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69B1 -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69B1
KR102322369B1 KR1020170028726A KR20170028726A KR102322369B1 KR 102322369 B1 KR102322369 B1 KR 102322369B1 KR 1020170028726 A KR1020170028726 A KR 1020170028726A KR 20170028726 A KR20170028726 A KR 20170028726A KR 102322369 B1 KR102322369 B1 KR 10232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er cover
dust cover
dash panel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2292A (en
Inventor
안형준
배진호
김용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6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4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aling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시 패널에 고정되며,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끼워지는 엔진룸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커버와 함께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되고, 실내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인너 커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dash panel and fixed to the dash panel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and the outer cover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engine room side bearing member fitted to the intermedia shaft, and accommodates the indoor bearing member, the outer cover and an inner cover that is positioned to face and is provided to form a sealed air layer area therein.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v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v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noise generated from an engine room from flowing into an interio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은 상단측에 스티어링 휠이 장착되는 조향축과, 조향축의 하단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인터미디어 샤프트와, 조향축을 감싸는 컬럼 튜브와, 컬럼 튜브의 상하단측에 각각 결합되면서 차체측에 해당하는 카울 크로스멤버와 결합되어지는 어퍼 브라켓 및 로어 브라켓과,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 인터미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대시패널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더스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includes a steering shaft on which a steering wheel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an intermedia shaf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through a universal joint, a column tube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and a column tube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the cowl cross member corresponding to the body side, and the dash panel is penetrated by the intermedia shaft and partially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 shaft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ust cover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이러한 더스트커버는 엔진룸을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 및 베어링부재의 바깥 둘레면을 감싸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다.The dust cover is installed to block noise flowing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engine room, and is composed of a bearing member fitted to the intermediate shaft and a rubber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member.

여기서, 베어링부재는 내부에 오일 대신 그리스(grease)가 충진된 오일리스 베어링부재이다.Here, the bearing member is an oilless bearing member filled with grease instead of oil.

한편, 고무부재는 베어링부재(5)를 감싸는 인너 커버(2), 인너 커버(2)를 감싸며 대시 패널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커버(3)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rubber member includes an inner cover 2 surrounding the bearing member 5 and an outer cover 3 surrounding the inner cover 2 and formed to be coupled to the dash panel.

그러나, 상기와 같은 더스트커버의 구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업다운 시 인너 커버(2)가 아우터 커버(3)에 눌려 인터미디어 샤프트(1)의 회전 프릭션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틸트 업다운에 따라 고무막 커튼(4)의 눌림량이 변경되어 차음 성능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dust cover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 the inner cover 2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over 3 during tilt up and down, so that the rotation friction of the intermedia shaft 1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amount of pressing of the rubber film curtain 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ilt up and down, and thu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changed may occur.

이는, 인너 커버(2)와 아우터 커버(3) 사이의 들뜸 현상으로 발전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그에 따라 주행 중 충격 등으로 인하여 인터미디어 샤프트(1)가 벤딩되는 경우에 엔진룸측의 소음이 실내측으로 대량 유입되어 실내 정숙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This causes the development of a lifting phenomenon between the inner cover 2 and the outer cover 3, and accordingly, when the intermedia shaft 1 is bent due to an impact while driving, the noise from the engine room is generated indoors. It may lead to a problem in which a large amount of inflow into the room deteriorates indoor quietness.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481호(2008.09.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81481 (2008.09.10.)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공기층 영역 내부에 커튼 부재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스트커버가 다중 차폐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inner dust cover and an outer dust cover on an intermedia shaft to form an air layer area, and to install a curtain member inside the air layer area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layer area is divided into a sealed state. By doing so, the dust cover can have a multi-shielding structure, and accordingly, it is to provide a dust cov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that can effectively block noise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는 대시 패널에 고정되며,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끼워지는 엔진룸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아우터 커버와 함께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되고, 실내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인너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dash panel and fixed to the dash panel together with an outer cover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engine room side bearing member fitted to the intermedia shaft and the outer cover, and the indoor bea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ner cover that accommodates the member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outer cover to form an airtight region therei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는 상기 공기층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층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는 커튼 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rtain member installed inside the air layer area and dividing the air layer area into a plurality.

한편,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엔진룸측을 향해 길이를 가지며 구비되고,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며 주름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cover is provided with a length toward the engine room side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to the dash panel, forms a plurality of bending regions, and has a wrinkled structure.

그리고,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엔진룸측 및 실내측의 경계에서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며 주름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ner cover is fixed to the dash panel and forms a plurality of bent area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interior side, and has a wrinkled structure.

또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서 상기 아우터 커버와 겹쳐지게 위치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대시 패널에 상기 아우터 커버와 함께 체결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inner cover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outer cover on the dash panel, and is fasten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to the dash panel by a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인너 커버와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outer cover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the same way as the inner cover.

본 발명은,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공기층 영역 내부에 커튼 부재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스트커버가 다중 차폐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n air layer region is formed by installing an inner dust cover and an outer dust cover on the intermedia shaft, and a curtain member is installed in the air layer region to divide the air layer region in a closed state, The dust cover can have a multi-shielding structure, and thus has the effect of blocking noise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sid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side.

또한, 본 발명은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가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틸트 업다운 시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의 자체 변형을 통해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대한 회전 프릭션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틸트 업다운에 따른 차음 성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inner dust cover and the outer dust cover wrinkled, so that rotation friction on the intermedia shaft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through self-deformation of the inner dust cover and the outer dust cover during tilt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ilt up and down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소음 경로 및 크기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ust cover of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noise path and size chang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에 대한 소음 경로 및 크기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noise path and size change of a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는 조향축의 하단을 기어박스와 연결하되, 조향축은 주변 여건상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기어박스와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고, 튜브와 샤프트로 구성되는 인터미디어 샤프트(Inter Mediate Shaft)(1)를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steering system of a car,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gearbox, but the steering shaft is inclined at an arbitrary angle under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connected to the gearbox, so to satisfy these conditions, it is connected by a universal joint , an Inter Mediate Shaft (1) consisting of a tube and a shaft will be used.

이러한 인터미디어 샤프트(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일측이 조향 휠과 연결된 조향 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조향 휠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차륜에 전달하는 장치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termedia shaft 1 is typically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gearbox,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teering wheel to the wheel through the gearbox. am.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는 인터미디어 샤프트(1)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2, 3)를 수용하며 대시 패널(10)에 고정 설치되어 엔진룸을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mmodates the bearing members 2 and 3 fitted to the intermedia shaft 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dash panel 10, and flow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engine room. It is provided to block nois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cover 100 and an inner cover 200 as shown in FIG. 2 .

아우터 커버(100)는 대시 패널(10)에 고정되며, 인터미디어 샤프트(1)에 끼워지는 엔진룸측 베어링부재(2)를 수용하도록 설치된다.The outer cover 100 is fixed to the dash panel 10 and is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engine room-side bearing member 2 fitted to the intermedia shaft 1 .

즉, 아우터 커버(100)는 일단부가 대시 패널(10)에 체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엔진룸측을 향해 길이를 가지며 연장되어 타단부가 엔진룸측 베어링부재(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는 주름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outer cover 100 has a length and is extended toward the engine room side in a state where one e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dash panel 10 ,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ngine room side bearing member 2 , and the extended length It consists of a pleated structure defining a plurality of bent regions along the direction.

또한, 인너 커버(200)는 일단부가 아우터 커버(100)와 함께 대시 패널(10)에 체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되고, 그 타단부가 실내측 베어링부재(3)를 수용하며, 엔진룸측과 실내측 사이의 경계에서 아우터 커버(100)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 영역(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ner cover 200 has one end extended in a state where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dash panel 10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100 ,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cover 200 accommodates the indoor bearing member 3 , and is connected to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engine room side. It is positioned to face the outer cover 100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door sides and is provided to form an air layer area A sealed therein.

인너 커버(200)는 아우터 커버(100)와 동일하게 대시 패널(1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엔진룸측 및 실내측의 경계에서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며 주름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cover 100 , the inner cover 200 forms a plurality of bent region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interior side while one end is fixed to the dash panel 10 , and has a pleated structure.

여기서, 인너 커버(200)는 대시 패널(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주름 구조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버(100)의 주름 구조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아우터 커버(100)와 함께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밀폐된 공기층 영역(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inner cover 20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pleated structure formed in the state fixed to the dash panel 1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leated structure of the outer cover 100 as shown in FIG.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a sealed air layer region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100 .

또한, 인너 커버(200)는 소음이 표면을 통과하거나, 또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아우터 커버(100)와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ov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cover 100 in order to block noise from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r from entering the inside.

이는, 인너 커버(200)와 아우터 커버(10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틸트 업다운 시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자체 변형을 통해 인터미디어 샤프트(1)에 대한 회전 프릭션이 증대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틸트 업다운에 따른 차음 성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inner cover 200 and the outer cover 100 are made of a wrinkle structure and a rubber material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prevent an increase in rotational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 shaft 1 through self-deformation and to achieve the sam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ilt up and dow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는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와 함께 커튼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urtain member 300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

다시 말해, 커튼 부재(300)는 공기층 영역(A)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인터미디어 샤프트(1)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밀폐된 공기층 영역(A)을 한 쌍으로 분할한다.In other words, the curtain member 300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air layer area (A), provided to contact the intermedia shaft (1) to divide the sealed air layer area (A) into a pair.

그에 따라, 커튼 부재(300)는 5중 차폐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엔진룸측으로 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rtain member 300 can effectively block nois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room side by forming a five-layer shielding structure.

즉, 커튼 부재(300)는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 영역(A)을 한 쌍으로 분할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커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버(100), 공기층 영역(A), 커튼 부재(300), 공기층 영역(A'), 인너 커버(200)로 이루어지는 5중 차폐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엔진룸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5중 차폐 구조를 통과하면서 축소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실내 정숙성이 나빠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urtain member 300 is provided to divide the air layer region A formed by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into a pair, the dust c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As shown, a five-fold shielding structure consisting of the outer cover 100, the air layer area (A), the curtain member 300, the air layer area (A'), and the inner cover 200 is formed, and thus delivered from the engine room side By reducing the nois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ve-layer shielding structur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noise into the room,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poor indoor quietness.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업다운 시 인터미디어 샤프트(1)의 틸팅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인너 커버(2)가 아우터 커버(3)에 눌려 인터미디어 샤프트(1)의 회전 프릭션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 as the tilting angle of the intermedia shaft 1 is varied during tilting up and down, the inner cover 2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over 3 so that the rotation friction of the intermedia shaft 1 is Increasing problems may arise.

그에 따라, 종래의 구조에서는 고무막 커튼(4)과 아우터 커버(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고무막 커튼(4) 사이의 공기층 영역(A)으로 유입되어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으로 들어가는 경우 소리가 증폭되는 공명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rubber membrane curtain 4 and the outer cover 3 , which causes noise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side to flow into the air layer region A between the rubber membrane curtain 4 . This can cause a resonance phenomenon in which sound is amplified when entering a narrow space from a wide spac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가 각각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틸트 업다운에 따른 인터미디어 샤프트(1)의 틸팅 각도 가변 시에도 주름 구조의 자체 변형을 통해 회전 프릭션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틸트 업다운에 따른 차음 성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made of a rubber material are each made of a pleated structure, so that even when the tilting angle of the intermedia shaft 1 is varied according to the tilt up and down, the self-deformation of the pleat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rotational friction through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구조에서 고무막 커튼(4) 구성에 대응하는 커튼 부재(300)가 주름 구조로 이루어진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 내부의 공기층 영역(A)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틸트 업다운에 관계 없이 항상 공기층 영역(A)의 내부에서 인터미디어 샤프트(1)와의 간극이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공기층 영역(A)의 밀폐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curtain member 300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ubber film curtain 4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integrated into the air layer region A inside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having a pleated structure. Because it is formed as a , it is possible to always prevent the gap with the intermedia shaft 1 from being widened in the inside of the air layer area A regardless of the tilt up and down,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the airtight condition of the air layer area A.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가 엔진룸측 베어링부재(2) 및 실내측 베어링부재(3)를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층 영역(A)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일단부가 대시 패널(10)에 함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아우터 커버(100) 및 인너 커버(200)가 구조적으로 일체화를 이루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음이 내부로 유입되어 증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accommodate the engine room side bearing member 2 and the indoor side bearing member 3, respectively, and an air layer area A is formed therein, respectively, By fixing one end of the dash panel 10 together, the outer cover 100 and the inner cover 200 can be structurally integrated, thereby preventing nois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amplified. .

여기서, 인너 커버(200)는 대시 패널(10)에서 아우터 커버(100)와 일단부가 겹쳐지게 위치되며, 체결부재(400)에 의해 대시 패널(10)에 아우터 커버(100)와 함께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cover 200 is positioned so that one end overlaps with the outer cover 100 in the dash panel 10 , and is fastened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100 to the dash panel 10 by a fastening member 400 to be fixed. can be

본 발명은,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공기층 영역 내부에 커튼 부재를 설치하여 공기층 영역이 밀폐된 상태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스트커버가 다중 차폐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엔진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n air layer region is formed by installing an inner dust cover and an outer dust cover on the intermedia shaft, and a curtain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layer regio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layer region is divided into a closed state, The dust cover can have a multi-shielding structure, and thus has the effect of blocking noise generated from the engine room sid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side.

또한, 본 발명은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가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틸트 업다운 시 인너 더스트 커버 및 아우터 더스트 커버의 자체 변형을 통해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대한 회전 프릭션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틸트 업다운에 따른 차음 성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inner dust cover and the outer dust cover wrinkled, so that rotation friction on the intermedia shaft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through self-deformation of the inner dust cover and the outer dust cover during tilt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ilt up and down the same.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part of the (s) may optionally be combine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인터미디어 샤프트 2 : 엔진룸측 베어링부재
3 : 실내측 베어링부재 10 : 대시 패널
100 : 아우터 커버 200 : 인너 커버
300 : 커튼 부재 400 : 체결부재
A, A' : 공기층 영역
1: Intermedia shaft 2: Engine room side bearing member
3: indoor bearing member 10: dash panel
100: outer cover 200: inner cover
300: curtain member 400: fastening member
A, A' : air layer area

Claims (6)

대시 패널에 고정되며, 인터미디어 샤프트에 끼워지는 엔진룸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커버;
상기 아우터 커버와 함께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되고, 실내측 베어링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인너 커버; 및
상기 공기층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층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는 커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an outer cover fixed to the dash panel and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engine room-side bearing member fitted to the intermedia shaft;
an inner cover fixed to the dash panel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accommodating an indoor bearing member, and positioned to face the outer cover to form an airtight area therein; and
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air layer region, further comprising a curtain member for dividing the air layer region into a pluralit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엔진룸측을 향해 길이를 가지며 구비되고,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며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over,
The dust cover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toward the engine room side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dash panel, has a plurality of bending regions, and has a wrinkle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엔진룸측 및 실내측의 경계에서 복수의 절곡 영역을 형성하며 주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over,
A dust cov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dash panel and has a wrinkled structure, forming a plurality of bent area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ngine room side and the interio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는,
상기 대시 패널에서 상기 아우터 커버와 겹쳐지게 위치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대시 패널에 상기 아우터 커버와 함께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over,
The dust cover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outer cover on the dash panel, and is fastened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to the dash panel by a fasten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인너 커버와 동일하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over,
A dust cov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cover.
KR1020170028726A 2017-03-07 2017-03-07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23223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26A KR102322369B1 (en) 2017-03-07 2017-03-07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26A KR102322369B1 (en) 2017-03-07 2017-03-07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92A KR20180102292A (en) 2018-09-17
KR102322369B1 true KR102322369B1 (en) 2021-11-04

Family

ID=6372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726A KR102322369B1 (en) 2017-03-07 2017-03-07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538A1 (en)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Dust cap for steering system
CN112009394A (en) * 2020-09-11 2020-12-01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Steering column assembly of vehicle and vehicle
CN115257676A (en) * 2022-07-22 2022-11-01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Input push rod of electric brake booster, maintenance device and maintenance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42B1 (en) * 2014-12-11 2016-04-06 주식회사 디엠씨 Steering shaft fixed bear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951B1 (en) * 2005-03-03 200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ust cover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0919395B1 (en) 2007-03-05 2009-09-29 주식회사 만도 Double Dust Cover and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468772B1 (en) * 2012-09-28 2014-1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noise and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of steering lower shaft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42B1 (en) * 2014-12-11 2016-04-06 주식회사 디엠씨 Steering shaft fixed bear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92A (en)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369B1 (en) Dust cover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CN109249795B (en) Engine suspension
JP6354309B2 (en) Blower device
JP5206929B2 (en) Steering dust seal
KR100633951B1 (en) dust cover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10543762B2 (en) Vehicle seat air-blowing apparatus and vehicle seat
ITMI981710A1 (en) SUPPORT SYSTEM OF AN OPERATING LEVER FOR EXTERNAL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CN107032210A (en) Elevator device sound attenuation assembly and method
US10516317B2 (en) Motor bearing arrangement for a motor, in particular of a fan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unit
JP5003463B2 (en) Body structure
CN105937827A (en) Air door device
JP4893362B2 (en) Power transmission shaft
JP2007137218A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40042150A (en) Dash cover and dust cover of steering lower shaft for automobile
JP6330610B2 (en) Side door structure for vehicles
JP2009019710A (en) Axial displacement absorbing structure
JP2007218157A (en) Fan shroud for vehicle
JPS6048385B2 (en) Bumpful structure of automobile cowl ventilation device
JP2009292199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of door
KR102474603B1 (en) Drain plug for door in automobile
KR102105836B1 (en) Radiator bush mount for variable stiffness
KR20070043338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and vibration of blower motor
KR101463238B1 (en) Variable valve for car muffler
KR102163971B1 (en) Watertight device of a vehicle axle assembly
JP6648680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