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90B1 -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90B1
KR102321990B1 KR1020210056701A KR20210056701A KR102321990B1 KR 102321990 B1 KR102321990 B1 KR 102321990B1 KR 1020210056701 A KR1020210056701 A KR 1020210056701A KR 20210056701 A KR20210056701 A KR 20210056701A KR 102321990 B1 KR102321990 B1 KR 10232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ember
retractor
lower body
installation box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식
Original Assignee
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식 filed Critical 강명식
Priority to KR102021005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자가 상해를 입지 않아도 되게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안정되며, 상황에 맞추어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고, 양쪽 다리의 근력 운동을 번갈아 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가진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선단에 기립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2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2개의 기둥부재 사이로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 박스와;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에 마련된 축에 대해 감겨져 수용 설치되고, 선단이 스프링 설치박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인장력 작용 시 길게 인출되고 인장력의 제거 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로 몰입되는 스트립부재와; 상기 스트립부재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앙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LM 베어링 블록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스트립부재의 선단이 고정되며, 양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좌우 날개를 가지는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와;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의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좌우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 LM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좌우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좌우 LM 베어링 블록 위에 고정되어 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후방 위치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각기 좌우측 발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좌우 발판부재와; 상기 좌우 발판부재로부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 측으로 돌출 연장하되, 선단 절곡편이 상기 좌우 날개에 접하여 지지되므로써 상기 좌우 발판부재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를 후방측으로 힘을 가해 강제 이동시키는 견인기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Lower body muscle strength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 시 자세 안정성이 높으며, 신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고 견고한 구조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리의 근육이 빠지면서 점차 힘이 없어져 무기력하게 되고, 특히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 현대인들은 다리가 매우 취약해지기 마련이어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권유하고 있으며, 체형의 결점을 보정하기 위한 미용을 목적으로 하거나, 불편한 신체의 재활을 위한 목적으로 운동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바, 특히 신체의 건강도에 다리 근력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다리 근육을 키우기 위해 등산을 하거나 헬스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이 같은 등산이나 헬스장 이용에는 시간이나 특별한 노력이 요구되므로 평시에 기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수시로 운동할 수 있는 다리 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같은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4662호에 개시된 다리운동기구가 있다. 동 선행기술은 사무실 또는 독서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 책상 아래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업무 또는 공부를 하면서도 다리의 근육강화 운동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운동기구를 제공하고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상기한 종래의 다리운동기구(10)는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아대(20)와, 일단이 아대(20)와 결합되고,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0)와, 탄성부재(3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정해진 형상을 갖는 고정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고정구(40)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30)를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다리 근육 강화 운동이 수행되도록 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구(40)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0)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굽혔다 폈다의 반복운동을 하므로써 다리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다리운동기구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편하고 크기가 작아 간편하게 책상 밑에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탄성부재(30)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코일 스프링이 항시 기본적인 길이로 노출되게 신장되어 있고, 또 인장력 작용에 의해 길이가 신장 시 코일 틈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또는 신체의 일부가 끼여 상해를 입을 수도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특성상 탄성 강도의 조정이 어려워 사용자가 자신의 다리 근력 상태에 맞게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없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별히 안정되고 고정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탄성부재(30)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늘어난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여 갑자기 수축하게 될 때 튀어오를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466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운동자가 상해를 입지 않아도 되게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안정되며, 상황에 맞추어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있고, 양쪽 다리의 근력 운동을 번갈아 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가진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선단에 기립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2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2개의 기둥부재 사이로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 박스와;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에 마련된 축에 대해 감겨져 수용 설치되고, 선단이 스프링 설치박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인장력 작용 시 길게 인출되고 인장력의 제거 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로 몰입되는 스트립부재와; 상기 스트립부재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앙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LM 베어링 블록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스트립부재의 선단이 고정되며, 양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좌우 날개를 가지는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와;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의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좌우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 LM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좌우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좌우 LM 베어링 블록 위에 고정되어 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후방 위치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각기 좌우측 발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좌우 발판부재와; 상기 좌우 발판부재로부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 측으로 돌출 연장하되, 선단 절곡편이 상기 좌우 날개에 접하여 지지되므로써 상기 좌우 발판부재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를 후방측으로 힘을 가해 강제 이동시키는 견인기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은 회전 가능한 회전축이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장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 측으로 일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웜축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스프링 장력조절기구와;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외부로 연장된 상기 웜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웜축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 및 상기 축과 스파이럴 스프링 장력조절기구 사이를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을 해제하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기둥부재와 일직선 형태 또는 기둥부재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며,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 측 손잡이의 하부로는 팔받침용 판재가 소정 높이에 고정 또는 소정 높이로 상하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좌우 날개와 상기 견인기 이동체의 선단 절곡편 사이의 접촉면은 상호 계합하는 요철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로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기구로 LM 가이드 기구를 중앙과 좌우 양쪽에 설치하고 있어 매우 견고하고 흔들림이 없으며, 안정된 자세에서 좌우 다리를 번갈아면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장력을 조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 손잡이와 팔받침대를 함께 두어 손잡이를 움켜잡음과 동시에 팔꿈치를 발받침대에 지지토록 할 수 있어 자세의 안정성이 높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평시 스프링 기구가 박스 속에 수용되어 있어 외관이 깨끗하고, 종래 코일 스프링과 달리 인출되는 스트립부재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신체 일부가 찝혀 부상당할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좌우 날개와 상기 견인기 이동체의 선단 절곡편 사이의 접촉면은 상호 계합하는 요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력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스트립부재의 리트랙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장력조절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한 LM 가이드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T자형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와 견인기 이동체의 접촉부위 구조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오른다리의 근력 강화 운동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왼쪽다리의 근력 강화 운동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다리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먼저, 전체를 부호 10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100)는, 소정의 두께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면적을 가진 판상부재로서 된 베이스부재(10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102) 하부에는 각 코너마다에 지지다리(104)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지지다리(104)는 필요에 따라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적어도 2개의 지지다리(104)를 바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2) 선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기둥부재(106)가 기립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106)의 상부에 손잡이(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08)는 기둥부재(106)와 일직선 형태 또는 기둥부재(106)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재(106)의 상부 측 손잡이(108)의 하부로는 팔받침용 판재(110)가 소정 높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조임 볼트 등의 고정구(112)에 의해 소정 높이로 상하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2개의 기둥부재(106) 사이로 베이스부재(102) 위에 스프링 설치 박스(하우징)(11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 설치 박스(하우징)(114) 내에는 회전축(116)의 외주에 감겨진 스파이럴 스프링(118)이 수용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마치 통상의 스프링 줄자 또는 진공 청소기의 전선 감아들임기구와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서, 도 4의 리트랙션을 나타낸 단면도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과 같이, 스트립부재(120)의 신장되지 않은 부분은 릴(122)에 권취되며, 릴(122)은 스프링 설치 박스(1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릴(122)은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스파이럴 스프링(118)은 릴(122)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릴(12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스트립부재(120)의 동력화된 리트랙션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스프링 설치 박스(114)로부터의 스트립부재(120)의 신장 중에 감겨지거나 권취되어 에너지를 저장하고 또한 스트립부재(120)의 리트랙션 동안 (예를 들어, 스트립부재(120)의 해제 또는 언록킹에 뒤이어) 풀려져 에너지를 방출하고 릴(122)로의 스트립부재(120)의 되감기를 구동하도록 스파이럴 스프링(118)은 회전축(116)과 릴(122)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또는 릴(122)을 통하여 스트립부재(120)의 내부 말단에 직접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립부재(120)가 언록킹 또는 해제될 때, 스파이럴 스프링(118)은 팽창하여 릴(122)을 구동시켜 스트립부재(120)를 권취하고 스트립부재(120)를 스프링 설치 박스(하우징)(114) 내로 뒤로 당기며, 이를 위해 기어 트레인(124)을 가진 리트랙션 시스템(1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부재(120)의 선단(120a)은 스프링 설치박스(114)의 인출공(128)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스트립부재를 잡아당기는 방향의 인장력 작용 시 상기 스트립부재(120)가 인출되고 인장력의 제거 시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릴(122)이 역회전 구동하면서 스트립부재(120)를 감아들여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114) 내로 스트립부재(120) 몸체가 몰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16)은 스프링 설치 박스(114)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추가적으로 스파이럴 스프링(118)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상기 회전축(116)에 고정 장착되는 웜기어(130)와, 상기 웜기어(130) 측으로 일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웜축(132)으로 구성된 장력조절기구(134)가 스프링 설치 박스(114)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114) 외부로 돌출 연장된 상기 웜축(132)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웜축(132)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136) 및 장력조절기구(134)를 회전축(116)에 대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13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2)에는 상기 스트립부재(120)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LM 가이드 기구(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LM 가이드 기구(140)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열차 레일 구조의 (중앙) LM 가이드 레일(142)과,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베어링 구조물인 LM 베어링 블록(144)으로 구성되며, 상기 LM 베어링 블록(144)의 상부에는 T자형의 금속 판상부재로 된 스트립부재 견인기(146)가 LM 베어링 블록(144)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의 선단에 상기 스트립부재(120)의 선단(120a)이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또는 적절한 연결수단을 경유하여 고정된다.
상기 LM 가이드 기구(140)의 중앙 LM 가이드 레일(142)의 좌우 양측으로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 예를 들면 오른발과 왼발을 자연스럽게 벌린 간격을 두고 좌우 LM 가이드 기구(148)(150)가 고정 설치되며, 좌우 LM 가이드 기구(148)(150)는 좌우 LM 가이드 레일(152)(154)과, 상기 좌우 LM 가이드 레일(152)(154)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주행하는 좌우 LM 베어링 블록(156)(15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 LM 베어링 블록(156)(158) 위에는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의 후방 위치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각기 좌우측 발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좌우 발판부재(160)(16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발판부재(160)(162)는 왼발과 오른발을 각각 지지하여 뒤로 밀어 내는 힘을 가하기 용이하게 육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타팅 블럭처럼 삼각형 형상으로 생긴 것으로 경사면(160a)(162a)을 가지고 있다.
상기 좌우 발판부재(160)(162)로부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146) 측으로 돌출 연장하되, 그것의 선단 절곡편(164a)(166a)이 상기 T자형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에서 좌우로 돌출하여 형성된 좌우 날개(146a)(146b)에 접하여 지지되므로써 상기 좌우 발판부재(160)(16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146)를 후방측으로 힘을 가해 강제 이동시키는 견인기 이동체(164)(166)가 상기 좌우 발판부재(160)(162)에 직접 용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수단을 경유하여 연결되며, 상기 T자형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의 좌우 날개(146a)(146b)와 상기 견인기 이동체(164)(166)의 선단 절곡편(164a)(166a) 사이의 접촉면은 도시한 것처럼 단순 일직선의 평면 접촉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요철 결합 구조(168)(170), 즉, 좌우 날개(146a)(146b)에 움푹하게 함몰된 요홈부(168)를 형성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선단 절곡편(164a)(166a)에는 상기 요홈부(168)에 수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한 철부(170)로 형성함으로써 견인기 이동체(164)(166)와 스트립부재 견인기(146)가 함께 이동 시 흔들림 등이 방지되고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하체 근력을 키우는 운동 시 기구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100)는 도 1의 초기 셋팅 상태에서 운동자가 자신의 다리 근력 정도에 맞게 장력조절기구(134)의 회전 노브(136)를 회전시켜 스파이럴 스프링(118)의 장력을 조절하는 데(이때는 클러치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회전 노브(136)를 장력이 커지는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장력 증가를 정방향 회전으로 함) 웜축(132)이 정방향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웜기어(130) 및 회전축(116)이 회전하면서 축(116)의 외부에 감겨진 스파이럴 스프링(118)의 피치가 촘촘해지도록 감아붙이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전보다 스프링의 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면 클러치(138)를 해제하고, 운동자는 자신의 발을 각기 견인기 이동체(154)(156) 위에 올린 상태로 올라탄다.
그 상태에서 먼저 근력 운동을 하고 싶은 발, 예를 들어 오른발의 발바닥을 경사면(162a)에 밀착(이때 왼발은 견인기 이동체(164) 위에 놓여져 있는 상태이다)하도록 하고, 양 손은 각기 손잡이(108)(108)를 잡은 상태에서(이때 팔받침용 판재(110) 위에 팔을 올려 지지하면 더욱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오른발을 힘껏 뒤로 밀어내면 그 밀어내는 힘에 의해 우 발판부재(162)가 LM 가이드 블록(158)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따라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며, 이 후퇴하는 힘은 선단 절곡편(166a)을 통해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에도 전달되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146)에 연결된 스트립부재(120)가 릴(122)에서 풀려 박스(114) 밖으로 인출되어지며(도 8 참조),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118)이 감기면서 내부에 복원탄성력을 축적하여 릴(12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상태가 된다.
이 같이 하여 도 8과 같이 우 발판부재(162)가 발의 뒤로 미는 힘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면 1회의 오른다리 근력 운동이 완성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발의 힘을 서서히 빼면 릴(122)의 내부에서 복원탄성력을 축적하고 있던 스파이럴 스프링(118)이 풀리면서 릴(12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릴(122)이 스트립부재(120)를 감아들이게 되고, 박스(114) 속으로 몰입되는 이 스트립부재(120)가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146)를 끌고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우 발판부재(162)는 초기 위치인 도 1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로써 오른다리의 1사이클 운동이 종료되는 것이다.
기구의 사용자가 오른다리의 근력운동을 계속 반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선 과정을 반복하면서 운동을 진행하며, 왼다리의 근력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오른발은 우측 견인기 이동체(166) 위에 안치시키고, 왼발의 발바닥은 좌 발판부재(160)의 경사면(160a)에 밀착한 상태에서(이때 왼발 발가락 끝은 좌측 견인기 이동체(164)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상태이다), 왼발을 뒤로 힘껏 밀면, LM 가이드 레일(152)의 안내를 따라 발판부재(160)와 견인기 이동체(164), T자형 스트립부재 견인기(146), 좌측 LM 베어링 블록(156) 및 중앙 LM 베어링 블록(144)이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 힘이 스트립부재(120)에 가해져 풀림 방향으로 릴(122)이 회전하면서 스트립부재(120)가 박스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스파이럴 스프링이 감기면서 내부에 복원탄성력(이 힘은 외력이 제거 시 릴(12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다)을 축적하며, 운동자의 왼발이 힘을 가하여 후방 끝까지 뻣었다면 왼다리 근력 운동이 완성된 것이며, 이 상태에서 왼발에 의해 좌 발판부재에 가해지던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거하면, 스파이럴 스프링(118)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릴(122)이 역회전 구동되면서 스트립부재(120)를 감아들이게 되며, 이 감아들이는 힘에 의해 T자형 스트립부재 견인기(146), 중앙 LM 베어링 블록(144), 견인기 이동체(164), 좌 발판부재(160) 및 좌측 LM 베어링 블록(156)이 함께 전방 위치로 이끌려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며(도 1 상태), 이 같은 1싸이클의 동작이 끝나면 계속해서 왼다리의 후진과 전진 운동을 반복하여 왼다리쪽 하체의 근력을 단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102: 베이스부재
104: 지지다리 106: 기둥부재
108: 손잡이 110: 팔받침용 판재
112: 고정구(볼트) 114: 스프링 설치 박스(하우징)
116: 회전축 118: 스파이럴 스프링
120: 스트립부재 122: 릴
124: 기어 트레인 126: 리트랙션 시스템
128: 인출공 130: 웜기어
132: 웜축 134: 장력조절기구
136: 회전 노브 138: 클러치
140: (중앙)LM 가이드 기구 142: LM 가이드 레일
144: LM 베어링 블록 146: 스트립부재 견인기
146a,146b: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좌우 날개
148,150: (좌우)LM 가이드 기구 152,154: (좌우)LM 가이드 레일
156,158: (좌우)LM 베어링 블록 160,162: (좌우)발판부재
160a,162a: 발판부재의 경사면 164,166: 견인기 이동체
164a,166a: 선단 절곡편 168: 요홈부
170: 철부

Claims (4)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선단에 기립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2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2개의 기둥부재 사이로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 박스와;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에 마련된 축에 대해 감겨져 수용 설치되고, 선단이 스프링 설치박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인장력 작용 시 길게 인출되고 인장력의 제거 시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내로 몰입되는 스트립부재와; 상기 스트립부재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중앙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LM 베어링 블록의 상부에 지지고정되고, 상기 스트립부재의 선단이 고정되며, 양측으로 연장 돌출하는 좌우 날개를 가지는 T자형의 스트립부재 견인기와; 상기 중앙 LM 가이드 레일의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좌우 LM 가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 LM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직선 주행하는 좌우 LM 베어링 블록과; 상기 좌우 LM 베어링 블록 위에 고정되어 발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후방 위치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각기 좌우측 발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좌우 발판부재와; 상기 좌우 발판부재로부터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 측으로 돌출 연장하되, 선단 절곡편이 상기 좌우 날개에 접하여 지지되므로써 상기 좌우 발판부재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를 후방측으로 힘을 가해 강제 이동시키는 견인기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회전 가능한 회전축이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장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 측으로 일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웜축으로 구성된 스파이럴 스프링 장력조절기구와; 상기 스프링 설치박스 외부로 연장된 상기 웜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웜축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노브 및 상기 축과 스파이럴 스프링 장력조절기구 사이를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을 해제하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기둥부재와 일직선 형태 또는 기둥부재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며,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 측 손잡이의 하부로는 팔받침용 판재가 소정 높이에 고정 또는 소정 높이로 상하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재 견인기의 좌우 날개와 상기 견인기 이동체의 선단 절곡편 사이의 접촉면은 상호 계합하는 요철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20210056701A 2021-04-30 2021-04-30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232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1A KR102321990B1 (ko) 2021-04-30 2021-04-30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1A KR102321990B1 (ko) 2021-04-30 2021-04-30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990B1 true KR102321990B1 (ko) 2021-11-05

Family

ID=7850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01A KR102321990B1 (ko) 2021-04-30 2021-04-30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627A (ja) * 2000-05-23 2001-11-27 Omron Corp 運動機器
KR20110004662U (ko) 2009-11-04 2011-05-12 최봉락 다리운동기구
KR101792216B1 (ko) * 2016-11-24 2017-11-06 주식회사 펀키 웨이트 운동 기구
KR102056381B1 (ko) * 2018-07-02 2019-12-16 김동오 콘텐츠와 연동하는 가변 기울기를 갖는 스텝퍼장치
KR102084013B1 (ko) * 2018-11-20 2020-03-04 주식회사 지엔브이 전동식 척추 스트레칭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627A (ja) * 2000-05-23 2001-11-27 Omron Corp 運動機器
KR20110004662U (ko) 2009-11-04 2011-05-12 최봉락 다리운동기구
KR101792216B1 (ko) * 2016-11-24 2017-11-06 주식회사 펀키 웨이트 운동 기구
KR102056381B1 (ko) * 2018-07-02 2019-12-16 김동오 콘텐츠와 연동하는 가변 기울기를 갖는 스텝퍼장치
KR102084013B1 (ko) * 2018-11-20 2020-03-04 주식회사 지엔브이 전동식 척추 스트레칭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86779A1 (en) Resistance devices, total-body exercise machines outfitted therewith, and exercise methods using such devices and machines
US9265986B1 (en)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WO2001056663A1 (en) Hiking exercice apparatus
WO1994002214A1 (en) Improved stepper exercise machine
US20100234191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CN109011374A (zh) 一种仰卧起坐辅助装置
US11771940B2 (en)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KR102321990B1 (ko) 하체 근력 강화 운동기구
CN113499568A (zh) 一种基于磁力拉伸训练的医疗康复用患者下肢屈伸锻炼装置
CN209933976U (zh) 一种体操韧带训练装置
CN110801605A (zh) 一种可调节高度的压腿架
CN113577680B (zh) 一种健美操柔韧性辅助训练装置
KR102550737B1 (ko) 트램폴린 운동기구
CN109138825B (zh) 一种安全爬梯
CN115364444A (zh) 一种康复训练装置
CN113893496A (zh) 一种四肢协调主动运动康复训练器
CN208389267U (zh) 一种健美操形体训练装置
CN112827129A (zh) 一种舞蹈学习后腿部拉伸放松设备
CN213643025U (zh) 一种舞蹈训练用拉伸设备
CN116115960B (zh) 多维度上肢鞭打动作训练机及其使用方法
CN220213354U (zh) 肢体拉伸训练器的运动机构
CN215741585U (zh) 同异向可变循环往复运动机构及健身设备
CN113500151B (zh) 一种健身圈用金属圈折弯装置
CN220989561U (zh) 一种下肢运动康复用仿人体运动康复装置
CN113499564B (zh) 同异向可变循环往复运动机构及攀爬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