관(40)에는 후술하는 조속기(60)가 거치되는 지지고리(51)가 제1 수평 강관(4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조속기(60)는, 제2 수평 강관(50)에 형성된 지지고리(51)에 연결되는 후크(61)가 외측면에 구비되며, 내부를 후술하는 와이어(70)가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속기(60)의 내부에는, 통과하는 와이어(70)에 저항을 주어 와이어(70)가 조속기(60)를 통과하는 속도가 조절되게 한다. 여기서, 조속기(60)의 내부에는 기어와 스프링 또는 유압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와이어(70)는, 조속기(60)를 통과한 상태로 와이어(70)의 중간 부분이 조속기(60)에 권취되어 조속기(60)에 거치되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70)의 일단은 드럼(80)에 권취되는 상태가 되는데, 드럼(80)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해 와이어(70)가 드럼(80)에서 권출 또는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70)의 타단에는 대피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재(90)가 연결되는데, 부연하면, 와이어(70)의 타단에는 탄성의 제1 밴드(100a)의 일단과 탄성의 제2 밴드(100b)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착석부재(90)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받침판(91)과 제2 받침판(92)을 포함한다. 즉, 착석부재(90)는 한 쌍의 받침판인 제1 받침판(91)과 제2 받침판(9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착석부재(90)가 반으로 접히도록 제1 받침판(91)과 제2 받침판(92)은 경첩(h2)을 매개체로 하여 제1 받침판(91)의 일측 끝단부와 이와 대응하는 제2 받침판(92)의 일측 끝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1 밴드(100a)의 타단에는 제1 받침판(91)이 연결되고, 제2 밴드(100b)의 타단에는 제2 받참판(92)이 연결된다. 부연하면, 제1 받침판(91)의 타측 끝단에 제1 밴드(100a)의 타단이 연결되고, 제2 받참판(92)의 타측 저면에는 제2 밴드(100b)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는 제2 받침판(92)이 경첩(h2)을 축으로 제1 받침판(91)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91)의 상면과 제2 받침판(92)의 상면이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받침판(91)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91a)이 제1 받침판(9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홈(91a)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111)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110)의 중앙부위가 제1 받침판(91)의 상면에 이격한 상태가 되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제2 받침판(92)을 제1 받침판(91)을 향해 일방향 회동시켜 제1 받침판(91)에 제2 받침판(92)이 접히게 한 다음, 손잡이(110)를 이동홈(91a)을 따라 제2 받침판(92)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시키게 되면, 손잡이(110)가 제2 받침판(92)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110)의 내측에 제2 받침판(92)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 받침판(92)의 전체적인 길이는 제1 받침판(91)의 전체적인 길이 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손잡이(110)를 슬라이딩 직선 이동시켜 손잡이(110)의 안쪽에 제2 받침판(92)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접힌 제2 받침판(92)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제2 받침판(92)이 접힌 상태로 손잡이(1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발코니(B)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물이 내부에 저장된 물탱크(13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130)의 일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탱크(13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향 펌핑하는 모터 펌프(1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펌프(140)에 장착되어 모터 펌프(140)의 온오프 가동을 제어하되, 화재센서(120)에 감지되는 화재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통신모듈(151)을 구비한 제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펌프(140)에 연결되고 함체(10)를 관통하여 제1 수직 강관(2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이송배관(160)이 마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송배관(160)을 따라 이송배관(16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장착된 분사노즐(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발코니(B)에 설치된 화재센서(120)에 연기, 화염 등과 같은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150)의 통신모듈(151)을 통해 화재센서(120)에서 발신되는 화재신호가 제어부(150)에 수신된다.
이렇게 화재신호가 제어부(150)에 수신되면, 제어부(150)에 의해 모터 펌프(140)가 가동되고, 모터 펌프(140)의 가동에 의해 물탱크(130)에 저장된 물이 펌핑되면, 제1 수직 강관(20)의 외측면에 설치된 이송배관(160)을 따라 물이 상향 이송되면서 이송배관(160)에 장착된 분사노즐(170)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분사노즐(170)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방향은 제1 수직 강관(20)의 측방향으로 분사되는데, 즉 착석부재(90)를 향해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이는 착석부재(90)에 착석하여 대피하는 도중에 대피자가 연기나 화염에 의해 피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함체 20: 제1 수직 강관
21: 절곡홈 22: 제2 고정홈
30: 제2 수직 강관 31: 요홈
32: 제1 고정홈 33: 결합판
40: 제1 수평 강관 50: 제2 수평 강관
51: 지지고리 60: 조속기
61: 후크 70: 와이어
80: 드럼 90: 착석부재
91: 제1 받침판 91a: 이동홈
92: 제2 받침판 100a: 제1 밴드
100b: 제2 밴드 110: 손잡이
111: 고리 120: 화재센서
130: 물탱크 140: 모터 펌프
150: 제어부 151: 통신모듈
160: 이송배관 170: 분사노즐
B: 발코니 h1: 힌지축
h2: 경첩

Claims (4)

  1.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발코니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상기 발코니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직 강관;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직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 수직 강관;
    상기 제2 수직 강관의 상단에서 제2 수직 강관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측단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제1 수평 강관;
    상기 제1 수평 강관의 일측단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끝단에 지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수평 강관;
    상기 제2 수평 강관에 형성된 상기 지지고리에 연결되는 후크가 외측면에 구비된 조속기;
    상기 조속기를 통과한 상태로 조속기에 권취되어 조속기에 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권취되어 와이어가 권출 또는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착석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 수직 강관이 제1 수직 강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직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제1 수평 강관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2 수평 강관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평 길이가 연장되되,
    상기 제2 수직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수직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수직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수직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 강관이 상기 제1 수직 강관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결합판이 제2 수직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고,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수직 강관과 제2 수직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는 제1 밴드의 일단과 제2 밴드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착석부재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받침판과 제2 받침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판과 상기 제2 받침판은 경첩을 매개체로 하여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1 받침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밴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2 받침판이 연결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경첩을 축으로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회동되어 제1 받침판의 상면과 제2 받침판의 상면이 서로 접하되,
    상기 제1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이동홈이 제1 받침판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리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ㄷ'자 형태의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받침판이 상기 제1 받침판을 향해 일방향 회동되어 제1 받침판에 제2 받침판이 접히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제2 받침판을 향해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고, 손잡이가 제2 받침판을 감싸는 형태로 손잡이의 내측에 제2 받침판이 위치되어 손잡이에 의해 제2 받침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센서;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서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향 펌핑하는 모터 펌프;
    상기 모터 펌프에 장착되어 모터 펌프의 온오프 가동을 제어하며, 상기 화재센서에 감지되는 화재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제어부;
    상기 모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함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장착된 분사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센서에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의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 펌프가 가동되고, 모터 펌프의 가동에 의해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상기 착석부재를 향해 상기 제1 수직 강관의 측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KR1020210016830A 2021-02-05 2021-02-05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KR10232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30A KR102323109B1 (ko) 2021-02-05 2021-02-05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30A KR102323109B1 (ko) 2021-02-05 2021-02-05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09B1 true KR102323109B1 (ko) 2021-11-09

Family

ID=784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830A KR102323109B1 (ko) 2021-02-05 2021-02-05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327A (ko) * 2010-10-13 2012-04-23 (주)서한에프앤씨 완강기 설치대
KR101730002B1 (ko) * 2016-12-23 2017-04-2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731636B1 (ko) 2016-11-24 2017-05-02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327A (ko) * 2010-10-13 2012-04-23 (주)서한에프앤씨 완강기 설치대
KR101731636B1 (ko) 2016-11-24 2017-05-02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KR101730002B1 (ko) * 2016-12-23 2017-04-25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07261347B (zh) 一种超高层建筑消防救援及灭火系统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90134354A (ko)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KR102323109B1 (ko)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JP6593818B1 (ja) 防災扉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20210030204A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CN210422413U (zh) 一种防火控火装置
KR102301628B1 (ko)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20170089692A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CN214365680U (zh) 一种预警式防火自救逃生窗
CN111905315B (zh) 一种应用于斜拉索桥的火灾监控及灭火方法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CN113209502A (zh) 一种注水式高层建筑逃生系统
KR1019189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KR200258475Y1 (ko)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JP3655382B2 (ja) 消火ロボット
TWM560317U (zh) 消防設備
JPH0648695U (ja) 耐火避難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