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468B1 -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468B1
KR102322468B1 KR1020190157956A KR20190157956A KR102322468B1 KR 102322468 B1 KR102322468 B1 KR 102322468B1 KR 1020190157956 A KR1020190157956 A KR 1020190157956A KR 20190157956 A KR20190157956 A KR 20190157956A KR 102322468 B1 KR102322468 B1 KR 10232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n
connector
vehicle lamp
plate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676A (ko
Inventor
신재현
성연혁
조현준
최환승
주환엽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68B1/ko
Priority to US16/899,875 priority patent/US11149928B2/en
Priority to CN202010552657.4A priority patent/CN112984451B/zh
Priority to EP20183172.4A priority patent/EP3832195A1/en
Publication of KR2021006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소형화하고 전체적인 조립 공정도 간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광조사 유닛; 상기 기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과 인접한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기판의 배면 방향으로 개방된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구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Vehicle lam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소형화할 수 있고 조립 공정도 간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로서 예전에는 할로겐 벌브 또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와 같은 광원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광원으로서의 LED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차량에 LED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조립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LED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면서도 전체 설치 크기를 축소하고 램프의 공간 활용성을 제고하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는 LED가 실장된 기판을 광 조사 방향에 대응되도록 장착한다. 이 때, LED의 특성상 온도 상승에 따른 성능 저하가 크기 때문에 LED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히트싱크를 추가로 구비된다. 이러한 기판이나 히트싱크는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판이나 히트싱크 등의 부재들을 다양한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고 이러한 결합 과정을 포함하는 조립 공정도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LED가 실장된 기판과 차량용 램프의 외부에 구비된 장치 간에는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상기 기판 및 히트싱크 근처에는 배선, 연결핀, 커넥터 등 다양한 전기 기구들이 추가로 배치되고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차량용 램프를 위한 기본적인 부재들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간의 결합 수단 또는 각 부재들로부터 외부 장치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기구들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전체 구조가 크고 복잡해지며 조립 공정도 증가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서 커넥터의 연결 방식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수 단자(1)와 연결되는 수 커넥터(2)와, 복수의 암 단자(4)와 연결되는 암 커넥터(3)가 일직선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하여, 기판의 소형화, 슬림화 디자인 적용함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 내에서 커넥터 체결부가 과다해지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다수의 커넥터의 수작업 조립에 따른 품질 문제(미체결, 반체결, 오체결 등)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간섭에 따른 램프의 조립성 저하 및 와이어와 관련된 품질 문제까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단순화/소형화하고, 전체적인 조립 공정도 간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보 제646641호 (2006. 11. 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전기 결선 타입의 와이어링을 대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핀블록을 먼저 히트싱크에 선 조립한 후, 기판을 히트싱크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전기적 결선이 완료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결선을 위한 공간을 축소하여 차량용 램프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광조사 유닛; 상기 기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과 인접한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기판의 배면 방향으로 개방된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구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제1 판재; 상기 제1 판재와 나란하게 이격된 제2 판재; 상기 제1 판재로부터 상기 제2 판재 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판재로부터 상기 제1 판재 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은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에 각각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절곡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각각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연결핀의 두께에 맞게 확장되도록,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가 탄성 변형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판재 및 상기 제2 판재와 직교하면서 연결되는 제3 판재 및 제4 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판재 및 상기 제4 판재에 의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된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의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단일의 평판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재료를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절곡함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판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램프는 상기 연결핀을 수용하고 상기 제2 표면 상에 장착되는 핀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표면을 향하여 상기 핀블록으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블록은, 상기 연결핀; 상기 연결핀으로부터 연장되는 결선을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은,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과 인접한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연결핀을 수용하며 연결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연장 돌출된 핀블록을 상기 제2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광원과,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표면 방향으로 상기 핀블록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배면 방향으로 개방된 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으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상기 기판 위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별도의 전기 결선 작업없이 핀블록 및 기판을 히트싱크의 정위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전기적 결선이 완료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시간도 절감된다.
특히, 커넥터의 높이가 대폭 축소되어 커넥팅 공간의 슬림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의 소형화 및 설계 자유도를 함께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서 커넥터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조사 유닛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c는 상기 제1 광조사 유닛에 적용된 2차례의 능동 정렬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d는 도 4c의 제1 광조사 유닛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광조사 유닛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기판 장착 단계에서, 기판의 커넥터와 핀블록의 연결핀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내부 결선의 배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넥터와 연결핀이 결합된 형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하부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커넥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이 커넥터의 접속구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차량용 램프(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차량용 램프(100)는 베이스 부재(70)와, 상기 베이스 부재(70)의 장착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조사 유닛(60a, 60b)과, 상기 베이스 부재(70)의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인접하는 측면 상에 설치되는 핀블록(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차량용 램프(100)는 이러한 광조사 유닛(60a, 60b)의 광출사 면을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는 베젤(bez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젤은 복수의 광조사 유닛(60a, 60b)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70)는 기본적으로 각종 다른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수단의 역할을 하지만, 이와 더불어 상기 광조사 유닛(60a, 60b)에 설치된 광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베이스 부재(70)는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열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100)에서, 광조사 유닛(60a, 60b)은 베이스 부재(70)의 장착면(제1 표면)에 장착되고, 핀블록(50)은 상기 일 표면에 인접한 측면(제2 표면)에 설치된다. 이 때, 광조사 유닛(60a, 60b)에 포함되는 기판(40a, 40b)은 광원을 포함하며,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40a, 40b)과 핀블록(50)은, 베이스 부재(70)의 상기 장착면과 상기 측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예: 90°)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 유닛(60a, 60b)은 복수의 광조사 유닛들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광조사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광조사 유닛들은 동기적으로 또는 비동기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조사 유닛(60a)은 야간 주행용 조명 모듈이고 제2 광조사 유닛(60b)은 신호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조사 유닛(60a, 60b)이 복수의 광조사 유닛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베이스 부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조사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계단식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광조사 유닛(60a, 60b)이 2개의 종류로 총 6개의 광조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광조사 유닛의 개수 및 종류는 설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조사 유닛(60a)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광조사 유닛(60b)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제1 광조사 유닛(60a)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를 구비한 조명 모듈이고 제2 광조사 유닛(60b)은 방향등, 비상등과 같은 신호(signaling) 모듈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광조사 유닛(60a)은 광축(Ax)을 따라 정렬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제1 광조사 유닛(60a)은 기판(40a) 상에 기판 브라켓(42a), 렌즈 브라켓(43a), 콜리메이션 렌즈(collimation lens)(44a), MLA 렌즈(45a) 및 MLA 브라켓(46a)이 도시된 순으로 배치/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광원(41a)에서 방출된 광은 콜리메이션 렌즈(44a)를 통과하면서 대략 평행한 광으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광은 MLA 유닛(45a)을 통과하면서 균일도가 향상된 광으로 출사된다. 이 때, 렌즈 브라켓(43a)과 콜리메이션 렌즈(44a) 간의 사전 조립을 통해 렌즈 어셈블리(47a)를 미리 구성할 수 있고, MLA 렌즈(45a) 및 MLA 브라켓)46a) 간의 사전 조립을 통해 MLA 어셈블리를 미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정확히 정렬하기 위해 기판 브라켓(42a)과 렌즈 브라켓(43a) 사이, 및/또는 렌즈 브라켓(43a)과 MLA 브라켓(46a) 사이에는 능동 정렬(active alignment)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c는 제1 광조사 유닛(60a)에 적용되는 능동 정렬 과정들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기판(40a)을 베이스 부재(70)의 안착부(71)에 고정하는 PCB 브라켓(42a)에 렌즈 어셈블리(47a)를 결합할 때 능동 정렬이 적용될 수 있고, 2차적으로 렌즈 어셈블리(47a)의 렌즈 브라켓(43a)에 MLA 어셈블리(48a)를 결합할 때 또 한번 능동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례의 능동 정렬을 통해, 콜리메이션 렌즈(44a)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유닛(45a)의 방향을 모두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반드시 2차례의 능동 정렬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PCB 브라켓(42a)에 렌즈 어셈블리(47a)를 결합할 때에는 능동 정렬 없이 단순 고정하고, 렌즈 어셈블리(47a)의 렌즈 브라켓(43a)에 MLA 어셈블리(48a)를 결합할 때에만 능동 정렬을 적용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PCB 브라켓(42a)에 렌즈 어셈블리(47a)를 결합할 때에만 능동 정렬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능동 정렬을 위해, PCB 브라켓(42a), 렌즈 브라켓(43a) 및 MLA 브라켓(46a)에는 각각의 에지로부터 광축(Ax) 방향 또는 광축(Ax)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랩들(420, 430, 46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PCB 브라켓(42a)은 상기 광축(Ax)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랩(420)을 포함하고, 렌즈 브라켓(43a)은 상기 광축(Ax)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랩(430)을 포함하며, MLA 브라켓(46a)은 상기 광축(Ax)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 플랩(460)을 포함한다.
먼저, 렌즈 어셈블리(47a)를 PCB 브라켓(42a)에 결합할 때(결합1), 제1 플랩(420)은 제2 플랩(430)을 감싸도록 겹쳐질 수 있다. 이 때, 광원(41a)을 점등하고 렌즈 브라켓(43a)을 3자유도(x, y, z축)로 지그(jig)에 의해 움직이면서 스크린 상에 형성된 배광패턴을 조절함으로써 희망하는 중간 배광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희망하는 중간 배광패턴이 얻어지면, 제1 플랩(420)과 제2 플랩(430)의 겹쳐진 위치(425)에 상기 제1 플랩(420)과 상기 제2 플랩(430)을 영구적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1 용접부가 형성된다(도 4a, 도 4d 참조).
다음으로, MLA 어셈블리(48a)를 렌즈 브라켓(43a)에 결합할 때(결합2), 제3 플랩(460)은 제2 플랩(430)을 감싸도록 겹쳐질 수 있다. 이 때에도 광원(41a)을 점등하고 MLA 브라켓(46a)을 3자유도로 움직이면서 스크린 상에 형성된 배광패턴을 조절함으로써 희망하는 최종 배광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희망하는 최종 배광패턴이 얻어지면, 제2 플랩(430)과 제3 플랩(460) 간의 겹쳐진 위치(435)에 상기 제2 플랩(430)과 상기 제3 플랩(460)을 영구적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2 용접부가 형성된다(도 4a, 도 4d 참조). 이러한 제1 및 제2 용접부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d는 도 4c의 제1 광조사 유닛(60a)을 세로 방향(x-z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PCB 브라켓(42a)의 제1 플랩(420)과 렌즈 브라켓(43a)의 제2 플랩(430) 간에 겹쳐진 영역(425)에 제1 용접부가 형성되고, MLA 브라켓(46a)의 제3 플랩(460)과 렌즈 브라켓(43a)의 제2 플랩(430)간에 겹쳐진 영역(435)에 제2 용접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용접부는 상기 제2 용접부에 비해 상기 기판(40a)으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광조사 유닛(60b)은 광축(Bx)을 따라 정렬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제2 광조사 유닛(60b)은 기판(40b) 상에 리플렉터(42b), 이너 렌즈(43b) 및 하우징(44b)이 도시된 순으로 배치/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광원(41b)에서 방출된 광은 리플렉터(42b)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전방을 향하고, 상기 반사된 광은 이너 렌즈(43b)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출사된다. 하우징(44b)은 기판(40b), 리플렉터(42b) 및 이너 렌즈(43b)를 수용하면서 베이스 부재(7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램프(100)를 조립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장착면(제1 표면)(71)과 상기 장착면(71)과 소정 각도(예: 90°)를 이루면서 상기 장착면(71)과 인접하는 측면(72)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70)를 마련한다. 이 때, 장착면(71)과 측면(72)에는 볼트 스크류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핀을 수용하며 연결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연장 돌출된 핀블록(50)을 상기 측면(72)에 장착한다(①). 상기 연결핀은 상기 핀블록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다. 상기 소정 방향이란 도 6에서는 상방향을 나타내지만 이는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베이스 부재(70)의 측면(72)에서 상기 장착면(71)을 향하는 방향 내지 기판(40)의 전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핀블록(50)에 형성된 체결공(54)과 베이스 부재(70)의 측면(72)에 형성된 체결홈(74)을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여기에 볼트 스크류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핀블록(5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공(54)과 체결홈(74)을 용이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70)의 측면(72)에는 가이드 돌기(76)가, 핀블록(50)에는 가이드공(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76)를 핀블록(50)의 가이드공(56)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핀블록(50)을 베이스 부재(70)의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30)를 구비하는 기판(40)을 상기 장착면(71)에 장착한다(②). 이 때, 기판(40)의 배면이 베이스 부재(70)와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이 베이스 부재(70)로 전달되고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기판(40)은 장착면(71)에 볼트 스크류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기판(40)을 장착면(71)에 장착할 때, 핀블록(50)의 연결핀(55)은 기판(40)에 형성된 커넥터(30)에 동시에 결합된다. 따라서, 기판(40)을 베이스 부재(70)에 장착하는 것 이외에 커넥터(30)와 연결핀(55)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조사 유닛(60a, 60b) 중에서 기판(40) 이외의 광학 부재(59), 예를 들어, 광학 렌즈, 리플렉터, 브라켓, 하우징 등을 상기 베이스 부재(70)에 장착된 기판(40) 위에 조립한다(③).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램프(100)로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도 2의 차량용 램프(100)에 대해서도 베젤, 외부 하우징 등이 추가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조사 유닛은 복수의 광조사 유닛(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60) 각각은 광원을 구비한 기판(40)과 광학 부재(5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55)도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60)에 대응되는 개수의 연결핀 그룹(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광조사 유닛(60) 및 연결핀 그룹(55)이 각각 하나씩만 사용되는 경우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이 하나의 베이스 부재(70)에 대하여 복수의 광조사 유닛(60) 및 복수의 연결핀 그룹(55)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구성 및 조립 공정 간소화, 조립 비용 절감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일의 핀블록(50)이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55)을 수용하고, 상기 핀블록(50)이 상기 제2 표면(72) 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55) 각각은, 복수의 장착면(71) 중에서 대응하는 장착면을 향하여 상기 핀블록(50)으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착면(71)은 이웃하는 장착면 간에 계단식 단차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장착면(71)에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60) 각각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광조사 유닛(60) 각각에 포함된 기판(40) 상에 형성된 커넥터(30)에, 상기 연결핀 중에서 대응되는 연결핀 그룹(55)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55) 각각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장착면(71) 중에서 대응되는 장착면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복수의 장착면(71) 간의 상기 계단식 단차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아래로 갈수록 단차가 커짐). 이와 같이 단차의 크기를 상이하게, 예를 들어 점감하거나 점증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차량의 전단/후단의 코너 근처 형상 및 여기에 설치되는 차량용 램프(100)의 어셈블리 라인이 곡선을 이룬다는 설계상의 특성이 고려된 것이다.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100)를 참조하면, 좌측으로 갈수록 광조사 유닛(60a, 60b)의 위치가 보다 많이 후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광조사 유닛(60a, 60b)간의 시프트 차이(계단식 단차의 크기)도 좌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단에 장착될 경우에는 우측 램프가 될 것이고, 차량의 후단에 장착될 경우에는 좌측 램프가 될 것이다.
다만, 도 6에서는 이웃하는 복수의 장착면(71) 간의 계단식 단차의 크기는 모두 상이하면서 점증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용 램프(100)가 장착되는 차량의 위치나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웃하는 복수의 장착면(71) 간에 동일한 크기의 계단식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고, 2이상의 서로 상이한 크기의 계단식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기판 장착 단계에서, 기판(40)의 커넥터(30)가, 핀블록(50)에서 대응되는 연결핀(55)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커넥터(30)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기타 기판 상의 구성요소와 신호 입출력을 하기 위한 전기 기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커넥터(30)와, 대응되는 연결핀(55)은 상기 기판 장착 단계에서 소정 각도로 자동 결합된다. 상기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이지만, 베이스 부재(70)의 장착면(71)과 측면(73)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90°보다 다소 작거나 커질 수도 있다.
커넥터(30)와 연결핀(55)이 결합되면, 기판(40)은 핀블록(50)의 본체부(52) 내부에 배치된 결선(53)을 통해, 상기 본체부(52)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 소켓(51)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상기 접속 소켓(51)은 상기 연결핀(55) 및 커넥터(30)를 이용하여 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외부 장치(미도시 됨)가 접속 소켓(51)에 접속될 때 상기 외부 장치와 기판(4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해진다.
핀블록(50) 내에 수용된 내부 결선(53)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 7b를 참조하면, 각각의 기판(40)에 형성된 커넥터(30)가 연결핀(55)과 결합될 때 접속 소켓(51)은 내부 결선(53)을 통하여 기판(4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핀(55)이 복수의 연결핀 그룹(55)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핀 그룹(55)이 내부 결선(53)을 통해 접속 소켓(51)과 연결된다.
도 7b에서는 기판(40) 별로 내부 결선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결선은 도 2와 같이 2개의 타입의 상이한 광조사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다른 타입 별로 별도의 결선을 마련하되, 동일한 타입에 속하는 광조사 유닛의 기판들만을 병렬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광조사 유닛별로 별도 구동 가능).
이와 같이, 연결핀(55)을 제외한 내부 결선(53)은 핀블록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형태 그대로 결선(5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핀블록(50)은 복수의 연결핀(55) 및 내부 결선(53)을 모두 수용하고 접속 소켓(51)까지 구비하는 형태로 사출에 의해 양산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결선을 일일이 케이블로 형성하여 연결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 및 공정이 간단해지고, 단선/단락 등의 전기적 연결 문제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커넥터(30: 30a 내지 30f)와 연결핀(55: 55a 내지 55d)이 결합된 형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커넥터(30a 내지 30f)는 핀블록(50)의 연결핀(55a 내지 55d)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소정 각도(대략 90°)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40)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30a 내지 30f)는 상기 기판(40)의 배면 방향(도 8에서 하방)으로 개방된 접속구를 갖는다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구가 기판(40)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판(40)을 베이스 부재(70)에 장착할 때 연결핀(55a 내지 55d)이 자연스럽게 커넥터(30a 내지 30f)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핀(55a 내지 55d)의 개수와 커넥터(30a 내지 30f)의 개수는 일치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즉, 기판(40)이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 중에서 일부만 사용한다면 커넥터(30a 내지 30f)에 비해 연결핀(55a 내지 55d)의 개수가 적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연결핀(55a 내지 55d)의 개수는 커넥터(30a 내지 30f)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을 것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연결핀(55a 내지 55d)의 개수가 커넥터(30a 내지 30f)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를 아래쪽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커넥터(30)에 대한 종단면도(x-z 평면에 팽행하게 절개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30)는, 제1 판재(10)와, 상기 제1 판재(10)와 나란하게 이격된 제2 판재(20)와, 두 판재(10, 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된 접속구(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35)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30)는 상기 제1 판재(10)로부터 상기 제2 판재(20) 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15)와, 상기 제2 판재(20)로부터 상기 제1 판재(10) 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절곡부(15)의 내면(16)과 상기 제2 절곡부(25)의 외면(26)은 서로 대향하면서 소정 간격(d)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 절곡부(15)의 내면(16)과 상기 제2 절곡부(25)의 외면(26) 사이가 상기 접속구(35)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핀(55)이 상기 접속구(35)에 x축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55)은 상기 제1 절곡부(15)의 내면(16)과 상기 제2 절곡부(25)의 외면(26)에 각각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 연결핀(55)과 커넥터(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절곡부(15, 25)와 연결핀(55) 간의 접촉을 보장하면서도 삽입된 연결핀(55)에 탄성력(bias force)이 적절히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절곡부(15)는 상기 제2 절곡부(25)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부(25)는 상기 제1 절곡부(15)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55)이 상기 접속구(35)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55)은 제1 돌출부(17)와 제2 돌출부(27)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돌출부(17)의 위치와 제2 돌출부(27)의 위치는 다소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삽입된 연결핀(55)이 접속구(35) 내에서 탄성력을 받으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데에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17)보다 제2 돌출부(27)가 제1 판재(10)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판재(10) 및 상기 제2 판재(20)와 직교하면서(x-z 평면에 평행) 연결되는 제3 판재(31) 및 제4 판재(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판재(31) 및 제4 판재(32)에 의해 상기 접속구(35)에 삽입된 연결핀(55)이 상기 접속구(35)의 횡방향(y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단일의 전도체 평판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재료를 종방향(z 방향)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절곡함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판재(10, 20, 31, 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55)이 커넥터(30)의 접속구(35)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미 핀블록(50)이 베이스 부재(7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 즉 연결핀(55)이 기판의 전면 또는 베이스 부재(70)의 장착면을 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기판(40)을 베이스 부재(70)에 장착하면 그 순간에 커넥터(30)의 접속구(35)는 연결핀(55)을 감싸도록 연결핀(55)에 끼워진다. 이러한 과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핀(55)의 첨단부에는 테이퍼(taper)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절곡부(15)의 내면(16)과 상기 제2 절곡부(25)의 외면(26) 간의 원래 간격(d)에 비해, 연결핀(55)의 두께(t)가 더 크기 때문에 제1 절곡부(15)의 내면(16)과 상기 제2 절곡부(25)의 외면(26) 간의 간격도 상기 두께(t)만큼 확대된다. 이 때, 제1 절곡부(15)와 제2 절곡부(25)는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변형되고 그 만큼 연결핀(55)의 외면을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연결핀(55)과 커넥터(3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 따르면, 핀블록(50) 조립후 다수의 기판(40)을 조립하는 공정까지 자동화 공정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진다. 즉, 로봇 자동화에 의해 작업 효율성의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공수 감소로 인한 작업속도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완료후 이미 형성된 결선(와이어링)의 유동, 흔들림 등에 의한 접점 손상 문제나, 커넥터 이탈, 단자 부분의 단선, 결선의 끼임 문제도 확실하게 해소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연결 결선이 필요한 환경에서, 오조립이나 조립불량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의 색상 구별, 커넥터 색상 구별, 핀수 차별화와 같은 풀 프루프(fool proof)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존의 결선 및 커넥터 조립방식과 대비할 때, 공간 사용률이 감소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100) 자체의 슬림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제1 판재 15: 제1 절곡부
16: 제1 돌출부 17: 제1 절곡부의 내면
20: 제2 판재 25: 제2 절곡부
26: 제2 돌출부 27: 제2 절곡부의 외면
30: 커넥터 31: 제3 판재
32: 제4 판재 35: 접속구
40: 기판 50: 핀블록
51: 접속 소켓 52: 핀블록의 본체부
53: 내부 결선 54: 체결공
55: 연결핀 56: 가이드공
60: 광조사 유닛 70: 베이스 부재
71: 장착면 72: 측면
73: 연결 에지 74: 체결홈
76: 가이드 돌기

Claims (20)

  1.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광조사 유닛;
    상기 광조사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상기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연결핀이 연장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된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구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유닛은 상기 광원과 상기 기판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광조사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과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핀 그룹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을 수용하고 상기 제2 표면 상에 장착되는 핀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표면을 향하여 상기 핀블록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블록은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상기 연결핀 그룹들로부터 연장되는 결선을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 소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에 대응되는 복수의 장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면은 이웃하는 장착면 간에 계단식 단차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장착면에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이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각각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장착면 중에서 대응되는 장착면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단차 중에서 적어도 2이상이 서로 상이한,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1 판재;
    상기 제1 판재와 나란하게 이격된 제2 판재;
    상기 제1 판재로부터 상기 제2 판재 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판재로부터 상기 제1 판재 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은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 사이에서 상기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에 각각 접촉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절곡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각각 접촉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연결핀의 두께에 맞게 확장되도록, 상기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가 탄성 변형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판재 및 상기 제2 판재와 직교하면서 연결되는 제3 판재 및 제4 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판재 및 상기 제4 판재에 의해 상기 접속구에 삽입된 연결핀이 상기 접속구의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단일의 평판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판 재료를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절곡함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1 표면과, 상기 제1 표면과 인접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연결핀 그룹을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연장 돌출되는 핀블록을 상기 제2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광원과,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판을 상기 제1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표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에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중 대응되는 연결핀 그룹이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각각은 상기 제1 표면 방향으로 상기 핀블록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대응되는 연결핀 그룹이 연장 돌출된 방향과 상기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대응되는 연결핀 그룹이 연장 돌출된 방향으로 개방된 접속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상기 복수의 기판 각각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에 대응되는 복수의 장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착면은 이웃하는 장착면 간에 계단식 단차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장착면에 상기 복수의 광조사 유닛이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핀 그룹 각각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장착면 중에서 대응되는 장착면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단차 중에서 적어도 2이상이 서로 상이한,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190157956A 2019-12-02 2019-12-02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KR10232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56A KR102322468B1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US16/899,875 US11149928B2 (en) 2019-12-02 2020-06-12 Lamp with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memb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02010552657.4A CN112984451B (zh) 2019-12-02 2020-06-17 车辆用灯具以及组装车辆用灯具的方法
EP20183172.4A EP3832195A1 (en) 2019-12-02 2020-06-30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956A KR102322468B1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676A KR20210068676A (ko) 2021-06-10
KR102322468B1 true KR102322468B1 (ko) 2021-11-05

Family

ID=7637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956A KR102322468B1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4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98B1 (ko) * 2009-08-26 2012-10-1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300577B1 (ko) 2012-07-26 2013-08-27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자동차용 led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214B1 (ko) 2012-12-20 2014-06-13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KR101480946B1 (ko) * 2014-09-23 2015-01-14 장영환 차량용 조명 장치
US10359179B2 (en) 2016-10-14 2019-07-23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source unit and vehicular lam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0617B2 (ja) 2004-08-24 2009-10-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US8911253B2 (en) * 2011-06-13 2014-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KR20140054921A (ko) * 2012-10-30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방열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램프 조립체
KR20140100325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98B1 (ko) * 2009-08-26 2012-10-1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300577B1 (ko) 2012-07-26 2013-08-27 주식회사 이노렉스테크놀러지 자동차용 led 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214B1 (ko) 2012-12-20 2014-06-13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KR101480946B1 (ko) * 2014-09-23 2015-01-14 장영환 차량용 조명 장치
US10359179B2 (en) 2016-10-14 2019-07-23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source unit and vehicula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676A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620B2 (en) LED assembly with reverse circuit board
JP4500273B2 (ja) 車両用前照灯
CN101806421B (zh) 光源模组和车灯
US7701144B2 (en) Vehicular lamp
US7441933B2 (en) Vehicular lamp
US7535727B2 (en) Light source module
CN106338043B (zh) 光源单元、照明装置和车辆
KR20070091548A (ko) 광원 모듈 및 차량용 등기구
EP1954978B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directing light
US20110286231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CN102563481A (zh) 车辆用灯具的半导体型光源的光源单元、车辆用灯具
WO2011030375A1 (ja) ヘッドランプ用led点灯装置及びヘッドランプ
KR102322468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KR102313643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JP4835605B2 (ja) 車両用灯具
KR10225248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
WO2017183449A1 (ja) 給電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9199780A (ja) 車両用灯具
US11149928B2 (en) Lamp with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memb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7121574B2 (ja) 灯具
JP7280104B2 (ja) 灯具ユニット
CN218095746U (zh) 照明模组及远近光照明装置
CN212841331U (zh) 灯具单元
WO2023176960A1 (ja) 回路ユニット、回路ユニットの製造方法、回路ユニットの収容構造、および回路ユニットを備えた装置
WO2022071433A1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