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737B1 - 트램폴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트램폴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737B1
KR102550737B1 KR1020210085938A KR20210085938A KR102550737B1 KR 102550737 B1 KR102550737 B1 KR 102550737B1 KR 1020210085938 A KR1020210085938 A KR 1020210085938A KR 20210085938 A KR20210085938 A KR 20210085938A KR 102550737 B1 KR102550737 B1 KR 10255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rame
sides
trampolin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4097A (ko
Inventor
권혁동
하경수
박진실
정한일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KR102021008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737B1/ko
Priority to PCT/KR2022/009118 priority patent/WO2023277478A1/ko
Publication of KR2023000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트램폴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램폴린 운동기구는 통상의 트램폴린(10); 상기 트램폴린(10)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지주프레임(22)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손잡이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하부로부터 상단 양측으로부터 로프(60)가 이어져 사용자를 결속시킬 수 있는 벨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램폴린 운동기구{Trampoline fitness equipment}
본 발명은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트램폴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트램폴린(Trampoline)이란, 대략 원형형상의 탄성시트의 외주를 따라 탄성부재를 지지대에 연결한 점핑놀이용 탄성구조물로서, 근래에 들어 다이어트용 운동기구으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에 제안된 트램폴린 운동기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Figure 112021075754678-pat00001
지지대로부터 손잡이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여러 가지 동작을 취함으로써 운동할 수 있게 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트램폴린 운동기구는 손을 잡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취할 수 있는 동작에 제한이 따름은 물론 사용자가 트램폴린의 밖으로 이탈될 위험성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트램폴린이 전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트램폴린"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9537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2000016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0293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11206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앙에 트램폴린이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부로 이어지게 하는 지지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지지프레임의 양측 지주프레임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게 하는 손잡이프레임이 구성되며, 그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로부터 상단 양측으로부터 로프가 이어져 사용자를 결속시킬 수 있는 벨트로 구성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이 견고하게 구성되어 구조물의 전도 위험성이 없고, 손잡이부가 넓은 범위로 형성되어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벨트가 구비되어 운동중 트렘폴림 밖으로 이탈될 염려가 없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손잡이프레임높이조정수단을 나타낸 일부 단면확대도
도 4는 도 3에 원터치조정레버를 적용한 예시도 및 그 작동도
도 5는 도 1의 권취드럼 기어박스에 양방향라켓기어장치를 적용한 정면도(a), 그 평면도(b), 그 배면도(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결속공(22a),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램폴린(10); 상기 트램폴린(10)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지주프레임(22)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손잡이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하부로부터 상단 양측으로부터 로프(60)가 이어져 사용자를 결속시킬 수 있는 벨트(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트램폴린(10)은 통상의 트램폴린(1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램폴린(10)의 하부를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결속고리(11)로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램폴린(10)의 양측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받침프레임(21)이 설치되고, 그 받침프레임(21)으로부터 수직으로 지주프레임(22)이 설치되며, 그 지주프레임(22)의 상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지주프레임(22) 사이가 이어지게 상단프레임(23)이 가교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단프레임(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22)의 상단에 삽입되어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받침프레임(21)은 저면 양측에 바퀴(21a)가 설치되어 이동 및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지주프레임(22)에 승강안내관(31)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승강안내관(3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교형태의 손잡이프레임(3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손잡이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간단하게 양측 지지프레임(20)의 지주프레임(22)에 수직으로 일정간격 결속공(22a)을 형성하며, 그 결속공(22a)을 손잡이프레임(30)의 승강안내관(31)으로부터 삽입되는 결속구(41)를 갖는 결속레버(40)로 나사체결하여 결속함으로써 높이를 조정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술한 손잡이프레임(30)의 높이조정수단은 상단프레임(23)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지주프레임(22)으로부터 상단프레임(23)의 높이조정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손잡이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양측으로 심박수센서(32)가 부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심박수의 변동을 체크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심박수 변동의 표시는 본 발명 운동기구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는 모니터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웨어러블 등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20)의 전방에 모니터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체크 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설치되며, 트레이너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해 트레이너프로그램에 맞춰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로부터 골반을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상단에 도르레(61)가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 권취드럼(70)이 설치되어 벨트(50)로부터 도르레(61)를 거쳐 권취드럼(70)으로 로프(60)가 이어져 권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벨트(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간단하게 권취드럼(70)에 모터(M)를 설치함으로써 모터(M)의 구동에 의해 벨트(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높이 조정의 고정은 모터의 토크압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M)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M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터(M)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리모콘으로 조정될 수 있고, 또는 손잡이프레임(30)의 어느 한 곳에 조정버튼을 구성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이 견고하게 구성되어 구조물의 전도 위험성이 없고, 손잡이부가 넓은 범위로 형성되어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벨트(50)가 구비되어 운동중 사용자가 트램폴린(10) 밖으로 이탈될 염려가 없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프레임(20)의 구체적 구성은 각 프레임이 분리가 가능하므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실내의 높이에 따라 최대높이가 조정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손잡이프레임(30) 및 벨트(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알맞게 맞출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모터(M) 및 리모콘을 이용하여 벨트(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은 벨트(50)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 높이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프레임(30)의 높이조정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레버(40)를 당겨서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가 결속공(22a)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결속레버(40)를 원위치로 회전하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가 결속공(22a)에 결속되는 원터치조정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원터치조정레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안내관(31)의 일측으로부터 내부에 탄설공간을 갖도록 돌출관(31a)을 구성하고, 그 돌출관(31a)의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31b)를 구성하며, 그 덮개(31b)를 관통하여 지주프레임(22)의 결속공(22a)을 관통하도록 결속구(41)를 갖는 결속레버(40)를 덮개(31b)에 결합하되, 그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는 끝단에 탄지원판(41a)을 설치하여 탄설공간의 덮개(31b) 내측면으로부터 탄지원판(41a)을 밀도록 스프링(S)을 탄설하며, 그 결속레버(40) 내측단은 축부의 양측면을 절개한 턱부(40a)로 형성하고, 그 덮개(31b)의 외측단은 축부의 중앙을 절개한 홈부(31c)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평상시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가 승강안내관(31)으로부터 지주프레임(22)의 결속공(22a)을 탄성가압하여 결속한 상태가 되고, 위치조정시 결속레버(40)를 당겨서 90도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로 놓으면 결속레버(40)의 턱부(40a)가 덮개(31b)의 외면에 걸린상태가 되어 결속구(41)가 결속공(22a)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고정되며, 다시 결속레버(40)를 당겨서 90도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로 놓으면 결속레버(40)의 턱부(40a)가 덮개(31b)의 홈부(31c)에 삽입되면서 결속구(41)가 결속공(22a)에 삽입되어 결속한 상태가 된다.
즉, 손잡이프레임(30)의 조정시 한쪽 손잡이프레임(30)의 승강안내관(31)으로부터 결속레버(40)를 당겨 결속을 해제한 다음 반대쪽의 결속레버(40)를 당겨 양쪽 모두의 결속을 해제한 후 손잡이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 한쪽의 결속레버(40)를 결속한 후 나머지 반대쪽의 결속레버(40)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나사체결식 조임방식에 비해 손잡이프레임(30)의 높이 조정을 원터치 조작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결속이 안정적이고 견고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양쪽의 결속레버(40)가 거리가 멀어 한 번에 손이 닿지 않으므로 한쪽의 결속을 해체한 다음 나머지 한쪽을 해체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높이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벨트(50)의 높이조정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M1) 내에 권취드럼(70)을 구동되게 하는 구동축(71)의 구동기어(72) 전후면에 라쳇기어(73)를 반대방향으로 배치하여 모터(M)에 의한 원동기어(74)에 의해 권취드럼(70)의 회전은 가능하게 하나 로프(60)의 당김에 의한 권취드럼(70)의 회전은 방지되게 하는 양방향라쳇기어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양방향라쳇기어장치는 기어박스(M1) 내에 권취드럼(70)을 구동케 하는 구동축(71)에 구동기어(72)가 결합되고, 그 구동기어(72)의 전후면에 라쳇기어(73)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라쳇기어(73)와 구동기어(72) 사이에 마찰시트(75)가 배치되고, 그 전후면의 라쳇기어(73)에 라쳇기어(73)의 역방향회전을 방지하는 스톱기어(76)가 스프링(S)으로 탄설되며, 그 구동기어(72)를 모터(M)에 의한 원동기어(74)로 회전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모터(M)에 의해 원동기어(74)가 회전하면 구동기어(7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구동축(71) 및 권취드럼(70)을 회전하여 로프(60)를 권취되게 하며, 이때 라쳇기어(73)는 원동기어(74)의 회전방향에 따라 마찰시트(75)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라쳇기어(73)만 회전하고 역방향의 라쳇기어(73)는 공회전하게 되며, 반대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로프(60)의 당겨지면서 권취드럼(70)의 회전시에는 양방향의 라쳇기어(73)가 마찰시트(75)의 마찰력과 가압력으로 구동기어(72)를 견고하게 파지하고 있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모터(M)에 의해 로프(60)의 감거나 풀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권취드럼(70)의 회전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용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트램폴린(10); 상기 트램폴린(10)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지주프레임(22)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손잡이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측 하부로부터 상단 양측으로부터 로프(60)가 이어져 사용자를 결속시킬 수 있는 벨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양측의 지주프레임(22); 그 지주프레임(22)에 삽입되는 승강안내관(31); 그 지주프레임(22)에 수직으로 일정간격 형성되는 결속공(22a); 그 승강안내관(31)에 연결되는 손잡이프레임(30) 및 그 승강안내관(31)으로부터 양측의 지주프레임(22) 사이가 이어지게 가교형태로 설치되는 상단프레임(23); 그 승강안내관(31)의 일측으로부터 내부에 탄설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돌출관(31a); 그 돌출관(31a)의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31b); 그 덮개(31b)를 관통하여 지주프레임(22)의 결속공(22a)을 관통하도록 하는 결속구(41)를 갖는 결속레버(40); 그 돌출관(31a)의 탄설공간 내의 끝단으로부터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에 설치되는 탄지원판(41a); 그 돌출관(31a)의 탄설공간 내측으로부터 탄지원판(41a)을 밀도록 탄설되는 스프링(S); 그 결속레버(40)의 내측단 축부의 양측면을 절개한 턱부(40a); 그 덮개(31b)의 외측단은 축부의 중앙을 절개한 홈부(31c);를 포함하는 원터치조정레버로 이루어져, 상기 결속레버(40)를 결속공(22a)으로부터 당겨서 90도 각도로 회전하면 결속구(41)가 결속공(22a)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결속레버(40)를 원위치로 회전하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레버(40)의 결속구(41)가 결속공(22a)에 결속되어 양측의 지주프레임(22)으로부터 손잡이프레임(30) 및 상단프레임(23)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상기 벨트(50)는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상단에 설치되는 도르레(61); 그 지지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권취드럼(70); 그 벨트(50)로부터 도르레(61)를 거쳐 권취드럼(70)으로 이어져 권취되는 로프(60); 그 권취드럼(70)에 연결되는 기어박스(M1); 그 기어박스(M1) 내에 권취드럼(70)을 구동케 하는 구동축(71); 그 구동축(7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72); 그 구동기어(72)의 전후면에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쳇기어(73); 그 라쳇기어(73)와 구동기어(72)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시트(75); 그 전후면의 라쳇기어(73)에 라쳇기어(73)의 역방향회전을 방지하는 스톱기어(76); 그 스톱기어(76)를 라쳇기어(73)에 탄설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S); 그 구동기어(72)를 모터(M)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원동기어(74);를 포함하는 양방향라쳇기어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M)에 의해 벨트(50)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면서 벨트(50)의 사용에 따라 로프(60)의 당김이 발생할 때 권취드럼(70)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운동기구.
  2. 삭제
KR1020210085938A 2021-06-30 2021-06-30 트램폴린 운동기구 KR10255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38A KR102550737B1 (ko) 2021-06-30 2021-06-30 트램폴린 운동기구
PCT/KR2022/009118 WO2023277478A1 (ko) 2021-06-30 2022-06-27 트램폴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38A KR102550737B1 (ko) 2021-06-30 2021-06-30 트램폴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97A KR20230004097A (ko) 2023-01-06
KR102550737B1 true KR102550737B1 (ko) 2023-07-03

Family

ID=8469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38A KR102550737B1 (ko) 2021-06-30 2021-06-30 트램폴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0737B1 (ko)
WO (1) WO2023277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884A (ko) * 2022-06-28 2024-01-04 (주)동아금속 트램폴린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417B1 (ko) * 2006-02-21 2006-09-13 박홍재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US20190160318A1 (en)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606A (en) * 1996-02-01 1998-08-04 Rich; Rolland Wayne Adjustable trampoline support
KR101222773B1 (ko) * 2011-04-26 2013-01-15 박성기 교정 보행기
US10272284B2 (en) * 2017-02-01 2019-04-30 Mobility Research, Inc. Gait training apparatus for measuring supported weight on each side of a patient in real time as the patient is walking
KR20200011206A (ko) 2018-07-24 2020-02-03 김수현 안전성이 향상된 실내용 트램폴린
JP3226083U (ja) 2019-01-14 2020-04-30 ゼァージャン・ティアンシン・スポーツ・イクイップメン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Zhejiang Tianxin Sports Equipment Co.,Ltd. トランポリンの改善構造
KR20200095372A (ko) 2019-01-31 2020-08-10 김재범 접이식 트램폴린
KR102296085B1 (ko) 2019-07-01 2021-09-01 남기호 스마트 트램폴린 및 스마트 트램폴린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417B1 (ko) * 2006-02-21 2006-09-13 박홍재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US20190160318A1 (en)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478A1 (ko) 2023-01-05
KR20230004097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8789B (en) Programming controllable resistance device and its method
US11058913B2 (en) Inclinable exercise machine
US10843029B2 (en) C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CN106470739B (zh) 并入跑步机的缆索系统
US6857993B2 (en) Magnetic tension control weight training machine
US20180333602A1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US6811520B2 (en) Magnetic control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double cable sheave
US8608626B2 (en) Rowing machine simulator
MX2014014824A (es) Sistema de resistencia hibrido.
KR101375810B1 (ko)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KR102550737B1 (ko) 트램폴린 운동기구
EP3871741A1 (en) Compact inertia device for strength training
JP2009538220A (ja) 補助付ロープクライミング装置
JP4874193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用負荷付与装置
KR20240001884A (ko) 트램폴린 운동기구
CN107476757B (zh) 攀爬器材悬挂器
CN110816379A (zh) 一种公交车拉环
WO2023023875A1 (zh) 便携式全功能实时恒力训练器材
KR101638862B1 (ko) 부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이를 포함하는 재활기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217567272U (zh) 缆绳拉力训练装置
CN220345034U (zh) 一种心脏训练器
CN210159190U (zh) 一种阻力可调的攀岩机
KR102545581B1 (ko) 레저용 로프 구동 장치
CN217511055U (zh) 锻炼器材和便携式电动化健身设备
GB2543301A (en) Sports pitch divider net deploy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